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와의 전쟁
![]() | 이 문서는 최근 사건을 다루며,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합니다. |
테러와의 전쟁 | |||||||
---|---|---|---|---|---|---|---|
![]() | |||||||
|
테러와의 전쟁(Terror와의戰爭), 대테러 전쟁(對Terror戰爭, War on Terror), 또는 범지구적 테러와의 전쟁(汎地球的Terror와의戰爭), 범지구적 대테러 전쟁(汎地球的對Terror戰爭, Global War on Terrorism)은 9·11 테러 이후 미국이 시작한 국제적 군사 전쟁을 언급하는 문학적 표현이다.[1]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가 2001년 9월 20일 테러와의 전쟁이라는 표현을 처음으로 언급했다.[1] 부시 행정부와 서구 언론들은 테러 단체나 국가로 지정된 단체들에 맞서 범지구적 군사, 정치, 법, 그리고 개념적 논쟁에 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것은 원래 알카에다나 보코 하람, 캅카스 에미레이트, 탈레반 같은 이슬람 테러주의자들과 관련된 국가들에 집중되어 사용되었다.
2013년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미국이 특별한 적보다는 전술에 집중해야 한다고 보아 테러와의 전쟁을 더 이상 추구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 그는 "우리는 우리의 노력이 국경 없는 '테러와의 전쟁'보다는 미국을 위협하는 폭력적인 급진주의자들의 특수한 연결망을 해체시키기 위한 지속적이고 정확한 노력들로 정의해야 합니다."라고 말했다.[2]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가 나 Eric Schmitt; Thom Shanker. “U.S.”.
- ↑ Shinkman, Paul D. “Obama: 'Global War on Terror' Is Over”. U.S. News & World Report. 2015년 3월 23일에 확인함.
분류:
- 요즘 화제
- 테러와의 전쟁
- 대한민국의 전쟁
- 레바논의 전쟁
- 바레인의 전쟁
- 방글라데시의 전쟁
- 싱가포르의 전쟁
- 아랍에미리트의 전쟁
- 아르메니아의 전쟁
- 아제르바이잔의 전쟁
- 아프가니스탄의 전쟁
- 예멘의 전쟁
- 이라크의 전쟁
- 인도의 전쟁
- 조지아의 전쟁
- 터키의 전쟁
- 파키스탄의 전쟁
- 필리핀의 전쟁
- 그리스의 전쟁
- 노르웨이의 전쟁
- 덴마크의 전쟁
- 독일의 전쟁
- 라트비아의 전쟁
- 루마니아의 전쟁
- 룩셈부르크의 전쟁
- 리투아니아의 전쟁
- 벨기에의 전쟁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전쟁
- 불가리아의 전쟁
- 스페인의 전쟁
- 슬로바키아의 전쟁
- 슬로베니아의 전쟁
- 아이슬란드의 전쟁
- 알바니아의 전쟁
- 에스토니아의 전쟁
- 영국의 전쟁
- 오스트리아의 전쟁
- 우크라이나의 전쟁
- 이탈리아의 전쟁
- 체코의 전쟁
- 크로아티아의 전쟁
- 포르투갈의 전쟁
- 폴란드의 전쟁
- 프랑스의 전쟁
- 헝가리의 전쟁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전쟁
- 부르키나파소의 전쟁
- 알제리의 전쟁
- 에티오피아의 전쟁
- 차드의 전쟁
- 케냐의 전쟁
- 미국의 전쟁
- 엘살바도르의 전쟁
- 캐나다의 전쟁
- 콜롬비아의 전쟁
- 뉴질랜드의 전쟁
- 오스트레일리아의 전쟁
- 2003년 이라크
- 2004년 이라크
- 2005년 이라크
- 2006년 이라크
- 2007년 이라크
- 전쟁과 폭력에 대한 비유
- 미국의 대테러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