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1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도권 전철 1호선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지하철, 광역철도
체계수도권 전철
상태영업 중
기점연천역
(경기도 연천군)
종점인천역
(인천광역시 중구)
신창역
(충청남도 아산시)
서동탄역
(경기도 오산시)
광명역
(경기도 광명시)
역 수102
경유 노선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개통일1974년 8월 15일(성북~인천, 구로~수원)
1978년 12월 9일(용산~청량리)
1985년 8월 22일(창동~성북)
1986년 9월 2일(의정부~창동)
1987년 10월 5일(의정부북부~의정부)
1988년 10월 25일(금정~안산)
1993년 1월 15일(금정~인덕원)
2003년 4월 30일(수원~병점)
2005년 1월 20일(병점~천안)
2006년 12월 15일(소요산~의정부, 시흥~광명)
2008년 12월 15일(천안~신창)
2010년 2월 26일(병점~서동탄)
2023년 12월 16일(연천~동두천)
폐지일1994년 3월 31일(안산~인덕원)
2005년 12월 15일(용산~회기)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218.3 km
궤간전 구간 1,435 mm(표준궤)
선로 수6(남영 - 구로)
4(구로 - 동인천 · 천안)
2(천안 - 신창, 병점 - 서동탄, 동두천 - 남영, 동인천 - 인천, 금천구청 - 광명)
1(연천 - 동두천)
전철화가공강체가선 직류 1,500 V(서울역-청량리)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서울역-인천·광명·서동탄·신창, 청량리-소요산)
신호 방식ATS [수동운전]
(2024년 서울교통공사구간만 종료예정)
영업 최고 속도ATS 구간 110km/h
수도권 전철 1호선
100-3
연천
100-2
전곡
100-1
청산
100
소요산
101
동두천
102
보산
103
동두천중앙
104
지행
105
덕정
106
덕계
107
양주
108
녹양
109
가능
110
의정부
111
회룡
112
망월사
113
도봉산
114
도봉
115
방학
116
창동
117
녹천
118
월계
119
광운대
120
석계
121
신이문
122
외대앞
123
회기
124
청량리
125
제기동
126
신설동
127
동묘앞
128
동대문
129
종로5가
130
종로3가
131
종각
132
시청
133
서울역
134
남영
135
용산
136
노량진
137
대방
138
신길
139
영등포
한국고속철도
140
신도림
141
구로
구일
142
개봉
143
P142
가산디지털단지
오류동
144
P143
독산
온수
145
P144
금천구청
역곡
146
소사
147
P145
석수
부천
148
P144-1
광명
한국고속철도
중동
149
P146
관악
송내
150
P147
안양
부개
151
P148
명학
부평
152
P149
금정
백운
153
P150
군포
동암
154
P151
당정
간석
155
P152
의왕
주안
156
P153
성균관대
도화
157
P154
화서
제물포
158
P155
수원
도원
159
P156
세류
동인천
160
P157
병점
인천
161
P157-1
서동탄
P158
세마
P159
오산대
P160
오산
P161
진위
P162
송탄
P163
서정리
P164
평택지제
 SRT 
P165
평택
P166
성환
P167
직산
P168
두정
P169
천안
P170
봉명
P171
쌍용
P172
아산
한국고속철도  SRT 
P173
탕정
P174
배방
P176
온양온천
P177
신창

1호선 열차의 운행 또는 운영과 관계 없는 접속 노선은 역명 옆에 기호로만 표시하였음.
1 : 인천 - 연천/소요산/동두천 완행 (전역정차)
2 : 신창/천안 - 광운대 완행 (전역정차)
3 : 경인선(동인천)급행 및 특급 용산 - 동인천
4 : 경원선급행 동두천 - 광운대 - (전역정차) - 인천
5 : 경부선급행 청량리/서울 - 천안/신창 (신창 - 천안 간 전역정차)
6 : 영등포 - 광명 셔틀
7 : 광운대 - 서동탄

적색: 한국철도공사 관할
주요 시종착역
경인선 특급 정차역
특정 시간대에만 운행·정차
끊긴 선: 차량기지 입출고선
차량기지
지하 구간
청색: 서울교통공사 관할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 電鐵 一號線, Seoul Metropolitan Subway Line 1)은 대한민국 경기도 동두천시 소요산역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역, 경기도 광명시 광명역, 그리고 경기도 오산시 서동탄역 등을 잇는 수도권 전철운행 계통이다. 총 연장을 합산한다면 수도권 전철 노선 중 가장 긴 노선이다. 노선색상은 남색이다. 각각 별개의 운행 계통이지만 편의상 하나의 문서로 통합하여 소개하도록 한다.

개요

1974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의 주도로 서울역 - 청량리 구간의 지하철을 개통함과 동시에 철도청 소유의 철도 노선인 경원선, 경부선경인선에도 통근형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곧이어 둘은 서로 직결 운행을 하게 되어, 수원시인천시(현재의 인천광역시)에서도 수도권 전철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기준으로 하여, 의정부역, 창동역, 광운대역, 청량리역, 영등포역 등을 비롯한 서울의 부도심과 부평역, 동인천역인천광역시의 도심과 부도심, 그리고 안양역, 수원역, 서동탄역, 평택역 등의 근교 지역을 거쳐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까지 연결하여, 현재 수도권 전철에서 제일 긴 구간[1]을 운행한다. 또 대한민국에서 통근 전철 구간과 도시 철도 구간이 직결 운행하는 최초의 운행 계통이다.

초창기에는 간단히 수도권 전철(首都圈電鐵) 혹은 국철(國鐵, Korea Nat'l Railroad)로 불렸으며 남색을 안내에 사용하였다. 1978년 12월 9일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이 전철화되면서 용산 - 성북간 전동차가 운행을 시작하였다. 서울 지하철 3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이 개통된 1988년 10월 25일에는 금정 - 원곡(현 안산역)을 잇는 안산선이 개통되어 전동차가 운행을 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청량리안산행이였으나 이후 구로안산노량진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에 이름을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바꾸고 여객 안내에서 더이상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구별하지 않고, 그 후로는 노선을 구별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거의 같은 노선 취급을 받지만,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여객 안내를 제외하고는 아직도 노선별로 명칭을 다르게 쓰는 경우가 있다. 2003년 4월 30일에는 경부선 수원역에서 병점역까지 부분 연장 개통과 함께 1호선 전동차의 안산선 운행은 중단되었으며 2005년 12월 16일에는 중앙선 전철이 개통되어서 경원선 용산 - 청량리 구간의 운행은 중단되었다. 2005년 1월 20일 경부선 병점역에서 천안역까지 연장 개통되었고, 2006년 12월 15일에는 경원선 의정부역에서 소요산역까지 연장 개통되었으며, 2008년 12월 15일장항선 전철화 구간인 천안역에서 신창역까지 연장 개통되었다.

역사

최초 개통

1기 지하철 시대

1980년대 수도권 전철 노선도

2기 지하철 시대

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 통합 이후

운영

수도권 전철 1호선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지하철, 광역철도
체계수도권 전철
상태영업 중
기점연천역
(경기도 연천군)
종점인천역
(인천광역시 중구)
신창역
(충청남도 아산시)
서동탄역
(경기도 오산시)
광명역
(경기도 광명시)
역 수102
경유 노선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개통일1974년 8월 15일(성북~인천, 구로~수원)
1978년 12월 9일(용산~청량리)
1985년 8월 22일(창동~성북)
1986년 9월 2일(의정부~창동)
1987년 10월 5일(의정부북부~의정부)
1988년 10월 25일(금정~안산)
1993년 1월 15일(금정~인덕원)
2003년 4월 30일(수원~병점)
2005년 1월 20일(병점~천안)
2006년 12월 15일(소요산~의정부, 시흥~광명)
2008년 12월 15일(천안~신창)
2010년 2월 26일(병점~서동탄)
2023년 12월 16일(연천~동두천)
폐지일1994년 3월 31일(안산~인덕원)
2005년 12월 15일(용산~회기)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218.3 km
궤간전 구간 1,435 mm(표준궤)
선로 수6(남영 - 구로)
4(구로 - 동인천 · 천안)
2(천안 - 신창, 병점 - 서동탄, 동두천 - 남영, 동인천 - 인천, 금천구청 - 광명)
1(연천 - 동두천)
전철화가공강체가선 직류 1,500 V(서울역-청량리)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서울역-인천·광명·서동탄·신창, 청량리-소요산)
신호 방식ATS [수동운전]
(2024년 서울교통공사구간만 종료예정)
영업 최고 속도ATS 구간 110km/h
수도권 전철 1호선
100-3
연천
100-2
전곡
100-1
청산
100
소요산
101
동두천
102
보산
103
동두천중앙
104
지행
105
덕정
106
덕계
107
양주
108
녹양
109
가능
110
의정부
111
회룡
112
망월사
113
도봉산
114
도봉
115
방학
116
창동
117
녹천
118
월계
119
광운대
120
석계
121
신이문
122
외대앞
123
회기
124
청량리
125
제기동
126
신설동
127
동묘앞
128
동대문
129
종로5가
130
종로3가
131
종각
132
시청
133
서울역
134
남영
135
용산
136
노량진
137
대방
138
신길
139
영등포
한국고속철도
140
신도림
141
구로
구일
142
개봉
143
P142
가산디지털단지
오류동
144
P143
독산
온수
145
P144
금천구청
역곡
146
소사
147
P145
석수
부천
148
P144-1
광명
한국고속철도
중동
149
P146
관악
송내
150
P147
안양
부개
151
P148
명학
부평
152
P149
금정
백운
153
P150
군포
동암
154
P151
당정
간석
155
P152
의왕
주안
156
P153
성균관대
도화
157
P154
화서
제물포
158
P155
수원
도원
159
P156
세류
동인천
160
P157
병점
인천
161
P157-1
서동탄
P158
세마
P159
오산대
P160
오산
P161
진위
P162
송탄
P163
서정리
P164
평택지제
 SRT 
P165
평택
P166
성환
P167
직산
P168
두정
P169
천안
P170
봉명
P171
쌍용
P172
아산
한국고속철도  SRT 
P173
탕정
P174
배방
P176
온양온천
P177
신창

1호선 열차의 운행 또는 운영과 관계 없는 접속 노선은 역명 옆에 기호로만 표시하였음.
1 : 인천 - 연천/소요산/동두천 완행 (전역정차)
2 : 신창/천안 - 광운대 완행 (전역정차)
3 : 경인선(동인천)급행 및 특급 용산 - 동인천
4 : 경원선급행 동두천 - 광운대 - (전역정차) - 인천
5 : 경부선급행 청량리/서울 - 천안/신창 (신창 - 천안 간 전역정차)
6 : 영등포 - 광명 셔틀
7 : 광운대 - 서동탄

적색: 한국철도공사 관할
주요 시종착역
경인선 특급 정차역
특정 시간대에만 운행·정차
끊긴 선: 차량기지 입출고선
차량기지
지하 구간
청색: 서울교통공사 관할

서울메트로가 운영하는 서울 지하철 1호선을 제외한 각 노선들의 소유 기관은 대한민국 정부이며 한국철도시설공단의 관리를 받으며, 운행 계통의 총괄 운영권은 한국철도공사가 가지고 있다. 서울메트로도 관리에 참여하나, 제약이 많이 따른다. 그 예로 운영 계획 및 차량 시간표는 모두 한국철도공사에서 수립·관리하며, 운행 차량 비율은 서울메트로 소속 차량보다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이 10배 이상 많고, 또한 서울메트로 소속 차량[13]보다는 한국철도공사의 소속 차량[14]의 운행 거리가 많은 등 거의 모든 면에서 한국철도공사가 점유하고 있다.

열차의 운행 횟수는 서울메트로 소속 96회, 한국철도공사 소속 454회이다[15]

경유 노선 목록

노선명 역 번호 하행 기점 상행 기점 소유자
관리자
운영자
경원선 100 ~ 123 소요산역 회기역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철도공사
서울 지하철 1호선
(구 종로선)
124 ~ 133 청량리역 서울역 (지하철)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서울메트로
경부선 134 ~ 141
P142 ~ P169
남영역
구로역
가산디지털단지역
천안역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철도공사
경인선 141 ~ 161 구로역 인천역
장항선 P169 ~ P177 천안역 신창역
병점기지선 P157
P157-1
병점역 서동탄역
금천구청연결선
경부고속선
P144
K410
금천구청역 광명역

완행

한국철도공사서울메트로가 운영하며, 서울메트로 소속 전동차의 최대 운행 구간은 양주역 - 인천역·서동탄역이다.

경인 - 경원 계통

소요산역에서 대기하는 전동차

장항 - 경부 - 경원 계통

파일:Seoulmetro Line1 106 Train.JPG
병점행 전동차
청량리행 전동차

영등포 - 광명간 셔틀 전철

광명역에서 대기중인 영등포행 열차

한강 이남 지역에서 KTX 광명역으로 접근하기 쉽도록 운행되고 있다. 2006년 12월 15일 개통 당시에는 10량 1편성으로 구성되었고, 배차 간격은 약 30분으로 용산 - 광명 간 모든 역에 정차하는 운행 계통이었다. 이용 승객 저조로 2008년 12월 1일부터 영등포 - 광명으로 구간을 단축운행하고 전동차 편성도 4량으로 감축했다. 영등포 - 구로 구간에서는 경인 급행 선로를, 구로 - 금천구청 구간에서는 기존 경부 2선을, 금천구청역에서는 경부고속선을 따라 운행한다. 현재 운행이 대폭 축소되어 낮시간대에는 운행되지 않고 출퇴근 시간대에만 10회 운행되고 있다. 또한 하행 셔틀 전철은 공무수행 중인 대통령 전용열차를 제외하면 최우선 순위로 운행하는데 이는 고속철도 열차 접속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현재 광명역을 활성화 방안에 따라 정책적으로 광명셔틀전동열차가 금천구청부터 광명역까지 선로 4개를 횡단하면서 광역전철 지연에 막대한 영향을 주어, 영업자인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정시운행을 위하여 적자 운행 중인 광명셔틀전동열차 폐지를 지속적으로 정부에 건의를 하고 있지만 불가방침을 통보하여 갈등중이다.

급행

다음의 7개 계통이 있으며 모두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 · 운영한다.

용산 - 동인천

  • 경인선이 부평역까지 복복선으로 준공된 1999년 1월 29일부터 용산-부평 간을 운행하던 급행이 시초이다.[23] 주안역, 동인천역까지 차례로 복복선이 확충될 때마다 급행도 그에 따라 연장되었다.
  • 2010년 9월 1일부터 동인천역에서 출발하여 동암역송내역, 역곡역을 통과하여 (경인선 구간 주안역, 부평역, 부천역 정차) 용산역까지 평일 아침시간대 2회 운행하는 경인선 급행A 전동차를 운행하다가[24] 2012년 11월 1일에 폐지되었다.
  • 2010년 1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막차 시간에 경원선으로부터 직통 운행하는 인천 행 급행 열차를 동인천 급행 정차역에 맞추어 1회 운행하였다. #소요산 - 인천 심야급행 문단을 참고하라.

용산 - 천안

서울역 - 천안역 급행이 운행하지 않는 시간대에 매일 운행하며, 용산역 3번 승강장과 천안역 8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에는 천안 급행, 용산 급행으로 표시된다.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자체적으로 ‘A급행’이라고 부르며, 행선안내기에 표시되는 열차 종별의 색에서 ‘빨강 급행’(서울 급행은 초록색)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서울역 - 천안역 급행 정차역 중 금천구청역군포역, 의왕역, 성균관대역을 통과하여 운행하고, 안양 - 수원 구간에서 경부선 새마을호·무궁화호 열차의 선로인 경부1선을 공유한다. 2012년 11월부터 평일에 한하여 용산-병점 간 운행편성이 추가되었다.

2013년 7월 20일 부터 기존 급행 정차역 중 안양역병점역, 오산역, 서정리역, 성환역을 통과하여 주말과 공휴일에 왕복 1회 운행하는 급행이 운행하며, 열차 종별 색은 녹색이다.

서울 - 천안

  • 이 열차의 시초는 1982년 9월 25일부터 운행한 서울-수원 출퇴근 직통열차로, 안양역에만 정차했다. 개통 초창기에는 수원→서울 편도로 출근 시간 3회 운행하였으며, 동년 10월 20일에 서울→수원 노선 또한 퇴근 시간 3회로 운행을 개시하였다.[25] 이후 시흥역, 군포역, 부곡역이 1999년에 여객열차 영업을 중단하면서 이 역들에 대신 직통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였다. 2003년 4월 30일 1호선의 병점역 연장과 동시에 성균관대역에도 급행 열차가 정차하게 되었다. 2003년 11월 서울역 신축에 따라 1·4호선 승강장과 급행 승강장을 재발권 없이 오갈 수 있게 되었다. 기존에는 서울역에서 재발권이 필요했기 때문에 영등포역 하차로 완행을 이용할 것을 유도하였다.
  •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며, 2010년 4월 1일부터 2011년 10월 4일까지 일요일 및 공휴일에도 운행을 확대 한 이력이 있었다. 상하행 각 3편성씩 운행하며, 영등포역은 하행 3편성이, 성균관대역은 하행 2편성이 무정차 통과한다. 지상 서울역 2번 승강장과 천안역 8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이때 천안발 차량은 한국철도공사의 지상 서울역 승강장으로 진입하며, 서울역발 차량 역시 지상 서울역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지상 승강장은 지하 서울역과는 전철 무료 환승통로로 연결되어 있어 완행 전동차나 서울 지하철 4호선과도 문제 없이 환승할 수 있다. 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에는 천안 급행, 서울 급행으로 표시된다.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자체적으로 ‘B급행’이라고 부르며, 행선안내기에 표시되는 열차 종별의 색에서 ‘초록 급행’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서울 - 수원 구간에서 경부선 새마을호·무궁화호 열차의 선로인 경부1선을 공유한다.

동두천 - 인천 급행

동인천역용산역에서 발착하는 급행과는 별개로, 인천역동두천역 또는 소요산역에서 발차하는 급행이다. 출근 시간대에만 운행되며, 급행 운행으로 단축되는 시간은 약 11분 정도이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2008년 12월 15일 시각표 개정 전까지는 양주역 대신 가능역에 임시정차하였고, 인천-가능 구간의 각 역에 정차하였다.[26]

영등포 - 병점

영등포역에서 발차하는 급행으로, 광역버스 입석금지 조치에 따라 2014년 8월 25일부터 신설한 급행이다.[27] 첫차와 막차 시간대에만 운행되며, 급행 운행으로 단축되는 시간은 약 40분 정도이다. 광명 셔틀에서 운행하던 4량 전동차가 운행한다. 영등포 - 수원 구간에서 경부선 새마을호·무궁화호 열차의 선로인 경부1선을 공유한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없어진 운행 계통

경원지선 용산-왕십리-성북

1978년 12월 9일부터 경원지선 용산역 - 청량리역이 복선 전철화된 이후 경원지선 용산 - 왕십리 - 성북 사이를 운행하는 계통이었다. 종종 용산 - 왕십리 - 지상 청량리만 운행하기도 하였다. 창동에서 출발하여 성북과 왕십리를 거쳐 용산까지 운행하는 열차도 있었으나 창동역 출발 열차만 있었고, 공휴일이 아닌 월~토요일에 한해 아침 1회씩만 운행하는 매우 희귀한 열차였다. 이 운행 계통은 2005년 12월 16일중앙선 회기 ~ 덕소 구간에 수도권 전철이 개통되면서 1호선의 운행 계통에서 분리되었다. 이는 현재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다.

안산역 착발

1988년안산선의 개통으로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에서 용산역, 금정역을 경유하여 안산선으로 직결하는 운행 계통이었다. 1994년 서울 지하철 4호선과천선안산선의 직결 운행으로 운행 구간이 안산-구로안산-영등포로 축소되고, 운행 횟수는 2000년 이후 출근시간에 하루 3회만 운행되었다. 운행 구간은 구로발 안산행이나 안산발 용산행으로 더 축소되었으며, 후자는 용산역 민자역사(民資驛舍) 착공 이후에 노량진행으로 축소되었다. 그러다가 결국 2003년 4월 30일 경부선 수원 ~ 병점 구간 복복선 전철 개통으로 완전히 폐지되었으며, 현재의 안산선과천선과 함께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운행 구간이 되어 더 이상 1호선이 운행하지 않게 되었다.

소요산 - 인천 심야급행

  • 2010년 11월 1일 경원선, 경인선 급행 열차와는 별개로, 창동역에서 인천역까지 평일에 한정하여 운행하는 인천행 심야 급행 열차를 1회 추가하였다.[28]. 일반 급행 열차와 동일하게 창동역부터 구로역까지는 전역 정차하나, 그 이후 동인천역까지 급행 열차의 정차역에만 정차한다. 동인천역부터 인천역까지는 완행과 동일하게 운행되며, 내선을 사용하는 급행 열차와는 달리 완행 열차가 사용하는 외선을 이용해 주행한다. 2011년 10월 5일 양주역 출발로 변경되었고, 2014년 8월 24일 소요산역 출발로 변경되었다. 2015년 2월 27일에 마지막 운행을 하여 완행으로 전환되었다.

차량

향후 계획

경부선 천안역 - 충북선 청주공항역

2005년에 1호선이 천안까지 연장되면서 충청북도에서는 청주공항역까지 노선을 연장할 것을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에 제안하였고, 2008년 2월에 정부 차원에서 검토하겠다는 답신을 받았다.[29] 그 후 충청지역 국회의원 및 관계기관 실무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토론회가 개최되었으며, 이 토론회에서 직선노선으로 청주공항까지 1호선이 연장될 경우 생산유발효과는 3조 6594억원, 고용유발효과는 50,643명에 이르고 천안역-청수동-목천-병천-오창-청주공항 간을 37 km로 직선화하여 연결하는 노선이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0] 국토해양부에서 타당성 조사를 한 결과 기존선을 이용하는 방안이 더 효율적이라는 결과를 얻었다.[31] [32] 한편 충청북도에서는 2010년까지 기존선개량에 관한 예비타당성조사 및 실시설계를 위해서 2010년분 SOC예산에 반영해줄것을 국토해양부에 요청하였으나 삭감되었고,[33]그 이후에도 옛 연기군이 기존선 경유를 지속적으로 주장함으로써 갈등을 빚다가 2011년 10월 31일천안 - 청주공항간 노선이 기존의 경부선, 충북선을 활용하는 것으로 결정되어 2015년 착공, 2019년 개통 예정이고[34], 이 때 오근장역청주역 사이에 가칭 북청주역도 신설된다.[35] 그러나 앞에 말한 내용에서 국토교통부는 처음부터 천안역-청주공항역을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이 아닌 일반 열차의 복선 전철화 사업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앞에서 말한 내용들은 사실무근이다.[36]

경원선 동두천역 - 연천역

2003년 7월 수도권 북부지역 광역교통개선대책에 포함된 안으로, 경원선 중 단선 비전철 구간인 동두천 - 연천 구간 전철화 사업의 일환이다. 2007년엔 경기도 제2청사와 연천군국토해양부, 기획재정부와 협의하였다. 이 구간이 전철화될 경우에는 소요산역이나 동두천역에서 통근열차통근형 전동차를 환승해야 하는 연천군 주민들이 경원선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 경기도 측의 설명이다. 한편 경기도로부터 용역을 의뢰받은 교통연구원은 2009년 9월 해당 구간을 단선전철화하는 것을 대안으로 하는 내용을 기획재정부에 최종 보고하였고 ,[37][38] 2011년 11월 8일에 노선이 최종 결정되었다.[39] 2014년 9월부터 착공, 2019년에 개통한다. 당초 2013년 9월에 착공 했으나 역 신설과 노선 변경을 요구 하고 있는 경기도 동두천시와의 갈등과 사업비 문제으로 인해 착공시기를 1년 정도 미뤄졌다. [40] 기존의 간이역인 초성리역은 청산면 초성2리 인근에 역사를 신설하여 이전하게 되고, 한탄강역은 전철연장노선의 직선화 문제로 역사는 폐지하며, 소요산역, 전곡역, 연천역은 개량한다. 개통 후 10량 1편성 열차가 평균 24분 간격으로 하루 왕복 90회 정도 (상행과 하행 각 하루 45회씩 운행) 운행할 계획이다. 서울 용산에서 연천까지 현재 2시간 8분 정도로 만약 동두천 ~ 연천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구간이 개통 이후에는 27분 단축이 되어 1시간 41분 정도로 이동이 가능하다. 경기도 연천군 주민들은 동두천에서 전철을 환승을 하거나 버스를 갈아타는 불편없이 수도권 전철 1호선를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느 정도로 경기 연천군의 대중교통 불편은 많이 해소할 것으로 보인다.

경원선 양주역-포천시

포천시7호선연장구간이 단축되자 양주역을 기점으로 단선구간으로 고읍 옥정 포천 구간으로 국토교통부에다 건의하였다. 양주시도 이 건의안을 추진중이다.

역 목록

노선도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장항선


역 번호 역명 경원선
급행
경인선
급행
경부선
A급행
경부선
B급행
환승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경원선 100 소요산











통근열차 - 0.0 경기도 동두천시
101 동두천 통근열차
DMZ-Train
2.5 2.5
102 보산 1.6 4.1
103 동두천중앙
(신한대 제2캠퍼스)
1.4 5.5
104 지행 1.0 6.5
105 덕정
(서정대학교)
5.6 12.1 양주시
106 덕계 2.9 15.0
107 양주
(경동대학교)
5.3 20.3
108 녹양 1.6 21.9 의정부시
109 가능 1.3 23.2
110 의정부 DMZ-Train 1.2 24.4
111 회룡 의정부 경전철 1.6 26.0
112 망월사
(신한대 제1캠퍼스)
1.4 27.4
113 도봉산 서울 지하철 7호선 2.3 29.7 서울특별시 도봉구
114 도봉 1.2 30.9
115 방학
(도봉구청)
1.3 32.2
116 창동 수도권 전철 4호선 1.7 33.9
117 녹천 1.0 34.9
118 월계
(인덕대학)
1.4 36.3 노원구
119 광운대 수도권 전철 경춘선 1.1 37.4
120 석계 서울 지하철 6호선 1.1 38.5
121 신이문
(한국예술종합학교)
1.4 39.9 동대문구
122 외대앞 0.8 40.7
123 회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0.8 41.5
서울 지하철 1호선 124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ITX-청춘 · ITX-새마을
무궁화호
O-Train · A-Train · DMZ-Train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1.4 42.9
125 제기동 1.0 43.9
126 신설동 서울 지하철 2호선 0.9 44.8
127 동묘앞 서울 지하철 6호선 0.7 45.5 종로구
128 동대문 수도권 전철 4호선 0.6 46.1
129 종로5가 0.8 46.9
130 종로3가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0.9 47.8
131 종각 0.8 48.6
132 시청 서울 지하철 2호선 1.0 49.6 중구
133 서울역 KTX · KTX-산천
ITX-새마을
무궁화호 · 누리로
O-Train · S-Train · DMZ-Train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1.1 50.7
경부선 134 남영 1.7 52.4 용산구
135 용산 KTX · KTX-산천
ITX-청춘 · ITX-새마을
새마을호 · 무궁화호 · 누리로 · G-Train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1.5 53.9
136 노량진 서울 지하철 9호선 2.6 56.5 동작구
137 대방 1.5 58.0 영등포구
138 신길 수도권 전철 5호선 0.8 58.8
139 영등포 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 무궁화호 · 누리로
S-Train · G-Train · O-Train
1.0 59.8
140 신도림 서울 지하철 2호선 1.5 61.3 구로구
141 구로 1.1 62.4
P142 가산디지털단지







서울 지하철 7호선 2.4 64.8 금천구
P143 독산
(하안동입구)
2.0 66.8
P144 금천구청 1.2 68.0
P145 석수 2.3 70.3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P146 관악
(안양예술공원)
1.9 72.2
P147 안양 무궁화호 · 누리로 2.4 74.6
P148 명학
(성결대앞)
2.2 76.8
P149 금정 수도권 전철 4호선 1.4 78.2 군포시
P150 군포 2.2 80.4
P151 당정
(한세대)
1.6 82.0
P152 의왕
(한국교통대학교)
2.6 84.6 의왕시
P153 성균관대 2.9 87.5 수원시
장안구
P154 화서 2.6 90.1 수원시
팔달구
P155 수원 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 무궁화호 · 누리로
S-Train · G-Train · O-Train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2.1 92.2
P156 세류 2.9 95.1 수원시
권선구
P157 병점
(한신대)
4.3 99.4 화성시
P158 세마 2.4 101.8 오산시
P159 오산대 2.7 104.5
P160 오산 무궁화호 · 누리로 2.7 107.2
P161 진위 4.0 111.2 평택시
P162 송탄 3.8 115.0
P163 서정리
(국제대학)
무궁화호 · 누리로 2.2 117.2
P164 지제
(한국복지대학)
4.8 122.0
P165 평택 ITX-새마을
새마을호 · 무궁화호 · 누리로
3.7 125.7
P166 성환
(남서울대)
무궁화호 · 누리로 9.4 135.1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P167 직산 5.4 140.5
P168 두정 3.8 144.3
경부선
P169 천안 ITX-새마을
새마을호 · 무궁화호 · 누리로
S-Train · O-Train
3.0 147.3 천안시
동남구
장항선
P170 봉명







1.5 148.8
P171 쌍용(나사렛대) 1.5 150.3 천안시
서북구
P172 아산
(선문대)
KTX · KTX-산천
새마을호 · 무궁화호 · 누리로 · G-Train
1.5 151.8 아산시
P174 배방 4.9 156.7
P176 온양온천 새마을호 · 무궁화호 · 누리로 · G-Train 4.9 161.6
P177 신창(순천향대)
(한국폴리텍Ⅳ대학)
누리로 5.1 166.7

경인선


역 번호 역명 경원선
급행
경인선
급행
경부선
A급행
경부선
B급행
환승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경인선 141 구로 1.1 62.4 서울특별시 구로구
142 구일
(동양미래대학)








1.4 63.8
143 개봉
(한영신대)
1.0 64.8
144 오류동 1.3 66.1
145 온수
(성공회대입구)
서울 지하철 7호선 1.9 68.0
146 역곡
(가톨릭대)
1.3 69.3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147 소사
(서울신대)
1.5 70.8 부천시
소사구
148 부천
(부천대학교)
1.1 71.9
149 중동 1.7 73.6
150 송내 1.0 74.6
151 부개 1.2 75.8 인천광역시 부평구
152 부평
(가톨릭대인천성모병원)
인천 도시철도 1호선 1.5 77.3
153 백운 1.7 79.0
154 동암 1.5 80.5
155 간석 1.2 81.7 남동구
156 주안 1.2 82.9 남구
157 도화 1.0 83.9
158 제물포
(인천대학교제물포캠퍼스)
1.0 84.9
159 도원 1.4 86.3 동구
160 동인천 1.2 87.5 중구
161 인천
(차이나타운)
  1.9 89.4

경부고속선

노선 역 번호 역명 경부선
A급행
경부선
B급행
환승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경부선 P144 금천구청 1.2 68.0 서울특별시 금천구
경부고속선 K410 광명







KTX · KTX-산천 4.7 72.7 경기도 광명시

병점기지선

노선 역 번호 역명 경부선
A급행
경부선
B급행
환승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병점기지선 P157 병점
(한신대)
4.3 99.4 경기도 화성시
P157-1 서동탄







2.2 101.6 오산시

승차량 변동

구간 일평균 승차 인원[41][42]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범주구별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운행 구간 전체 1,337,281 23880 1,413,232 24794 1,489,151 26125 1,565,101 26527
경부선 전체 399594 18163 424088 19277 460975 20953 511863 21328
서울~구로 229909 25546 232971 25886 245567 27285 265765 29530
가리봉~병점 169684 13053 191116 14701 215407 16570 246098 16407
경인선 전체 405554 21345 455532 22777 497287 24864 518878 25944
역곡~송내(부천) 142018 28404 166613 33323 188518 37704 198334 39667
부개~인천(인천) 201671 20167 220033 20003 234739 21340 239577 21780
서울지하철 구간 322367 35819 317212 35246 311045 34561 303390 33710
경원선 전체 209764 13984 216399 14427 219844 14656 230969 15398
회기~도봉산 146491 13317 146048 13277 146819 13347 157509 14319
망월사~의정부북부 63273 15818 70350 17588 73024 18256 73460 18365
구간 일평균 승차 인원[41][42]
2004년 2005년 2006년
범주구별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운행 구간 전체 1,302,052 21701 1,352,811 19606 1,353,485 16919
경부선 전체 394968 16457 458766 13493 478040 12920
서울~구로 200447 22272 212375 23597 217908 24212
가산디지털단지[43]~병점 153269 10218 203942 13596 210932 14062
세마~천안 미개통 미개통 42448 4245 48587 4049
경인선 전체 388702 19435 378282 18914 375091 18755
역곡~송내(부천) 154838 30968 151566 30313 150696 30139
부개~인천(인천) 173636 15785 168453 15314 167282 15208
서울메트로[43] 구간 315547 35061 318562 35396 307286 30729
경원선 전체 202834 13522 197195 13146 193066 8394
회기~도봉산 138331 12576 135054 12278 129909 11810
망월사~가능[44] 64502 16126 62141 15535 62626 15657
녹양~소요산 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20173 2522

주석

  1. 청량리 ~ 신창 간 123.8 km와 소요산 ~ 인천 간 88 km이다.
  2. 종착역은 용산역성북역이며 창동역 출발 열차도 존재하였으나 창동역 종착 열차는 없었다.
  3. 의정부역 구내 임시역의 형태로 현재는 가능역이라는 공식 역사로 전환된 상태이다.
  4. 종착역은 청량리역(지하)(최대)과 안산역이였고 이후 구로안산노량진으로 변경되었다.
  5. 수원역 - 병점역 간 2개 역이 영업 개시된다.
  6. 병점역 - 천안역 간 8개 역이 영업 개시된다.
  7. 경원선을 참고한다.
  8. 의정부역 - 소요산역 간 8개 역이 영업 개시된다.
  9. 종착역은 용산역광명역이다.
  10. 기존의 용산역 종착에서 영등포역 종착으로 변경되었고 동시에 편성량 량수도 10량에서 4량으로 조정되었다.
  11. 천안 - 신창 간 6개 역이 영업 개시된다.
  12. 우선 복선전제 단선전철으로 건설을 하고 개통 이후에는 복선전철으로 전환되며 초성리역은 북쪽으로 이전하고 한탄강역은 폐지한다.
  13. VVVF저항제어를 합쳐도 겨우 16개 편성에 불과한다.
  14. 1000호대5000호대(현 31100호대)를 합쳐 폐차 포함 약 170여 개 편성을 운행한다.
  15. 서울메트로 운영 관리구간(도시철도 운영노선현황, 도시철도 운영주체별 운행횟수, 운영주체별 운행현황, 서울메트로,코레일,도시철도공사) 1234이용정보 / 서울메트로 [출처] 서울메트로 운영 관리구간(도시철도 운영노선현황, 도시철도 운영주체별 운행횟수, 운영주체별 운행현황, 서울메트로,코레일,도시철도공사)|작성자 서메]
  16. 서울메트로 소속 막차 1편성은 서동탄 - 청량리(평일)·지하서울역(주말)을 운행한다. 군자차량사업소에 입고하는 전동차에 한해 서동탄 - 동묘앞을 운행한다.
  17. 단, 주말 상행은 운행하지 않음
  18. 용산 - 가산디지털단지간 전역정차한다.
  19. 광운대 - 인천간 전역정차하며 운행 초기에는 가능 - 인천간 전역정차한 이력이 있다. 또 소요산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도 있지만, 소요산행은 없다.
  20. 용산 - 구로간 전역정차한다.
  21. 용산 - 가산디지털단지간 전역정차한다.2015년7월1일부터 잠정으로 운행 중단되었지만 2015년 9월1일부터 다시 운행하고 있다.
  22. 용산 - 구로간 전역정차한다.
  23. “(경인선 전철) 구로~부평 다니기 편해진다”. 동아일보. 1999년 1월 21일. 
  24. 동인천~용산까지 41분만에 'OK' 《이데일리》 2010년 8월 26일
  25. “20일부터 하루3회 서울역~수원 직통전철운행”. 동아일보. 1982년 10월 14일. 
  26. 2006년 12월 15일 개통 당시에는 동두천역에서 가능역까지는 급행으로, 가능역부터 인천역까지 완행으로 운행하였고, 출·퇴근 시간대에 운행하다가 시각표 개정 이후에는 광운대역으로 연장되었고 가능역을 통과하게 되었으며 출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 되었다.
  27. “수도권 출퇴근 시간 전철 증편, 병점~영등포 급행 신설”. 동아닷컴. 2014년 8월 22일. 
  28. 한국철도공사, 코레일, 경인선 인천행 야간 급행전동열차 막차 신설, 2010년 10월 29일 작성.
  29. 정부 '천안∼청주공항 전철'검토 《충북일보》 2008년 2월 11일
  30. 천안-청주공항 전철 생산유발효과 3조6500억원 《미디어다음》 2008년 12월 21일
  31. 천안역-경부선-오송선-충북선계통을 연결해서 광역전철화하는 방안이다.
  32. 수도권 전철 천안∼청주공항 연결 ‘청신호’
  33. 충청권 2010년 SOC예산 반토막 《충청투데이》
  34. 연기,천안 ~ 청주공항간 수도권전철 연결 확정 《공감언론 뉴시스》2011년 10월 31일
  35. 충북 북청주역 신설 확정, 《충청매일》 2012년 6월 26일 작성.
  36.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1호선 연결 아닌 일반기차 《CC Daily News》
  37. 단선으로 하지만 장래 복선설치를 위한 용지를 확보한다.
  38. 경원선 소요산~연천구간 단선전철로 가닥《조선일보》2009년 9월 17일 / 경원선 소요산-연천 단선 전철화
  39.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648호
  40.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592호
  41. 정보공개 공개자료실, 코레일
  42. 수송통계, 서울메트로
  43. 2005년 명칭 변경.
  44. 2006년 명칭 변경.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