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뇌의 풍자 묘사
1977년 미국 중앙정보국의 세뇌연구 계획인 MK울트라에 대한 미국 상원의 보고서

세뇌(洗腦, brainwashing, mind control, menticide, coercive persuasion, thought control, thought reform, reeducation)는 국가와 상황에 따라 다른 용어로 마인드 컨트롤, 생각개조 또는 재교육이라고도 한다. 세뇌는 특정한 심리적 기술에 의하여 인간의 마음을 바꾸거나 조종하는 것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세뇌는 피세뇌자가 원하지 않는 생각 또는 사상을 피세뇌자에게 주입시키거나, 피세뇌자의 행동, 가치관, 믿음 등을 바꾸기 위하여 피세뇌자의 비판적이거나 독립적인 사고력을 약화시킨다.[1][2][3][4]

세뇌의 기본적인 개념은 1950년대 한국전쟁 당시 중국공산당이 어떻게 포로들을 효과적으로 포섭하고 그들의 사고관을 개조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발되기 시작되었다. 세뇌의 개념을 긍정하는 사람들은 나치 독일이나 미국의 일부 범죄 사건들, 그리고 인신매매범들의 경우 또한 세뇌의 예로 참고했다. 심리학자인 마가렛 싱어(Margaret Singer), 필립 짐바르도와 반(反)컬트주의에 있는 일부 사람들은 어떻게 사람들이 신흥 종교 및 신흥 단체로 사람들이 전향 및 개종하게 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세뇌의 개념을 받아들였다.

기원[편집]

중국어로 씨나오, 세뇌(洗腦, xǐnăo)는 본래 마오쩌둥 시기의 중국 정부가 '반동주의자'들을 '올바른 사상'을 가지고 새로운 신중국의 사회체계에 편입할 수 있도록 그들을 개조하기 위하여 펼친 강제적 설득행위를 지칭하는 단어였다.[5] 이 단어 자체의 유래는 도교의 용어에서 변형된 단어이다. 도교의 전통에서는 제례를 행하거나 신성한 장소에 진입하기 전에 '마음을 씻는다'는 뜻으로 "세심"(洗心, xǐxīn)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 "세심"(洗心)이라는 용어를 뇌를 씻는다는 "세뇌"(洗腦)로 변형한 것이다.[a]

옥스포드 영어사전에서는 영어로 세뇌를 뜻하는 브레인 워싱(Brain Washing)이라는 단어가 최초로 공개적으로 사용된 것을 1950년 9월 24일 발행된 마이애미 뉴스(Miami News) 신문에서 뉴스 기자인 에드워드 헌터(Edward Hunter)가 기고한 글을 그 최초로 기록하고 있다. 그 글을 기고한 에드워드 헌터는 노골적인 반공산주의자였을 뿐만 아니라, 기자로 위장한 CIA 요원으로 의심받는 인물이었다.[6] 에드워드 헌터와 그 외 일부 인물들은 한국전쟁 당시 일부 미국인 전쟁포로들이 왜 중국인 간수들과 협력하거나 그 중 일부는 심지어 중국 편으로 전향했는지 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하여 중국 용어를 사용했다.[7]

세뇌의 수단[편집]

상대를 세뇌하기 위해서는 첫째 상대를 철저하게 지배하고 상대로부터 자유를 뺏고 기거(起居)를 위시해서 그 생리적 욕구에 이르기까지 엄격히 관리함으로써 상대에게 무력감(無力感)을 준다. 상대에게는 무엇 때문에 고발당했는가를 알리지 않고 더욱 고백을 강요하는 것 같은 방법으로 상대를 전혀 불확정하고 불안정한 심리적 상태에까지 몰아넣는다. 또 상대를 외계로부터 격리하여 고독·고립의 상태로 묶어 놓는다. 그리고 정신적·육체적으로 고통스러운 여러 가지 고문이 가해진다. 예를 들면 세워 둔 채로 반나절 이상이나 질문을 당하고 녹초가 된 다음에 잠시 자는 것이 허락되나 곧 또다시 두들겨 깨워져 질문이 행해진다는 방법 등으로서 끝내는 극도의 정신적·육체적 피로곤비(疲勞困憊)에 달한다. 그의 자존심과 주체성은 파괴되고 가련해질 만큼 굴욕을 맛보게 된다. 그리고 질문자 자신이 그의 유죄를 확신하고 있는 것같이 보이기 때문에 어떠한 변명도 쓸데 없으리라는 절망감에 사로잡히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착란(錯亂)된 상태에서 고백이 이루어지고 새로운 사상이 받아들여지게 된다.

세뇌의 효과[편집]

이상과 같은 세뇌과정이 지나게 되면 특별한 사람이나 정신병질(精神病質)의 사람을 제외한 보통 사람의 거의 전부가 세뇌되어 버린다고 말한다. 세뇌의 효과는 그것이 행하여진 사회에 머물러 있는 한 그 효과를 강화시키는 환경적 자극이 되풀이됨으로써 효과가 지속되지만, 포로(捕虜)가 되어서 세뇌받은 사람이 본국에 돌아간 경우 얼마 후에는 고백과 개조된 사상을 부인하기에 이른다. 이와 같이 세뇌에 의한 사상 개조에는 그것에 요하는 시간과 노력에 비해서 효과는 반드시 지속적이 아니고 또한 광범위한 사람에게 미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참조[편집]

  1. 《Encyclopaedic Dictionary of Religion》 2. Gyan Publishing House. 2005. 
  2. Corsini, Raymond J. (2002). 《The Dictionary of Psychology》. Psychology Press. 127쪽. 
  3. Campbell, Robert Jean (2004). 《Campbell's Psychiatric Dictionary》. USA: Oxford University Press. 403쪽. 
  4. Kowal, D.M. (2000). 〈Brainwashing〉. Love, A.E. 《Encyclopedia of Psychology》 1.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63–464쪽. doi:10.1037/10516-173. 
  5. Taylor, Kathleen (2006). 《Brainwashing: The Science of Thought Control》.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5쪽. ISBN 978-0-19-920478-6. 2010년 7월 2일에 확인함. 
  6. Marks, John (1979). 〈Chapter 8. Brainwashing〉. 《The Search for the Manchurian Candidate: The CIA and mind control》. New York: Times Books. ISBN 978-0-8129-0773-5. 200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In September 1950, the Miami News published an article by Edward Hunter titled ‘"Brain-Washing" Tactics Force Chinese into Ranks of Communist Party’. It was the first printed use in any language of the term "brainwashing", Hunter, a CIA propaganda operator who worked under cover as a journalist, turned out a steady stream of books and articles on the subject. 
  7. Browning, Michael (2003년 3월 14일). “Was kidnapped Utah teen brainwashed?”. 《Palm Beach Post》 (Palm Beach). ISSN 1528-5758. During the Korean War, captured American soldiers were subjected to prolonged interrogations and harangues by their captors, who often worked in relays and used the "good-cop, bad-cop" approach – alternating a brutal interrogator with a gentle one. It was all part of "Xi Nao" (washing the brain). The Chinese and Koreans were making valiant attempts to convert the captives to the communist way of thought. 
내용주
  1. Note: xīn can mean "heart", "mind" or "centre" depending on context. For example, xīn zàng bìng means Cardiovascular disease, but xīn lǐ yī shēng means psychologist, and shì zhōng xīn means Central business district.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세뇌"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