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 2차 세계대전에서 넘어옴)

제2차 세계 대전
Infobox collage for WWII.PNG
왼쪽 제일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우한 전투 기간의 중국군  · 제1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 배치된 호주군의 오드넌스 QF 25파운더 속사포  · 1943년 12월 동부 전선에서 작전 중인 독일군의 융커스 Ju 87 슈투카  · 링가옌만에서 작전 중인 미 해군  · 독일의 항복문서에 서명하는 빌헬름 카이텔  ·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의 소련군
날짜1939년 9월 1일 ~ 1945년 9월 2일[a] (6년 1일)
장소
결과

연합국의 승리

참전국
연합국 추축국
지휘관
연합국의 지휘관 목록 추축국의 지휘관 목록
피해 규모

군인 사망
1,600만 명 이상
민간인 사망
4,500만 명 이상
총 6,100만 명 이상 사망

그 외 자료...

군인 사망
800만 명 이상
민간인 사망
400만 명 이상
총 1,200만 명 이상 사망

그 외 자료...

제2차 세계 대전(영어: World War II, WWII, WW2)은 1939년 9월 1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일어났던 세계 대전이다. 당시 강대국 전부와 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전쟁에 개입해 연합국추축국이라는 적대적인 두 군사동맹이 생겨났다. 제2차 세계 대전은 30개국 이상에서 1억명이 넘는 군인이 직접 참전한 총력전이다. 세계 대전 참전국은 총체적인 경제적, 산업적, 과학적 역량을 전부 전쟁 수행에 쏟아 부어 민간 자원과 군사 자원의 경계가 모호해졌다. 항공기도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아 항공기를 통해 인구 밀집지대의 전략폭격이 수행되었고 유일하게 실전 사용된 핵무기 2발도 배치하고 투하하는 데 항공기가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은 인류 역사상 사망자가 가장 많은 전쟁으로 전쟁으로 총 7천만명에서 8,500만명이 사망했으며 이 중 대부분이 민간인이었다. 또한 수천만명이 홀로코스트를 포함한 제노사이드, 기아, 학살, 질병 등으로 사망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추축국이 패배해 독일일본이 연합국에게 점령당했으며 전쟁범죄를 일으킨 독일일본의 주요 지도자에 대한 재판이 열렸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꼽히고 논쟁도 많지만, 대표적으로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스페인 내전, 중일전쟁, 소련-일본 국경 분쟁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파시즘 대두와 긴장 고조가 꼽힌다. 제2차 세계 대전의 개전일은 통상 아돌프 히틀러나치 독일폴란드 침공을 개시한 1939년 9월 1일로 본다. 뒤이어 영국프랑스가 9월 3일 독일에게 선전포고했다. 1939년 8월 맺어졌던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에 따라 독일과 소련폴란드를 분할하고 핀란드,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루마니아세력권을 분할하는데 합의했다. 1939년 말부터 1941년 초까지 독일은 여러 군사작전조약을 통해 유럽 대륙 대부분을 정복하거나 지배하고 파시스트 이탈리아, 일본 제국 등과 동맹을 맺고 추축국을 수립했다. 북아프리카동아프리카 전역이 시작되고 1940년 중순에는 프랑스가 항복하면서 전쟁은 유럽의 추축국과 대영제국 사이 발칸반도, 영국 본토대공습, 대서양 해전으로 이어졌다. 1941년 6월 22일에는 독일을 주축으로 한 유럽 추축국이 소련을 침공하기 시작해 역사상 가장 거대한 전구독소전쟁이 발발했다.

한편 아시아와 태평양을 전부 지배하러는 일본 제국은 1937년부터 중화민국전쟁을 치르기 시작했다. 1941년 12월에는 일본이 진주만의 미국 함대를 공격하고 동남아시아와 중앙태평양에 대한 전면적인 공세로 미국과 영국을 공격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미국이 일본에 선전포고한다. 유럽의 추축국도 곧 연대하여 미국에게 선전포고한다. 일본은 곧 서태평양의 대부분을 장악했지만 1942년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이 패배하며 진격이 멈췄다. 뒤이어 독일과 이탈리아는 북아프리카와 소련의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패배했다. 1943년에는 독일의 동부 전선 패배,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이탈리아 본토 침공, 연합군의 태평양 공세 등 추축국이 주도권을 쥐고 있던 모든 전선에서 전략적 후퇴를 강요하며 연합국과 처지가 뒤바뀐다. 1944년에는 서방 연합국이 독일이 점령한 프랑스 본토에 상륙하고, 소련은 수 차례 공세를 통해 영토를 되찾고 독일과 추축국을 향해 진격했다. 1944년과 1945년에는 일본이 아시아 본토에서도 역전당해 밀리기 시작하고 연합군이 일본 제국 해군을 무력화하고 서태평양의 주요 섬을 탈환했다.

유럽에서의 전쟁은 독일이 점령한 유럽이 해방되고 서쪽으로는 서구 연합군이, 동쪽으로는 소련군이 독일 본토를 침공해 소련군이 베를린을 함락시키고 아돌프 히틀러가 사망하며 독일이 무조건 항복1945년 5월 8일 끝났다. 뒤이어 1945년 7월 26일 포츠담 선언에도 일본이 항복하지 않자 미국은 8월 6일에 히로시마시에, 8월 9일에는 나가사키시처음으로 핵폭탄을 실전에 사용했다. 일본 본토 침공이 임박한 가운데 추가 원자폭탄 투하 가능성이 재기되고 동시에 만주 전략공세작전 전날 소련이 대일전에 참전할 것을 선포하자 일본은 8월 10일 항복 의사를 밝히고 1945년 9월 2일 항복문서에 정식으로 서명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은 전 세계의 정치 조직과 사회 구조를 뒤바꿨다. 국제 협력을 촉진하고 미래에 일어날 분쟁을 막기 위해 유엔이 설립되었으며[1] 승전국인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중국 5개 강대국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상임이사국에 올랐다. 미국과 소련은 서로 경쟁하는 초강대국으로 부상하면서 반세기동안 이어질 냉전의 단초가 되었다. 또한 전쟁으로 유럽이 황폐화되자 강대국의 영향력이 약해졌고 아시아아프리카의 탈식민지화가 촉발되었다. 전쟁으로 산업 피해를 입은 대부분의 국가는 종전 이후 경기 회복과 호황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미래의 전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시작된, 특히 유럽을 중심으로 발생한 정치적, 경제적 통합은 전쟁 전의 적의를 줄이고 공통의 정체성을 만들어냈다.

개전일과 종전일[편집]

제2차 세계 대전은 1939년 9월 1일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유럽 전구가 발발하였고[2][3] 이틀 뒤인 9월 3일에는 영국과 프랑스가 독일에게 선전포고했다. 태평양 전구의 발발 시기는 1939년 7월 7일 중일전쟁이 발발한 시기나[4][5] 1931년 9월 19일 일본의 만주 침공이 시작된 날짜로 계산한다.[6][7] 그 외의 관점으로는 영국의 역사학자 A. J. P. 테일러로 테일러는 중일전쟁과 유럽 및 그 식민지의 전쟁은 별도로 발발한 것이며 두 전쟁이 1941년에야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하나의 전쟁이 되었다고 주장한다.[8] 그 외에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이 발발한 1935년 10월 3일의 제2차 세계 대전의 시작으로 보기도 한다.[9] 영국의 역사학자 앤서니 비버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시작을 일본 제국소련-몽골 동맹국 사이 일어난 전투인 1939년 5-9월의 할힌골 전투로 보기도 한다.[10] 스페인 내전을 제2차 세계 대전의 시작이나 서막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11][12]

정확한 종전 날짜도 명확하게 합의되진 않았다. 일본이 휴전을 받아들인 1945년 8월 15일[b]로 받아들여지지만, 실제로 일본이 공식적으로 항복한 날짜는 1945년 9월 2일로 이 때 공식적으로 아시아 지역의 전쟁이 종전되었다. 일본과 연합국 간의 평화 조약인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은 1951년 체결되었다.[14] 독일관련 최종해결에 관한 조약은 1990년 체결되었으며 이 조약이 맺어지고 나서 동독과 서독이 재통일하고 2차 세계 대전 이후 발생한 대부분의 문제들이 해결되었다.[15] 일본과 소련 사이에는 공식적인 평화 조약이 체결되지 않았지만,[16] 1956년 일소공동선언으로 양 국간의 전쟁 상태가 종결되었고 양국 간 외교 관계도 완전히 회복되었다.[17]

배경[편집]

유럽[편집]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1930년 국제 연맹 총회.

제1차 세계 대전은 유럽의 지정학적 지도를 근본에서부터 뒤바꿔놓았다.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 왕국으로 이뤄진 동맹국이 패배해 사라지고 1917년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러시아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소련이 수립되었다. 한편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루마니아, 그리스와 같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승전한 연합국은 영토를 늘렸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만 제국,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면서 새로운 국민 국가들이 등장했다.

미래에 있을 또 다른 세계 대전을 막기 위해 1919년 파리 강화회담 기간에 국제 연맹이 수립되었다. 국제 연맹의 목표는 집단안전보장, 육해군 군축, 평화적인 협상과 중재를 통한 국제 분쟁 해결로 무력 분쟁을 막는 일이었다.[18]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강력한 평화주의적 정서가 퍼졌음에도 불구하고[19] 동시기 유럽 여러 국가에서 민족통일주의보복주의내셔널리즘이 대두되었다. 이런 정서는 베르사유 조약으로 독일에게 부과된 상당한 영토, 식민지, 재정적 손실이 다가오며 독일에 두드러지게 발생했다.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독일은 자국 본토 영토의 13%와 모든 식민지를 상실했으며 독일과 타국과의 합병도 금지되었으며 배상금이 부과되었고 독일군의 규모와 전쟁능력도 상당한 제한을 받았다.[20]

1918년에서 1919년 사이 독일 11월 혁명으로 독일 제국이 해체하고 민주정부인 바이마르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전간기 기간 새 공화국의 지지층과 이를 반대하는 우익좌익 강경 반대파가 지속적으로 충돌했다. 한편 이탈리아는 협상국의 일원으로 전후 영토가 늘어났다. 하지만 이탈리아 민족주의자들은 영국과 프랑스가 이탈리아가 참전하는 대신 보장했던 여러 약속이 평화 협상에서 전혀 이행되지 않은 것에 분노했다. 1922년부터 1925년까지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이탈리아 파시즘 운동은 내셔널리즘, 전체주의, 계급협조론적 의제를 가지고 대의민주정을 폐지하고 사회주의, 좌파, 자유주의 세력을 탄압하며 이탈리아를 세계 강대국으로 만들고 "신로마 제국"을 세우겠다는 공격적인 확장주의적 외교정책을 추구하며 이탈리아의 정권을 장악했다.[21]

아돌프 히틀러는 1923년 독일 정부 전복 시도는 실패하였으나 결국 1933년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과 라이히스탁(의회)가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하면서 독일 권력을 장악했다. 히틀러는 급진적이고 인종주의적 배경을 가진 세계 질서의 전환을 부르짖으면서 민주주의를 폐기하고 대규모 재무장에 들어갔다.[22] 한편 프랑스는 동맹국을 잡아두기 위해 에티오피아를 이탈리아가 전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협정을 맺었고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를 식민지로 두길 원했다. 1935년 초에는 자르 분지 지역이 합법적으로 독일과 병합되고 히틀러가 베르사유 조약의 폐기를 선언하며 재무장 계획을 가속화하고 징병제를 도입하면서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다.[23]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는 1935년 4월 군사 세계화의 중요한 단계를 밟고 있는 독일을 막기 위해 스트레사 전선을 결성했다. 하지만 같은 해 6월 영국이 독일과 독자적인 해군 협정을 맺어 독일의 제한을 완화시켜 버렸다. 동유럽의 광범위한 지역을 장악하러는 독일을 우려한 소련은 프랑스에게 접근해 상호 원조 조약의 초안을 작성했다. 하지만 조약 발효 직전 프랑스-소련 상호 원조 조약을 국제 연맹의 관료제 체계를 거치도록 요구하면서 본질적인 조약 약속 자체가 무력화되었다.[24] 유럽과 아시아에서 일어나는 여러 사건을 우려한 미국은 같은 해 8월 중립법을 제정했다.[25]

1936년 3월 히틀러는 라인란트에 독일군은 진주시켜 베르사유 조약과 로카르노 조약을 무력화시켰다.[26] 1936년 10월에는 독일과 이탈리아가 로마-베를린 추축국을 결성했다. 한달 후 독일과 일본이 방공 협정에 서명했고 다음 해에는 이탈리아도 방공 협정에 서명했다.[27]

아시아[편집]

중국국민당은 1920년대 중순 다른 군벌들을 상대로 북벌 운동을 전개해 명목상으로는 중국을 통일했으나 뒤이어 중국공산당 계열 동맹과 새로운 지역 군벌을 상대로 또 다른 내전이 벌어졌다.[28] 1931년에는 점점 군국주의적으로 변하는 일본 제국아시아 전 지역을 통치할 권리를 가지기 위한 첫발판으로 오랫 동안 영향력을 행사하던 중국[29]을 향해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 침공을 벌이고서 괴뢰국만주국을 수립했다.[30]

중국은 국제 연맹에다가 일본의 만주 침공을 막아달라고 호소했다. 일본은 만주 침공으로 국제적인 비난을 받자 국제 연맹을 탈퇴했다. 이후 중일 양국은 상하이, 러허 지방, 허베이에서 여러 차례 전투를 벌이다 1933년 탕구 협정으로 휴전을 맺었다. 이후에도 중국 의용군이 만주차하르, 쑤이위안에서 일본 제국의 침공에 저항했다.[31] 1936년에는 시안 사건이 일어나자 국민당과 공산당이 일본에 대항하기 위한 연합 전선인 국공 합작 설립에 합의하면서 휴전 협정이 맺어졌다.[32]

전쟁 전 사건[편집]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공 (1935년)[편집]

1935년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당시 베니토 무솔리니가 군을 사열하는 모습.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은 1935년 10월부터 1936년 5월까지 일어난 짧은 식민전쟁이다. 전쟁은 이탈리아령 소말리아에리트레아에 주둔한 이탈리아 왕국군이 에티오피아 제국(당시에는 아비시니아아로 불림)을 침공하면서 시작되었다.[33]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은 1936년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 전역을 점령하고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Africa Orientale Italiana, AOI)라는 식민지로 병합해버리면서 끝났다. 또한 전쟁으로 국제 연맹의 평화 유지력이 취약함이 드러났다. 이탈리아와 에티오피아 양국 모두 국제 연맹 회원국이었지만 이탈리아가 국제연맹 언약 제10조를 위반한 사실이 확실함에도 국제연맹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34] 영국과 프랑스는 이탈리아의 침공에 대한 제재를 지지했지만 제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으며 이탈리아의 침공도 막지 못했다.[35] 전후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 연방국을 병합하러는 독일의 움직임을 막으러는 입장을 철회하고 오스트리아 병합 시도를 묵인했다.[36]

스페인 내전 (1936-1939년)[편집]

스페인 내전이 한창이던 1937년 일어난 게르니카 폭격 사건으로 유럽 전역에서 다음에 일어날 전쟁은 도심 폭겨으로 민간인 사망자가 매우 많아질 것이라는 공포가 일어났다.

스페인에서 내전이 발발하자 히틀러와 무솔리니는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이 이끄는 국민파를 지원했다. 이탈리아는 독일보다도 스페인 국민파에게 더 큰 지원을 보냈는데, 무솔리니는 스페인에 7만명 이상의 지상군과 6천명 가량의 항공 병력, 720기의 항공기를 보냈다.[37] 소련은 내전에서 정부군인 스페인 제2공화국을 지원했다. 국제여단으로도 알려진 외국인 자원병 3만명 가량도 국민파에 맞서 스페인에서 전투를 치렀다. 독일과 소련 양국 모두 스페인 내전을 자국에서 막 개발된 무기와 전술을 시험하는 일종의 대리전 전장으로 사용했다. 1939년 4월 스페인 내전에서 국민파가 승리했고 프랑코 장군은 추축국에게 호의적이긴 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공식적으로는 중립을 유지했다.[38] 스페인이 독일과 이룬 가장 큰 협력은 동부 전선에 대규모 의용사단인 청색사단을 파병한 일이다.[39]

중일전쟁 (1937-1945년)[편집]

1937년 상하이 전투 당시 중국 국민당군의 기관총좌.

1937년 7월 일본군은 루거우차오 사건을 일으키고 베이징(당시 이름 베이핑)을 점령하면서 일본의 중국 전면 침공전쟁인 중일전쟁이 발발했다.[40] 소련은 재빨리 군수 지원을 하기 위해 중소상호불가침조약을 체결했으며 이전까지 이루어지던 중독합작은 사실상 끝나버렸다. 9월에서 11월 사이 일본군은 타이위안 지역 작전을 수행하며 신커우 근방국민혁명군[41] 핑싱관 근방중국공산당과 교전했다.[42][43] 대원수 장제스상하이 방어전을 위해 독일제 무기로 장비한 정예사단을 파견했으나 3개월간의 전투 끝에 중국군은 상하이에서 패배했다. 일본군은 중국군을 계속 밀어붙이면서 1937년 12월에는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을 함락시켰다. 난징이 함락된 후 수만에서 수십만에 달하는 중국 민간인과 무장해제된 중국군들이 일본군에게 학살당했다.[44][45]

1938년 3월에는 국민혁명군이 타이얼좡에서 처음으로 일본군에게 대승을 거뒀지만 5월에는 타이얼좡과 근방의 쉬저우시일본군에게 함락되었다.[46] 1938년 6월에는 중국군이 황하를 범람시켜 일본군의 진격을 저지하러 시도했고 이를 통해 우한시에서 중국군이 방어선을 갖출 시간을 벌어주긴 했지만, 결국 1938년 10월 우한도 함락된다.[47] 일본군은 계속해서 진격했긴 했지만, 일본의 바람대로 중국의 저항은 완전히 분쇄되지 않았으며 오히러 중화민국은 내륙인 충칭시로 수도를 이전하고 끝까지 일본에게 저항하겠다고 천명했다.[48][49]

소련-일본 국경분쟁[편집]

1938년 하산호 전투 당시 소련 붉은 군대 포병대의 모습.

1930년대 중후반 만주국의 일본군은 소련, 몽골과 산발적인 국경 분쟁을 겪었다. 당시 일본 제국의 북방 지역 진출을 강조한 북진론은 일본 제국 육군의 지지를 받고 있었다. 하지만 1939년 소련군과 벌인 할힌골 전투에서 일본이 패배하고 중일전쟁은 끝나지 않고 계속되었으며,[50] 동맹국인 나치 독일이 소련과의 중립정책으로 선회하면서 북진론이 실현되기 매우 어려워졌다. 1941년 4월 일본과 소련은 중립 조약을 체결했으며 일본은 해군이 지지하는 남방 지역 진출을 강조한 남진론을 받아들여 미국과 서방 연합국과의 전쟁으로 이어졌다.[51][52]

유럽 각국의 점령과 조약[편집]

1938년 9월 29일 뮌헨 협정에 서명하기 직전 유럽 각국의 지도자가 모인 사진. 왼쪽부터 네빌 체임벌린, 에두아르 달라디에, 아돌프 히틀러, 베니토 무솔리니, 갈레아초 치아노다.

유럽에서는 독일과 이탈리아가 점점 공격적인 정책으로 변하기 시작했다. 1938년 3월 독일은 오스트리아를 병합했고 다른 유럽 강대국은 역시 별 다른 반응이 없었다.[53] 이에 자극받은 히틀러는 체코슬로바키아 내에서 독일인이 다수 거주하던 주데텐란트 지역이 독일 품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영국의 총리 네빌 체임벌린의 유화정책 기조를 따라 뮌헨 협정에서 체코슬로바키아 정부의 뜻과는 정반대로 주데텐란트 지역을 독일에게 할양하도록 양보했고 대신 독일에게 더 이상의 영토를 요구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54] 하지만 뒤이어 독일과 이탈리아는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를 상대로 헝가리에게 추가로 영토를 할양하라고 압박했고 폴란드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자올지에 지역을 합병했다.[55]

독일이 요구한 모든 사항을 협정을 통해 얻어냈지만, 히틀러는 개인적으로는 영국의 간섭으로 한 번의 군사작전을 통해 체코슬로바키아 전역을 점령하지 못한 데 대해 분노했다. 이후 히틀러는 영국과 유대인 '전쟁광'을 공격하는 연설을 발표했고 1939년 1월 비밀리에 영국 해군의 패권에 도전하기 위한 독일 해군의 대대적인 증강계획을 명령했다. 1939년 3월에는 독일이 체코슬로바키아의 잔존영토를 침공하여 독일령인 뵈멘-메렌 보호령과 독일의 종속국슬로바키아 공화국으로 분할점령했다.[56] 1939년 3월 20일에는 히틀러가 리투아니아에게 최후 통첩을 전달하여 독일령 메멜란트라고도 불렀던 리투아니아의 클라이페다 지역을 병합했다.[57]

1939년 8월 23일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체결 당시 독일 외무장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오른쪽)와 소련의 지도자 이오시프 스탈린(왼쪽)이 만나 악수를 하는 모습.

히틀러가 단치히 자유시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하자 영국과 프랑스는 폴란드의 독립을 보장했다. 1939년 4월 이탈리아가 알바니아를 침공하고 점령하자 이 독립 보장은 루마니아 왕국그리스 왕국으로 확대되었다.[58] 폴란드가 프랑스영국과 군사 동맹 협정을 체결하자 직후 독일과 이탈리아는 강철 조약이라는 이름의 동맹 조약을 맺었다.[59] 히틀러는 영국과 폴란드가 독일을 '포위'하고 있다고 비난했고, 1935년 체결된 영국-독일 해군 협정과 1934년 체결된 독일-폴란드 불가침 조약의 무효화를 선언했다.[60]

8월 말에는 독일군이 폴란드 국경을 향해 계속해서 이동하면서 상황이 전반적인 위기로 치달았다. 8월 23일에는 영국, 프랑스, 소련과의 삼자 군사 동맹 협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멈춰버리자[61] 소련이 독일과 불가침 초약을 체결했다.[62] 불가침 조약에서는 서부 폴란드와 리투아니아는 독일 영역으로, 동부 폴란드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베사라비아는 소련 영역으로 하는 독소 양국의 '영향권'에 대해 논의한 비밀 조항이 있었으며 폴란드의 독립 지속성에 대한 의문도 나왔다.[63] 불가침 조약을 통해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할 때 소련의 반항이나 저지 기회가 사라졌으며 독일은 제1차 세계 대전 시기처럼 양면전쟁에 직면하지 않으리라 확신했다. 직후 히틀러는 8월 26일 폴란드에 대한 공격을 명령했지만 영국이 폴란드와 공식적인 상호원조조약을 체결하고 이탈리아는 전쟁에서 중립을 유지할 것이라는 소식을 듣자 공격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64]

전쟁을 피하기 위해 영국이 직접 협상을 요청하자 독일은 폴란드를 향해 요구했고 이는 관계 악화의 빌미만을 주었다.[65] 8월 29일 히틀러는 단치히 반환에 대해 협상하기 위해 폴란드의 특명전권대사에게 베를린으로 즉시 출석할 것을 요구했고 또한 폴란드 회랑에 거주하는 독일 소수민족에게 분리독립에 대한 주민투표를 열 권리를 허용해달라고 요구했다.[65] 폴란드는 독일의 요구에 응하지 않았으며 8월 30일에서 31일 사이 밤에 리벤트로프는 독일 주재 영국 대사인 네빌 헨더슨과의 회담에서 독일의 요구가 전면 거부당한 상태로 간주하겠다고 선언했다.[66]

전쟁의 경과[편집]

유럽의 전쟁 발발 (1939-1940년)[편집]

1939년 9월 1일, 독일 국방군 병사가 독일-폴란드 국경의 폴란드 측 국경초소를 허무는 모습.

1939년 9월 1일 독일은 침공의 빌미를 만들기 위한 몇 가지 위장술책적인 국경 소요 사건을 일으키는 작전을 일으키고 나서 폴란드를 침공했다.[67] 독일군은 베스테르플라테 주둔 폴란드군을 공격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첫 전투가 시작되었다.[68] 독일의 군사 행동에 영국은 즉시 군사작전을 중단하라는 최후 통첩을 전달했고, 9월 3일 최후 통첩의 응답 기한이 지나자 영국과 프랑스가 각각 독일에게 선전포고했으며[c]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자치령, 남아프리카 연방, 캐나다도 뒤따라 독일에게 선전포고했다. 하지만 가짜 전쟁 기간 연합국은 프랑스의 자를란트를 향한 신중한 공세 외에는 폴란드에게 직접적인 군사 지원을 하지 않았다.[69] 또한 서방 연합국은 독일의 경제와 전쟁능력에 타격을 주기 위해 독일 해역의 해상봉쇄를 시작했다.[70] 독일은 연합국 상선과 군함을 상대로 잠수함전을 명령했고 이는 대서양 전투로 확대되었다.[71]

1939년 폴란드 침공 당시 영토 방어를 위해 행진하는 폴란드군 병사들의 모습.

9월 8일 독일군은 바르샤바 교외에 도달했다. 서쪽에서 폴란드군의 반격으로 독일군의 진격이 며칠 동안 중단되었지만 독일 국방군은 폴란드군을 측면으로 포위했다. 폴란드군 잔당은 바르샤바 방어를 위해 독일군의 포위망을 돌파했다. 1939년 9월 17일에는 할힌골 전투 이후 일본과 휴전을 체결한 지 이틀밖에 되지 않은 시점에 소련군이 폴란드를 침공하기 시작했다.[72] 표면상으로는 소련이 폴란드라는 국가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를 대고 침공했다.[73] 9월 27일에는 바르샤바 주둔군이 독일군에게 항복했으며 10월 6일에는 폴란드의 마지막 대규모 작전집단항복했다. 군사적으로 폴란드는 패배했지만 정부는 항복하진 않았으며 폴란드 망명정부을 결성하고 점령당한 폴란드 영토에는 폴란드 지하국가라는 비밀저항조직이 결성되었다.[74] 잔존 폴란드군 상당수는 루마니아와 라트비아로 도피했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나중에 추축국과의 교전에 참여했다.[75]

독일은 폴란드 서부를 합병하고 중부 지역을 점령했으며, 소련은 폴란드 동부 지역을 합병했다. 그 외에도 리투아니아슬로바키아가 폴란드 영토 극히 일부를 병합했다. 10월 6일 히틀러는 영국과 프랑스에게 평화를 제안했지만 폴란드의 운명은 독일과 소련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의 제안을 거절했고[66] 히틀러는 즉각 프랑스를 향한 공격을 명령했으나[76] 악천후와 기타 여러 이유로 1940년 봄까지 서부 전선 작전이 연기되었다.[77][78][79]

1940년 2월 겨울 전쟁 기간 소련의 붉은 군대 진지를 겨냥한 핀란드군의 기관총좌 모습.

폴란드에서 전쟁이 발발한 이후 스탈린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정부에게 군사 침공으로 위협했고 발트 3국을 상대로 국가 내에 소련군 주둔 기지 건설을 명시한 조약 서명을 강요했다. 1939년 10월에는 소련군 정예병들이 발트 3국 각국 내로 이동했다.[80][81][82] 핀란드도 비슷한 조약을 서명하라는 압박을 받았으나 조약 서명을 거부했고 소련의 영토 일부 할양 요구도 거절했다. 결국 소련은 1939년 11월 핀란드를 침공했고[83] 소련은 국제 연맹에서 추방되었다.[84] 소련은 핀란드와 대비해 압도적인 수적 우위를 가지고 있었지만 겨울 전쟁 기간 소련군의 진격은 미미했으며[85] 소련과 핀란드 사이의 전쟁은 1940년 3월 모스크바 평화 조약에서 핀란드가 영토 일부를 할양하며 끝났다.[86]

1940년 6월 소련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3개 국가를 완전 점령했으며[81] 그와 거의 비슷하게 루마니아의 베사라비아, 북부코비나, 헤르차 지역도 점령했다. 1940년 8월에는 제2차 빈 중재를 통해 히틀러가 루마니아의 북트란실바니아 지역을 헝가리에게 할양했다.[87] 1940년 9월에는 독일과 이탈리아의 지원을 받은 불가리아가 루마니아의 남도르부자 지역을 요구했고, 크라이오바 조약을 통해 실제로 할양받는다.[88] 1939년에만 루마니아가 자국 영토의 1/3 가까이를 잃으면서 국왕 카롤 2세에 대항한 쿠데타가 일어나 이온 안토네스쿠 원수 휘하의 파시스트 독재정이 되어 독일의 안전보장을 바라며 확고한 친 추축국 방향으로 전환했다.[89] 한편 독일과 소련간 관계 회복과 경제 협력[90][91]이 점차 약화되면서[92][93] 양국은 전쟁 준비를 서서히 시작했다.[94]

서유럽 전선 (1940-1941년)[편집]

1940년 5월 10일에서 6월 4일까지 독일군은 마지노선(진한 빨강)을 우회해 벨기에와 북프랑스 지역으로 진격해 연합군을 포위했다.

1940년 4월, 독일은 연합군이 차단하러 시도한 스웨덴에서 수입하는 철광석 선적을 보호하기 위해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침공했다.[95] 덴마크는 전쟁 발발 수 시간만에 항복했고 노르웨이 또한 연합국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2달 정도 버티다가 항복했다.[96] 노르웨이 전역 상황이 연합국에게 불리하게 돌아가면서 영국 내 여론이 악화되어 1940년 5월 10일 네빌 체임벌린이 총리직에서 사임했고 차기 총리로 윈스턴 처칠이 자리에 올랐다.[97]

위와 같은 날에 독일은 프랑스를 향한 공세를 시작했다. 독불 국경의 요새선인 마지노선을 우회하기 위해 독일은 중립국이었던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를 침공했다.[98] 독일군은 아르덴 지역에서 측면 기동전을 펼쳤는데[99] 당시 연합국은 아르덴 지역을 장갑차가 돌파할 수 없는 자연 방벽인 환경이라고 오판했다.[100][101] 새로운 전술인 전격전에 성공한 독일 국방군은 해협을 향해 빠르게 진격하여 벨기에의 연합군을 포위하고 인근의 벨기에-프랑스 국경지대에 연합군 대부분을 가둬놓았다. 영국군은 6월 초까지 됭케르크 철수 작전으로 대부분의 병력을 철수시키는 데는 성공했으나 과정에서 모든 군사 장비들이 버려졌다.[102]

6월 10일에는 이탈리아가 프랑스와 영국에 선전포고하며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작전이 시작되었다.[103] 독일군은 약화된 프랑스군을 향해 남쪽으로 진격하기 시작했고 6월 14일에는 파리가 함락되었다. 8일 후인 6월 22일에는 프랑스가 독일과 휴전 협정을 맺었다. 휴전 협정으로 독일이탈리아가 프랑스 영토 일부를 점령했고[104] 점령되지 않은 잔존지역에서는 비시 프랑스가 수립되었는데 비시 정권은 공식적으로는 중립국을 표방했으나 실제로는 친독 추축국에 가까웠다. 프랑스는 휴전 이후에도 거대한 해군을 보존하고 있었으나 7월 3일 영국군이 독일군의 프랑스 함대 노획을 막기 위해 메르스엘케비르의 프랑스 함대를 타격해 붕괴시켰다.[105]

1940년 12월 29일 영국 대공습 이후 세인트폴 대성당에서 바라본 런던의 모습.

7월 초에는 루프트바페선박과 항구를 공격하기 시작하며[106] 영국 본토 항공전이 시작되었다.[107] 영국은 히틀러의 평화 제의를 거부했고[108] 8월부터는 독일 공군의 항공 우세 장악 작전이 시작되었지만 영국 왕립공군 전투기사령부를 격파하는데 실패하여 독일군의 영국 본토 침공 계획은 무기한 연기되었다. 독일군의 전략폭격 공세 작전은 런던과 기타 도시에 대한 야간공습작전인 영국 대공습(블리츠)로 강화되었으나 영국의 전쟁노력을 꺾는 데는 실패하고[106] 독일군의 전략폭격도 1941년 5월에 대부분 끝났다.[109]

새로 얻은 프랑스의 항구를 이용하여 독일 해군은 유보트를 이용해 대서양 해양에서 영국 함선을 공격하며 지나치게 늘어진 영국 왕립해군을 상대로 승전을 거두며 제1차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110] 영국의 본토함대는 1941년 5월 27일 전함 비스마르크를 격침시키며 중요한 승리를 거두었다.[111]

1939년 11월 미국은 중국과 서방 연합국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었고, 미 중립법을 개정해 연합국에게 캐시앤캐리라는 일종의 무기 판매 제도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112] 1940년에는 독일이 파리를 점령하자 미국 해군의 규모가 매우 크게 늘어났다. 9월에는 미국과 영국이 구축함과 해군기지를 교환하는 협정에 합의했다.[113] 이럼에도 미국 대중의 대다수는 1941년까지 전쟁에 직접적으로 군사적 개입을 취하는 데에 계속해서 반대했다.[114] 1940년 12월 루즈벨트는 히틀러가 세계정복을 계획하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어떠한 협상도 의미가 없으며, 미국은 스스로 "민주주의의 병기창"이 되겠다고 선언하고 영국의 전쟁 노력을 지원하기 위한 무기 대여 계획인 무기대여법을 홍보했다.[108] 미국은 독일의 전면적인 공세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계획을 수립하기 시작했다.[115]

1940년 9월 말에는 삼국 동맹 조약을 맺었던 독일, 이탈리아, 일본 3국이 추축국이라는 이름으로 하나의 세력으로 통합되었다. 삼국 동맹 조약에서는 소련을 제외하고 어떤 국가라도 추축국을 공격할 경우 세 국가가 자동으로 참전한다는 조항이 끼어 있었다.[116] 1940년 11월에는 헝가리, 슬로바키아, 루마니아가 추축국에 가입하며 확대되었다.[117] 루마니아헝가리는 나중에 소련과의 전쟁에서 추축국 내에서도 여러 기여를 했으며, 특히 루마니아는 소련이 병합한 영토 일부를 스스로 되찾기도 했다.[118]

지중해 전역 (1940-1941년)[편집]

1941년 북아프리카 전역투브루크 공방전 현장에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제9사단 소속 영국 연방군 소속 병사.

1940년 6월 초에는 이탈리아 공군이 영국의 보호령인 영국령 몰타를 포위하고 공격하기 시작했다. 늦여름부터 초가을까지 이탈리아는 영국령 소말릴란드를 정복하고 영국령 이집트를 침공했다. 10월에는 이탈리아가 그리스를 침공했지만 이탈리아군은 많은 사상자를 내고 격퇴당했다. 몇 달 동안 사소한 영토 변화만 이뤄진 채로 전역이 끝났다.[119] 독일은 영국군이 발칸반도에 거점을 마련하여 루마니아의 유전에 잠재적인 위협을 가하는 일을 막고 영국의 지중해 지배권에 대항하기 위해 이탈리아를 돕고 발칸반도를 침공할 계획을 세웠다.[120]

1940년 12월 대영제국군은 이집트와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이탈리아군을 향한 반격 작전을 시작했다.[121] 공세는 성공적으로 끝나 이탈리아는 1941년 2월 초가 되면 리비아 동부를 잃고 수많은 이탈리아군이 포로가 되었다. 이탈리아 왕국 해군도 잇다라 패배를 겪었는데 영국 해군이 타란토항에서 항공모함 공습을 통해 이탈리아 전함 3척을 격파했고 마타판곶 해전에서도 수 척의 전투함을 격침시켰다.[122]

1941년 4월에서 5월 사이 북아프리카 사막을 가로질러 진격하는 아프리카 군단3호 전차의 모습.

이탈리아군의 패배로 독일은 북아프리카로 원정군을 파견하였으며, 1941년 3월 에르빈 롬멜아프리카 군단공세를 개시하여 영연방군을 격퇴했다.[123] 1달도 되지 않아 추축군은 이집트 서부로 진격하여 투브루크 항구를 포위했다.[124]

1941년 3월 말에는 불가리아유고슬라비아삼국 동맹 조약에 서명했다. 하지만 유고슬라비아는 이틀 후 친영 민족주의자의 쿠데타로 정권이 무너졌다. 독일은 1941년 4월 6일 유고슬라비아그리스를 동시에 침공하기 시작했다. 두 국가는 한달도 되지 않아 독일군에게 항복했다.[125] 5월 말에는 그리스의 크레타섬에 공수부대 침투가 끝나며 독일의 발칸반도 정복이 완료되었다.[126] 추축국은 빠르게 승리를 거두긴 했지만, 얼마 되지 않아 추축국의 유고슬라비아 점령에 대항하는 격렬하고 거대한 파르티잔 전쟁이 발발했고, 유고슬라비아 유격전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지속되었다.[127]

5월에는 중동에서 영연방군이 비시 프랑스가 통치하는 시리아 내 공군기지에서 독일군 항공기의 지원을 받은 이라크의 반영 봉기를 진압했다.[128] 6월에서 7월 사이에는 자유 프랑스군의 지원으로 비시 프랑스가 통치하는 시리아와 레바논을 탈환했다.[129]

추축국의 소련 침공 (1941년)[편집]

1939년부터 1945년까지 2차대전 유럽 전구의 전선 변화 지도. 빨강은 서방 연합국과 소련, 녹색은 1941년 이전 소련, 파랑은 추축국이다.

유럽과 아시아의 정세가 비교적 안정화된 가운데, 독일, 일본, 소련은 새로운 전쟁을 준비했다. 소련은 독일과의 긴장 고조를 경계하고 일본은 동남아시아의 자원이 풍부한 유럽 식민지를 점령해 유럽 전쟁에 이용하러는 계획으로 1941년 4월 일본과 소련 양국은 소련-일본 중립 조약에 서명했다.[130] 이와는 반대로 독일은 소련 국경지대에 병력을 집중하면서 소련 공격 준비를 꾸준히 진행했다.[131]

히틀러는 영국이 종전을 거부한 이유가 미국과 소련이 조만간 독일과의 전쟁에 참전할 것이라는 희망에 근거했다고 판단했다.[132] 1940년 7월 31일 히틀러는 소련을 말살하기로 결정하고 우크라이나, 발트 3국, 벨로루시 정복을 목표로 했다.[133] 하지만 리벤트로프와 같은 독일 고위 관료들은 소련을 삼국 동맹 조약에 초청해 대영제국에게 대항하는 거대한 유라시아 블록체를 만들 기회를 바라보고 있었다.[134] 1940년 11월에는 소련의 추축국 가입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협상 회담이 진행되었다. 소련은 약간의 관심을 보였으나 핀란드, 불가리아, 터키, 일본 지역의 영향권 양보를 요구했고 독일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했다. 1940년 12월 18일 히틀러는 소련 침공을 준비하라는 지시를 보냈다.[135]

추축국이 소련을 침공하는 동안 독일 군인이 공격하는 모습. 1941년 촬영.

1941년 6월 22일, 독일은 이탈리아, 루마니아의 지지를 받아 소련이 독일을 향한 전쟁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비난하며 바르바로사 작전이라는 이름으로 소련을 침공했다. 직후 핀란드와 헝가리아 소련과의 전쟁에 참전했다.[136] 이 기습 공세[137]의 초기 목표는 발트 지방, 모스크바, 우크라이나이며 궁극적인 전략적 목표카스피해에서 백해에 이르는 아르한겔스크-아스트라한 선(A-A선)을 장악해 1941년 전역을 끝내는 것이었다. 히틀러의 목표는 군사강국인 소련을 제거하고 공산주의를 말살하며 구소련 지역의 원주민을 추방[138] 레벤스라움을 수립[139]하고 독일의 나머지 경쟁국을 물리치는데 필요한 전략자원의 접근을 보장하는 방안이었다.[140]

소련의 붉은 군대는 전쟁 이전 전략적인 반격 작전을 계획했으나[141]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독일이 선수를 쳐 소련군 최고사령부전략적 방어를 채택해야만 했다. 여름 내내 추축군은 소련 영토 내로 많이 진격했으며, 인력과 물자 양쪽 모두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혔다. 하지만 8월 중순까지 독일 육군최고사령부는 공세 여력이 고갈되었던 중부 집단군공세를 중단시켰으며 제2기갑군을 쪼개 우크라이나 중부와 레닌그라드로 진격하는 병력에 보강시켰다.[142] 키예프 공세에서 독일군은 소련군 4개 군을 포위하고 제거하는 등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으며 크림반도와 산업단지가 있는 우크라이나 동부를 향한 진격로가 열렸다.[143]

1942년 12월 10일, 레닌그라드 포위전 기간 독일군의 폭격으로 파괴된 집을 떠나는 소련 민간인의 모습.

추축군 육군 병력의 3/4과 공군 대다수가 프랑스와 지중해 전역에서 동부 전선으로 전부 이동하면서[144] 대영제국은 대전략의 전환을 맞게 되었다.[145] 1941년 7월 영국과 소련 정부는 독일에 대항하는 군사 동맹을 맺었고,[146] 8월에는 미국이 전후 세계에 대한 미국과 영국 양국 정부의 목표를 설명하는 대서양 헌장을 발표했다.[147] 8월 말에는 영국과 소련이 페르시아 회랑과 이란의 유전지대를 확보하고 추축국이 이란을 통해 바쿠 유전이나 인도로 향하는 진격로를 확보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중립국인 이란을 침공했다.[148]

10월까지 우크라이나와 발트 지역에서 추축군의 작전 목표는 달성되었으며 레닌그라드의 포위 공격[149]세바스토폴의 포위만 계속 이뤄지고 있었다.[150] 이후 모스크바를 향한 대규모 공세가 재개되었다. 점점 더 혹독해지는 날씨 속에서 두 달간 치열한 전투를 벌인 독일군은 모스크바 거의 외곽 교외 지역까지 도달했지만 완전히 지쳐버린 병력[151]은 더 이상의 공세를 중단했다.[152] 추축군은 거대한 영토를 얻었지만 전역에서 중요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이 시점에서도 소련의 2개 대도시는 여전히 소련이 통제하고 있었고 소련의 저항 능력이 깨지지 않았으며, 군사적인 잠재력 상당부분도 잘 보존된 상태였다. 여기서 유럽의 "전격전" 단계가 종료되었다.[153]

12월 초까지 새로 동원된 예비군[154]을 모은 소련은 추축군에 수적 동등함을 이뤄냈다.[155] 또한 소련의 리하르트 조르게가 보낸 첩보망으로 당시 일본의 관동군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병력을 제외하고 극동의 병력을 모두 차출하여[156] 12월 5일 소련은 전선 전체의 대규모 공세를 펼치면서 독일군을 서쪽으로 100-250 km 밀어내는데 성공했다.[157]

태평양 전쟁 발발 (1941년)[편집]

1931년 일본의 위장술책 작전류탸오후 사건, 1937년 일본의 미국 군함 USS 피나이 포격 사건, 1937-1938년 난징 대학살 사건 등으로 미일관계는 지속적으로 악화되었다. 1939년 미국은 일본과 무역 조약을 더 이상 연장하지 않겠다고 통보했고, 일본의 팽창주의에 반대하는 미국 내 여론으로 미국의 대일 화학 물질, 광물, 군사 부품 수출을 금지하고 일본 정권을 향한 경제적 압력을 강화하는 수출통제법을 통과하며 경제제재로 이어졌다.[108][158][159] 1939년 일본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중국의 도시인 창사에 대한 첫 공격을 시작했지만 9월 말에는 중국군에게 격퇴당했다.[160] 중일 양측은 여러 공세작전을 펼쳤지만 1940년까지 중일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결국 보급로를 차단하여 중국을 향한 압력을 높이고 서구 열강과의 전쟁 시 일본의 입지를 유리하게 만들기 위해 일본은 1940년 9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침공했다.[161]

1941년 12월 8일, 홍콩에 입성하는 일본군의 모습.

중국 국민당은 1940년 초 대규모 반격작전을 시작했다. 8월에는 중국공산당화중 지역 공세를 시작했고 이에 대한 보복으로 일본은 공산당의 인적, 물적 자원을 줄이기 위해 점령 지역에 가혹한 조치를 취했다.[162] 하지만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 지속적인 반감도 생겨나 1941년 1월 신사군 사건이라는 무력충돌 사건을 통해 합작이 사실상 결렬되었다.[163] 1941년 3월에는 일본 제11군이 국민혁명군 제19군 사령부를 공격하기 시작했지만 역시 중국군에게 격퇴당했다.[164] 9월에는 다시 창사를 공격했으나 국민당에게 격퇴당했다.[165]

유럽에서 독일이 승전하자 일본은 동남아시아의 유럽 식민정부에 대한 압력을 높였다. 네덜란드 정부는 일본에게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채취되는 석유를 일부 공급하기로 동의했지만 나머지 자원에 대한 추가 접근권 협상은 1941년 6월 결렬로 끝났다.[166] 1941년 7월 일본은 인도차이나반도 남부로 진격해서 영국 극동 영토와 네덜란드 영토를 위협했다. 미국, 영국과 기타 서방 국가 정부는 이에 대응하여 일본의 자산을 동결하고 석유 금수 조치를 취했다.[167][168] 그와 동시에 일본은 소련 극동 영토 침공을 계획하고 있었으며 서부에서 일어난 독일의 소련 침공을 이용하러 했지만 자원 재제 이후 작전을 포기했다.[169]

1941년 초부터 미일 양국 정부는 긴장된 관계를 해소하고 중국의 전쟁을 종식하기 위한 협상에 들어갔다. 협상에서 일본은 여러 제안을 제시했으나 미국은 일본의 팽창주의가 유지되는 제안이라 보고 이를 일축했다.[170] 동시에 미국, 영국, 네덜란드는 일본의 공격에 대비해 이들 중 어느 한 국가가 침공받을 경우 다같이 참전하는 영토공동방위협정 비밀 논의를 시작했다.[171] 루즈벨트 대통령은 필리핀 자치령(1946년 독립 예정이었음)의 방위를 강화하고 미국 정부는 일본에게 "이웃국가"를 공격할 경우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171]

진주만에 주둔한 미국 태평양 함대 소속 USS 애리조나가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기습공격으로 불타오르는 모습.

협상은 진전이 전혀 없고 미국-영국-네덜란드의 공동제재의 압박을 느낀 일본은 전쟁을 준비했다. 쇼와 천황(히로히토)은 일본의 승리 기회에 대해 동의하고선[172] 일본의 개전을 지지했다.[173] 이 때문에 고노에 후미마로 총리는 대미 개전을 반대하고 사임했으며,[174][175] 히로히토는 히가시쿠니 나루히코를 총리에 임명하자는 권고를 무시하고 도조 히데키 전쟁장관을 총리에 임명했다.[176] 11월 3일, 나구모 주이치 제독은 히로히토에게 진주만 공격 계획을 자세히 설명했다.[177] 11월 5일에는 히로히토가 어전회의에서 대미 전쟁 계획을 승인했다.[178] 11월 20일 일본에 새로 수립된 히데키 내각은 최종 제안으로 잠정안을 제시했다. 여기서 일본은 미국이 중국을 향한 원조를 중단하고 일본을 향해 석유 및 기타 자원에 대한 금수조치를 해제해 달라고 요구했다. 대신 일본은 동남아시아에서 어떤 공격도 하지 않으며 인도차이나 남부에서 군대를 철수하겠다고 제안했다.[170] 11월 26일 미국은 역제안으로 일본이 무조건적으로 중국 전역에서 철수하며 태평양 지역의 모든 열강국과 중립 조약을 체결할 것을 요구했다.[179] 이는 일본이 중국에 대한 모든 야심을 포기하거나, 일본에게 필요한 천연자원이 있는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무력으로 점령하거나 둘 중 하나 양자택일을 선택하게 만들었다.[180][181] 일본 군부는 전자는 선택지로 두지도 않았고 많은 장교들은 석유 금수 조치를 무언의 선전포고라고 여겼다.[182]

일본은 아시아에 있는 유럽 식민지를 점령하여 중앙태평양을 향한 대규모 방어 교두보를 만들 계획을 가졌다. 그 다음 일본은 방어전으로 전환해 과도하게 신장된 연합군을 지치게 만들고 동남아시아의 자원을 자유롭게 이용할 계획을 가졌다.[183][184] 교두보를 확보하는 동안 미국의 간섭을 막기 위해 미국 태평양 함대와 필리핀 주둔 미군을 처음부터 무력화할 계획을 세웠다.[185] 1941년 12월 7일(아시아 시간 기준 12월 8일 새벽) 일본은 동남아시아와 중앙태평양을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공격하며 영국과 미국을 공격하기 시작했다.[186] 여기에는 진주만에 주둔한 미국 함대, 필리핀 주둔 미군 공격과 괌섬, 웨이크섬, 영국령 말레이,[186] 태국, 홍콩 등이 있었다.[187]

일본이 태국을 침공하자 태국은 일본과 동맹을 맺기로 결정했고, 일본이 공격한 다른 국가인 미국, 영국,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및 기타 여러 국가가 공식적으로 일본에게 선전포고했지만 소련은 유럽의 추축국과는 전쟁을 계속하면서 일본과의 중립 협정은 계속 유지했다.[188] 독일과 기타 추축국은 미국에게 선전포고하면서[189] 루즈벨트가 명령한 독일 군함을 향한 미군의 공격을 비난했다.[136][190]

추축국의 둔화 (1942-1943년)[편집]

유럽에서의 추축국의 최대 판도. (1941년-1942년)
1943년 1월 카사블랑카 회담에서 앉아있는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즈벨트와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의 모습.

1942년 1월 1일 소련, 중국, 영국, 미국 4명의 경찰관[191]과 22개의 소국과 망명정부가 대서양 헌장을 받아들이는 연합국 공동 선언을 발표하며[192] 공동 선언에 서명한 국가는 추축국과 어떠한 개별 평화 협상을 체결하지 않기로 결의했다.[193]

1942년 연합국의 관료들은 앞으로 채택할 대전략에 대해 토의했다. 연합국은 전부 독일 패망이 가장 중요한 목표라는 것에 동의했다. 이를 이루기 위한 전략으로 미국은 프랑스를 통해 독일을 향한 대규모의 단일한 공격을 지지했다. 소련도 제2전선의 개전을 요구했다. 반면 영국은 독일군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저항군을 지원하기 위해 독일의 주변 지역을 목표로 군사 작전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독일 자체는 대대적인 전략폭격의 대상이 되었다. 독일을 향한 공격은 대규모 군대를 이용하지 않고 주로 연합군의 기갑세력을 이용해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94] 결국 영국은 1942년 프랑스 상륙은 불가능하며 대신 북아프리카의 추축군을 몰아내는데 집중해야 한다고 미국을 설득했다.[195]

1943년 초 카사블랑카 회담에서 연합국은 1942년 선언에서 발표한 성명을 재확인하고 적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했다. 영국과 미국은 지중해의 보급선을 완전히 확보하기 위해 시칠리아섬을 침공하여 지중해에서의 주도권을 가지고 계속 압박하기로 결정했다.[196] 영국은 터키를 전쟁에 끌어들리기 위해 발칸반도에서의 추가 작전도 요구했지만 1943년 5월 미국은 지중해에서의 연합군 작전은 이탈리아 본토 침공으로 제한하고 1944년에는 영국이 프랑스에 상륙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197]

태평양의 상황 (1942-1943년)[편집]

1942년 중순 일본군의 최대 진격선 지도.

1942년 4월 말까지 일본과 동맹국 태국버마, 말레이, 네덜란드령 동인도, 싱가포르, 라바울을 거의 다 정복하여 연합국에게 큰 손실을 입히고 수많은 포로를 얻어냈다.[198] 필리핀에서는 필리핀군과 미군이 완강하게 저항했지만 1942년 5월 필리핀 자치령이 점령되어 필리핀 정부는 망명했다.[199] 4월 16일 버마에서는 예난차웅 전투 도중 7천명의 영국군이 일본 제33사단에게 포위당했다가 중국군 제38사단에게 구출되었다.[200] 또한 일본군은 남중국해, 자바해, 인도양 해전에서 승리를 거두고[201] 오스트레일리아 다윈연합군 해군기지를 폭격했다. 1942년 1월 연합군이 일본에게 거둔 유일한 승전은 창사에서의 전투 뿐이었다.[202] 준비되지 않았던 유럽과 미국을 향한 쉬운 승리는 일본을 과신하게 만들었고 과도하게 확장되게 만들었다.[203]

1942년 5월 초엔 일본군이 수륙 양용 작전을 통해 포트모르즈비를 점령하여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 간의 통신과 보급선을 끊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침공 계획은 두 척의 미국 항모를 중심으로 한 연합군 테스크포스 함대가 산호해 해전에서 일본 해군과 무승부를 얻어내며 막히게 되었다.[204] 일본은 다음 계획으로 둘리틀 공습으로 자극받아 미드웨이 환초를 점령하고 미군 항공모함을 전투로 유인하여 제거하는 작전을 짰고, 여기에 미국 알래스카주알류샨 열도도 점령하여 군대를 파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205] 5월 중순에는 일본은 중국의 공군 기지를 파괴하고 중국 제23군단과 제32군단과 교전하여 둘리틀 공습에서 살아남은 미 공군을 도운 중국인들에게 보복을 가할 목적으로 저장-장시 전역 작전을 시작했다.[206][207] 6월 초 일본은 작전을 실행에 옮겼으나 5월 말에 일본 해군 암호를 해독한 미군은 일본 해군의 작전과 전투 서열을 완전히 파악하고 있었으며 이 정보를 바탕으로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 제국 해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뒀다.[208]

1942년 과달카날 전역에서의 미국 해병대의 모습.

미드웨이 전투의 영향으로 공격력이 크게 감소한 일본은 뒤늦게 육지를 통해 파푸아 준주로 진격해서 포트모르즈비를 점령하겠다는 작전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209] 미군은 동남아시아의 중심적인 일본군 기지인 라바울을 점령하기 위한 첫 단계로 솔로몬 제도 남부, 주로 과달카날섬에 있는 일본군 진지를 향한 반격작전을 계획했다.[210]

두 계획 모두 7월에 시작했지만 9월 중순이 되자 일본군은 과달카날 전역에 우선순위를 두기로 결정하여 뉴기니의 군대는 포트모르즈비에서 섬 북부로 철수하라는 명령을 받고 부나-고나 전투에서 오스트레일리아군 및 미군과 교전했다.[211] 과달카날섬에 양측은 수많은 병력과 함선을 투입하며 가장 중요한 전장으로 변모했다. 1943년 초 일본군은 섬에서 병력을 철수하며 패배했다.[212] 버마에서는 영연방군이 두 작전을 준비했다. 처음으로 시작된 1942년 아라칸 지역 공세작전은 큰 실패를 겪어 1943년 5월까지 인도로 후퇴했다.[213] 두 번째 작전은 2월에 일본군 전선 후방에 비정규군 병력을 투입한 작전으로 4월 말까지 엇갈린 결과를 낳았다.[214]

동부 전선의 상황 (1942-1943년)[편집]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소련군이 반격하는 모습.

상당한 손실을 입긴 했지만 1942년 초 독일군과 추축군은 러시아 중부와 남부에서 몰려오는 소련군의 주공세를 막아내 전년도에 얻었던 대부분의 영토를 유지하는데 성공했다.[215] 5월에는 독일군이 케르치반도하리코프에서 몰려온 소련군의 공세를 격퇴했고,[216] 1942년 6월 들어서는 코카서스 유전을 장악하고 쿠반 스텝지역을 점령한다는 작전인 청색 작전을 개시하는 한편 중부와 북부 지역은 현 진지를 유지했다. 독일군은 남부집단군돈강 하류로 진격해 동남쪽의 캅카스를 공격하는 A 집단군볼가강으로 향하는 B 집단군 둘로 나눴다. 소련은 볼가강에 있는 스탈린그라드에서 방어하기로 결정했다.[217]

11월 중순까지 독일군은 격렬한 시가전을 치르며 스탈린그라드를 거의 다 점령했다. 소련은 두 번째로 동계 반격작전을 스탈린그라드의 독일군을 포위하는 것으로 시작했고[218] 이후에는 모스크바 인근 르제프고지를 공격했지만 이 작전은 실패했다.[219] 1943년 2월까지 독일군은 매우 큰 규모의 손실을 입었다. 스탈린그라드의 독일군은 패배했고[220] 전선은 하계 공세 이전 독일군의 전선 너머로 밀려났다. 2월 중순에는 소련의 공세가 약해지자 독일군이 또 다른 공격작전을 개시하여 소련군을 밀어내고 소련의 쿠르스크 주변 전선에 돌출부을 만들었다.[221]

서유럽과 대서양, 지중해의 상황 (1942-1943년)[편집]

1943년 10월 9일, 미군 제8공군 소속 보잉 B-17 플라잉 포트리스마린부르크포케불프 공장을 폭격하는 모습.

독일군은 미군 해군사령부의 잘못된 결정을 이용해 미국 대서양 연안의 연합군 선박을 족족 격침했다.[222] 한편 1941년 11월부터 영연방군은 북아프리카에서 반격 작전을 수행하여 독일군과 이탈리아군이 점령했던 영토를 되찾았다.[223] 북아프리카에서 독일군은 1942년 1월부터 공세를 시작했고 2월 초까지 영국군을 가질라 선까지 밀어냈으며,[224] 이후에는 독일군이 다가오는 공세를 준비하느라 일시적으로 전투 소강상태가 이어졌다.[225] 멀리 남아프리카에서는 일본군이 비시 프랑스가 소유한 프랑스령 마다가스카르를 장악해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로 영국군이 1942년 5월 초 마다가스카르를 상륙해 점령했다.[226] 리비아에서는 추축군의 공세로 연합군은 엘 알라메인에서 추축군을 저지할 때까지 이집트 안쪽으로 계속 후퇴했다.[227] 유럽 본토에서는 연합군 코만도가 전략적 목표대상인 디에프를 기습했으나 참패했고[228] 연합국은 훨씬 더 많은 준비와 장비, 작전 보안 없이는 유럽 대륙을 침공할 수 없다는 사실이 보여졌다.[229]

1942년 8월 연합군은 엘 알라메인을 향한 두번째 공세를 격퇴했고[230] 수많은 비용을 들여 포위된 몰타섬에 절실히 필요한 보급품을 보급하는데 성공했다.[231] 몇 달 후 연합국은 이집트에서 공세를 시작하여 추축군을 몰아내고 리비아 내로 서쪽을 향해 진격하기 시작했다.[232] 이와 얼마 지나지 않아서 영미 연합군이 비시 프랑스령 북아프리카에 상륙했고 북아프리카 대부분이 연합국에게 함락되었다.[233] 히틀러는 비시 프랑스 식민지들의 이탈에 대응해 비시 프랑스 영토의 점령을 명령했다.[233] 비시 프랑스 군대는 휴전 위반에도 저항하지 않았지만 독일군의 함대 점령을 막기 위해 톨룽의 프랑스 함대를 자침했다.[233][234] 추축군이 후퇴한 튀니지 지역은 1943년 5월 연합국이 점령했다.[233][235]

1943년 6월 영국과 미국은 독일의 전쟁경제를 혼란에 빠뜨리고 사기를 떨어뜨리며 민간인의 "탈주거화"(Dehousing)를 위해 독일 본토의 대규모 전략폭격 작전을 시작했다.[236] 전략폭격의 첫 대상인 함부르크 폭격에서는 중요 산업 중심지 인프라에 큰 타격을 가했고 수많은 사상자도 발생했다.[237]

연합국의 반격 (1943-1944년)[편집]

연합군의 함부르크 공습에 대한 현대적인 영상.
1943년 7월 1일 쿠르스크 전투에서 소련의 일류신 IL-2가 독일 국방군을 폭격하는 모습.

과달카날 전역에 이어, 연합군은 일본의 태평양에 대한 공세 작전을 시작했다. 1943년 5월, 알래스카의 일본군을 제거하고,[238] 곧 주요 작전으로 카트휠 작전으로 라바울을 고립시키고 길버트와 마셜 전역으로 중앙태평양의 일본군을 제거했다.[239] 1944년 3월 말에는, 연합군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고 추가적으로 우박 작전으로 캐롤라인 제도의 일본 해군을 격침시켰다. 4월에는, 연합군이 서뉴기니 전역으로 뉴기니 전역을 탈환했다.[240]

소련에서는, 독일과 소련 모두 1943년의 대형 공세에 대비해 준비를 하고 있었다. 1943년 7월 4일, 독일군은 쿠르스크 전투를 시작했다. 일주일 내에, 독일군은 소련의 강력한 방어선에 공세를 중지하고[241][242] 히틀러는 전쟁에서 처음으로 작전 수행중에 작전을 취소했다.[243] 이 결정은 7월 9일 허스키 작전에서 이탈리아군의 실패로 인해 무솔리니가 실각하게 되어서였다.[244]

1943년 7월 12일, 소련군은 쿠트조프 작전으로 반격을 시작하며 동부에서의 교착 상태를 해결한다는 희망이 있었다. 쿠르스크의 소련군 승리는 독일의 우세가 끝나고,[245] 동부 전선에서 주도권이 소련으로 넘어간다는 것이었다.[246][247] 독일군은 전선을 안정화하기 위해 급히 판저-워튼 선을 만드나, 2차 스몰렌스크 전투드네프르 저지 작전으로 구멍이 뚫리게 된다.[248]

1943년 9월 초, 서부 연합군의 이탈리아 침공으로 이탈리아와 연합군의 정전 협정이 체결된다.[249] 독일은 이탈리아 지역의 점령과 무장 해제로 대응하고,[250] 그리고 방어선을 구축한다.[251] 그리고, 독일군의 특수부대가 그랑 사소 습격으로 무솔리니를 탈출시키고 독일은 이탈리아에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이라는 괴뢰국을 세워 이탈리아 전역은 내전의 양상을 띠게 된다.[252] 서방 연합군은 9월 중순 동안 겨울 선에 도달할 때까지 전투했다.[253]

대서양에도 독일의 작전이 있었다. 그러나, 1943년 연합군의 반격 조치의 효과가 커지자, 독일 잠수함의 상당한 손실로 인해 독일 해군은 대서양에서의 작전을 중단했다.[254] 1943년 11월, 프랭클린 D. 루즈벨트와 윈스턴 처칠은 장개석카이로에서 만나고,[255] 이오시프 스탈린과 테헤란에서 회담을 가졌다.[256] 전자의 회담는 전후 일본의 영토 분배와,[255] 후자의 회담은 서양 연합군이 1944년에 유럽 대륙에 상륙하고, 독일 항복 3개월 내에 일본에게 선전포고하는 약속이 포함되어 있었다.[256]

1944년 북동부 인도 임팔 전투에서 영국군이 박격포를 사용하는 중.

1943년 11월부터 7주간 진행된 창더 전투에서, 중국군은 연합군의 지원을 기다리는 동안 일본군과 매우 힘든 전투를 할 수 밖에 없었다.[257][258] 1944년 1월, 연합군은 몬테 카시노 전투안치오 상륙 작전으로 이탈리아로의 진군을 시작했다.[259] 1월 말, 소련의 3년간의 레닌그라드 포위전에 소련이 승리함으로써 독일군은 상트페테부르크에서 후퇴하고,[260] 가장 오래된 포위전으로 남았다. 소련의 다음 공세전쟁 전 에스토니아 국경까지 진군하나 독일 북부 집단군에 의해 멈추고, 독일의 에스토니아 점령 기간 동안 에스토니아인들은 소련에게 에스토니아 망명정부와 민족 독립을 요구하나 실패한다. 이 정지는 발트해 지역의 수복이 둔화되게 되었다.[261] 1944년 5월 말, 소련은 크림 공세로 추축국은 우크라이나에서 크게 후퇴하고, 제1차 이아시-키시뇨프 공세로 추축군은 루마니아까지 후퇴한다.[262] 이탈리아의 연합군 공격은 계속 성공하여 독일 사단은 6월 4일에는 로마까지 후퇴했다.[263]

연합군은 아시아 대륙에서 여러 운명을 겪었다. 1944년 3월, 일본은 첫 번째 공세로 유고 작전으로 아삼 지역에 대한 공세를 시작하고,[264] 곧이어 임팔 전투코히마 전투로 영연방군을 포위한다.[265] 1944년 5월, 영국군과 한국 광복군은 반격을 시작하여 일본군을 버마 국경까지 물러나게 하고,[265] 1943년 말에는 중국군이 북부 버마로 침공하여 미치나에서 일본군을 포위한다.[266] 두 번째 반격인 대륙타통작전에서 일본군은 중국군의 주요 병력을 고립시키고 일본군이 점령한 철도의 연합군 비행장을 점령한다.[267] 6월에는, 일본군은 허난성 지방을 점령하고 창사 전투후난성에 대한 반격을 시작한다.[268]

연합국의 진격[편집]

194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의 연합군.
1944년 여름, 북부에서 소련군이 강을 도하하고 있다.

소련의 압력을 받은 3년 후 1944년 6월 6일(흔히 D-Day라고 알려짐),[269] 서방 연합군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으로 북프랑스를 침공한다. 그 후 이탈리아의 연합군 부대는 드라군 작전으로 남프랑스를 침공한다.[270] 상륙 작전은 성공적이었으며, 팔레즈 포위전으로 프랑스의 독일군 대부분은 포위되었다. 8월 25일에는 자유 프랑스군파리를 해방하고[271] 서방 연합군은 라인강의 공세를 시작한다. 그러나 연합군이 북부 독일로 진출하기 위해 네덜란드 공세를 펼쳤던 마켓가든 작전은 실패한다.[272] 그 후, 서방 연합군은 천천히 독일에게 밀리고, 라인 강을 도하를 도모했던 대규모 공세도 실패한다. 또한, 이탈리아의 연합군도 고딕 선에서 독일군의 주요 방어로 인해 진격이 느려졌다.

6월 22일, 소련은 벨라루스 지역에서 독일 중부 집단군에 대한 대규모 공세인 바그라티온 작전을 시작하며 거의 대부분이 파괴되었다.[273] 그 후, 곧 리비우-산도미에시 공세로 서부 우크라이나와 동부 폴란드의 독일군을 몰아냈다. 소련은 곧 바르샤바의 저항 조직인 폴란드 국내군에게 폴란드를 해방하라고 요청하며 곧 바르샤바 봉기가 일어나고 남쪽으로는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가 일어나나, 소련의 도움이 없고 독일군은 곧 진압을 시작한다.[274] 소련군은 제2차 이아시-키시뇨프 공세로 동루마니아의 서부 우크라이나 집단군을 몰아내고 곧 루마니아불가리아의 쿠데타로 인해 연합군으로 돌아서게 된다.[275]

바르샤바 봉기 당시 폴란드 국내군.

1944년 9월, 붉은 군대유고슬라비아로의 공세를 시작하며 독일군은 급히 육군 E집단군육군 F집단군에 대해 그리스,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에서 후퇴하게 된다.[276] 이 시점에, 공산당 주도의 요시프 브로즈 티토 하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타잔은 1941년부터 시작된 유고슬라비아 전선에서 게릴라 전투를 시작하며 유고슬라비아의 많은 영토를 점령하며 독일 남부로 공세를 시작했다. 북부 세르비아의 소련군은, 제한적으로 파르타잔을 지원하며 10월 20일 베오그라드 공세에 성공한다. 몇 일 후, 소련은 독일 점령하의 헝가리에서 부다페스트 공세를 시작하며 1945년 2월에는 부다페스트 포위전에 승리한다.[277] 발칸 반도에서 계속적인 소련의 승리와의 달리, 계속 전쟁에서 비보르크-페트로자포츠크 공세 후 소련군이 카렐리야 지협을 점령하자 소련-핀란드는 모스크바 평화 조약으로 비교적 온화한 조건으로 정전하고,[278][279] 다음으로 핀란드 본토에서 라플란드 전쟁이 발발한다.

7월의 시작에, 동남아시아의 영연방군은 일본의 아삼 포위전이 실패하고 일본군은 친드윈 강까지 후퇴하며,[280] 중국군은 미치나를 점령한다. 중국에서는, 일본군은 큰 성공을 거두며 6월 중순에는 창사를 점령하고 8월 초에는 헝양 방어전에서 일본군이 승리한다.[281] 그 후, 일본군은 광시 지방을 침공하며 11월 말까지 구이린-류저우 전투에 승리하고[282] 12월 중순까지 중국과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연계되며 진격하고 있었다.[283]

태평양에서는, 미군이 일본군의 영토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1944년 6월 중반, 북마리아나-팔라우 제도 공세가 시작되고 일본군은 결정적으로 필리핀 해 해전에 패배한다. 이 패배로 인해 일본 총리인 도조 히데키는 해임되고, 미군은 일본 본토를 폭격하기 위한 공군 기지를 점령하기 시작했다. 10월 말, 미군은 필리핀의 레이테 섬을 침공하고, 그 후 연합군은 레이테 만 해전에서 큰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284]

추축국의 붕괴, 연합국의 승리[편집]

미군과 소련군이 1945년 4월 엘베강 동부에서 만난 모습.

1944년 12월 16일, 독일은 서부 전선에서 서방 연합군을 물리치기 위해 모든 예비 병력을 모아 벌지 전투를 시작하나, 서방 연합군의 주요 보급 항구인 앤트워프 항구를 점령할 수는 없었다.[285] 1월, 공세는 어떠한 전략적 목표로 이루지 못한 채 실패했다.[285] 이탈리아에서는, 독일군과 연합군은 방어선 근처에서 교착 상태를 이루었다. 1945년 1월 중순, 소련군은 폴란드 지방에서 공세를 시작하며 비스툴라-오데르 공세로 독일 본토로 진격하고, 동프로이센 공세동프로이센를 점령했다.[286] 2월 4일, 미국, 영국, 소련의 지도자들은 얄타 회담에서 만났다. 그들은 전후 독일 점령에 동의하고,[287] 소련은 일본에 대한 공격을 시작할 것이라고 약속했다.[288]

2월, 소련은 실레지아 공세동포메라니안 공세를 시작하고, 서방 연합군은 독일 본토로 진격하며 라인강을 점령했다. 3월, 서방 연합군은 라인-루르북부남부를 점령하며 루르 포위전으로 B 집단군을 포위시키며,[289] 소련은 빈 공세를 시작한다. 4월 초, 서방 연합군은 마침내 이탈리아로의 공세가 성공하며 독일 서부로 진격하며, 소련군은 4월 말 베를린 공방전을 시작하며, 4월 25일에는 연합군과 소련군이 엘베 강에서 만났다. 1945년 4월 30일, 히틀러가 지하벙커에서 애인 에바 브라운과 동반자살하였고, 5월 7일 독일 국회의사당을 방어하던 독일군이 항복하며 독일 3제국은 멸망했다.[290]

대통령은 이 기간 동안 몇몇이 바뀌었다. 4월 12일, 미국의 대통령 프랭클린 루즈벨트가 사망하고, 해리 S. 트루먼이 대통령직을 승계받았다. 베니토 무솔리니는 4월 28일에 이탈리아 파르타잔에 의해 처형되었다.[291] 이틀 후, 히틀러는 자살하고, 대제독 칼 되니츠가 총리를 승계받았다.[292]

독일군은 이탈리아에서 4월 29일에 항복했다. 독일의 항복문서5월 7일 랭스에서 서명되었고,[293] 5월 8일(모스크바 시간으로 5월 9일)에 베를린에 비준되었다.[294] 독일 중앙집단군은 5월 11일 프라하 공세까지 저항했다.[295]

태평양 전선에서는, 미군은 1945년 4월 말까지 필리핀에서 필리핀 전투레이테 만 해전에서 승리한다. 1945년 1월 루존 상륙과 3월에는 마닐라 전투가 시작되었다. 전투는 루존에서 계속되었으며, 민다나오 섬을 비롯한 필리핀의 다른 섬들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저항했다.[296]

1945년 5월, 호주군은 보르네오 전투를 시작하며 섬을 점령했다. 영국, 미국, 중국은 북부 버마에서 일본군을 몰아내고, 5월 23일에는 영국군이 양곤을 점령했다.[297] 중국은 1945년 4월 6일부터 6월 7일까지 서후난 전투로 반격을 시작했다. 미군은 일본 본토로의 진격을 시작하여, 3월에는 이오 섬을 점령하고, 6월 말에는 오키나와를 점령했다.[298] 미군의 폭격기는 일본 본토 공습을 시작하고, 미군 잠수함은 봉쇄 조치를 시작했다.[299]

7월 11일에는, 연합군의 지도자가 포츠담 회담을 했다. 그들은 독일에서 이전 회담의 협정을 확인하고,[300] 특히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강조하며 "일본에 대한 대안은 신속하고 완전한 파괴"라고 발표했다.[301] 이 회담 중에 영국은 선거를 시작하고, 클레멘트 애틀리 내각이 시작되었다.[302] 그러나 일본은 포츠담 협정을 무시하였고, 이에 미국은 히로시마나가사키원자 폭탄을 투하했다. 두 폭탄이 터진 사이, 소련군은 얄타 회담의 조건에 따라 만주 전략공세작전으로 만주로 진격하며 관동군만주국을 항복시키고, 만주와 청진 등 한반도 북부를 점령했다.[303][304] 또한, 소련군은 사할린섬쿠릴 열도를 점령했다. 원자 폭탄의 무서운 위력에 놀란 일본은 결국 1945년 8월 15일, 항복하였고 일본의 항복문서는 1945년 9월 2일 미군 전함 USS 미주리 (BB-63)에 서명되어 제2차 세계 대전은 끝이 났다.[293]

종전[편집]

유럽에서의 승리의 날, 영국 수상 윈스턴 처칠이 군중들에게 V자로 승리를 축하하고 있다.
일본 항복 문서 서명 당시 사진.


유럽[편집]

독일은 1945년 5월 8일 베를린 공방전에서 패하고, 히틀러도 자살하자 독일의 2대 총통인 칼 되니츠는 서방 연합군에 5월 7일 항복하며 랭스에서 항복 문서를 작성하고, 소련군에게는 5월 8일 항복한다.

아시아[편집]

소련은 1945년 8월 8일, 일본 제국에 선전포고를 한다. 소련은 현재의 일본 본토에 상륙하지는 않았으나, 만주 전략공세작전으로 일본이 점령하고 있던 만주한반도 북부에서 일본 세력을 축출하였다. 이로 인해 일본의 괴뢰국이었던 만주국은 멸망하고 만다. 또한 과거 러일 전쟁의 패배로 러시아 제국이 일본 제국에 할양하였던 사할린섬 남부와 쿠릴 열도를 탈환하였다. 그리고 1945년 9월에 영국, 미국, 중화민국, 소련 등이 일본 분할 점령을 하려는 계획도 있었으나 8월 15일에 일본이 항복하는 바람에 이 모두 무산되었다.

1945년 9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은 일본의 전권대사였던 외상 시게미쓰 마모루와 미국 측의 맥아더 원수가 요코하마 근해(도쿄 만)에 정박한 미 해군 USS 미주리의 선상에서 무조건 항복 문서에 조인하면서 완전히 끝이 났다.[305]

결과[편집]

미국소련나치 독일일본 제국을 패망시킨 계기로 미국을 중심으로 자유주의소련을 중심으로 공산주의가 발달하는 냉전이 시작되었다. 연합군은 점령한 오스트리아독일에 행정 기구를 설치했다. 오스트리아는 중립국이 되었고, 모든 정치 블록에 속하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도이칠란트의 탈나치화의 일환으로, 뉘른베르크 재판을 통해 나치 정치와 관련된 인사를 제거하나, 이 정책은 사면으로 바뀌면서 구 나치 인사가 재결합하게 된다.[306] 도이칠란트는 동부의 실롱스크, 노이마르크, 포메라니아 거의 대부분을 폴란드에 할양하고, 동프로이센은 소련에게 할양하며 도이칠란트9백만 명 이상의 독일인을 잃고, 또한 체코슬로바키아 수데텐란트의 3백만 명 이상의 독일인을 잃고, 결국 도이칠란트는 전쟁 전의 영토의 4분의 1을 잃었다. 그리고 도이칠란트는 1945년 연합군 4개국에 분할 점령당했는데 미국소련의 정치상 대립으로 인해 동과 서로 나뉘는 비극을 맞이하였다. 영국, 프랑스, 미국이 점령한 쪽에서는 독일 연방 공화국이, 소련이 점령한 쪽에선 독일 민주 공화국으로 탄생했으며,[307] 베를린 위기가 벌어지고 자유를 찾아 동독에서 서독으로 탈출한 사람들이 날로 늘어가는데 1950년대에, 서독의 5분의 1은 동독에서 탈출한 사람들이었다. 그래서 소련베를린 장벽을 쌓고 군사를 감시하게 했다. 그리고 동유럽과 서유럽의 나머지 부분의 세력 범위도 연합군에게 점령당했다.[308] 또한, 대부분의 동부 및 중앙 유럽의 국가들은 소련에게 점령되어 소련 당국의 지원으로 공산주의 정권이 수립되었다. 그 결과, 폴란드, 헝가리,[309] 체코슬로바키아,[310] 루마니아, 불가리아, 알바니아,[311] 독일 민주 공화국은 소련의 위성 국가가 되었다. 공산주의 체제의 유고슬라비아는 소련과는 독립된 정책을 펼쳐 긴장을 유발했다. 이후, 티토-스탈린 결별로 유고슬라비아는 코민테른에서 제명되었다.[312] 또한, 소련은 커즌선 동부의 폴란드인 2백만명 이상,[313] 루마니아 동부,[314][315] 핀란드 동부,[316] 발트 3국을 합병했다.[317][318]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319] 연합국은 공식적으로 1945년 10월 24일에 유엔을 생성하고[320] 1948년 모든 회원국의 공통 표준으로 세계 인권 선언을 채택한다.[321] 전쟁의 수혜자인 연합국 미국, 소련, 영국, 중화민국, 프랑스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이사국이 되었다.[322] 서방 연합국과 소련의 관계는 전쟁 후에 급격히 악화되어[323] 전후 유럽은 미국 주도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와 소련 주도의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두 동맹으로 나뉘었으며,[324] 긴 기간 동안의 두 세력은 정치적 긴장과 군사적 경쟁은 냉전으로 전례없는 군비 경쟁과 대리전을 치루게 된다.[325]

아시아에서는, 미국은 일본 본토태평양의 일본이 점령했던 섬을 점령하고, 소련은 사할린섬쿠릴 열도를 합병했다.[326] 한반도에선 일본의 항복으로 일제강점기가 끝났지만, 일본군 무장해제로 인해 미국소련이 1945년부터 1948년까지 38선을 경계로 남과 북을 점령하여 분단이 되었다. 역시 미국소련의 대립으로 인해 한반도에서도 남과 북으로 갈라지면서 서로 한반도를 통일하겠다고 주장하고, 북한이 군사적으로 이를 시행함으로써 한국 전쟁이 발발했지만 통일에 실패하였다.[327] 중국에서는, 중일 전쟁에 따른 국공 합작으로 보류됐던 국공 내전이 1946년 6월 재발발한다. 그 결과 중화인민공화국이 세계사에 등장하게 되며, 동시에 기존 중화민국타이완으로 이전하며 양안 관계를 형성하면서 분단국가로 남게 되었다.[328] 중동에서는, 아랍은 팔레스타인 분할안에 거부하여 제1차 중동 전쟁이 발발한다. 유럽의 식민지 제국은 식민지를 유지하려 노력하나, 탈식민지화와 전쟁으로 인해 많은 자원 및 인력의 손실이 발생한다.[329][330]

1945년 세계 식민지 지도. 전쟁 후 국가 해방전이 발발하며 이스라엘의 생성과 아시아의 식민지 및 아프리카의 식민지가 독립하게 된다.

참전 국가는 다른 영향을 얻었으나, 세계적인 경제는 크게 고통받았다. 미국은 다른 나라보다 훨씬 부유해졌고, 그 후 1950년대 베이비 붐이 시작되며 국내총생산이 증가하며 세계 경제를 지배하게 된다.[331][332] 영국과 미국은 1945년부터 48년까지 산업 군축 계획을 세웠다.[333] 때문에, 유럽의 경제 침체는 국제 무역의 상호 의존과 맞물려 몇 년 동안 회복되었다.[334][335] 1948년 중반 서독의 화폐 개혁과 유럽의 경제 자유화가 가속화되어 유럽 부흥 계획이 1948년부터 1951년까지 진행되었다.[336][337] 1948년 이후 서독의 경제는 라인 강의 기적으로 회복되었다.[338] 또한, 이탈리아와[339][340] 프랑스의 경제도 회복되었다.[341] 대조적으로, 영국의 경제는 파산 직전에 있었으며[342] 수십 년 동안 영국 경제는 하락세를 보였다.[343] 소련은, 전후 시대의 엄청난 생산력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우 큰 인적, 물적 손실을 입었다.[344] 일본은 고도경제성장을 경험하며 1980년대에 가장 큰 경제체중 하나가 된다.[345] 중국은 1952년에 전쟁 전 산업 생산량이 복구되었다.[346]

영향[편집]

사상자와 전쟁 범죄[편집]

제2차 세계 대전의 각국 사망자 추이.

전쟁의 총 사상자는, 많은 사상자가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마다 그 수가 다르다. 대부분, 약 6천만 명이 사망했고 2천만 명의 군인과 4천만 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고 추정한다.[347][348][349] 많은 민간인이 전염병, 기아, 대학살, 전략 폭격, 제노사이드 등으로 사망했다. 소련은 전쟁 기간 동안 2700만명의 사람들이 사망하고,[350] 군인이 870만명, 민간인이 1900만명 사망했다. 군인 사망으로는 러시아가 5,756,000명으로 1위, 그 다음으로 우크라이나 민족 1,377,400명이었다.[351] 독소 전쟁 중에서는, 매일 소련 시민 4명이 사망 또는 부상을 입었다.[352] 독일은 530만명이 주로 동부전선에서 사상자가 나왔다.[353]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전체 사상자의 비율은 거의 대부분 중국과 소련이 사망한 연합국이 85%, 추축국이 15%를 차지했다. 이러한 사상자들은 독일일본의 점령 지역에서 거의 대부분 발생했다. 약, 110만명에서[354] 170만명[355]의 민간인이 나치 이데올로기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영향으로 사망하는데, 홀로코스트 기간 동안 유대인 6백만명, 롬 족 5백만명, 동성애자와 기타 슬라브 민족들을 사살했다.[356] 약 750만명의 민간인이 일본 점령하의 중국에서 사망하고,[357] 세르비아인, 집시, 유대족과 함께 크로아티아에서 우스타샤로 인해 수십만명이 사망하고,[358] 이 후, 전쟁 후에는 크로아티아 인에 대한 학살로 이어졌다.

일본군에 의해 생매장당하는 중국인.

가장 유명한 일본의 잔악 행위에는 약 수백만명의 중국인을 사망시킨 난징 학살이 있다.[359] 약 3백만명에서 천만명의 민간인이 일본 점령기에 사망했다.[360] 히메타 미츠요시는 삼광작전으로 인해 270만명이 사망했다고 보고했다. 장군 오카무라 야스지산둥 반도의 헤이페이에서 이 작전을 구현했다.[361]

추축군은 생물학 무기화학 무기를 한정하여 사용했다. 이탈리아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당시 겨자 가스만을 사용하나,[362] 일본 제국 육군중일 전쟁 당시 여러 다양한 무기를 사용했다. (731 부대 참조)[363][364] 그리고, 할힌골 전투에도 일부 사용했다.[365] 독일과 일본 모두 민간인에게 무기를 사용하고[366] 어떤 경우에는 전쟁 포로에게도 실험했다.[367]

추축국은 이러한 추축국의 범죄로 인한 최초의 재판을 받는 동안,[368] 연합국의 전쟁 범죄는 그러지 않았다. 이러한 연합국 범죄의 예로는, 소련의 인구 이동이나 미국의 킬하울 작전으로 인한 일본계 미국인 수용소,[369] 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인 추방, 연합국 점령 하의 독일인 강간, 소련의 카틴 숲 학살 등으로 연합국은 이에 대한 책임에 대해 직면하기도 했다. 기근 사망자의 대다수는 전쟁 중 사망자에 포함될 수 있었고 대표적으로 1943년 벵골 대기근, 1944년-1945년의 베트남 대기근 등이 있다.[370]

요르그 프리드리히 같은 일부 역사학자들은 전략 폭격으로 인해 민간인 사망을 포함하며, 대표적으로는 도쿄 대공습, 독일 지역에서는 특히 드레스덴 폭격, 함부르크 폭격, 쾰른 폭격 등으로 인해 160개 도시가 파괴되고 약 60만명 이상의 민간인이 사망했다.[371]

강제 수용소 및 강제노동[편집]

나치는 고의적인 집단 학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홀로코스트로 인해 유대인 대부분과 2백만명의 폴란드 민족, 장애인, 정신 질환자, 소련 포로, 동성애자, 프리메이슨, 여호와의 증인, 롬 민족을 포함한 살 가치가 없는 생명을 포함하여 약 6백만명 이상이 사망했다. OST 아르바이터의 대부분인 1200만명은 대부분 강제 노동으로 끌려갔다.[372]

마테우젠-구센 강제 수용소 해방 후 발견된 시체. 아마도 정치범 또는 소련 포로로 추측된다.

나치의 강제 수용소 뿐 아니라, 소련의 굴락은 폴란드,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등의 국민 뿐 아니라, 독일의 전쟁 포로도 수감하며 심지어는 소련의 국민 중 나치 지지자로 보이는 시민들도 구류되었다.[373] 전쟁 중 독일의 소련군 포로의 60%가 사망했다.[374] 역사학자 리차드 오버리는 소련 포로 570만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한다. 거기에, 전체 시민의 57%가 사망하며 총 360만명이 사망했다.[375] 소련의 전 전쟁 포로와 송환된 민간인들은 잠재적인 나치 부역자로 인식하고 그 중 일부는 NKVD에 의해 강제 수용소로 구금되었다.[376]

일본의 포로수용소는 노동 수용소로도 이용되며 특히 많은 사망률을 보였다. 극동 국제 군사 재판에서, 서양의 병사들은 사망률이 27.1%(미군 전쟁 포로는 37%)이고[377] 이는 독일과 이탈리아인의 포로에 비해 7배가 높았다.[378] 일본의 항복 후, 영국군은 37,583명, 네덜란드인은 28,500명, 미국인은 14,473명이 풀러난 반면, 중국인은 56명만 해방되었다.[379]

역사학자 지히펜 주는 1935년부터 1941년 사이에 중국 북부와 만주에서 최소한 5백만명의 중국인이 동아시아 개발위원회(Kōain)에 노예가 되어 광산에서 강제 징용되었다고 주장한다. 1942년 후에는, 그 수는 천만명을 돌파했다.[380] 미국 의회도서관자와섬에서 4백만명에서 천만명이 로무샤가 되어 일본군에게 일할 것을 강요받았다고 추측한다. 27만명의 자와인들은 동남아시아의 다른 일본군 점령 지역으로 이동했지만, 52,000명만 자와섬으로 송환되었다.[381]

1942년 2월 19일, 루즈벨트 대통령은 미국 행정명령 9066호에 서명하여 수천명의 일본인, 이탈리아계 미국인, 독일계 미국인, 진주만 폭격 이후 하와이에서 일부 도망친 이민자들이 요의 대상이 되었다. 미국과 캐나다 정부는 15만명의 일본계 미국인들[382][383]에 더하여, 14,000명의 보안적인 위험으로 꼽힌 독일계와 이탈리아계 미국인들도 구금되었다.[384]

얄타 회담에서의 연합국의 계약에 따라, 전쟁 포로와 민간인 수백만명이 소련에서 강제 노동을 하였다.[385] 예를 들어, 헝가리의 경우에는 1955년까지 헝가리인에게 강제 노동을 하였다.[386]

국내 전선 및 생산[편집]

추축국과 연합국의 GDP 비율 그래프.

전쟁 발발 전 유럽에서, 연합국은 인구와 경제 모두에서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1938년, 서부 연합국(영국, 프랑스, 폴란드 및 영연방 국가)는 유럽의 추축국(독일, 이탈리아)보다 30% 많은 인구와 30% 더 높은 국내 총생산(GDP)를 가지고 있었고, 식민지의 인구를 포함할 경우에는 연합국의 인구는 5:1가 차이나고 GDP는 2:1로 차이가 났었다.[387] 같은 기간, 아시아에서는 중국은 일본보다 인구가 6배 많았지만 GDP는 89% 차이났고, 만약 식민지가 포함될 경우에는 인구는 3배 차이나고, GDP는 38%로 감소한다.[387]

연합국의 인구 및 경제의 이점은 독일과 일본의 초기 기습으로 완화되었지만, 전쟁 생산의 차이는 1942년 미국과 소련의 참전 이후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388] 연합국보다 추축국이 종종 더 많은 천연 자원을 가지게 된 경우도 있었지만, 이는 독일과 일본의 여성 노동력에 의해 결정되었고[389][390] 연합군의 전략 폭격,[391][392] 독일의 전시 경제 체제 전환과[393] 또 독일과 일본의 지속적인 전시 경제가 정착되지 않아 크게 기여가 되지 않았다.[394][395] 자국의 노동력을 개선하기 위해, 독일과 일본은 노예 수백만명을 이용하고[396] 독일에서 대부분 동유럽인의 1200만명의 노동력과[372] 일본에서는 극동에서 1800만명의 노동력을 확보하고 있었다.[380][381]

점령[편집]

1943년 1월, 독일군에 의해 교수형된 소련 파르타잔.

유럽에서, 점령은 매우 다른 두 형태가 있었다. 서부 유럽, 북부 및 중앙 유럽(프랑스, 노르웨이, 덴마크, 저지대 국가, 병합된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독일은 전쟁 끝까지 약 695억 라이히스마르크(약 278억 미국 달러)을 수탈하고, 이에는 나치 독일의 산업 시설, 군사 장비, 원자재 등의 약탈 물자는 포함하지 않은 수치이다.[397] 따라서, 점령 국가에 대해 40%가 넘는 과세를 함으로써 독일의 소득을 40% 이상 끌어올렸다.[398]

동부에서는, 레반스라움 사상으로 인해 수확이 나오지 않았으며, 전선에서는 소련의 초토화 작전으로 인해 자원이 거의 남지 않았다.[399] 우크라이나 서부에서는, 독일의 인종 정책으로 인해 슬라브 족이 운터멘쉬로 간주되어 과도한 폭력으로 점철되었고, 이는 독일의 제네럴플랜 OST의 원인이 된다.[400] 하지만, 저항 운동이 점령지 곳곳에서 일어나 1943년까지 동부[401]와 서부에서[402] 독일의 점령을 방해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은 대동아공영권을 주장하며 아시아를 일본 하의 지역으로 둘려고 하고 기본적으로 일본의 패권은 식민지 지역민의 해방을 목적이라고 주장했다.[403] 일본군에게 점령된 지역은 처음에는 유럽 지배의 해방자로 맞았지만, 과도한 폭력적인 점령으로 인해 얼마 안가 저항으로 돌아섰다.[404] 일본은 초기 정복 기간 동안, 약 4백만 베럴(~5.5×105톤)을 점령하고, 그리고 1943년까지 500만 베럴을 194년의 76%나 상승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제도로 생산했다.[404]

전투 및 기술 발전[편집]

미국의 보잉 B-17. 연합국은 유럽 항공전에서 16만명의 병사와 33,700기의 항공기를 잃었다.[405]

항공기는 정찰, 전투, 폭격, 지상군 지원 등으로 각 역할이 발달했다. 혁신적인 공수 시스템을 포함하여,[406] 산업 시설과 병사의 사기를 저해하는 전략 폭격기가 발명되었다.[407] 레이다와 독일의 88mm 대공포를 포함한 진보된 대공포로 인해 대공전도 한층 발달되었다. 비록 시기가 늦었지만, 제트기의 발명으로 전 세계의 항공 부대의 표준으로 정착하게 되었다.[408]

해전에서는 특히 잠수함과 항공모함을 포함하여 전적으로 발전되었다. 전쟁 시작 당시 항공공학은 전쟁에서 비록 작은 성공을 거두었지만 타란토, 진주만, 남중국해와 산호해에서는 전함 대신 항공모함이 지배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409][410][411]

독일의 독일 유보트 7형. 1939년부터 1945년까지, 3,500척의 연합국 상선과 783척의 독일 유보트가 격침되었다.

대서양에서는 호위항공모함이 연합국 호송선단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고, 보호 반경이 효과적으로 늘어나 중대서양 갭이 줄어들게 되었다.[412] 항공모함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과 중무장의 불필요성[413]으로 인해 전함보다 선호되었으며,[414]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효과적인 무기로 입증된 잠수함은[415] 제2차 세계 대전에서도 중요한 무기로 부각되었다. 영국은 대잠전에서 호송선단의 소나대잠 무기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고, 독일은 독일 유보트 7형이리때 전술 등을 통해 공격력의 상승에 초점을 두었다.[416] 점차적으로, 연합국은 대잠 탐조등, 헤지호그, 스퀴드, 마크 24 어뢰 등을 개발하며 승리하게 된다.

지상군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동성과 통합 무기가 증가하게 되었다. 탱크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보병의 지원으로 사용되었으나 후에는 주요 무기가 되었다.[417] 1930년대 말에는 탱크 디자인이 1차대전보다 고급화되었으며,[418] 전쟁 중 동안 속도, 방어력, 화력 등이 증가하였다.

소련의 전쟁 중 주력 전차인 T-34. 1945년까지 57,000대가 생산되었다.

전쟁 시작시, 대부분의 지휘관들은 적 탱크보다 더 우수한 탱크를 충족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419] 이 아이디어는, 방어력이 약한 경전차가 초기 대포 성능 저하에 의해 도전되었으나, 독일에는 전차-전차전을 채택했다. 이것은, 독일의 육군 결합 사용과 함께 폴란드와 프랑스 전역에서 승리할 수 있는 요인이었다.[417] 대부분의 대전차전에는, 간접 사격, 대전차포, 대전차 지뢰, 원거리 보병 무기나 다른 전차 등이 사용되었다.[419] 대규모의 기계화와 함께 보병은 군사의 기반을 유지하고,[420] 제1차 세계 대전을 통해 대부분의 보병은 비슷하게 구현되었다.[421]

휴대용 포가 개발되면서, 독일의 MG 42같이 도시나 정글 전투에 적합한 기관단총이 활성화되었다.[421] 돌격소총은 전쟁 말 기관단총과 라이플의 많은 기능을 결합하며 대부분의 보병에서 보편적인 무기가 되었다.[422][423]

대부분의 주요 교전국은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암호학코드북이나 독일의 에니그마처럼 암호화 기계를 이용했다.[424] SIGINT(신호정보수집)은 해독의 계산 과정이었고, 유명한 예제로는 연합국이 일본 해군 코드북의 해독과[425] 영국의 울트라로, 울트라는 폴란드의 암호화 사무국의 해독 방법이 영국으로 넘어간 것으로 전쟁 전 7년 동안 에니그마의 해독 방법은 수수께끼였다.[426] 군사적 정보의 다른 이용으로는 기만 작전으로, 이를 극대화하기 위한 민스미트 작전보디가드 작전이 있었다.[425][427] 전쟁 중이나 전쟁 후 달성된 기타 기술이나 공학으로는 전쟁 중 최초로 개발된 컴퓨터인 Z3, 콜로서스, 에니악이 개발되었고 유도 미사일현대적인 로켓, 핵무기 개발을 위한 맨해튼 계획, 운용 과학의 개발과 인공 항구 개발, 영국 해협의 해저 파이프관 건설 등이 있다.[428]

경제[편집]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프랑코 모딜리아니는 전후 전쟁에 대한 공포로 사람들이 대규모 자본 축적이 필요없다는 생각을 갖게함과 동시에 마음만 먹으면 단기간 내에 자본 축적이 가능하리라는 생각을 갖게했다고 보고 이런 경향이 2차 세계대전 이후 낮은 경제 성장율에 기여했다고 주장했다.[429] 다른 한편으로는 세계대전 이후 복구 사업의 과정에서 정책의 근거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정책의 증거기반주의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도 한다.[430]

중립국[편집]

2차세계대전 개전 부터 종전까지 연합/추축국 중 어느 편에도 서지 않았던 중립국:

스위스의 기 스위스

프랑코 정권의 기 프랑코 정권(추축국으로의 참전을 고려 중이였으나 중립을 지킴)

포르투갈의 기 포르투갈

아프가니스탄 왕국의 기 아프가니스탄 왕국

아일랜드의 기 아일랜드

티베트티베트 왕국

스웨덴의 기 스웨덴

바티칸 시국의 기 바티칸 시국

산마리노의 기 산마리노

리히텐슈타인의 기 리히텐슈타인

안도라의 기 안도라

부탄

예멘 왕국의 기 예멘 왕국

에스토니아에스토니아(중립을 표명했으나 소련에게 종전 전에 소련에게 점령당함)

라트비아라트비아(중립을 표명했으나 소련에게 종전 전에 소련에게 점령당함)

리투아니아리투아니아(중립을 표명했으나 소련에게 종전 전에 소련에게 점령당함)

사용된 무기[편집]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으로 말미암아 무기 개발 금지와 국방군 제한 등을 당하였으므로, 다수의 무기 개발이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에 소련에서 비밀리에 이루어졌는데, 히틀러의 집권 이후 공공연하게 베르사유 체제의 철폐가 주장되고 히틀러의 반공 정책으로 관계가 소원해지면서 협력 관계가 청산되었다.

추축군[편집]

연합군[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내용주
  1. 제2차 세계 대전의 개전일과 종전일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과 논증이 존재하지만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인용하는 개전일과 종전일을 따 왔다.
  2. 8월 15일은 일본 본토 동쪽 아시아 지역의 시간대에 해당하는 날짜이다. 미국과 태평양 대부분의 지역 시간에 따르면 일본의 휴전 협정이 받아들여 효력이 발생한 날짜가 1945년 8월 14일이다.[13]
  3. 영국의 대독 선전포고는 9월 3일 오전 11시 경, 프랑스의 대독 선전포고는 오후 5시 경 이뤄졌다.
출처주
  1. “History of the UN”. 《United Nations》. 2021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7일에 확인함. 
  2. Weinberg 2005, 6쪽.
  3. Wells, Anne Sharp (2014) Historical Dictionary of World War II: The War against Germany and Italy. Rowman & Littlefield Publishing. p. 7.
  4. Ferris, John; Mawdsley, Evan (2015).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Second World War, Volume I: Fighting the War》 (영어).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Förster & Gessler 2005, 64쪽.
  6. Ghuhl, Wernar (2007) Imperial Japan's World War Two Transaction Publishers pp. 7, 30
  7. Polmar, Norman; Thomas B. Allen (1991) World War II: America at war, 1941–1945 ISBN 978-0-394-58530-7
  8. Hett, Benjamin Carter (1996년 8월 1일). "Goak here": A.J.P. Taylor and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Canadian Journal of History》 (영어) 31 (2): 257–281. doi:10.3138/cjh.31.2.257. 
  9. Ben-Horin 1943, 169쪽; Taylor 1979, 124쪽; Yisreelit, Hevrah Mizrahit (1965). Asian and African Studies, p. 191.
    For 1941 see Taylor 1961, vii쪽; Kellogg, William O (2003). American History the Easy Way. Barron's Educational Series. p. 236 ISBN 0-7641-1973-7.
    There is also the viewpoint that both World War I and World War II are part of the same "European Civil War" or "Second Thirty Years War": Canfora 2006, 155쪽; Prins 2002, 11쪽.
  10. Beevor 2012, 10쪽.
  11. “In Many Ways, Author Says, Spanish Civil War Was 'The First Battle Of WWII'. 《NPR.org》. 2021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6일에 확인함. 
  12. Frank, Willard C. (1987). “The Spanish Civil War and the Coming of the Second World War”. 《The International History Review》 9 (3): 368–409. doi:10.1080/07075332.1987.9640449. JSTOR 40105814. 2022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17일에 확인함 – JSTOR 경유. 
  13. “Japanese acceptance of Potsdam declaration announced by President Truman”. 《ibiblio.org》. 2017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21일에 확인함. 
  14. Masaya 1990, 4쪽.
  15. “History of German-American Relations » 1989–1994 – Reunification » "Two-plus-Four-Treaty": Treaty on the Final Settlement with Respect to Germany, September 12, 1990”. usa.usembassy.de. 2012년 5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6일에 확인함. 
  16. Why Japan and Russia never signed a WWII peace treaty 보관됨 4 6월 2018 - 웨이백 머신. Asia Times.
  17. Texts of Soviet–Japanese Statements; Peace Declaration Trade Protocol. 보관됨 9 12월 2021 - 웨이백 머신 New York Times, page 2, 20 October 1956.
    Subtitle: "Moscow, October 19. (UP) – Following are the texts of a Soviet–Japanese peace declaration and of a trade protocol between the two countries, signed here today, in unofficial translation from the Russian". Quote: "The state of war between the U.S.S.R. and Japan ends on the day the present declaration enters into force [...]"
  18. Gerwarth, Robert. “Paris Peace Treaties failed to create a secure, peaceful and lasting world order”. 《The Irish Times》 (영어). 2021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9. Ingram 2006, 76–78쪽.
  20. Kantowicz 1999, 149쪽.
  21. Shaw 2000, 35쪽.
  22. Brody 1999, 4쪽.
  23. Zalampas 1989, 62쪽.
  24. Mandelbaum 1988, 96쪽; Record 2005, 50쪽.
  25. Schmitz 2000, 124쪽.
  26. Adamthwaite 1992, 52쪽.
  27. Shirer 1990, 298–99쪽. harv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Shirer1990 (help)
  28. Preston 1998, 104쪽.
  29. Myers & Peattie 1987, 458쪽.
  30. Smith & Steadman 2004, 28쪽.
  31. Coogan 1993: "Although some Chinese troops in the Northeast managed to retreat south, others were trapped by the advancing Japanese Army and were faced with the choice of resistance in defiance of orders, or surrender. A few commanders submitted, receiving high office in the puppet government, but others took up arms against the invader. The forces they commanded were the first of the volunteer armies."
  32. Busky 2002, 10쪽.
  33. Andrea L. Stanton; Edward Ramsamy; Peter J. Seybolt (2012). 《Cultural Sociology of the Middle East, Asia, and Africa: An Encyclopedia》. 308쪽. ISBN 978-1-4129-8176-7. 2018년 8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6일에 확인함. 
  34. Barker 1971, 131–132쪽.
  35. Shirer 1990, 289쪽. harv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Shirer1990 (help)
  36. Kitson 2001, 231쪽.
  37. Neulen 2000, 25쪽.
  38. Payne 2008, 271쪽.
  39. Payne 2008, 146쪽.
  40. Eastman 1986, 547–551쪽.
  41. Hsu & Chang 1971, 195–200쪽.
  42. Tucker, Spencer C. (2009).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6 volumes]: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ABC-CLIO. ISBN 978-1-85109-672-5. 2018년 8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27일에 확인함 – Google Books 경유. 
  43. Yang Kuisong,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facts of the Battle of Pingxingguan"
  44. Levene, Mark and Roberts, Penny. The Massacre in History. 1999, pp. 223–24
  45. Totten, Samuel. Dictionary of Genocide. 2008, 298–99.
  46. Hsu & Chang 1971, 221–230쪽.
  47. Eastman 1986, 566쪽.
  48. Taylor 2009, 150–152쪽.
  49. Sella 1983, 651–687쪽.
  50. Beevor 2012, 342쪽.
  51. Goldman, Stuart D. (2012년 8월 28일). “The Forgotten Soviet-Japanese War of 1939”. 《The Diplomat》. 2015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26일에 확인함. 
  52. Timothy Neeno. “Nomonhan: The Second Russo-Japanese War”. MilitaryHistoryOnline.com. 2005년 1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26일에 확인함. 
  53. Collier & Pedley 2000, 144쪽.
  54. Kershaw 2001, 121–122쪽. harv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Kershaw2001 (help)
  55. Kershaw 2001, 157쪽. harv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Kershaw2001 (help)
  56. Davies 2006, pp. 143–44 (2008 ed.).
  57. Shirer 1990, 461–462쪽. harv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Shirer1990 (help)
  58. Lowe & Marzari 2002, 330쪽.
  59. Dear & Foot 2001, 234쪽.
  60. Shirer 1990, 471쪽. harv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Shirer1990 (help)
  61. Watson, Derek (2000). “Molotov's Apprenticeship in Foreign Policy: The Triple Alliance Negotiations in 1939”. 《Europe-Asia Studies》 52 (4): 695–722. doi:10.1080/713663077. JSTOR 153322. 
  62. Shore 2003, 108쪽.
  63. Dear & Foot 2001, 608쪽.
  64. “The German Campaign In Poland (1939)”. 2014년 5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9일에 확인함. 
  65. “The Danzig Crisis”. 《ww2db.com》. 2016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9일에 확인함. 
  66. “Major international events of 1939, with explanation”. Ibiblio.org. 2013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9일에 확인함. 
  67. Evans 2008, 1–2쪽.
  68. David T. Zabecki (2015). 《World War II in Europe: An Encyclopedia》. Routledge. 1663쪽. ISBN 978-1-135-81242-3. 2021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17일에 확인함. The earliest fighting started at 0445 hours when marines from the battleship Schleswig-Holstein attempted to storm a small Polish fort in Danzig, the Westerplate 
  69. Keegan 1997, 35쪽.
    Cienciala 2010, 128쪽, observes that, while it is true that Poland was far away, making it difficult for the French and British to provide support, "[f]ew Western historians of World War II ... know that the British had committed to bomb Germany if it attacked Poland, but did not do so except for one raid on the base of Wilhelmshaven. The French, who committed to attacking Germany in the west, had no intention of doing so."
  70. Beevor 2012, 32쪽; Dear & Foot 2001, 248–249쪽; Roskill 1954, 64쪽.
  71. “Battle of the Atlantic”. 《Sky HISTORY TV channel》 (영어). 2022년 7월 11일에 확인함. 
  72. Zaloga 2002, 80, 83쪽.
  73. Ginsburgs, George (1958). “A Case Study in the Soviet Use of International Law: Eastern Poland in 1939”. 《The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52 (1): 69–84. doi:10.2307/2195670. JSTOR 2195670. 
  74. Hempel 2005, 24쪽.
  75. Zaloga 2002, 88–89쪽.
  76. Nuremberg Documents C-62/GB86, a directive from Hitler in October 1939 which concludes: "The attack [on France] is to be launched this Autumn if conditions are at all possible."
  77. Liddell Hart 1977, 39–40쪽.
  78. Bullock 1990, pp. 563–64, 566, 568–69, 574–75 (1983 ed.).
  79. Blitzkrieg: From the Rise of Hitler to the Fall of Dunkirk, L Deighton, Jonathan Cape, 1993, pp. 186–87. Deighton states that "the offensive was postponed twenty-nine times before it finally took place."
  80. Smith 등. 2002, 24쪽.
  81. Bilinsky 1999, 9쪽.
  82. Murray & Millett 2001, 55–56쪽.
  83. Spring 1986, 207–226쪽.
  84. Carl van Dyke. The Soviet Invasion of Finland. Frank Cass Publishers, Portland, OR. ISBN 0-7146-4753-5, p. 71.
  85. Massari, Ivano (2015년 8월 18일). “The Winter War – When the Finns Humiliated the Russians”. War History Online. 2021년 1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9일에 확인함. 
  86. Hanhimäki 1997, 12쪽.
  87. Dear & Foot 2001, 745, 975쪽.
  88. Haynes, Rebecca (2000). 《Romanian policy towards Germany, 1936–40》. Palgrave Macmillan. 205쪽. ISBN 978-0-312-23260-3. 2022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3일에 확인함. 
  89. Deletant, pp. 48–51, 66; Griffin (1993), p. 126; Ornea, pp. 325–327
  90. Ferguson 2006, 367, 376, 379, 417쪽.
  91. Snyder 2010, 118ff쪽.
  92. Koch 1983, 912–914, 917–920쪽.
  93. Roberts 2006, 56쪽. harv error: 여러 대상 (3×): CITEREFRoberts2006 (help)
  94. Roberts 2006, 59쪽. harv error: 여러 대상 (3×): CITEREFRoberts2006 (help)
  95. Murray & Millett 2001, 57–63쪽.
  96. Commager 2004, 9쪽.
  97. Reynolds 2006, 76쪽.
  98. Evans 2008, 122–123쪽.
  99. Keegan 1997, 59–60쪽.
  100. Regan 2004, 152쪽.
  101. Liddell Hart 1977, 48쪽.
  102. Keegan 1997, 66–67쪽.
  103. Overy & Wheatcroft 1999, 207쪽.
  104. Umbreit 1991, 311쪽.
  105. Brown 2004, 198쪽.
  106. Murray 1983, The Battle of Britain.
  107. Keegan 1997, 72쪽.
  108. “Major international events of 1940, with explanation”. Ibiblio.org. 2013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09. Dear & Foot 2001, 108–109쪽.
  110. Goldstein 2004, 35쪽
  111. Steury 1987, 209쪽; Zetterling & Tamelander 2009, 282쪽.
  112. Overy & Wheatcroft 1999, 328–330쪽.
  113. Maingot 1994, 52쪽.
  114. Cantril 1940, 390쪽.
  115. Skinner Watson, Mark. “Coordination With Britain”. 《US Army in WWII – Chief of Staff: Prewar Plans and Operations》. 2013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3일에 확인함. 
  116. Bilhartz & Elliott 2007, 179쪽.
  117. Dear & Foot 2001, 877쪽.
  118. Dear & Foot 2001, 745–746쪽.
  119. Clogg 2002, 118쪽.
  120. Evans 2008, 146, 152쪽; US Army 1986, 4–6
  121. Jowett 2001, 9–10쪽.
  122. Jackson 2006, 106쪽.
  123. Laurier 2001, 7–8쪽.
  124. Murray & Millett 2001, 263–276쪽.
  125. Gilbert 1989, 174–175쪽.
  126. Gilbert 1989, 184–187쪽.
  127. Gilbert 1989, 208, 575, 604쪽.
  128. Watson 2003, 80쪽.
  129. Morrisey, Will (2019), 〈What Churchill and De Gaulle learned from the Great War〉, 《Winston Churchill》, Routledge, 119–126쪽, doi:10.4324/9780429027642-6, ISBN 978-0-429-02764-2 
  130. Garver 1988, 114쪽.
  131. Weinberg 2005, 195쪽.
  132. Murray 1983, 69쪽.
  133. Förster 1998, 26쪽.
  134. Förster 1998, 38–42쪽.
  135. Shirer 1990, 810–812쪽. harv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Shirer1990 (help)
  136. Klooz, Marle; Wiley, Evelyn (1944), 《Events leading up to World War II – Chronological History》, 78th Congress, 2d Session – House Document N. 541, Director: Humphrey, Richard A.,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pp. 267–312 (1941),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9일에 확인함 
  137. Sella 1978.
  138. Steinberg 1995.
  139. Kershaw 2007, 66–69쪽.
  140. Hauner 1978.
  141. Roberts 1995.
  142. Wilt 1981.
  143. Erickson 2003, 114–137쪽.
  144. Glantz 2001, 9쪽. harv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Glantz2001 (help)
  145. Farrell 1993.
  146. Keeble 1990, 29쪽.
  147. Beevor 2012, 220쪽.
  148. Bueno de Mesquita 등. 2003, 425쪽.
  149. Kleinfeld 1983.
  150. Jukes 2001, 113쪽.
  151. Glantz 2001, 26쪽 harvnb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Glantz2001 (help): "By 1 November [the Wehrmacht] had lost fully 20% of its committed strength (686,000 men), up to 2/3 of its ½-million motor vehicles, and 65 percent of its tanks. The German Army High Command (OKH) rated its 136 divisions as equivalent to 83 full-strength divisions."
  152. Reinhardt 1992, 227쪽.
  153. Milward 1964.
  154. Rotundo 1986.
  155. Glantz 2001, 26쪽. harv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Glantz2001 (help)
  156. Deighton, Len (1993). 《Blood, Tears and Folly》. London: Pimlico. 479쪽. ISBN 978-0-7126-6226-0. 
  157. Beevor 1998, 41–42쪽; Evans 2008, 213–214쪽, notes that "Zhukov had pushed the Germans back where they had launched Operation Typhoon two months before. ... Only Stalin's decision to attack all along the front instead of concentrating his forces in an all-out assault against the retreating German Army Group Centre prevented the disaster from being even worse."
  158. “Peace and War: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1931–1941”. 《U.S. Department of State Publication》 (1983): 87–97. 1983. 2022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17일에 확인함. 
  159. Maechling, Charles. Pearl Harbor: The First Energy War. History Today. December 2000
  160. Jowett & Andrew 2002, 14쪽.
  161. Overy & Wheatcroft 1999, 289쪽.
  162. Joes 2004, 224쪽.
  163. Fairbank & Goldman 2006, 320쪽.
  164. Hsu & Chang 1971, 30쪽.
  165. Hsu & Chang 1971, 33쪽.
  166. “Japanese Policy and Strategy 1931 – July 1941”. 《US Army in WWII – Strategy and Command: The First Two Years》. 45–66쪽. 2013년 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5일에 확인함. 
  167. Anderson 1975, 201쪽.
  168. Evans & Peattie 2012, 456쪽.
  169. Coox, Alvin (1985). 《Nomonhan: Japan against Russia, 1939》.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046–1049쪽. ISBN 978-0-8047-1835-6. 
  170. “The decision for War”. 《US Army in WWII – Strategy, and Command: The First Two Years》. 113–127쪽. 2013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5일에 확인함. 
  171. “The Showdown With Japan Aug–Dec 1941”. 《US Army in WWII – Strategic Planning for Coalition Warfare》. 63–96쪽. 2012년 1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5일에 확인함. 
  172. Bix, Herbert P. (2016년 11월 3일).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HarperPerennial. 399–414쪽. ISBN 978-0-06-256051-3. 
  173. Kitano, Ryuichi (2021년 12월 6일). “Diary: Hirohito prepared for U.S. war before Pearl Harbor attack”. 《The Asahi Shimbun》. 2022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6월 8일에 확인함. 
  174. Fujiwara, Akira (1991). 《Shōwa tennō no jūgo-nen sensō》. 126, citing Kenji Tomita's diary쪽. 
  175. Bix,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pp. 417-420
  176. Bix,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p. 418
  177. Wetzler, Peter (1998). 《Hirohito and War: Imperial Tradition and Military Decision Making in Prewar Jap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29, 35쪽. ISBN 978-0824819255. 
  178. Bix,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p.424
  179. The United States Replies 보관됨 29 4월 2013 - 웨이백 머신. Investigation of the Pearl Harbor attack.
  180. Painter 2012, 26쪽: "The United States cut off oil exports to Japan in the summer of 1941, forcing Japanese leaders to choose between going to war to seize the oil fields of the Netherlands East Indies or giving in to U.S. pressure."
  181. Wood 2007, 9쪽, listing various military and diplomatic developments, observes that "the threat to Japan was not purely economic."
  182. Lightbody 2004, 125쪽. harv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Lightbody2004 (help)
  183. Weinberg 2005, 310쪽
  184. Dower 1986, 5쪽, call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Allied struggle against Japan exposed the racist underpinnings of the European and American colonial structure. Japan did not invade independent countries in southern Asia. It invaded colonial outposts which the Westerners had dominated for generations, taking absolutely for granted their racial and cultural superiority over their Asian subjects." Dower goes on to note that, before the horrors of Japanese occupation made themselves felt, many Asians responded favourably to the victories of the Imperial Japanese forces.
  185. Wood 2007, 11–12쪽.
  186. Wohlstetter 1962, 341–343쪽.
  187. Keegan, John (1989) The Second World War. New York: Viking. pp. 256–257. ISBN 978-0399504341
  188. Dunn 1998, 157쪽. According to May 1955, 155쪽, Churchill stated: "Russian declaration of war on Japan would be greatly to our advantage, provided, but only provided, that Russians are confident that will not impair their Western Front."
  189. Adolf Hitler's Declaration of War against the United States in Wikisource.
  190. Klooz, Marle; Wiley, Evelyn (1944), 《Events leading up to World War II – Chronological History》, 78th Congress, 2d Session – House Document N. 541, Director: Humphrey, Richard A.,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p. 310 (1941),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9일에 확인함 
  191. Bosworth & Maiolo 2015, 313–314쪽.
  192. Mingst & Karns 2007, 22쪽.
  193. Shirer 1990, 904쪽. harv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Shirer1990 (help)
  194. “The First Full Dress Debate over Strategic Deployment. Dec 1941 – Jan 1942”. 《US Army in WWII – Strategic Planning for Coalition Warfare》. 97–119쪽. 2012년 1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6일에 확인함. 
  195. “The Elimination of the Alternatives. Jul–Aug 1942”. 《US Army in WWII – Strategic Planning for Coalition Warfare》. 266–292쪽. 2013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6일에 확인함. 
  196. “Casablanca – Beginning of an Era: January 1943”. 《US Army in WWII – Strategic Planning for Coalition Warfare》. 18–42쪽. 2013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6일에 확인함. 
  197. “The Trident Conference – New Patterns: May 1943”. 《US Army in WWII – Strategic Planning for Coalition Warfare》. 126–145쪽. 2013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6일에 확인함. 
  198. Beevor 2012, 247–267, 345쪽.
  199. Lewis 1953, p. 529 (Table 11).
  200. Slim 1956, 71–74쪽.
  201. Grove 1995, 362쪽.
  202. Ch'i 1992, 158쪽.
  203. Perez 1998, 145쪽.
  204. Maddox 1992, 111–112쪽.
  205. Salecker 2001, 186쪽.
  206. Schoppa 2011, 28쪽.
  207. Chevrier & Chomiczewski & Garrigue 2004 보관됨 18 8월 2018 - 웨이백 머신, p. 19.
  208. Ropp 2000, 368쪽.
  209. Weinberg 2005, 339쪽.
  210. Gilbert, Adrian (2003). 《The Encyclopedia of Warfare: From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Globe Pequot. 259쪽. ISBN 978-1-59228-027-8. 2019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6일에 확인함. 
  211. Swain 2001, 197쪽.
  212. Hane 2001, 340쪽.
  213. Marston 2005, 111쪽. harv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Marston2005 (help)
  214. Brayley 2002, 9쪽.
  215. Glantz 2001, 31쪽. harv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Glantz2001 (help)
  216. Read 2004, 764쪽.
  217. Davies 2006, p. 100 (2008 ed.).
  218. Beevor 1998, 239–265쪽.
  219. Black 2003, 119쪽.
  220. Beevor 1998, 383–391쪽.
  221. Erickson 2001, 142쪽.
  222. Milner 1990, 52쪽.
  223. Beevor 2012, 224–228쪽.
  224. Molinari 2007, 91쪽.
  225. Mitcham 2007, 31쪽.
  226. Beevor 2012, 380–381쪽.
  227. Rich 1992, 178쪽.
  228. Gordon 2004, 129쪽.
  229. Neillands 2005.
  230. Keegan 1997, 277쪽.
  231. Smith 2002.
  232. Thomas & Andrew 1998, 8쪽.
  233. Ross 1997, 38쪽.
  234. Bonner & Bonner 2001, 24쪽.
  235. Collier 2003, 11쪽.
  236. "The Civilians" 보관됨 5 11월 2013 - 웨이백 머신 the United States Strategic Bombing Survey Summary Report (European War)
  237. Overy 1995, 119–120쪽. harv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Overy1995 (help)
  238. Thompson, John Herd; Randall, Stephen J (1994).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Ambivalent Allies》.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64쪽. ISBN 0-8203-2403-5. 
  239. Kennedy, David M (1999). 《Freedom from Fear: The American People in Depression and War, 1929–1945》. Oxford University Press. 610쪽. ISBN 0-19-503834-7. 
  240. Rottman, Gordon L (2002). 《World War II Pacific Island Guide: A Geo-Military Study》. Greenwood Publishing Group. 228쪽. ISBN 0-313-31395-4. 
  241. Glantz, David M. (September 1986). “Soviet Defensive Tactics at Kursk, July 1943”. 《CSI Report No. 11.》 (Combined Arms Research Library). OCLC 278029256. 2008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17일에 확인함. 
  242. Glantz, David M (1989). 《Soviet military deception in the Second World War》. Routledge. 149–59쪽. ISBN 978-0-7146-3347-3. 
  243. Kershaw, Ian (2001). 《Hitler, 1936–1945: Nemesis》. W. W. Norton & Company. 592쪽. ISBN 0-393-32252-1. 
  244. O'Reilly, Charles T (2001). 《Forgotten Battles: Italy's War of Liberation, 1943–1945》. Lexington Books. 32쪽. ISBN 0-7391-0195-1. 
  245. Bellamy, Chris T (2007). 《Absolute war: Soviet Russia in the Second World War》. BAlfred A. Knopf. 595쪽. ISBN 0-375-41086-4. 
  246. O'Reilly, Charles T (2001). 《Forgotten Battles: Italy's War of Liberation, 1943–1945》. Lexington Books. 35쪽. ISBN 0-7391-0195-1. 
  247. Healy, Mark (1992). 《Kursk 1943: The tide turns in the East》. Osprey Publishing. 90쪽. ISBN 1-85532-211-0. 
  248. Glantz 2001, 50–55쪽 harvnb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Glantz2001 (help)
  249. McGowen, Tom (2002). 《Assault From The Sea: Amphibious Invasions in the Twentieth Century》. Twenty-First Century Books. 43–44쪽. ISBN 0-7613-1811-9. 
  250. Mazower, Mark (2009). 《Hitler's Empire : Nazi Rule in Occupied Europe》. London: Penguin. 362쪽. ISBN 978-0-14-101192-9. 
  251. Hart, Stephen; Hart, Russell; Hughes, Matthew (2000). 《The German Soldier in World War II》. MBI Publishing Company. 151쪽. ISBN 0-7603-0846-2. 
  252. Blinkhorn, Martin (1984). 《Mussolini and Fascist Italy》. Methuen & Co. 52쪽. ISBN 0-415-10231-6. 
  253. Read, Anthony; Fisher, David (1992). 《The Fall of Berlin》. Hutchinson. 129쪽. ISBN 0-09-175337-6. 
  254. Padfield, Peter (1998). 《War Beneath the Sea : Submarine Conflict During World War II》 paperback.판. New York: John Wiley. 335–336쪽. ISBN 0-471-24945-9. 
  255. Iriye, Akira (1981). 《Power and culture: the Japanese-American war, 1941–1945》. Harvard University Press. 154쪽. ISBN 0-674-69582-8. 
  256. Polley, Martin (2000). 《A-Z of modern Europe since 1789》. Taylor & Francis. 148쪽. ISBN 0-415-18598-X. 
  257. ed. Hsiung, James C. and Steven I. Levine China's Bitter Victory: The War with Japan 1937–1945, p. 161
  258. Hsu Long-hsuen and Chang Ming-kai (1971) History of The Sino-Japanese War (1937–1945) 2nd Ed. Translated by Wen Ha-hsiung. Chung Wu Publishing. pp. 412–416, Map 38
  259. Weinberg 1995, 660–661쪽
  260. Glantz, David M (2001). 《The siege of Leningrad, 1941–1944: 900 days of terror》. Zenith Imprint. 166–69쪽. ISBN 0-7603-0941-8. 
  261. Glantz, David M (2002). 《The Battle for Leningrad: 1941–1944》. Lawrence: University Press of Kansas. ISBN 0-7006-1208-4. 
  262. Chubarov, Alexander (2001). 《Russia's Bitter Path to Modernity: A History of the Soviet and Post-Soviet Era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22쪽. ISBN 0-8264-1350-1. 
  263. Havighurst, Alfred F (1962). 《Britain in Transition: The Twentieth Centur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44쪽. ISBN 0-226-31971-7. 
  264. Lightbody, Bradley (2004). 《The Second World War: Ambitions to Nemesis》. Routledge. 224쪽. ISBN 0-415-22404-7. 
  265. Zeiler, Thomas W (2004). 《Unconditional Defeat: Japan, America, and the End of World War II》. Scholarly Resources. 60쪽. ISBN 0-8420-2991-5. 
  266. Craven, Wesley Frank; Cate, James Lea (1953). 《The Army Air Forces in World War II, Volume Five—The Pacific, Matterhorn to Nagasaki》. Chicago University Press. 207쪽. 
  267. Hsiung, James Chieh; Levine, Steven I (1992). 《China's Bitter Victory: The War with Japan, 1937–1945》. M.E. Sharpe. 163쪽. ISBN 1-56324-246-X. 
  268. Coble, Parks M (2003). 《Chinese Capitalists in Japan's New Order: The Occupied Lower Yangzi, 1937–194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5쪽. ISBN 0-520-23268-2. 
  269. Rees, Laurence (2009). World War Two Behind Closed Doors, BBC Books, pp. 406–7 ISBN 1-4481-4045-5. "Stalin always believed that Britain and America were delaying the second front so that the Soviet Union would bear the brunt of the war"
  270. Weinberg 1995, 695쪽
  271. Badsey, Stephen (1990). 《Normandy 1944: Allied Landings and Breakout》. Osprey Publishing. 91쪽. ISBN 0-85045-921-4. 
  272. Dear, I. C. B.; Foot, M. R. D, 편집. (2002). 〈Market-Garden〉. 《Oxford Companion to World War II》. Oxford University Press. 877쪽. ISBN 0-19-860446-7. 
  273. The operation "was the most calamitous defeat of all the German armed forces in World War II" (Zaloga, Steven J (1996). 《Bagration 1944: The destruction of Army Group Centre》. Osprey Publishing. 7쪽. ISBN 1-85532-478-4. )
  274. Berend, Ivan T. (1999). 《Central and Eastern Europe, 1944–1993: Detour from the Periphery to the Periphe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쪽. ISBN 0-521-55066-1. 
  275. “Armistice Negotiations and Soviet Occupation”. US Library of Congress. 2009년 11월 14일에 확인함. The coup speeded the Red Army's advance, and the Soviet Union later awarded Michael the Order of Victory for his personal courage in overthrowing Antonescu and putting an end to Romania's war against the Allies. Western historians uniformly point out that the Communists played only a supporting role in the coup; postwar Romanian historians, however, ascribe to the Communists the decisive role in Antonescu's overthrow 
  276. Hastings, Max; Paul Henry, Collier (2004). 《The Second World War: a world in flames》. Osprey Publishing. 223–4쪽. ISBN 1-84176-830-8. 
  277. Wiest, Andrew A; Barbier, M. K (2002). 《Strategy and Tactics Infantry Warfare》. Zenith Imprint. 65–6쪽. ISBN 0-7603-1401-2. 
  278. Wiktor, Christian L (1998). 《Multilateral Treaty Calendar – 1648–1995》. Kluwer Law International. 426쪽. ISBN 90-411-0584-0. 
  279. Newton, Steven H (1995). 《Retreat from Leningrad : Army Group North, 1944/1945》. Atglen, Philadelphia: Schiffer Books. ISBN 0-88740-806-0. 
  280. Marston, Daniel (2005). 《The Pacific War Companion: From Pearl Harbor to Hiroshima》. Osprey Publishing. 120쪽. ISBN 1-84176-882-0. 
  281. Jowett & Andrew 2002, 8쪽
  282. Howard, Joshua H (2004). 《Workers at War: Labor in China's Arsenals, 1937–1953》. Stanford University Press. 140쪽. ISBN 0-8047-4896-9. 
  283. Drea, Edward J (2003). 《In the Service of the Emperor: Essays on the Imperial Japanese Arm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54쪽. ISBN 0-8032-6638-3. 
  284. Cook, Chris; Bewes, Diccon (1997). 《What Happened Where: A Guide to Places and Events in Twentieth-Century History》. UCL Press. 305쪽. ISBN 1-85728-532-8. 
  285. Parker, Danny S (2004). 《Battle of the Bulge: Hitler's Ardennes Offensive, 1944–1945》. Da Capo Press. xiii–xiv, 6–8, 68–70 & 329–330쪽. ISBN 0-306-81391-2. 
  286. Glantz 2001, 85쪽 harvnb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Glantz2001 (help)
  287. Solsten, Eric (1999). 《Germany: A Country Study》. DIANE Publishing. 76–7쪽. ISBN 0-7881-8179-3. 
  288. United States Dept. of State (1967). 《The China White Paper, August 1949》. Stanford University Press. 113쪽. ISBN 0-8047-0608-5. 
  289. Buchanan, Tom (2006). 《Europe's troubled peace, 1945–2000》. Wiley-Blackwell. 21쪽. ISBN 0-631-22163-8. 
  290. Shepardson, Donald E (1998). “The Fall of Berlin and the Rise of a Myth”. 《The Journal of Military History》 62 (1): 135–154. doi:10.2307/120398. JSTOR 120398. 
  291. O'Reilly, Charles T (2001). 《Forgotten Battles: Italy's War of Liberation, 1943–1945》. Lexington Books. 244쪽. ISBN 0-7391-0195-1. 
  292. Kershaw 2001, 823쪽 harvnb error: 여러 대상 (2×): CITEREFKershaw2001 (help)
  293. Donnelly, Mark (1999). 《Britain in the Second World War》. Routledge. xiv쪽. ISBN 0-415-17425-2. 
  294. Pinkus, Oscar . The war aims and strategies of Adolf Hitler, McFarland, 2005, ISBN 0-7864-2054-5, ISBN 978-0-7864-2054-4, p. 501-3
  295. Glantz, David M. (1995). 《When Titans Clashed: How the Red Army Stopped Hitler》. Lawrence, Kansas: University Press of Kansas. 34쪽. ISBN 0-7006-0899-0. 
  296. Chant, Christopher (1986). 《The Encyclopedia of Codenames of World War II》. Routledge & Kegan Paul. 118쪽. ISBN 0-7102-0718-2. 
  297. Drea, Edward J (2003). 《In the Service of the Emperor: Essays on the Imperial Japanese Arm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57쪽. ISBN 0-8032-6638-3. 
  298. Jowett & Andrew 2002, 6쪽
  299. Poirier, Michel Thomas (1999년 10월 20일). “Results of the German and American Submarine Campaigns of World War II”. U.S. Navy. 2008년 4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3일에 확인함. 
  300. Williams, Andrew J (2006). 《Liberalism and War: The Victors and the Vanquished》. Routledge. 90쪽. ISBN 0-415-35980-5. 
  301. Miscamble, Wilson D (2007). 《From Roosevelt to Truman: Potsdam, Hiroshima, and the Cold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쪽. ISBN 0-521-86244-2. 
  302. Miscamble, Wilson D (2007). 《From Roosevelt to Truman: Potsdam, Hiroshima, and the Cold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3–4쪽. ISBN 0-521-86244-2. 
  303. Glantz, David M (2005). “August Storm: The Soviet Strategic Offensive in Manchuria”. 《Leavenworth Papers》 (Combined Arms Research Library). OCLC 78918907. 2008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25일에 확인함. 
  304. Pape, Robert A (1993). “Why Japan Surrendered”. 《International Security》 18 (2): 154–201. doi:10.2307/2539100. JSTOR 2539100. 
  305. 다큐 Archived 2014년 8월 14일 - 웨이백 머신 - 2차세계대전의 진실13-무조건 항복] 2009.04.02 11:40
  306. Norbert Frei. Adenauer's Germany and the Nazi Past: The Politics of Amnesty and Integration. Translated by Joel Golb.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2. ISBN 0-231-11882-1, pp. 41–66.
  307. Wettig, Gerhard (2008). 《Stalin and the Cold War in Europe》. Rowman & Littlefield. 96–100쪽. ISBN 0-7425-5542-9. 
  308. Trachtenberg, Marc (1999). 《A Constructed Peace: The Making of the European Settlement, 1945–1963》. Princeton University Press. 33쪽. ISBN 0-691-00273-8. 
  309. Granville, Johanna (2004). 《The First Domino: International Decision Making during the Hungarian Crisis of 1956》. Texas A&M University Press. ISBN 1-58544-298-4. 
  310. Grenville, John Ashley Soames (2005). 《A History of the World from the 20th to the 21st century》. Routledge. 370–71쪽. ISBN 0-415-28954-8. 
  311. Cook, Bernard A (2001). 《Europe Since 1945: A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17쪽. ISBN 0-8153-4057-5. 
  312. Geoffrey Swain. The Cominform: Tito's International? The Historical Journal, Vol. 35, No. 3 (Sep., 1992), pp. 641–663
  313. Roberts, Geoffrey (2006). 《Stalin's Wars: From World War to Cold War, 1939–1953》. Yale University Press. 43쪽. ISBN 0-300-11204-1. 
  314. Roberts, Geoffrey (2006). 《Stalin's Wars: From World War to Cold War, 1939–1953》. Yale University Press. 55쪽. ISBN 0-300-11204-1. 
  315. Shirer, William L. (1990).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A History of Nazi Germany》. Simon and Schuster. 794쪽. ISBN 0-671-72868-7. 
  316. Kennedy-Pipe, Caroline (1995). 《Stalin's Cold Wa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ISBN 0-7190-4201-1. 
  317. Wettig, Gerhard (2008). 《Stalin and the Cold War in Europe》. Rowman & Littlefield. 20–21쪽. ISBN 0-7425-5542-9. 
  318. Senn, Alfred Erich (2007). 《Lithuania 1940: revolution from above》. Rodopi. ISBN 978-90-420-2225-6. 
  319. Yoder, Amos (1997). 《The Evolution of the United Nations System》. Taylor & Francis. 39쪽. ISBN 1-56032-546-1. 
  320. “History of the UN”. United Nations. 2010년 1월 25일에 확인함. 
  321.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rticle 2”. United Nations. 2009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Everyone is entitled to all the rights and freedoms set forth in this Declaration, without distinction of any kind, such as race, colour, sex, language, religion, political or other opinion, national or social origin, property, birth or other status. Furthermore, no distinction shall be made on the basis of the political, jurisdictional or international status of the country or territory to which a person belongs, whether it be independent, trust, non-self-governing or under any other limitation of sovereignty 
  322. 《The UN Security Council》, 2012년 6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15일에 확인함 
  323. Kantowicz, Edward R (2000). 《Coming Apart, Coming Together》. Wm. B. Eerdmans Publishing. 6쪽. ISBN 0-8028-4456-1. 
  324. Leffler, Melvyn P.; Painter, David S (1994). 《Origins of the Cold War: An International History》. Routledge. 318쪽. ISBN 0-415-34109-4. 
  325. Bellamy, Christopher (2001). 〈Cold War〉. Holmes, Richard. 《The Oxford Companion to Military History》 Oxfo Reference Online판.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860696-6. 
  326. Weinberg, Gerhard L. (2005). A World At 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911
  327. Connor, Mary E. (2009). 〈History〉. Connor, Mary E. 《The Koreas》. Asia in Focus. Santa Barbara: ABC-CLIO. 43–45쪽. ISBN 1-59884-160-2. 
  328. Lynch, Michael (2010). 《The Chinese Civil War 1945–49》. Botley: Osprey Publishing. 12–13쪽. ISBN 978-1-84176-671-3. 
  329. Roberts, J.M. (1996). 《The Penguin History of Europe》. London: Penguin Books. 589쪽. ISBN 0-14-026561-9. 
  330. Darwin, John (2007). 《After Tamerlane: The Rise & Fall of Global Empires 1400–2000》. London: Penguin Books. 441–443, 464–468쪽. ISBN 978-0-14-101022-9. 
  331. Harrison, Mark (1998). 〈The economics of World WarII: an overview〉. Harrison, Mark. 《The Economics of World War II: Six great powers in international comparis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35쪽. ISBN 0-521-62046-5. 
  332. Dear, I.C.B and Foot, M.R.D., 편집. (2005). 〈World trade and world economy〉.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War II》.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006쪽. ISBN 978-0-19-280670-3. 
  333. Nicholas Balabkins, "Germany Under Direct Controls: Economic Aspects of Industrial Disarmament 1945–1948", Rutgers University Press, 1964 p. 207
  334. Vladimir Petrov, Money and conquest; allied occupation currencies in World War II. Baltimore, Johns Hopkins Press (1967) p. 263
  335. Nicholas Balabkins, "Germany Under Direct Controls: Economic Aspects of Industrial Disarmament 1945–1948", Rutgers University Press, 1964 p. 208, 209
  336. Dornbusch, Rüdiger; Nölling, Wilhelm; Layard, P. Richard G (1993). Postwar Economic Reconstruction and Lessons for the East Today.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pp. 190, 191, ISBN 0-262-04136-7.
  337. Nicholas Balabkins, "Germany Under Direct Controls: Economic Aspects of Industrial Disarmament 1945–1948", Rutgers University Press, 1964 p. 212
  338. Dornbusch, Rüdiger; Nölling, Wilhelm; Layard, P. Richard G (1993). Postwar Economic Reconstruction and Lessons for the East Today.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p29 -p30, 32, ISBN 0-262-04136-7.
  339. Bull, Martin J.; Newell, James (2005). 《Italian Politics: Adjustment Under Duress》. Polity. 20쪽. ISBN 0-7456-1299-7. 
  340. Bull, Martin J.; Newell, James (2005). 《Italian Politics: Adjustment Under Duress》. Polity. 21쪽. ISBN 0-7456-1299-7. 
  341. Harrop, Martin (1992). 《Power and Policy in Liberal Democrac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쪽. ISBN 0-521-34579-0. 
  342. Dornbusch, Rüdiger; Nölling, Wilhelm; Layard, P. Richard G (1993). 《Postwar Economic Reconstruction and Lessons for the East Today》.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117쪽. ISBN 0-262-04136-7. 
  343. Emadi-Coffin, Barbara (2002). 《Rethink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 Deregulation and Global Governance》. Routledge. 64쪽. ISBN 0-415-19540-3. 
  344. Smith, Alan (1993). 《Russia And the World Economy: Problems of Integration》. Routledge. 32쪽. ISBN 0-415-08924-7. 
  345. Harrop, Martin (1992). 《Power and Policy in Liberal Democrac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쪽. ISBN 0-521-34579-0. 
  346. Genzberger, Christine (1994). 《China Business: The Portable Encyclopedia for Doing Business with China》. Petaluma, California: World Trade Press. 4쪽. ISBN 0-9631864-3-4. 
  347. O'Brien, Prof. Joseph V. “World War II: Combatants and Casualties (1937–1945)”. 《Obee's History Page》. John Jay College of Criminal Justice. 2010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4월 20일에 확인함. {{
  348. White, Matthew. “Source List and Detailed Death Tolls for the Twentieth Century Hemoclysm”. 《Historical Atlas of the Twentieth Century》. Matthew White's Homepage. 2007년 4월 20일에 확인함. 
  349. “World War II Fatalities”. secondworldwar.co.uk. 2007년 4월 20일에 확인함. 
  350. "Rulers and victims: the Russians in the Soviet Union". Geoffrey A. Hosking (2006). Harvard University Press. p. 242. ISBN 0-674-02178-9
  351. Michael Ellman and S. Maksudov (1994). “Soviet Deaths in the Great Patriotic War: A Note” (PDF). 《Europe-Asia Studies》 46 (4): 671–680. PMID 12288331. 
  352. "The World's Wasted Wealth 2: Save Our Wealth, Save Our Environment". J. W. Smith (1994). p. 204. ISBN 0-9624423-2-1
  353. Jeffrey Herf (2003). “The Nazi Extermination Camps and the Ally to the East. Could the Red Army and Air Force Have Stopped or Slowed the Final Solution?”. 《Kritika: Explorations in Russian and Eurasian History》 4 (4): 913–930. doi:10.1353/kri.2003.0059. 
  354. Florida Center for Instructional Technology (2005). “Victims”. 《A Teacher's Guide to the Holocaust》. University of South Florida. 2008년 2월 2일에 확인함. 
  355. Niewyk, Donald L. and Nicosia, Francis R. The Columbia Guide to the Holocaus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 pp. 45–52.
  356. Todd, Allan (2001). 《The Modern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21쪽. ISBN 0-19-913425-1. 
  357. Winter, J.M. (2002). 〈Demography of the War〉. Dear, I.C.B.; Foot, M.R.D. 《Oxford Companion to World War II》. Oxford University Press. 290쪽. ISBN 0-19-860446-7. 
  358. “Jasenovac”. 《jewishvirtuallibrary.org》. American-Israeli Cooperative Enterprise. 2010년 1월 25일에 확인함. 
  359. Chang, Iris (1997). 《The Rape of Nanking: The Forgotten Holocaust of World War II》. BasicBooks. 102쪽. ISBN 0-465-06835-9. 
  360. Rummell, R. J. “Statistics”. 《Freedom, Democide, War》. The University of Hawaii System. 2010년 1월 25일에 확인함. 
  361. Himeta, Mitsuyoshi (姫田光義) (日本軍による『三光政策・三光作戦をめぐって』) (Concerning the Three Alls Strategy/Three Alls Policy By the Japanese Forces), Iwanami Bukkuretto, 1996, Bix,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2000
  362. Tucker, Spencer C.; Roberts, Priscilla Mary Roberts (2004). 《Encyclopedia of World War II: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BC-CLIO. 319쪽. ISBN 1-57607-999-6. 
  363. Gold, Hal (1996). 《Unit 731 testimony》. Tuttle. 75–7쪽. ISBN 0-8048-3565-9. 
  364. Tucker, Spencer C.; Roberts, Priscilla Mary Roberts (2004). 《Encyclopedia of World War II: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BC-CLIO. 320쪽. ISBN 1-57607-999-6. 
  365. Harris (2002). 《Factories of Death: Japanese Biological Warfare, 1932–1945, and the American Cover-up》. Routledge. 74쪽. ISBN 0-415-93214-9. 
  366. Sabella, Robert; Li, Fei Fei; Liu, David (2002). 《Nanking 1937: Memory and Healing》. M.E. Sharpe. 69쪽. ISBN 0-7656-0816-2. 
  367. “Japan tested chemical weapons on Aussie POW: new evidence”. The Japan Times Online. 2004년 7월 27일. 2012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25일에 확인함. 
  368. Aksar, Yusuf (2004). 《Implementing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From the Ad Hoc Tribunals to a Permanent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Routledge. 45쪽. ISBN 0-7146-8470-8. 
  369. Hornberger, Jacob (April 1995). “Repatriation—The Dark Side of World War II”. The Future of Freedom Foundation. 2012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25일에 확인함. 
  370. Koh, David (2008년 8월 21일). “Vietnam needs to remember famine of 1945”. The Straits Times (Singapore). 2017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25일에 확인함. 
  371. Harding, Luke (2003년 10월 22일). “Germany's forgotten victims”. 《The Guardian》. UK: Guardian News and Media. 2010년 1월 21일에 확인함. 
  372. Marek, Michael (2005년 10월 27일). “Final Compensation Pending for Former Nazi Forced Laborers”. 《dw-world.de》. Deutsche Welle. 2011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9일에 확인함. 
  373. Applebaum, Anne (2003년 10월 16일). “Gulag: Understanding the Magnitude of What Happened”. 《Heritage Foundation》. 2010년 1월 19일에 확인함. 
  374. North, Jonathan (January 2006). “Soviet Prisoners of War: Forgotten Nazi Victims of World War II”. 《HistoryNet.com》. Weider History Group. 2015년 6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9일에 확인함. 
  375. Overy, Richard (2004). 《The Dictators: Hitler's Germany, Stalin's Russia》. W. W. Norton & Company. 568–69쪽. ISBN 0-393-02030-4. 
  376. Zemskov V.N. On repatriation of Soviet citizens. Istoriya SSSR., 1990, No.4, (in Russian). See also [1] (online version), and Edwin Bacon (1992). “Glasnost' and the Gulag: New Information on Soviet Forced Labour around World War II”. 《Soviet Studies》 44 (6): 1069–1086. JSTOR 152330. ; Michael Ellman (2002). “Soviet Repression Statistics: Some Comments” (PDF). 《Europe-Asia Studies》 54 (7): 1151–1172. doi:10.1080/0966813022000017177. 2012년 11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22일에 확인함.  copy Archived 2013년 1월 15일 - 웨이백 머신
  377. “Japanese Atrocities in the Philippines”. 《American Experience: the Bataan Rescue》. PBS Online. 2010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8일에 확인함. 
  378. Tanaka, Yuki (1996). 《Hidden Horrors: Japanese War Crimes in World War II》. Westview Press. 2–3쪽. ISBN 0-8133-2718-0. 
  379. Bix, Herbert (2001).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HarperCollins. 360쪽. ISBN 0-06-093130-2. 
  380. Ju, Zhifen (June 2002). “Japan's atrocities of conscripting and abusing north China draughtees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Joint Study of the Sino-Japanese War:Minutes of the June 2002 Conference》. Harvard University Faculty of Arts and Sciences. 2012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18일에 확인함. 
  381. “Indonesia: World War II and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1942–50; The Japanese Occupation, 1942–45”. Library of Congress. 1992. 2007년 2월 9일에 확인함. 
  382. “Manzanar National Historic Site”. U.S. National Park Service. 2012년 2월 21일에 확인함. 
  383. Department of Labour of Canada (1947년 1월 24일). 《Report on the Re-establishment of Japanese in Canada, 1944–1946》. 《Department of Labour》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23쪽. ISBN 0-405-11266-1. 
  384. Kennedy, David M. (2001). 《Freedom From Fear : The American People in Depression and War, 1929–1945》. New York City: Oxford University Press. 749–750쪽. ISBN 0-19-514403-1. 
  385. Eugene Davidson "The Death and Life of Germany: an Account of the American Occupation",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1999 ISBN 0-8262-1249-2, p. 121
  386. Stark, Tamás. "Malenki Robot" – Hungarian Forced Labourers in the Soviet Union (1944–1955)” (PDF). 《Minorities Research》. 2010년 1월 22일에 확인함. 
  387. Harrison, Mark (2000). 《The Economics of World War II: Six Great Powers in International Comparis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쪽. ISBN 0-521-78503-0. 
  388. Harrison, Mark (2000). 《The Economics of World War II: Six Great Powers in International Comparis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쪽. ISBN 0-521-78503-0. 
  389. Hughes, Matthew; Mann, Chris (2000). 《Inside Hitler's Germany: Life Under the Third Reich》. Potomac Books Inc. 148쪽. ISBN 1-57488-281-3. 
  390. Bernstein, Gail Lee (1991). 《Recreating Japanese Women, 1600–194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67쪽. ISBN 978-0-520-07017-2. 
  391. Hughes, Matthew; Mann, Chris (2000). 《Inside Hitler's Germany: Life Under the Third Reich》. Potomac Books Inc. 151쪽. ISBN 1-57488-281-3. 
  392. Griffith, Charles (1999). 《The Quest: Haywood Hansell and American Strategic Bombing in World War II》. DIANE Publishing. 203쪽. ISBN 1-58566-069-8. 
  393. Overy, R.J (1995). 《War and Economy in the Third Reich》.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6쪽. ISBN 0-19-820599-6. 
  394. Lindberg, Michael; Daniel, Todd (2001). 《Brown-, Green- and Blue-Water Fleets: the Influence of Geography on Naval Warfare, 1861 to the Present》. Praeger. 126쪽. ISBN 0-275-96486-8. 
  395. Cox, Sebastian (1998). 《The Strategic Air War Against Germany, 1939–1945》. Frank Cass Publishers. 84쪽. ISBN 0-7146-4722-5. 
  396. Unidas, Naciones (2005). 《World Economic And Social Survey 2004: International Migration》. United Nations Pubns. 23쪽. ISBN 92-1-109147-0. 
  397. Liberman, Peter (1998). 《Does Conquest Pay?: The Exploitation of Occupied Industrial Socie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42쪽. ISBN 0-691-00242-8. 
  398. Milward, Alan S (1979). 《War, Economy, and Society, 1939–194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8쪽. ISBN 0-520-03942-4. 
  399. Milward, Alan S (1979). 《War, Economy, and Society, 1939–194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48쪽. ISBN 0-520-03942-4. 
  400. Perrie, Maureen; Lieven, D. C. B; Suny, Ronald Grigor (2007). 《The Cambridge History of Rus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2쪽. ISBN 0-521-86194-2. 
  401. Hill, Alexander (2005). 《The War Behind The Eastern Front: The Soviet Partisan Movement In North-West Russia 1941–1944》. Routledge. 5쪽. ISBN 0-7146-5711-5. 
  402. Christofferson, Thomas R; Christofferson, Michael S (2006). 《France During World War II: From Defeat to Liberation》. Fordham University Press. 156쪽. ISBN 978-0-8232-2563-7. 
  403. Ikeo, Aiko (1997). 《Economic Development in Twentieth Century East Asia: The International Context》. Routledge. 107쪽. ISBN 0-415-14900-2. 
  404. Boog, Horst; Rahn, Werner; Stumpf, Reinhard; Wegner, Bernd (2001). 《Militärgeschichtliches Forschungsamt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Volume VI: The Global War》. Oxford: Clarendon Press. 266쪽. ISBN 0-19-822888-0. 
  405. Kenneth K. Hatfield (2003). "Heartland heroes: remembering World War II.".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p. 91. ISBN 0-8262-1460-6
  406. Tucker, Spencer C.; Roberts, Priscilla Mary Roberts (2004). 《Encyclopedia of World War II: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Sanata Barbara, CA: ABC-CLIO. 76쪽. ISBN 1-57607-999-6. 
  407. Levine, Alan J. (1992). 《The Strategic Bombing of Germany, 1940–1945》. Greenwood Press. 217쪽. ISBN 0-275-94319-4. 
  408. Sauvain, Philip (2005). 《Key Themes of the Twentieth Century: Teacher's Guide》. Wiley-Blackwell. 128쪽. ISBN 1-4051-3218-3. 
  409. Tucker, Spencer C.; Roberts, Priscilla Mary Roberts (2004). 《Encyclopedia of World War II: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BC-CLIO. 163쪽. ISBN 1-57607-999-6. 
  410. Bishop, Chris; Chant, Chris (2004). 《Aircraft Carriers: The World's Greatest Naval Vessels and Their Aircraft》. Wigston, Leics: Silverdale Books. 7쪽. ISBN 1-84509-079-9. 
  411. Chenoweth, H. Avery; Nihart, Brooke (2005). 《Semper Fi: The Definitive Illustrated History of the U.S. Marines》. New York: Main Street. 180쪽. ISBN 1-4027-3099-3. 
  412. Sumner, Ian; Baker, Alix (2001). 《The Royal Navy 1939–45》. Osprey Publishing. 25쪽. ISBN 1-84176-195-8. 
  413. Gardiner, Robert; Brown, David K (2004). 《The Eclipse of the Big Gun: The Warship 1906–1945》. London: Conway Maritime. 52쪽. ISBN 0-85177-953-0. 
  414. Hearn, Chester G. (2007). 《Carriers in Combat: The Air War at Sea》. Stackpole Books. 14쪽. ISBN 0-8117-3398-X. 
  415. Rydill, Louis (1995). 《Concepts in Submarine Desig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쪽. ISBN 0-521-55926-X. 
  416. Rydill, Louis (1995). 《Concepts in Submarine Desig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쪽. ISBN 0-521-55926-X. 
  417. Tucker, Spencer C.; Roberts, Priscilla Mary Roberts (2004). 《Encyclopedia of World War II: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BC-CLIO. 125쪽. ISBN 1-57607-999-6. 
  418. Dupuy, Trevor Nevitt (1982). 《The Evolution of Weapons and Warfare》. Jane's Information Group. 231쪽. ISBN 0-7106-0123-9. 
  419. Tucker, Spencer C.; Roberts, Priscilla Mary (2004). 《Encyclopedia of World War II: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BC-CLIO. 108쪽. ISBN 1-57607-999-6. 
  420. Tucker, Spencer C.; Roberts, Priscilla Mary Roberts (2004). 《Encyclopedia of World War II: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BC-CLIO. 734쪽. ISBN 1-57607-999-6. 
  421. Cowley, Robert; Parker, Geoffrey (2001). 《The Reader's Companion to Military History》. Houghton Mifflin Harcourt. 221쪽. ISBN 0-618-12742-9. 
  422. “Infantry Weapons Of World War 2”. Grey Falcon (Black Sun). 2009년 11월 14일에 확인함. These all-purpose guns were developed and used by the German army in the 2nd half of World War 2 as a result of studies which showed that the ordinary rifle's long range is much longer than needed, since the soldiers almost always fired at enemies closer than half of its effective range. The assault rifle is a balanced compromise between the rifle and the sub-machine gun, having sufficient range and accuracy to be used as a rifle, combined with the rapid-rate automatic firepower of the sub machine gun. Thanks to these combined advantages, assault rifles such as the American M-16 and the Russian AK-47 are the basic weapon of the modern soldier 
  423. Sprague, Oliver; Griffiths, Hugh (2006). “The AK-47: the worlds favourite killing machine” (PDF). controlarms.org. 1쪽. 2011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14일에 확인함. 
  424. Ratcliff, Rebecca Ann (2006). 《Delusions of Intelligence: Enigma, Ultra and the End of Secure Ciph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쪽. ISBN 0-521-85522-5. 
  425. Schoenherr, Steven (2007). “Code Breaking in World War II”. History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San Diego. 2008년 5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15일에 확인함. 
  426. Macintyre, Ben (2010년 12월 10일). “Bravery of thousands of Poles was vital in securing victory”. 《The Times》 (London). 27면. 
  427. Rowe, Neil C.; Rothstein, Hy. “Deception for Defense of Information Systems: Analogies from Conventional Warfare”. 《Departments of Computer Science and Defense Analysis U.S. Naval Postgraduate School》. Air University. 2009년 11월 15일에 확인함. 
  428. “Konrad Zuse (1910–1995)”. Istituto Dalle Molle di Studi sull'Intelligenza Artificiale. 2009년 11월 14일에 확인함. Konrad Zuse builds Z1, world's first programme-controlled computer. Despite mechanical engineering problems it had all the basic ingredients of modern machines, using the binary system and today's standard separation of storage and control. Zuse's 1936 patent application (Z23139/GMD Nr. 005/021) also suggests a von Neumann architecture (re-invented in 1945) with programme and data modifiable in storage 
  429. Franco, Modigliani (1986.6.d). “Life Cycle, Individual Thrift, and the Wealth of Nations” (PDF).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76 (3): 297-313. 2016년 9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430. Brain, Head (2010). 《Evidence-based policy: principles and requirements》 (PDF) (학위논문).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