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파시즘
파시즘 |
---|
![]() |
역사 •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 로마 진군 (1922년) • 리비아 원정 (1923년 1월) • 뮌헨 폭동 (1923년 11월) • 아벤티노 분리 (1924년) • 1932년 독일 총선 (1932년) • 전권 위임법 (1933년) • 몽트뢰 파시스트 국제회의 (1934년)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1935년) • 스페인 내전 (1936년 7월) • 방공 협정 (1936년 11월) • 프랑코 정권 수립 (1939년 4월 1일) •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1939년 4월 7일) • 강철 조약 (1939년 5월) •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9월) • 삼국 동맹 조약 (1940년) • 동부 전선 (1941년) • 홀로코스트 (1940년대) •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권의 몰락 (1943년) • 아돌프 히틀러의 죽음 (1945년) |
관련 문헌 • 잇키, 《국체론 및 순정사회주의》 (1906년) • 젠틸레, 《순수행위로서의 정신의 일반이론》 (1916년) • 무솔리니, 《이탈리아 전투 파스키 선언서》 (1919년) • 잇키, 《일본개조법안대강》 (1923년) • 히틀러, 《나의 투쟁》 (1925년) • 젠틸레, 《파시즘이란 무엇인가?》 (1925년) • 젠틸레, 《파시스트 문화》 (1926년) • 무솔리니, 《파시즘의 교리》 (1927년) • 무솔리니, 《나의 자서전》 (1927년) • 젠틸레, 《파시즘의 철학》 (1928년) • 로젠베르크, 《20세기의 신화》 (1930년) • 라모스, 《국가의 정복》 (1931년) • 젠틸레, 《예술 철학》 (1931년) • 젠틸레, 《파시즘의 기원과 교리》 (1934년) • 로자옙스키, 《러시아 파시스트의 유언장》 (1935년) |
관련 조직
|
주요 인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탈리아 파시즘(이탈리아어: fascismo italiano 파시즈모 이탈리아노[*])은 이탈리아에서 발달한 파시즘 이념이다. 베니토 무솔리니가 지도한 3개 정당의 이념이었다.[1]
이탈리아 파시즘은 이탈리아 국민주의 및 국민생디칼리슴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은 이탈리아 국민성의 우월함을 드러내고 쇠퇴를 막기 위해 이탈리아의 영토를 확장시키는 데 골몰했다.[2]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은 근대 이탈리아가 고대 로마의 후계자이며, 이것이 지중해를 석권하는 이탈리아 제국을 만들어 이탈리아 국민의 스파치오 비탈레("생활권")를 확보하는 것을 증거한다고 주장했다.[3]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은 경제적으로는 협동조합주의를 표방하여[4] 계급간 협조를 통한 계급간 투쟁 해소를 의도했다.[5]
이탈리아 파시즘은 자유주의, 특히 그 중에서도 고전자유주의에 반대했다. 무솔리니를 비롯한 이탈리아 파시스트 지도자들은 고전자유주의를 개인주의의 파탄이라고 평가절하했다.[6] 하지만 그렇다고 프랑스 대혁명 이전의 세계로 회귀하고자 하는 반동주의를 추구하지도 않았다. 파시즘은 구체제 역시 결함투성이라고 생각했고 진보를 지향했다.[7] 즉 파시즘은 국민주의에 반대하는 마르크스주의식 사회주의에 반대하는 한편,[8] 동시에 드 메스트르식의 반동보수주의에도 반대한 것이다.[9] 이탈리아 파시즘은 이탈리아 국민주의의 성공을 위해서는 이탈리아인들이 공유하는 전통과 역사에 대한 존중과 근대화된 이탈리아에의 헌신이 함께 필수적이라고 판단했다.[10]
각주[편집]
- ↑ Benito Mussolini (2006), My Autobiography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Doctrine of Fascism, Mineloa: NY: Dover Publication Inc., p. 227. Note that some authors refer to Mussolini's first political party as "The Revolutionary Fascist Party".
- ↑ Aristotle A. Kallis. Fascist ideology: territory and expansionism in Italy and Germany, 1922–1945. London, England, UK; New York City, USA: Routledge, 2000, pp. 41.
- ↑ Aristotle A. Kallis. Fascist ideology: territory and expansionism in Italy and Germany, 1922–1945. London, England, UK; New York City, USA: Routledge, 2000. Pp. 50.
- ↑ Andrew Vincent. Modern Political Ideologies. Third edition. Malden, Massaschussetts, USA; Oxford, England, UK; West Sussex, England, UK: Blackwell Publishers Ltd., 2010. Pp. 160.
- ↑ John Whittam. Fascist Italy. Manchester, England, UK; New York City, USA: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5. Pp. 160.
- ↑ Jim Powell, "The Economic Leadership Secrets of Benito Mussolini," Forbes, 22 February 2012
- ↑ Eugen Weber. The Western Tradition: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Heath, 1972. Pp. 791.
- ↑ Stanislao G. Pugliese. Fascism, anti-fascism, and the resistance in Italy: 1919 to the present. Oxford, England, UK: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04. pp. 43–44.
- ↑ Stanley G.Payne. A History of Fascism, 1914–45. Madison, Wisconsin, USA: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5. Pp. 214.
- ↑ Claudia Lazzaro, Roger J. Crum. "Forging a Visible Fascist Nation: Strategies for Fusing the Past and Present" by Claudia Lazzaro, Donatello Among The Blackshirts: History And Modernity In The Visual Culture Of Fascist Italy. Ithaca, New York, US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Pp. 13.
![]() |
이 글은 이탈리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