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트베르펜
안트베르펜 | |||||
Antwerp Antwerpen | |||||
| |||||
행정 | |||||
국가 | ![]() | ||||
---|---|---|---|---|---|
지역 | 플란데런 지역 | ||||
행정구역 | 안트베르펜주 | ||||
인구 | |||||
인구 | 527,763명(2022년) | ||||
인구 밀도 | 2,581 명/km2 | ||||
광역인구 | 1,200,000 명 | ||||
지리 | |||||
면적 | 204.51 km2 | ||||
기타 | |||||
시간대 | CET / CEST | ||||
우편번호 | 2000–2660 | ||||
지역번호 | 03 | ||||
안트베르펜(네덜란드어: Antwerpen 안트베르펀[*] [ˈɑntˌʋɛrpə(n)] (도움말·정보), 프랑스어: Anvers 앙베르[*], 영어: Antwerp 앤트워프[*]
/ˈæntwɜrp/ (도움말·정보))은 벨기에의 도시로 안트베르펜주의 주도이다. 인구는 약 527,763 명(2020년 1월), 면적은 204.51 km2이다. 1920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이다. 이곳은 큰 강의 어귀에 있어 이 나라의 산물을 집산하는 요충이 되어 있으며, 벨기에 제2의 도시이다.
역사[편집]
옛날 프랑스의 판도에 속해 있을 때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무역의 중심 항구로 삼았는데, 그때 쌓은 선창과 포대 등이 아직도 남아 있다. 또 시내에는 아주 큰 예배당이 있는데, 그 탑의 높이는 74칸에 이르며, 이는 유럽에서 세 번째로 높은 탑이다.[1]
문학[편집]
위다의 소설 《플랜더스의 개》는 안트베르펜 시내와 근교를 무대로 하고 있다.
기후[편집]
안트베르펜 (1981–2010년)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 최고 기온 °C (°F) | 6.2 (43.2) |
7.0 (44.6) |
10.8 (51.4) |
14.4 (57.9) |
18.4 (65.1) |
20.9 (69.6) |
23.2 (73.8) |
23.1 (73.6) |
19.7 (67.5) |
15.3 (59.5) |
10.1 (50.2) |
6.6 (43.9) |
14.7 (58.5) |
일 평균 기온 °C (°F) | 3.4 (38.1) |
3.7 (38.7) |
6.8 (44.2) |
9.6 (49.3) |
13.6 (56.5) |
16.2 (61.2) |
18.5 (65.3) |
18.2 (64.8) |
15.1 (59.2) |
11.3 (52.3) |
7.0 (44.6) |
4.0 (39.2) |
10.6 (51.1) |
평균 최저 기온 °C (°F) | 0.7 (33.3) |
0.5 (32.9) |
2.8 (37.0) |
4.8 (40.6) |
8.8 (47.8) |
11.7 (53.1) |
13.8 (56.8) |
13.2 (55.8) |
10.6 (51.1) |
7.4 (45.3) |
4.1 (39.4) |
1.5 (34.7) |
6.7 (44.1)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69.3 (2.73) |
57.4 (2.26) |
63.8 (2.51) |
47.1 (1.85) |
61.5 (2.42) |
77.0 (3.03) |
80.6 (3.17) |
77.3 (3.04) |
77.2 (3.04) |
78.7 (3.10) |
79.0 (3.11) |
79.5 (3.13) |
848.4 (33.40)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12.3 | 10.6 | 12.0 | 9.2 | 10.6 | 10.4 | 10.2 | 9.9 | 10.3 | 11.4 | 12.9 | 12.8 | 132.7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57 | 77 | 122 | 177 | 208 | 202 | 214 | 202 | 144 | 116 | 62 | 47 | 1,625 |
출처: Royal Meteorological Institute of Belgium[2] |
자매 도시[편집]
튀르키예 아크히사르, 1988년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 1997년부터
네덜란드 로테르담, 1940년부터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1958년부터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1996년부터
독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로스토크, 1963년부터
독일 라인란트팔츠주 루트비히스하펜, 1998년부터
이스라엘 하이파, 1995년부터
프랑스 알자스 오랭주 뮐루즈, 1954년부터
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부슈뒤론주 마르세이유, 1958년부터
중국 상해, 1984년부터
우호 협약 도시[편집]
각주[편집]
- ↑ 유길준 저(1895), 김태준 역, 《西遊見聞〔續〕》 박영사(1976), 298쪽. “이곳은 큰 강의 어귀에 있어 이 나라의 산물을 집산하는 요충이 되어 있으며, 인구 126,600 여 명으로 벨기에 제2의 도시이다. 옛날 프랑스의 판도에 속해 있을 때에 나폴레옹 1세가 무역의 중심 항구로 삼았는데, 그때 쌓은 선창과 포대 등이 아직도 남아 있다. 또 시내에는 아주 큰 예배당이 있는데, 그 탑의 높이는 74칸에 이르며, 이는 구라파에서 세 번째로 높은 탑이다.”
- ↑ “Statistiques climatiques des communes belges: Antwerpen (ins 11002)” (PDF) (프랑스어). Royal Meteorological Institute of Belgium. 2017년 1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2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