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연천
舊.역사(1958년 준공)
舊.역사(1958년 준공)
Map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수도권동부지역관리단 의정부관리역
소재지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연천로 273-7
좌표 북위 38° 06′ 06″ 동경 127° 04′ 26″ / 북위 38.10167° 동경 127.07389°  / 38.10167; 127.07389
노선 경원선
개업일 경원선: 1912년 7월 25일
1호선: 2023년 12월 16일
역 번호 100-3
종별 보통역
등급 3급
승강장수 1면 2선(섬식)
비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거리표
경원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천 기점 0.0 km
신망리[1]
(4.0 km)
전곡
(8.7 km)

연천역(Yeoncheon station, 漣川驛)은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탄리에 위치한 경원선철도역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전철역이다. 이 역부터 회기역까지 지상 구간이며 한국철도공사 구간이다.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개요[편집]

역 구내에 있는 급수탑은 과거 증기 기관차가 다닐 때 쓰이던 시설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급수정(給水井)에는 한국 전쟁 당시의 총탄 자국이 선명하게 남아 있어 역사적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연천역은 위도상 38선 이북에 있기 때문에 6.25 전쟁의 발발 이전에는 소련 군정을 거쳐 북한 소속이었다. 승강장 서쪽에는 6.25 전쟁과 관련된 군용 물자를 남쪽으로 수송하기 위해 1948년에 설치된 화물용 승강장이 남아 있고, 현재도 군용 화물 수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2011년 7월 한국 중부 집중호우로 인해 2011년 7월 28일부터 2012년 3월 21일까지 8개월 동안 영업이 중단된 바 있다.

2018년 7월 2일부터 12월 1일까지 연천 ~ 백마고지간 선로 개량 공사로 인하여 임시 종착역이 되었다.

2023년 12월 16일수도권 전철 1호선 동두천 ~ 연천 연장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철역이 되었다. 이 역에서는 인천방면 전동열차만 운행하고, 중간 타절역은 광운대역구로역이다. 현재 경원선 통근열차와 평화열차 운행 중단으로 인해 대한민국 여객취급역 중 최북단 역이 되었다.

역사[편집]

역 구조[편집]

1면 2선 섬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신탄리↑/시.종착역(1호선)
| | | | 승강장 | | 상 하 |
전곡
1 미사용 승강장
2 미사용 승강장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종착
소요산 · 광운대 · 회기 · 인천 방면

급수탑[편집]

이 시설물은 경원선을 운행하던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한 급수탑으로, 현재 상자형과 원통형 2기가 남아 있다. 상자형 급수탑은 콘크리트조로 기단, 벽체부, 지붕부 3단으로 입면을 형성하였으며, 아치형 출입구를 두었고, 외관에 줄눈을 그려 조적조인 것처럼 구성하였다. 원통형 급수탑에는 급수관 3개와 기계장치가 양호하게 보존되어 있고, 탑 외부에는 한국전쟁 당시의 총탄 흔적이 남아 있다. 1950년대 디젤기관차가 등장하여 제 기능을 다하고 사라졌지만, 근대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증기기관차 관련 철도 시설물로 가치가 높다.

역 주변[편집]


인접한 역[편집]

경원선
시·종착역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경인선 완행
100-2 전곡
인천 방면

이용객 변동[편집]

2023년 자료는 개통일인 2023년 12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22년 2023년
경원선 승차 미개통 1,948 [3]
하차 1,994

갤러리[편집]

각주[편집]

  1.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연천역까지만 운행한다.
  2. 조선총독부 고시 제291호(1912.07.20)
  3.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2022년 3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