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 (노던 준주)

다윈 | |
---|---|
![]() 다윈의 모습 | |
오스트레일리아의 도시 | |
설립 | 1869년 |
인구 | 124,800명(2009년)[1] |
인구밀도 | 926/km²(2008년)[2] |
소속주 | 노던 준주 |
나라 | ![]() |
위치 | 남위 12° 27′ 0″ 동경 130° 50′ 0″ / 남위 12.45000° 동경 130.83333° |
시장 | 그라에메 소여 |
시간대 | ACST (UTC+9:30) |
지도 |
다윈(Darwin)은 오스트레일리아 노던 준주의 주도이다. 티모르 해에 면한 다윈의 인구는 124,800명[3]이다. 인구가 드문 노던 준주에서는 가장 크고 인구 수가 많은 도시이며, 탑 엔드 지역의 중심 역할을 한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주도들 중에서는 인구가 가장 적다.
다윈은 개척자들의 전초 기지와 작은 항구에서 출발하여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현대적이고 다문화적인 도시로 성장했다. 다윈은 아시아와 근접하여 동티모르나 인도네시아 등의 지역으로 나갈 때 중요한 관문이다. 스튜어트 고속도로는 다윈에서 출발하여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의 포트 어거스타에서 끝난다.
다윈은 항구를 굽어보는 낮은 절벽에 건설되었다. 교외 지역은 북부의 리 포인트에서 동부의 베리마까지 퍼져있다.
탑 엔드의 다른 지역들처럼 다윈의 기후는 건기와 우기가 있는 지중해성 기후이다.
다윈 지역에는 원래 라라키아족이 거주하였다. 1839년 9월 9일 비글 호가 지역을 조사하던 중 다윈 항으로 들어왔다. 존 클레멘츠 위크햄이 비글호의 두 번째 항해에 함께 항해했던 찰스 다윈의 이름을 따 지역의 이름을 다윈 항으로 붙였다. 그곳의 거주자들은 1869년 파머스톤 마을을 세웠고, 이후 1911년 다윈으로 마을의 이름이 바뀌었다.[4]
제2차 세계대전 중의 일본군의 폭격과 사이클론 트레이시로 인해 황폐화된 후 다시 건설되었다.
자매도시[편집]
각주[편집]
- ↑ 오스트레일리아 통계국 (2010년 3월 30일). “Australian Demographic Statistics”. 2010년 3월 31일에 확인함.
- ↑ 오스트레일리아 통계국 (2008년 3월 17일). “Explore Your City Through the 2006 Census Social Atlas Series”. 2008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오스트레일리아 통계국 (2010년 3월 30일). “Australian Demographic Statistics”. 2010년 3월 31일에 확인함.
- ↑ “Darwin – Northern Territory – Australia – Travel – smh.com.au”. The Sydney Morning Herald. 2004년 2월 8일. 2010년 5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영어) 공식 웹사이트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수도와 주도 |
---|
|
![]() |
이 글은 오스트레일리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