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삼척시

(삼척시청에서 넘어옴)

삼척시
三陟市
시기
행정
행정 구역2읍 6면 4행정동 27법정동
청사 소재지중앙로 296 (교동 592)
시장박상수(국민의힘)
국회의원이철규(국민의힘,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지리
면적1,185.86 km2
상징
시목느티나무
시화철쭉
시조갈매기
지역 부호
웹사이트http://www.samcheok.go.kr/
삼척은 태백산맥 또는 백두대간의 인근 도시로 강원특별자치도의 남동부에 위치하고 있다

삼척시(三陟市, 영어: Samcheok-si)는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최남단에 있는 이다. 서쪽으로는 태백산맥이 위치하여 1,000m 이상의 고위평탄면을 이루고, 동쪽으로 급경사를 이루어 해안평야를 형성한다. 북쪽에는 동해시 남쪽에는 경상북도 울진군과 맞닿아 있고, 서쪽으로는 태백시와 맞닿아 있다. 면적은 1,185.86 km2이고 해안선은 58.4 km이다. 시청 소재지는 교동이고, 행정구역은 2읍 6면 4동이다. 시를 상징하는 나무는 느티나무, 새는 갈매기, 꽃은 철쭉이다. 삼척시는 인구 밀도한국자치시 중에서 가장 낮은 시이다.

역사

[편집]
6행정동 - 남양동, 월계동, 교동, 정라동, 사직동, 도원동

지리

[편집]

삼척시 동단은 원덕읍 월천리(동경129°21′58″), 서단은 하장면 공전리(동경128°57′01″)로 동서간 거리는 45.75 km이며, 남단은 가곡면 풍곡리(북위37°02′10″), 북단은 교동 증산(북위37°28′26″)로 남북간 거리는 48.6 km이다.

삼척해수욕장

지세

[편집]

해안선까지 산지가 임박해 있으며 평야는 넓은 충적원인 북평평야가 있다. 지질은 평안계와 조선계·화강편마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잡한 편이다. 태백산맥의 분수령이 되는 청옥산(1,404m)·두타산(1,353m)·덕항산(1,071m)·중봉산(999m) 등의 연봉이 솟아 있다. 주요 산계(山系)는 태백산맥군중 척추산맥을 이루고 있는 두타산(1,352.77m)-덕항산(1070.7m)을 잇는 산계, 안항산(356)-삿갓봉(751.3m)-두리봉(1,072.3m)-육백산(1,253m)을 잇는 중앙산맥과 사금산을 연결하는 해안산맥 등 3개의 산계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는 삼척시 Archived 2022년 8월 18일 - 웨이백 머신의 지체구조 및 지질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이 중 중앙산맥의 고봉과 산릉에 따라서는 조선 누층군의 장산규암층 및 묘봉셰일층이 분포되어 있으며 차별 침식에 의한 지형적 특색을 나타낸다.[5]

태백산맥이 동쪽으로 급격히 내려오면서 동해안으로 흘러 들어가고 서쪽으로는 고원 구릉지대를 형성하여 광동댐이 위치하는 등 도처에 동쪽으로 흐르는 많은 하천이 골고루 발달되어 있다. 지형 지세는 험준한 태백산맥과 넓고 긴 해안선, 그리고 많은 항포구를 가지고 있어 깨끗한 백사장과 천혜의 자연경관으로 빼어난 천연 해수욕장, 그리고 수많은 계곡, 명산과 더불어 동굴관광의 고장, 삼척의 아름다움을 더 한층 빛내주고 있다.

삼척시의 주된 수계는 위에서 언급한 3개의 산계 사이에서 그들과 나란하게 대략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오십천마읍천 수계로 구분된다. 태백산에서 발원하여 미인계곡에서 오십천으로 유입되는 이 오십천 상류부는 원래 낙동강지류인 철암천의 상류였으나 하천 쟁탈에 의해 오십천 유역으로 바뀌었다. 오십천과 마읍천은 각각 오십천 단층마읍천 단층을 따라 발달한다.[5]

해발은 4개 동지역과 원덕읍, 근덕면, 노곡면, 미로면, 가곡면, 신기면이 400m 이하로 위치하고 있으나, 도계읍, 하장면 일부 지역은 해발 800m이상 고원지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형적 영향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55개의 석회동굴을 보유하게 됨으로써 2002년도에는 《삼척세계동굴엑스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세계적인 동굴도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6]

해안

[편집]

58.4km의 긴 해안선은 단조롭고 완만하여 간척사업이나 수산양식사업에는 다소 불리하나 해안을 따라 넓게 펼쳐진 송림과 모래사장, 동해의 맑은 청정해수가 많이 분포되어 있다. 전천과 마읍천 하류에는 소규모의 해안 평야가 발달한다. 추암리-오분리, 덕산리-부남리 사이에는 해식애, 파식대, 스택 등의 해안지형이 나타난다. 추암리의 촛대 바위는 스택의 좋은 예시이다. 근덕면 덕산리 부근에는 소규모의 육계사주(陸繫沙洲)가 있으며 그의 선단에 있는 덕봉산(52.1 m)는 작은 육계도이다.[5]

기후

[편집]

태백산맥과 동해안에 입지하여 해양성 기후의 특징인 온난다습하며 고산지대의 영향으로 수직적 기온분포를 인접 산지에서 볼 수 있고, 지리적으로 영동과 내륙지방 간의 기온 차이가 약 30일 간격으로 나타난다. 해양성 기후로 온화하며, 사계절 한류난류가 교류하여 어족 자원이 풍부하다.

과거 12년간 평균기온이 12.5 °C로 영서지방의 다른 지방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다. 최고 기온은 지난 1992년 7월 29일 37.5 °C였으며, 최저 기온은 지난 1990년 1월 26일 -13.5 °C를 기록하였다.

기온분포는 여름인 8월에 평균 24.1 °C, 겨울인 1월에 평균 0.5 °C를 나타내어 여름에는 서늘하고 겨울에는 온난한 기온을 나타내고 있다. 강수량은 연평균 1,284.5mm로 7월~8월의 강수량이 50% 이상 차지하며, 여름에 비가 집중적으로 내린다. 일일 최대 강수량은 지난 2002년 8월 31일 9월1일(2일간) 태풍 루사로 인한 집중호우시 819mm(노곡)를 기록하였다. 북동기류의 영향으로 겨울에 눈이 많이 온다. 때때로 3 ~ 4월에도 눈이 많이 내린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특수한 기후이다.[7]

삼척시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일평균 최고 기온 °C (°F) 5.5
(41.9)
6.9
(44.4)
8.0
(46.4)
14.0
(57.2)
20.9
(69.6)
24.9
(76.8)
28.3
(82.9)
29.3
(84.7)
24.1
(75.4)
19.2
(66.6)
14.0
(57.2)
7.7
(45.9)
12.5
(54.5)
일일 평균 기온 °C (°F) 0.5
(32.9)
2.3
(36.1)
4.4
(39.9)
9.5
(49.1)
16.2
(61.2)
20.4
(68.7)
24.3
(75.7)
25.4
(77.7)
20.0
(68.0)
14.8
(58.6)
9.1
(48.4)
3.3
(37.9)
13.1
(55.6)
일평균 최저 기온 °C (°F) −4.5
(23.9)
−1.8
(28.8)
9.0
(48.2)
5.3
(41.5)
11.9
(53.4)
16.6
(61.9)
21.3
(70.3)
22.5
(72.5)
16.6
(61.9)
11.1
(52.0)
4.2
(39.6)
−1.2
(29.8)
9.3
(48.7)
평균 강수량 mm (인치) 26.1
(1.03)
110.3
(4.34)
138.3
(5.44)
32.8
(1.29)
108.1
(4.26)
18.1
(0.71)
85.4
(3.36)
148.1
(5.83)
291.1
(11.46)
70.3
(2.77)
6.9
(0.27)
13.6
(0.54)
1,049.1
(41.30)
평균 강수일수 (≥ 0.1 mm) 6 16 22 11 13 7 16 24 26 13 2 5 161
평균 상대 습도 (%) 45.0 61.0 69 58 63 68 80 83 82 73 46 40 64.0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8]

지질

[편집]

삼척시는 옥천 습곡대영남 지괴의 동부 경계 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질 구조가 다양하고 복잡하다. 선캄브리아기암석은 주로 동·남부에 분포하며, 고생대의 암석은 서부에 주로 분포한다. 오십천 단층마읍천 단층을 위시한 대부분의 단층도계읍, 신기면, 노곡면과 그 주변에 집중 분포한다.[9][5]

삼척시 남부에 해당하는 원덕읍, 가곡면, 근덕면 지역은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영남 육괴의 북부에 자리잡고 있어 주로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백산변성암복합체(태백산통)가 기반을 이룬다. 삼척시 내에서 태백산통은 편암류(PCEt),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PCEmgn), 화강암질 편마암(PCEggn), 홍제사 화강암 등으로 구성된다.[5] 그 외에 하장면 골지천 북동부 지역에도 선캄브리아기의 지층이 분포한다.[9]

고생대 조선 누층군석회암 카르스트 지형

[편집]

고생대 캄브리아기-오르도비스기에 퇴적된 조선 누층군은 삼척시 서부에 넓게 분포한다. 삼척시에 분포하는 조선 누층군두위봉형 조선 누층군에 속하는 것으로서 장산 규암층부터 막동 석회암층까지가 분포한다. 조선 누층군의 주향과 경사는 대체로 북동 12°및 북서 20°이다. 특히, 조선 누층군 중 풍촌 석회암층(CEp)과 막동 석회암층(Omg) 분포 지역인 동해시 대구동-삼척시 우지동, 원당동-성남동, 미로면 하정리 부근과 노곡면 여삼리 일대에는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여 돌리네, 우발라 등의 특색이 잘 나타난다. 이 밖에 카르스트 현상으로서 관음굴을 비롯한 수많은 석회동굴이 분포한다.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도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 분포 지역에 있다.[9][5]

조선 누층군 층서 대비표
구분 태백산지구조사단 김옥준 등 삼척시 도계읍 지역에 분포하는
풍촌층 석회석의 부존 특성(2002)[10]
중생대 백악기 암맥류 암맥류 암맥류
고생대 석탄기 홍점층군 만항층 (홍점층군) 만항층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정선석회암 막동층 백운암-석회암호층대
막동석회암층 두위봉석회암층 석회암우세대
직운산셰일층
막동석회암층
두무동셰일층 두무동셰일층 두무동층
동점규암층 동점규암층 동점층
고생대 캄브리아기 화절층 화절층 화절층 상부호층대
중부사질대
히부호층대
풍촌층 풍촌층 풍촌층 상부고품위대
하부석회암대
묘봉층 묘봉층 묘봉층
장산규암층 장산규암층 장산규암층


고생대 평안 누층군 (삼척탄전과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

[편집]

고생대 석탄기~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형성된 평안 누층군은 삼척시 남부 도계읍 일대에만 소규모로 분포한다. 소위 삼척탄전으로 불리는 이 지역에서는 평안 누층군 지층에서 석탄의 일종인 무연탄이 산출된다.[9]

도계 광업소

삼척시 석탄산업의 시초인 도계 광업소는 1936년 삼척탄광으로 개광하였다. 1951년에는 대한석탄공사 도계 광업소로 개발하면서 오늘에 이른다. 석탄산업 합리화로 탄광 대다수가 폐광하는 상황 속에서도 도계 광업소는 3개의 갱구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도 석탄 생산을 계속하고 있다. 도계광업소는 1936년 삼척개발주식회사 산하 삼척탄광으로 개광하였다. 1945년의 미 군정청 직할운영을 거쳐 1951년에는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로 오늘까지 이어졌다.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는 삼척시의 핵심 산업으로 자리하면서 삼척시의 발전과 궤를 함께했다. 1987년까지 도계갱, 동덕갱, 흥전갱, 나한정갱, 점리갱 등 5개 갱에서 이뤄지던 도계광업소의 석탄산업화 정책 이후 석탄 생산 규모가 축소한다. 1990년 점리갱 폐쇄, 1994년 흥전갱과 나한갱을 통합하여 중앙갱으로 통합하면서 갱구수가 축소되었다. 도계광업소는 2018년 5월 현재도 도계갱, 중앙갱, 동덕갱 등 3개 갱에서 석탄이 생산된다.

도계광업소에서 생산된 탄의 품질은 열량과 점결성이 높아 연탄제조와 3급의 고질탄으로 발전용에 적합하다. 도계광업소에서 생산한 석탄의 품질은 1990~2000년대 평균 5,000 kcal를 기록했다.[11]

2012년 12월 시점의 생산규모는 연간 302천톤에 이른다. 지표에서 수직으로 368m를 내려간 곳에서 석탄을 생산하며 지하 갱도의 총 연장은 93km에 달한다.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로 225에 있는 도계 광업소는 총 5,281ha의 면적에 16개의 광구를 가지고 있다. 16개 광구 모두 가행 중이다. 광량(鑛量) 현황은 도계가 49백만톤으로 20%를 점하고 석탄공사가 247백만톤으로 100%를 점한다. 가채량은 도계가 31백만톤, 석탄공사가 79백만톤이다. 1984년 이후 꾸준한 생산량 증가를 보이다가 1988년 1,270,120톤으로 최대 생산을 기록했다. 개광 이래 총 생산략은 40,665,287톤이고 석탄공사 창립이래 생산량은 39,561,245톤에 이른다.

고생대 장성층에 해당되는 탄층으로 탄층수는 3~5배가 발달되어 있고 이중 현 가행탄층수는 중층탄 1매로 노두연장 14km, 평균탄폭 2.0m이다. 지형지질 여건상 광구 중앙부를 통과하는 오십천 단층을 경계로 남동부와 북서부로 양분된다. 남동부는 오봉산 스러스트 단층으로 탄층 발달이 분리되어있다. 상부탄층을 묵점, 하부탄층을 도계, 흥심 지구로 구분하며 이들 탄층은 본역 남동단의 죽암산을 저부로 하는 30도 내외의 경사를 가진 향사구조를 이루고 있다. 북서부는 3개 이상의 단층으로 인하여 각각의 단층대를 경계로 나한, 흥전, 하장 지구로 구분되며 이들 각 지구의 탄층 주향은 북동향으로 30도 내외로 북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흥전지구의 북동향 연장부인 점리지구는 과습곡에 의하여 분리되며 남동측으로 경사를 이룬다.[12]

평안 누층군 지질 계통표[13]
지질 시대 지역
삼척탄전 강릉탄전 정선-평창탄전 영월탄전 단양탄전 보은탄전 평남분지 두만분지
중생대 삼첩기
201.3–252.17 Mya
중세 237–247.2 Mya 아니시안 동고층 박지산층 동고층 태자원통
전세 247.2–252.17 Mya 인두안 상원산층
고생대
페름기
252.17–298.9 Mya
로핑기아 252.17–259.8 Mya 고방산통 송상통
과달루페
259.8–272.3 Mya
카피탄 고한층 (언별리층) 옥갑산층 고한층
워디안 도사곡층 망덕산층 도사곡층
로디안
시수랄리아
272.3–298.9 Mya
쿤쿠리안 함백산층 함백산층 함백산층 함백산층 계룡산통
아르틴스키안 장성층 장성층 장성층 미탄층 장성층 장성층 사동통
사크마리안 밤치층 밤치층 밤치층 암기통
아셀리안 입석통
고생대
석탄기
252.17–298.9 Mya
펜실베이니아
298.9–323.2 Mya
모스크바 금천층 금천층 금천층 판교층 금천층 홍점통
만항층 만항층 만항층 요봉층 만항층 만항층
바시키르

중생대에 형성된 지층은 삼척시 도계읍 남부 끝에 소규모로 분포한다.

  • 적각리층(Kj)은 흥전층과 같이 심포리-흥전리 일대에 분포한다. 적색 역암으로 대표되는 본 층은 함백산층과 조선 누층군을 덮고 있으며 유문암에 의해 덮여 있다. 본 층은 적자색(赤紫色) 내지 잡색의 역암, 역질 사암, 사암 그리고 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층의 하부에는 역암이 우세하고 상부에서는 역암이 사암, 이암과 함께 양호한 층리를 이루며 교호(交互)한다. 역암의 역(礫)은 화강암질 편마암, 편암, 석회암, 사암, 규암, 셰일 등 변성암 복합체, 조선 누층군 및 평안 누층군의 각종 암석들로 구성된다. 사암층의 일부에는 사층리가 발달한다.[9][5]
    • 도계읍 심포리의 미인폭포통리협곡 지역의 암석은 적각리층으로 역암과 사암, 셰일의 호층으로 구성된다. 통리 협곡은 한국판 그랜드캐니언으로 불린다.
  • 흥전층(Kh)은 경상계에 속하며 심포리-흥전리 일대에 분포한다. 응회암류와 응회질 쇄설암류로 구성되며 응회질 쇄설암류에는 담녹회색, 녹회색, 회록색의 역암/역질 사암, 사암, 실트암, 이암들이 있다. 드물게 암회색, 갈회색의 실트암, 이암도 관찰된다. 이들은 대체로 상향세립성의 평범한 층리를 이루며 역질사암과 사암의 단위층에는 점이 층리가 발달한다.[9][5]
  • 유문암(Kav)은 산성화산암류이며 도계읍 심포리와 구사리, 흥전리의 일부 지역에 소규모로 분포하고 있다. 적각리층과 흥전층 및 화강암질 편마암을 덮고 있다.[9][5]
  • 화강반암(Kgp)은 도계읍 상덕리 경동탄광 동쪽에 함백산층을 암주상으로 소규모로 관입하고 있다.[9][5]
  • 우백질 화강암(lgr)은 근덕면 남동부 매원리, 용화리, 장호리, 원덕읍 갈남리 일대에 분포하며 지질도 상에서는 시대 미상의 암석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동해안을 따라 분포하는 화강암질 암석의 연대를 추정하면 중생대 쥐라기 혹은 백악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갈남리 갈남항 앞에는 우백질 화강암으로 구성된 월미도가 있다. 원덕읍 갈남리의 신남해수욕장에서는 우백질 화강암의 노두가 관찰된다.

단층

[편집]

삼척시는 태백시, 정선군과 같이 단층의 밀도가 매우 높은 곳이다. 가장 대표적인 오십천 단층마읍천 단층을 위시하여 조선 누층군과 평안 누층군 분포지역에 많은 수의 소규모 단층이 발달되어 있다. 지질도 상에서 보여지는 이들 단층의 주향은 오십천 단층이 지나는 도계읍 지역에서 대략 남-북 방향, 노곡면-근덕면-조비동 경계 지역에서 북동 방향을 보이고 있다. 삼척-고사리 지질도폭에 따르면 조선 누층군은 선캄브리아기 태백산변성암복합체 위에 부정합적으로 놓여 있으나 부분적으로는 단층으로 접하기도 한다. 어떤 지역에서는 단층의 양면에서 파쇄대(破碎帶)가 발달하면서 반화강암이 관입하기도 한다. 조선 누층군은 특히 노곡면 하군천리에서는 동-서 내지 북서 80°의 주향을 갖는 수직 단층에 의해 잘리며, 지질도 확인 결과 북서 주향의 단층에 의해 조선 누층군 장산규암층, 묘봉층, 풍촌석회암층 등이 잘렸고 묘봉층이 선캄브리아기의 태백산변성암복합체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PCEmgn)과 단층 접촉하고 있다.[9][5]

오십천 단층한반도 옥천 습곡대 내 강원도 태백시 통리에서 도계읍을 지나 삼척시까지의 오십천 계곡을 따라 발달하는 연장 45km, 북북동 주향의 단층이다. 오십천 단층은 ESR 연대측정결과 32만 년 전부터 17만 년 전에 이르기까지 최소 2회 이상 단층이 재활성화 된 것으로 분석되어, 활성단층이다.[14][15][16][17]

마읍천 단층은 삼척시 가곡면 복두산에서 시작해 마읍천을 따라 북상하다가, 삼척시 근덕면 상맹방리에서 동해 바다로 이어지는 남-북 주향, 연장 25km의 단층이다. 한울원자력발전소에서 25~35km 정도 떨어져 있다.[18][19]


행정 구역

[편집]

강원특별자치도 남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삼척시의 면적은 1,185.86 km2이고, 인구는 2020년 6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33,557세대, 66,497명이다.[20] 삼척시는 태백탄전과 동해공업 지역의 연계교역지로 지하자원, 수산자원, 관광자원이 모두 풍부하다. 태백시동해시 일부가 삼척시에 속해 있던 1979년 12월 31일 인구가 30만 명에 이르기도 하였다.

행정구역 한자 면적 인구 세대 행정 지도
도계읍 道溪邑 164.73 10,188 6,021
원덕읍 遠德邑 175.94 3,356 2,080
근덕면 近德面 133.41 5,236 3,146
하장면 下長面 205.68 1,346 727
노곡면 盧谷面 144.67 716 438
미로면 未老面 99.44 1,879 1,022
가곡면 柯谷面 152.39 700 426
신기면 新基面 56.33 679 405
남양동 南陽洞 18.18 7,793 4,034
교동 校洞 9.52 14,712 5,991
성내동 城內洞 22.69 8,236 3,789
정라동 汀羅洞 2.96 9,184 4,466
삼척시 三陟市 1185.94 66,497 33,557

인구

[편집]

삼척시(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21] / 태백시와 동해시가 분리되면서 인구가 많이 감소하였다.

연도 총인구  
1966년 250,049명
1970년 276,946명
1975년 294,239명
1980년 251,387명
1985년 132,887명
1990년 110,492명
1995년 83,791명
2000년 75,592명
2005년 67,957명
2010년 67,131명
2018년 69,115명
2020년 65,243명

산업

[편집]

농업

[편집]

해안과 하천 유역 평야에 주로 농경지가 분포되어 있으며, 쌀·보리·콩·감자가 많이 난다. 경지 면적 10,734.5ha 중 논 2,253.8ha, 밭 8,480.7ha로서 밭이 압도적으로 많고, 농가 가구 12,081가구이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콩·감자·누에고치·꿀 등이다.

광업

[편집]

각종의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나 그 중 무연탄·철·석회석이 많이 나서 이 지방을 남한 굴지의 기간산업의 중심지로 만들어 놓았다. 무연탄은 평안계에 부존되어 있으며, 삼척탄전은 남부 태백산 지역의 매장량(13억 4,000만t)의 33% 이상(4억t)을 차지하고 있다. 장성·도계·황지를 중심한 대 탄전으로 괴탄(塊炭)으로 산출되며 열량 7,000cal로서 탄질도 극히 우수하다. 여기서 나는 석탄은 종래 묵호항을 거쳐 해상 수송을 했으나 영동선과 태백선이 개통된 후로는 주로 육운에 의존하며 또 삼척 화력발전소에 연료로 공급되고 있다. 장성·도계·황지 등은 탄광취락이다. 석회석은 삼척·영월·단양 일대에 60여 억t 넘게 매장되어 있다.삼척시와 동해시는 시멘트 공업이 발달하였다.

임·수산업

[편집]

임야면적 10만 7,431ha 중 입목지는 97%인 10만 846ha에 해당한다. 비교적 육림(育林)이 잘 되어 있으며, 임산물은 목재가 도계읍·원덕읍, 갱목은 도계읍·하장읍, 굴참나무 수피(樹皮)는 하장면·도계읍이 중심이고, 재배 산삼인 장뇌가 노곡면 여삼리에서 재배되며 버섯류의 생산량도 많다. 수산업 가구수는 741, 수산업 인구는 2,276명(2001)이다. 삼척·호산·임원·장호 등의 어항이 수산업 중심지이다. 어선은 634척인데 그 중 602척이 동력선이고 32척이 무동력선이며 5t 이상의 어선은 99척밖에 되지 않아 영세어업 내지 반농반어(半農半漁)의 경영형태가 대부분이다. 어획물은 명태·꽁치·오징어·미역 등이다.

특산물

[편집]

장뇌·왕마늘·토종꿀·고포미역·삼베·삼척불술·가시오가피 등이 유명하다.

교통

[편집]

철도

[편집]

동해시에서 삼척선영동선에서 분기되어 삼척역으로 향하지만 무궁화호열차의 정기 운행은 없으며 바다열차강릉역에서 삼척역까지 운행한다. 강릉-영주간 영동선 철도가 태백시에서 도계읍을 지나 동해시로 향한다. 역은 삼척역, 삼척해변역, 도계역, 신기역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삼척-포항간 철도가 건설중이므로 완공될 시에는 삼척시 철도교통이 향상될 것이다. 동해선이 2019 균형발전프로젝트 발표에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 사업으로 선정되어 철도의 길이 열였다. 영덕~삼천간 철도가 2022년에 개통할 예정이다.

영동선 동백산역도계역신기역동해역
삼척선

(바다열차 / 관광용)

동해역추암역삼척해변역삼척역
동해선

고속도로

[편집]

동해고속도로가 있으며. 근덕 나들목 ~ 동해 나들목 구간이 2016년 9월 9일에 개통되었고. 추후 평택제천고속도로가 연장되면 이곳이 중착 지역이 될 예정이다.

65
고속국도 제65호선
근덕 나들목삼척 나들목동해 나들목

국도

[편집]
7
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
35
국도 제35호선
백두대간로
38
국도 제38호선
강원남부로
28
지방도 제28호선
오두재로, 두타로
416
지방도 제416호선
문의재로, 가곡천로
424
지방도 제424호선
강원남부로, 미근로
427
지방도 제427호선
문의재로

버스

[편집]

삼척시에는 시외버스, 고속버스, 시내버스가 운행된다.

삼척종합버스터미널 고속 버스 운행 (남양동)
삼척종합버스터미널 시외 버스 운행 (남양동) 도계버스터미널 시외 버스 운행 (도계읍 전두리)
임원종합버스터미널 시외 버스 운행 (원덕읍 임원리) 호산시외버스터미널 시외 버스 운행 (원덕읍 호산리)

문화·관광

[편집]

초당동굴연어·잉어장, 환선굴, 대금굴, 대이리의 너와집·통방아·굴피집 등이 있다. 그 밖에 삼척해수욕장, 후진·맹방·근덕해수욕장이 유명하다. 최근엔 삼척해양레일바이크가 인기를 끌고 있다.

문화재

[편집]
  • 죽서루: 관동팔경의 제일루(第一樓)
  • 공양왕릉: 강원도 기념물 제71호. 삼척은 고려왕조의 마지막 임금인 공양왕(제34대, 재위기간 1389~1392)의 능묘이다. 공양왕은 왕조의 몰락과 함께 폐위되어 왕자 석(奭), 우(瑀)와 함께 원주와 간성을 거쳐 삼척에서 조선조 태조 3년(1394)에 교살되었다고 전한다.현재 우리나라에는 공양왕릉이 두 군데 있는데 삼척의 궁촌리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행정동은 원신동)에 남아 있다. 경기도에 있는 공양왕릉은 문헌에 기록되어 있으나 삼척의 공양왕릉은 민간에 오랫동안 구전되어 왔다. 현재 강원도 기념물로 지정된 공양왕릉은 가장 규모가 크고 그 옆은 왕자, 나머지는 시녀 또는 왕이 타던 말무덤이라고 전한다.
  • 준경묘: 강원도 기념물 제43호. 조선 태조의 5대조이며 목조의 아버지인 양무장군의 묘이다. 고종 광무 3년(1899)에 묘소를 수축하고 제각과 비각을 건축하였다. 이 일대는 울창한 송림으로 되어 있어 원시림의 경관을 구경할 수 있는 산자수려한 곳이다. 이 곳의 낙락장송인 황장목들은 경복궁 중수 때 자재로 쓰였다고 한다. 목조가 한 도승의 예언대로 백우금관으로 양친을 안장한 뒤, 5대에 이르러 조선을 창업하게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이곳에서 4km 떨어진 곳에 목조의 어머니 이씨의 묘인 영경묘(강원도 기념물 제43호)가 있다.
  • 죽서루: 보물 제213호. 창건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려 때 학자인 이승휴가 고려 원종 7년(1266) 서루에 올라 시를 남겼다는 기록으로 보아 그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누 동쪽 죽림에 죽장사가 있어 죽서루라 이름하였다 하고, 또한 누 동쪽에 명기 죽죽선녀의 집이 있어 죽서루라 하였다고 한다. 그 후 조선 태종 3년(1403) 삼척부사 김효손이 중창한 이래 10여 차례의 중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이 누의 남쪽에는 별관인 연근당이 있었다 한다. 오십천 층암절벽 위에 세운 이 누는 자연암반을 초석으로 삼고 암반 높이에 맞춰 길고 짧은 기둥을 세운 5량 구조의 팔작집으로 공포에서는 익공계수법과 다포계수법이 혼용되었다. 천장의 구조로 보아 맞배집이었을 가능성도 있어 조선 후기까지 여러 번의 수리로 많은 변형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미인폭포: 높이 50m로 도계읍 심포리에 소재한 폭포이다. 심포폭포라고도 한다. 삼척시의 오봉산백병산이 만나는 곳에 위치해 있다.

척주동해비

축제

[편집]

주요 명소

[편집]

주요 명소로는 해신당공원(영어판)이 대표적으로 유명하다.

교육

[편집]

대학교

[편집]

고등학교

[편집]

문화재

[편집]
  • 국가지정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목록

지정명 번호 등록명 위치
보물 213호 삼척 죽서루 성내동
사적 421호 삼척 두타산 이승휴 유허 미로면
524호 삼척 준경묘·영경묘 미로면
명승 28호 삼척 죽서루와 오십천 성내동
천연기념물 94호 삼척의 회화나무 (지정해제) 성내리
95호 삼척 도계리 긴잎느티나무 도계읍
178호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신기면
226호 삼척 초당굴 근덕면
272호 삼척 갈전리 당숲 하장면
363호 삼척 궁촌리 음나무 근덕면
중요민속자료 33호 삼척 신리소재 너와집 및 민속유물 도계읍
33-1   물레방아 도계읍
33-2   통방아 도계읍
33-3   채독 도계읍
33-4   나무통 (김치통) 도계읍
33-5   화티 (화투) 도계읍
33-6   살티 (살피) 도계읍
33-7   도계읍
33-8   코클 도계읍
33-9   주루막 도계읍
33-10   너와집 도계읍
221호 삼척 대이리 너와집 신기면
222호 삼척 대이리 통방아 신기면
223호 삼척 대이리 굴피집 신기면
  • 시도지정문화재
  • 등록문화재

출신 인물

[편집]

역대 시장

[편집]

자매 도시

[편집]
지역 & 국가 도시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인천광역시 연수구
경기도 구리시
성남시
이천시
경상북도 울릉군
일본의 기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
홋카이도 아카비라시
후쿠오카현 간다정
중국의 기 중국 지린성 왕칭현
산둥성 둥잉시
헤이룽장성 지시시
러시아의 기 러시아 쿤구르시
사할린주 코르사코프시
미국의 기 미국 리스버그시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 마레바샤이어시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1938년 9월 27일)
  2.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년 12월 28일)
  3.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4. 시조례 제270호
  5. 원종관, 박병권, 이상현 (1994년). “삼척-고사리도폭 지질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 삼척시의 지세 Archived 2017년 9월 9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4월 19일 확인
  7. 삼척시의 기후 Archived 2017년 9월 9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4월 19일 확인
  8. “평년값자료(30년) 삼척(105)”. 강원지방기상청. 2011년 4월 30일에 확인함. 
  9.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0. “삼척시 도계읍 지역에 분포하는 풍촌층 석회석의 부존 특성”.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2년. 
  11. “삼척시의 산업 태동 도계광업소”. 지역N문화. 
  12. “광산역사 - 강원도 삼척시 도계광업소 91년의 역사”. 한국광해관리공단. 
  13. “한반도 남부의 상부 고생대 평안누층군의 층서와 대비”. 대한지질학회. 2017년 4월. 
  14.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0년. 
  15. “오십천 단층대의 단계적 단층 발달 특성”. 대한지질학회. 2000년 10월. 
  16. “삼척 오십천 단층의 제4기 활동성 연구”. 고려대학교. 2012년 1월. 
  17.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우수향주향이동단층운동은 신생대 제3기 동안에 삼척지역에 신생대 제3기 퇴적분지를 형성한 이후, 신생대 제4기까지 간헐적으로 계속되면서, 삼척지역의 신생대 제3기 퇴적분지를 절단하였다. ESR 연대측정결과 오십천단층대의 단층비지의 형성시기 범위가 16만년-32만년으로 오십천 단층은 활성단층이다. 
  18.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0년. 
  19.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년. 
  20. 인구현황 - 삼척시청
  21.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