본문으로 이동

서울 지하철 1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 메트로 1호선에서 넘어옴)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도시 철도
체계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
상태영업 중
기점서울역
(서울특별시 중구)
종점청량리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역 수10
개통일1974년 8월 15일
소유자서울특별시
운영자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직결 운행)
노선 제원
영업 거리7.8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가공강체가선
직류 1,500 V
신호 방식Kyosan Signal ATS [수동운전]
(2024년 종료예정)
영업 최고 속도ATS 구간 110km/h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地下鐵 1號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역동대문구 청량리역을 잇는 대한민국 최초의 도시 철도[1]다.

서울 지하철 역사상 한강 이남 지역이 배제된 최초의 노선이어서 종로선(鐘路線)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나, 공식적인 명칭은 아니다.[2]

양 끝으로 경부선, 장항선, 경인선경원선 등과 직결 운행하여 수송편의를 도모하고 있어서, 이 노선을 경유하는 다양한 운행 계통들을 수도권 전철 1호선이라고 통칭한다.

노선 색상은 원래 빨간색이었으나, 2000년 수도권 전철 안내 체계 개편에 따라 운영 비효율로 인하여 당시부터 더 많은 범위를 겸행하는 국철 구간의 계통색인 남색으로 단일화하였고, 색의 뜻은 미래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운영

[편집]

총 연장 7.8 km로 현재 대한민국도시 철도 중에서 제일 짧으나, 이 노선을 운행하는 운행 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경부선, 장항선, 경인선 등을 경유하기 때문에 대한민국 그 어느 운행 계통보다 방대한 연계성을 자랑한다. 이 곳에서 운행되는 운행 계통들은 대부분 인천광역시, 경기도충청남도 등지로 연계된다. 해당 노선은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 두 양사가 운영하고 있다.

차량

[편집]

좌측 통행

[편집]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서울교통공사 운영구간 중 유일무이하게 좌측 통행 방식이다. 대한민국 철도 환경은 원래 우마, 차량, 철도 차량이 좌측 통행인 일본의 영향을 받아 건설된 것이 많으며 이로 인하여 일반적인 철도 노선은 좌측 통행을 한다. 따라서 당초부터 좌측 통행 방식으로 설계된 경부선이나 경원선과의 연계를 전제했기 때문에 1호선도 좌측 통행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통행뿐만 아니라 차량, 토목, 신호 등 거의 대부분의 핵심 기술도 일본식 기술을 도입하였다.

역사

[편집]

기원

[편집]

1939년 사철 회사경춘철도주식회사가 현재의 서울 지하철 1호선과 동일한 구간의 지하철을 건설하여 경춘선과 연계하는 것을 계획하였고 총독부로부터 착공 인가까지 받았으나[4] 자금이 부족하여 실행되지 못하였다.

1968년에 원활한 도로교통을 위해 서울전차가 폐지된 것은 서울로 이주해 온 도시 노동자들에게는 대량 수송이 가능한 대중교통이 하나 사라진 것이나 다름없었다. 결국 대한민국 철도청지하철에 대해 연구하였으나 다른 과제로 인해 묻혀버렸고, 당시 서울특별시장 윤치영김현옥에 의해 최초의 지하철 건설이 시작되었다.

1호선 건설의 본격 추진

[편집]
보신각 앞 (현 종각역) 지하철 공사 현장 (1971년)

예전에 철도청장을 지냈었던 양택식김현옥 후임으로 부임하면서 재임중에 지하철을 건설하겠다고 하였으나 김학렬 당시 경제부총리의 반대에 부딪혔다. 박정희는 결국 양택식의 편을 들어주었고, 일본과의 기술 제휴를 통해 지하철을 건설하겠다고 하였다.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과 경부·경인·경위안 각 선의 전철화 사업은 엔 차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차량·신호·통신 분야 등에서 일본의 기술 협력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개업 당시의 전철은 모두 일제였다. 지하철 건설에 일본은 8,000만달러의 차관을 공여하고, 장기간에 걸쳐 현지 지도 및 일본 국내 연수를 실시해 왔다.그 때문에, 현시점에서도 지시 확인 등, 기본적인 운용은 일본식이다.

종로선(서울 1호선)은 일반철도와의 직결 운행을 도입하였다. 이는 기존 청량리 - 성북, 서울 - 인천·수원간 철도를 (복선) 전철화하여 1호선과의 직결을 통해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통근형 전동차를 운행하여 서울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지하철 1호선의 개통

[편집]

우선 초창기 서울 지하철의 계획은 다음과 같았다.

지하철 개통 기념 승차권

이 계획에 따라 1971년부터 3년간 지하철 첫번째 노선의 건설이 진행되었다.

1974년 8월 15일, 1호선과 국철(기존선 전철화)이 공식 개통되었다. 당시 조간신문들은 일제히 1호선의 준공을 축하하는 기사를 썼다. 하지만 개통식에 앞서 진행된 광복절 기념행사에서 박정희 당시 대통령의 영부인 육영수 여사가 재일교포 문세광에에게 피격되면서, 1호선 준공 기념식은 침울한 분위기 속에서 치러졌다. 이 사건으로 당시 양택식 시장은 결국 사퇴하고 구자춘이 새로운 서울특별시장으로 부임하게 되었다.

개통 후

[편집]

비록 지하철 1호선 9개 역(당시 기준)에 운행 구간은 7.8 km 밖에 되지 않았으나 당시 기술로는 아주 획기적인 것이었다. 1974년 8월 15일 개통 이후 수도권 전철(성북 - 인천·수원)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도권 지역으로 사통팔달 연결되기 시작하면서 이후 통근수요 증가 및 전동열차 운행구간 연장에 따라 이용객들이 점차 많아지게 되고 혼잡률도 극심해져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지옥철'이라는 별명도 얻게 되었다.

하지만 서울 지하철 2호선구자춘 시장에 의해 을지로 순환선으로 노선을 확정하여 1984년에 완전 개통, 이후 3호선과 4호선이 1985년에 개통되면서 이러한 혼잡률은 크게 감소하였다. 이후 서울 지하철 3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의 계획이 확정되어 공사에 착수한 1981년 9월 1일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가 설립되어 운영을 맡게 되면서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다.

2005년 12월 21일에는 동대문역과 신설동역의 사이에 서울 지하철 6호선과의 환승역인 동묘앞역이 신설되었다.

2018년부터 서울 지하철 1호선을 청량리역에서 망우역까지 4.5km 연장을 서울시에서 검토하는 중이며 이 사업이 확장되면 서울교통공사 운영구간이 확장되는 첫 사례가 된다.

역 목록

[편집]

번호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한글 로마자 한자
경부선 남영역 방면
133 서울역[5] Seoul Station 서울驛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0.0 0.0 서울특별시 중구
132 시청 City Hall 市廳 서울 지하철 2호선 1.1 1.1
131 종각 Jonggak 鐘閣 1.0 2.1 종로구
130 종로3가 Jongno 3(sam)-ga 鐘路3街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0.8 2.9
129 종로5가 Jongno 5(o)-ga 鐘路5街 0.9 3.8
128 동대문 Dongdaemun 東大門 수도권 전철 4호선 0.8 4.6
127 동묘앞 Dongmyo 東廟앞 서울 지하철 6호선 0.6 5.2
126 신설동 Sinseol-dong 新設洞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0.7 5.9 동대문구
125 제기동(한국건강관리협회) Jegi-dong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祭基洞
(韓國健康管理協會)
0.9 6.8
124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6] Cheongnyangni
(University of Seoul)
淸凉里
(서울市立大入口)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1.0 7.8
경원선 회기역 방면

이용객 변동

[편집]

서울역 ~ 청량리역 구간만 해당된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1호선 승차 322,367 317,212 311,045 303,390 315,547 318,562 307,286 305,499 301,688 295,089 [7]
하차 330,626 322,857 313,011 304,958 311,251 309,404 301,813 298,039 293,984 289,001
승하차 652,993 640,069 624,057 608,348 626,798 625,206 609,098 603,538 595,672 584,090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호선 승차 295,479 306,836 302,212 303,123 308,322 292,948 291,458 280,917 272,749 277,228
하차 288,965 296,453 290,562 293,990 300,304 285,466 283,420 273,486 268,869 273,922
승하차 584,444 603,289 592,774 597,113 608,626 578,414 574,848 554,403 541,618 551,150
노선 2020년
1호선 승차 184,650
하차 181,720
승하차 366,370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최인준 (2012년 2월 3일). “서울 지하철 1·3·4호선은 한 지붕 두 가족 같은 노선이라도 운영 기관 달라요”. 조선일보. 2012년 2월 7일에 확인함. 
  2. "지하서울에 지상의 환성 가득", 《동아일보》, 1975년 8월 15일 작성
  3. 한국철도공사 소속 열차로서 인입 선로를 통해 직결하여 운행한다.
  4. 서울에도地下鐵道(지하철도)
  5. 한국철도공사서울역과 구분하기 위하여‘지하 서울역’으로 안내되기도 한다.
  6. 한국철도공사청량리역과 구분하기 위하여‘지하 청량리역’으로 안내되기도 한다.
  7.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