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의 인명 손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때인 1939년 9월 1일 새벽 4시 45분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의 전쟁 기간 중 전쟁으로 인한 사상자 및 재산 피해를 수집한 자료이다.

전체 사상자수는 공식기록도 없고 국가와 학자들마다 제시하는 추정치도 모두 다르다.

민간인을 포함한 총 사상자는 한국식 연구와 외국식 연구의 추정 방법은 다르며 보통 한국식 연구로는 전체 사상자를 5,000만명에서 5,500만명으로 잡고 기아,기근,전염병 등 세부적인것까지 본다면 최대 7,000만명으로 추정한다.한국 교과서에도 대부분 5,000만명에서 5,500만명으로 많이 나와있다. 한국식 연구로는 5,000만명- 7,000만명으로 추정할수 있다.

하지만 외국식 연구로는 5,000만명에서 5,600만명을 전쟁으로 인한 직접적 사망자로 판단하며 기아 및 기근으로 인한 사망 2,000만명-2800만명을 더 더해 7,500만명 정도 또는 7,000만명에서 8,500만명으로 제시하지만, 5,000만명에서 5,600만명으로 추정하던건 비교적 과거이고 최근 연구로는 5,000만명에서 7,000만명까지 추정되므로 최근 연구로는 외국식 연구로 보면 7,000만명에서 1억명 정도 이다.

사망자수는 공식기록이 없기에 추정치가 다양하지만 가장 낙관적인 계산에 따르면 4,000만명- 4,500만명으로 가장 비관적인 계산에 따르면 1억명 이상으로 추정한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에 가장 많은 인명 손실을 낳은 국가는 소비에트 연방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대략 2,340만명(민간인 포함, 군사 사상자는 최대 1,070만명으로 잡고 있음)으로 집계되고 있다.

사망자[편집]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전쟁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합산한 자료이며, 군사뿐만 아닌 민간인까지 합산한 자료이다.

추축국의 인명 피해[편집]

연합국의 인명 피해[편집]

기타[편집]

원자 폭탄의 피해[편집]

  • 일본 제국 일본히로시마시 - 사망자: 약 7~8만 명, 방사능 피해: 약 9~14만 명, 재산피해 69%
  • 일본 제국 일본나가사키현 - 사망자: 약 15~21만 명, 방사능 피해: 약 11~14만 명, 재산피해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