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안우석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5월 10일 (토) 07:22 판 (→‎인접한 역)
서울
역사 (2007년 촬영)
역사 (2007년 촬영)
경의선 승강장
경의선 승강장
Map
개괄
관할 기관 코레일 서울본부 서울관리역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05
좌표 북위 37° 33′ 17″ 동경 126° 58′ 15″ / 북위 37.55472° 동경 126.97083°  / 37.55472; 126.97083
개업일 1900년 7월 8일
역 번호 수도권 전철 경의선 : P313
수도권 전철 1호선 : 133
종별 관리역/지역본부 소재역
등급 특1급
승강장수 8면 20선
비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거리표
경부본선
서울 기점 0.0 km
남영
(1.7 km)
경의본선
서울 기점 0.0 km
신촌
(3.1 km)
서울
역명판
역명판
승강장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코레일공항철도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
개업일 2010년 12월 29일
역 번호 A01
승강장수 2면 3선
거리표
인천국제공항선
서울 기점 0.0 km
공덕
(3.3 km)

서울역(서울驛)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공항철도으로, 경부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기점이다. 인근 서울 지하철 1호선4호선지하 서울역과 연결되어 있다.

개요

전국에서 이용객이 제일 많은 역이다. 서울특별시의 중추역으로, 경부선 KTX·경부선·경전선·동해남부선 새마을호·무궁화호 열차와 경의선 전철이 대부분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일부 경부선 KTX 열차는 경의선 행신역까지 연장 운행한다. 이전에는 호남선·전라선·장항선 열차도 취급하였으나, 2004년 12월 이후 기능이 용산역으로 분리·이전되어 현재는 장항선의 경우 누리로 열차만 취급한다.(서울역과 용산역에 모두 정차한다.) 대신 환승통로 공사로 인해 경부선 야간열차 2편성은 임시로 용산역에서 운행을 종료한다.[1]

호남선 KTX새마을호, 무궁화호 열차는 서울역 대신 인근의 용산역에 시·종착하고, 전라선 KTX 열차는 여수엑스포 기간에만 임시 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하였으며, 2013년 4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기간으로 인해 임시열차가 정차한다. 호남선 KTX 열차는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기간 이후에도 하행은 #603/#4003(행신발) KTX-산천 복합열차, 상행은 #520/#4006(행신행) KTX-산천 복합열차가 이 역에 왕복으로 1일 1회 정차한다.

명칭

한국철도공사[2] 관할의 서울역과 지하 서울역[3]을 구분하기 위하여 전자를 지상 서울역(地上서울驛) 또는 국철 서울역(國鐵서울驛)이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서울역은 이런 구분 명칭을 쓰지 않는다.

역 구조

한국철도공사

개찰구는 2층과 3층에 마련되어 있다. 주로 2층은 새마을호·무궁화호, 3층은 KTX를 취급한다. KTX 개통 당시에는 이를 확실히 구분했지만, 모두 승강장으로 가는 계단과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거의 구분을 하지 않는다.

승강장은 16개로, 이중 가장 동쪽과 가장 서쪽의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운행에 사용되는 고상 승강장이며, 나머지는 KTX 및 일반 열차가 사용하는 저상 승강장이다. 가장 동쪽의 1·2번 승강장에서는 각각 아침 출근 시간대에 운행되는 1호선급행 열차와 누리로가 사용하며, 서쪽의 서부 승강장은 경의선이 사용한다. 천안행 급행 승강장은 선로 끝 부분이 경인선인천역서울 지하철 9호선개화역처럼 끊어져 있다. 1·2번 승강장은 본 역사와 인근의 지하 서울역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되어 있으며, 서부 승강장의 개찰구는 본 역사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밖으로 나가야 한다.

1·2번 승강장 방향으로 가는 연결 통로 지하에는 일반 열차용 승강장과 연결되는 지하 통로가 있다. 신역사 공사 이전에는 일반 열차 이용 후 이 통로로 내려와서 지하철 서울역과 바로 연계 이용이 가능하였으나, 신역사 공사로 인해 지상계단과의 연결이 막히게 되었다. 현재 이 통로는 열차내 판매용 식품을 관리하는 역할로 사용되고 있어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된다. 1·2번 승강장 출입 계단 맞은편에도 당시 철도청 관할의 수도권 전철 매표소가 있었으나, 역시 신역사 공사로 인해 지하철의 운임 구역과 중첩되는 관계로 필요성이 사라져서 폐쇄되었다. 신역사 공사 이전에는 병점 방면 급행 열차의 경우 지하철 서울역과 운임 구역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환승 처리가 불가능하였으나, 현재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승강장

↑ 신촌
서부 | | 14 13 | | 12 11 | | 10 9 | | 87 | | | 65 | | | 43 | | | 21 | | |
남영 ↓
번호 노선 열차 행선지
1·2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B급행 금천구청·수원·평택·천안 방면
경부선 (장항선·경부선) 누리로 신창·천안·동대구 방면
3~12 경부선 (경전선·동해남부선)·호남선 (전라선) KTX·새마을호·무궁화호·누리로 대전·동대구·부산·제천·포항·마산·진주·해운대·용산·서대전·익산·광주·순천 방면, 당역 종착
13~14 경부선 (경전선, 경의선) KTX·새마을호·무궁화호·누리로 대전·동대구·부산 방면 (마산·진주·행신 방면), 당역 종착
서부 수도권 전철 경강선 B급행·완행 디지털미디어시티·대곡·일산·문산 방면, 당역 종착

코레일공항철도

기존 한국철도공사 역의 남서부에 위치하며, 기존 서울역사와도 연결되어 있다. 서울역 서부 출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선용 출구와 마주보고 있다. 지상 2층, 지하 7층 규모로, 일반 열차 및 직통 열차 승강장은 지하 7층에 있다. 고심도의 지하에 있어서 경부선경의선 선로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으며, 개통 초기 한국철도공사의 전산에는 공항서울로 등록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통합되었다. 지하 2층에 직통 열차용 승차 게이트 및 도심공항터미널이, 지하 3층에 일반 열차용 승차 게이트가 있다. 승강장은 2면 3선식 구조로, 1면 2선을 일반 열차가 이용하고, 인천국제공항역 방면 일반 열차 승강장이 마주보고 있는 나머지 1면 1선을 직통 열차가 이용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사 건설로 코레일 멤버십 라운지가 이전되었다. 유동 인구가 많아 에스컬레이터도 병행 가동되고 있지만, 고심도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가 더욱 편리하다.

이 대합실에 있는 도심공항터미널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만 취급한다. 탑승 수속 및 출국 심사를 거친 뒤에는 직통 열차를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으로 갈 수 있다.

승강장

(당역 종착)
 
     
공덕·인천국제공항
노선 열차 행선지
인천국제공항철도 일반 당역 종착
인천국제공항철도 일반 김포공항·인천국제공항 방면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 당역 종착·인천국제공항
  •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대신 직통/일반으로 구분한다.

역 주변

역사내부

동쪽

서울역 동쪽

서울 중심부의 남서부이다.

서쪽

역사

1899년 9월 18일 개통한 경인선은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노선이었지만, 개통 당시에는 한강 바로 앞의 노량진에서 끊겨 사실상 서울을 연결해 주지 못하였다. 1900년 7월 5일 한강철교의 개통으로 한성부에 드디어 철도가 들어오게 되었는데, 서울역은 이때 남대문정거장이라는 이름으로 10평 크기의 목조 바라크 건물을 염천교 아래 논 가운데에 가설하여 문을 열었다. 당시 용산역이 더 규모가 컸으며, 남대문정거장은 보조적인 역할을 하였다. 1905년 경부선이 개통하였고, 1906년에는 경의선이 개통하는 등 교통이 개선되었으나, 그 규모는 보잘것 없었다.

경성부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경성의 관문이 될 중심역을 만들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경부선·경원선·용산선이 만나는 용산역은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된데다, 도심에서 떨어져 있어 신역사 건설에는 부적합했다. 따라서 도심과 가까운 기존의 남대문정거장을 경성역으로 개량하기로 하여 1922년 역사 건설이 시작되게 된다. 그 뒤 1923년 1월 1일 경성역(京城驛)으로 역명을 바꾸고[4] 본격적인 경성부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도쿄 역에 이은 동양 제2의 규모로 지어진 역사는 1925년 완공되었고, 이후 만주 방면의 국제 열차를 취급하는 등 한반도의 철도 교통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경성역은 광복 이후 1947년에 현재의 역명인 서울역으로 개명하였고, 한국 전쟁을 거치며 대한민국의 최대 역으로 발돋움하였다. 1957년에는 서울역 서쪽에 경의선만 취급하는 서부역사를 신설하여 지역 주민들의 여객 이용을 도왔다. 1960 ~ 1970년대 경제 성장기를 거치면서 여객 규모가 커져 기존 역사로는 감당하기 힘든 수송량을 보이게 되어, 서울 올림픽에 발맞춰 1988년에 서울역사와 서부역사를 연결하는 선상역사(한화그룹 계열 민자역사)를 준공하였다. 이 민자역사는 개장일 기준으로 한국 최초의 민자역사이다.[5] 이후 KTX 운행이 가까워 오자 다시 신규 민자역사(한화그룹 계열)를 착공, 2003년에 현재의 역사를 새로 건설하여 2004년 4월 1일KTX를 취급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경부선·호남선·전라선·장항선 등 모든 장거리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2004년 4월 1일 KTX가 개통된 이후 선로 용량의 문제로 모든 열차를 서울역에서 처리가 어렵게 되어 호남·전라·장항선 열차는 서울역 대신 용산역에서 여객 업무를 취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2009년 7월 1일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 그리고 2010년 12월 29일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 2단계 구간(김포공항 - 서울역)이 개통되어서 이 역은 3개의 전철 운행 계통이 다니는 역이 되었다.

연혁

옛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

출처 : 문화역서울 284 <구 서울역사 복원 수리보고서> 및 문화역서울 284 홍보마케팅팀

서울역사
(서울驛舍)
대한민국의 사적
지정번호 사적 제284호
(1981년 9월 25일 지정)
소재지 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 (봉래동2가)
제작시기 일제강점기 (1922년 착공 ~ 1925년 완공)
소유자 대한민국 문화재청

옛 서울역사의 설립 주체는 남만주철도주식회사였다. 남만주철도주식회사는 이 역이 일본 - 조선 - 만주를 잇는 국제적인 수준의 역사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했다. 일본 도쿄 - 시모노세키 사이는 일본 국철, 시모노세키 - 부산 사이는 부관연락선, 부산~신경(新京) 혹은 북경(北京) 사이는 직통 열차로 연결되며, 이 열차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로 연결되어 모스크바베를린까지 연결시키는 구상을 가졌다. 이러한 세계적인 교통망에서 경성역은 한반도의 현관이며, 식민지 경영의 관문이라는 역할이 부여되었다.

설계자는 도쿄 대학 교수이던 쓰카모토 야스시(塚本 靖)였다. 그는 도쿄역사를 설계한 바 있는 다쓰노 긴고(辰野 金吾)의 제자였다. 역사의 신축 추진은 조선총독부 철도국 공무과 건축계에서 담당하였다. 단, 신축을 담당한 건축가는 명확하지 않다.

경성역은 1922년 6월 착공되어 1925년 9월 30일에 준공되었다. 원래는 1923년에 준공 예정이었으나, 일본 간토 대지진으로 공사 기간이 연장되고, 공사비도 일부 감액되었다. 건축 규모는 대지 면적 70,083평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6,631m²의 초대형 건축물이었으며, 동양 제1역은 도쿄 역, 동양 제2역은 경성역”으로 불릴 정도의 규모를 가지고 있었다.

이 건물 1층은 매표소를 겸하는 중앙홀, (조선인들이 사용하던) 3등대합실, (일본인들이 사용하던) 1, 2등 대합실, 부인대합실, 귀빈예비실, 귀빈실, 역장실, 2층은 식당과 사무실, 그리고 지하는 역무실로 사용되었다. 승강장은 지하에서 연결되었다. 1층 대합실 중앙에는 큰 홀이 있고, 그 상부 지붕에는 비잔틴 풍의 을 올렸다. 그 돔의 측면 반원형 아치 창으로부터 중앙홀 내부로 자연 광선을 끌어들여 밝은 홀 공간을 조성하였다.

철근 콘크리트조에 벽돌조로 마감했으며, 1층은 거친돌 마감식으로 처리하고, 상부 모서리와 개구부에는 돌을 사용하였다. 지붕은 철골조에 천연 슬레이트 마감이며, 일부 동판 이음을 하였다. 이 건물은 거대한 규모, 풍부한 장식과 정교한 상세를 자랑하는 일제강점기 시절의 한국에서는 매우 진기한 건물이었다.

건립 당시의 서울역(당시 경성역) 전경
서울역 정문 부분의 모습(2002년)

역사는 1950년 한국 전쟁으로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으며, 수리 과정에서 중앙홀 천창(天窓)이 훼손되었다. 1958년 1월 기존 역사 남측에 새마을호 대합실이 증축되었다. 1988년 선상역사가 건설되어 많은 역무 기능이 옮겨갔고, 2003년 남측에 신역사가 준공되어 옛 서울역사는 더 이상 역사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이에 철도문화재단의 관할 하에 시네마테크를 비롯한 문화시설로 용도변경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사적 284호로 지정된 서울역 건물이 한국철도공사 소유인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원형 보존을 내세운 문화재청에서 한국철도공사에 소유권 이전을 요구하여 2006년에 문화재청으로 소유권이 이전되었고, 2007년 7월에는 문화관광부에 의해 이른바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전환이 발표되었다. 이후 2011년 8월 9일, 구 역사는 "문화역서울 284"라는 새 이름으로 개장했다.[8] 건물 내부는 건립 당시의 형식으로 복원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문화역서울 284의 자체기획프로그램은 무료로 이루어지며, 외부 대관행사의 경우에는 유료 행사의 경우도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하며, 오전 10시에서 오후 7시까지 오픈한다.

이용 현황

통일호2004년도 승객수 부진과 KTX 개통으로 2004년 4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연도와 승하차방향 이용 인원[9]
경부선 경의선
KTX 새마을 무궁화 통일 총계 통일(통근)
2001년 하행 승차 미개통 3788985 8602006 138899 12529890 279261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4054445 9258021 153425 13465891 499348
2002년 하행 승차 3555498 7920088 125829 11601415 635919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837797 8694785 153425 12686007 855218
2003년 하행 승차 3264157 7388559 76985 10729701 963397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549812 8117821 92607 11760240 1355848
2004년 하행 승차 6088919 1681539 4101142 17128 11888728 1288230
하차 81 시발 6854 시발 6935 1284
상행 승차 0 종착 종착 종착 0 종착
하차 6117402 1783472 4144625 21314 12066813 1854197
2005년 하행 승차 9032639 885016 2374704 폐지 12292368 1642397
하차 114 3 32 158 160
상행 승차 2 종착 종착 2 종착
하차 9356211 901585 2142666 12400462 2344744

수도권 전철 승차량 변동

노선 승차 인원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경부선 19783 17958 18537 19509 15879 18467 [10]
노선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경부선 18916 19054 18940 18753 20186   [10]
경의선 미개통 4237 5504 6146 [10]
공항철도 미개통 [10]

경유하는 버스 노선

인접한 역

경의본선 · 경부본선 ·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본선
행신
행신 방면
KTX
경부선 · 경부선 (구포 경유)
광명
부산 방면
경의본선 · 경부본선
행신
행신 방면
행신 방면
KTX
호남선
전라선
용산
목포 · 광주 방면
여수엑스포 방면
경부본선 ·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본선
시·종착역 KTX
경전선
광명
진주 방면
경부본선
시·종착역 KTX
경부선 (수원 경유)
영등포
부산 방면
시·종착역 새마을
경부선
용산
부산 방면
시·종착역 새마을
경전선 · 동해선
영등포
진주 · 포항 방면
시·종착역 무궁화
경부선
용산
부산 방면
시·종착역 무궁화
경부선 · 충북선 · 경전선
영등포
해운대 · 제천 · 진주 방면
시·종착역 누리로
경부선
영등포
동대구 방면
시·종착역 누리로
장항선
용산
신창 방면
시·종착역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녹급행
139 영등포
천안 방면
경의본선
시·종착역 수도권 전철 경강선
경의선 급행 · 경의선 완행
P314 신촌
문산 방면
시·종착역 DMZ-train 능곡
도라산 방면
인천국제공항선
시·종착역 공항직통 인천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 방면
시·종착역 인천국제공항철도 A02 공덕
용유차량기지 방면
경부본선 · 경원본선
시·종착역 O-train 청량리
제천 방면

사진

같이 보기

참고

  1. 무궁화호 #1226, 새마을호 #1010
  2. 자회사인 코레일공항철도는 제외한다.
  3. 서울메트로 구간
  4. 《동아일보》, 1922년 12월 29일.
  5. 개장일이 아닌 민자역사 회사 설립일 기준으로는 영등포역이 최초의 민자역사이다.
  6. 중구 한강대로 405 (봉래동2가 122-21) → 용산구 한강대로 405 (동자동 43-205)로 이전함
  7. 문산도라산으로 단축되었다.
  8. “구 서울역사 복합문화공간 변신 눈길”. 시티신문. 2011년 11월 30일. 2012년 2월 7일에 확인함. 
  9. 철도통계연보
  10. 정보공개 공개자료실, 코레일 (2009년은 철도정보 일반자료실)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