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국 육군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8월) |
대일본제국 육군 | |||
---|---|---|---|
Imperial Japanese Army | |||
| |||
활동 기간 | 1869년 ~ 1945년 | ||
국가 | ![]() | ||
종류 | 육군 | ||
규모 | |||
명령 체계 | 대본영 | ||
본부 | 육군성 : 도쿄도 우시고메구(현 신주쿠구) | ||
군가 | 육군분열행진곡(陸軍分列行進曲) 열병식행진곡(觀兵式行進曲) 승마부대행진곡(乘馬部隊行進曲) | ||
참전 | |||
지휘관 | |||
지휘관 |
대일본제국 육군(일본어:
개요[편집]
메이지 시대에 근대화,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일본 천황에게 권력이 집중되자, 일본제국 육군은 전력을 증강해 청일 전쟁이나 러일 전쟁에서 잇달아 승리하였다. 그러나 쇼와 시대에 접어들면서 제국 정부로부터 통수권(統帥權) 독립을 주장하여, 제국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 독단과 전횡을 반복했다. 그리고 2.26 사건 이후에는 국정에도 깊숙이 관여하게 되어, 일본을 군국주의(Militarism)의 길로 빠뜨렸다. 일본 육군의 이러한 독단과 전횡은 중일 전쟁을 장기화하고 미국과 외교 관계를 악화시켜, 최종적으로는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계급장[편집]
병에서부터 장성까지 계급장의 심볼이 모두 별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이 계급장을 처음 보는 사람들이 매우 의아해 할 수 있는데 일본 제국 육군 계급장은 별의 개수와 함께 붉은 배경에 그어진 노란 줄의 개수를 따져야 계급을 알 수 있다. 이등병부터 상등병까지는 계급장의 전체 색깔이 붉은 색이며, 병장부터 부사관까지는 계급장의 붉은 배경 위에 노란 줄이 1개 생긴다. 그리고 장교의 경우 위관은 노란 줄 3개, 좌관은 노란 줄 4개가 생기며, 장성의 경우 계급장 전체 색깔이 노란색으로 바뀐다. 노란색은 황제의 색깔로서, 계급장의 배경이 노란색으로 바뀔수록 고위직이라는 원리가 적용된다. 다만, 병장의 경우 노란 줄이 1개지만 별이 없어서 병 계급으로 호칭하고, 준위의 경우 노란 줄이 3개지만 별이 없어서 준사관으로 호칭하는 것이다. 대원수의 경우 천황 전용 계급으로 타인에게 부여되지 않는다.
주요 관계자[편집]
- 간인노미야 고토히토 친왕
- 구리바야시 다다미치
- 노기 마레스케
- 도조 히데키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총리
- 스기야마 하지메
- 야마가타 아리토모
- 야마시타 도모유키
- 오카무라 야스지
- 하타 슌로쿠
- 혼마 마사하루
- 미치노미야 히로히토
각주[편집]
같이 보기[편집]
- 막부육군(ja:幕府陸軍, 막말)
- 육군나카노학교(ja:陸軍中野学校) - 외국어 집중교육을 중심으로 한 첩보장교 양성학교.
- 일본군
- 일본의 전쟁범죄
- 일본 제국주의
- 2·26 사건
- 황도파
- 대정익찬회
- 흑룡회
- 기타 잇키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