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태평양 함대
미국 태평양 함대 | |||
---|---|---|---|
United States Pacific Fleet | |||
| |||
활동 기간 |
| ||
국가 | ![]() | ||
소속 | ![]() | ||
종류 | 전구사령부 | ||
역할 | 아시아-태평양, 인도 해역 안보 확립 | ||
명령 체계 |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 ||
본부 | 하와이주 호놀룰루 진주만 해군기지 | ||
참전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지휘관 | |||
함대 사령관 | 존 C. 아킬리노 중장 | ||
주요 지휘관 |
미국 태평양 함대(United States Pacific Fleet (USPACFLT))는 하와이주 진주만 해군기지에 본부를 두고 있는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예하 해군의 구성사령부이다. 옛 대서양 함대인 미국 함대전력사령부와 함께 미국의 양양(兩洋) 명칭함대이다.
역사[편집]
기원[편집]
부대는 아메리카 대륙 해역과 하와이 주변의 상선 항로를 보호하기 위해 1821년 창설된 태평양 전대에 기원을 두고 있다. 태평양 전대는 1907년에 아시아 전대와 합쳐져 태평양 함대가 창설되었고, 아시아 전대와 태평양 전대는 제1, 2전대로 개편되었다. 3년 뒤, 아시아 전대는 1910년에 편제에서 분리되어 아시아 함대가 되었다. 태평양 함대는 1922년 12월 6일, 대서양 함대와 합쳐져 미국 함대가 되었다. 시간이 지나, 1941년 2월 1일, 미국 함대로부터 아시아 함대, 태평양 함대, 대서양 함대가 개별 부대로 분리되었다. RADM 허스밴드 E. 킴멜이 미국 함대사령관(CINCUS)이자 태평양 함대사령관(CINCPAC)으로 임명되었는데, 10개월 뒤, 일본의 기습적인 진주만 공격으로 태평양 함대는 많은 피해를 입었고, 해군작전부장은 허스밴드 E. 킴멜 제독에게 경계소홀에 따른 기습에 의한 피해에 대해 책임을 물어 그를 해임하였다.
- 태평양 함대의 전투 서열, 1941년 12월 7일자[1]
- 태평양 함대 전투부대(Battle Force, Pacific Fleet)
- 정찰대(Scouting Force, Pacific Fleet)
- 기지대(Cruisers, Battle Force)
- 수륙양육대(ComPhibPac)
프로그램[편집]
훈련[편집]
- 용감한 방패 훈련, 2년 주기, 2006년 ~ 현재;
- 환태평양 합동 연습(RIMPAC), 2년 주기, 2004년 ~ 현재; 주관, 관리, 통제
- 협력항해신속대응훈련(CARAT), 1995년 ~ 현재;
작전[편집]
- 퍼시픽 파트너십(Pacific Partnership), 2004년 ~ 현재
조직[편집]
지휘부[편집]
- 사령관 : VADM 존 C. 아킬리노
- 부사령관 : RADM 매튜 카터
- 함대원사 : James Honea
- 참모국장/집행국장 : 토드 스카퍼 (Mr. Todd Schafer)
편성[편집]
- 서수함대
- 유형별 사령부
- 태평양 함대 해군 항공대 (COMNAVAIRPAC)
- 태평양 함대 수상함대 (COMSURFPAC)
- 태평양 함대 잠수함대 (COMSUBPAC)
- 해군원정전투사령부, 태평양 (NECC)
- 지역 해안사령부
- 주한 미국 해군 (CNFK)
- 주일 미국 해군 (CNFJ)
- 마리아나 해군 합동지역대
- 서태평양 군수단
- 하와이 해군 지역대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 ↑ “United States Navy, 8 / 7 December 1941”. 《niehorster.org》 (영어). 2005년 11월 30일.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 “Command History” (영어). United States Pacific Fleet Public Affairs Office. 2016년 1월 25일.
외부 링크[편집]
- (영어) 공식 웹사이트
- (영어) globalsecurity.org
![]() |
이 글은 군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