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수단 내전
![]() | 이 문서는 최근 사건을 다루며,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합니다. |
남수단 내전 | ||||||||
---|---|---|---|---|---|---|---|---|
남수단 민족 충돌 (2011년-현재)의 일부 | ||||||||
![]() | ||||||||
| ||||||||
교전국 | ||||||||
![]() |
![]() |
| ||||||
지휘관 | ||||||||
![]() |
![]() |
![]() | ||||||
병력 | ||||||||
![]() |
![]() | |||||||
10,000~100,000명 이상 사망[9][10] (대부분 군인,[11] 남수단 민간인 49명 포함[11][10] 인도 평화유지군 2명,[12] 케냐 민간인 2명 사망[13]) 800명 이상 부상[14](미군 4명 부상[15]) 난민 100만명 이상[16] |
남수단 내전은 2013년 12월 14일, 남수단에서 남수단 육군의 파벌 중 일부가 쿠데타를 일으킨 후 발발한 내전이다. 남수단의 대통령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는 다음날 쿠데타가 진압되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16일 이후 전투가 재개되었고 전투가 수도 주바를 넘어서 종글레이 주의 민족 경계선을 따라 전투가 확장되고 있다. 적어도 1,000명이 사망했고 8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대통령 키르 마야르디트는 전 부통령인 리에크 마차르가 쿠데타를 일으켰다고 주장했지만, 마차르는 이를 부인했고 대통령이 권력정치를 일으키려 한다며 키르 마야르디트를 비난했다. 12월 19일에는 남수단 인민군이 보르를 점령했다. 같은 날, 아코보의 UN 구내가 습격당해 UNMISS 소속 인도인 직원 2명이 사망했다.[10]
각주[편집]
- ↑ “South Sudan: ‘White Army’ militia marches to fight”. 《USA Today》. 2013년 12월 28일.
- ↑ “South Sudan's Boma state violence displaces hundreds”. 《Sudan Tribune》. 2016년 3월 31일. 2016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Johnson Olony's forces prefer independent command in Upper Nile state”. sudantribune.com. 2015년 5월 17일. 2018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23일에 확인함.
- ↑ “Government Questions SPLM/A-IO About The Position Of Gen. Johnson Olony”. gurtong. 2016년 4월 2일. 2017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2일에 확인함.
- ↑ “The Conflict in Upper Nile”. www.smallarmssurveysudan.org. 2016년 5월 8일. 2018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South Sudan deploys more troops to Upper Nile as fighting intensifies”. South Sudan News Agency. 2017년 2월 9일. 2017년 2월 9일에 확인함.
- ↑ Ugandan troops deployed in South Sudan capital: report
- ↑ “Egypt supports South Sudan to secure Nile share”. Al Monitor. 2017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South Sudan death toll rises sharply”. 알자지라. 2013년 12월 17일. 2013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21 December 2013 (2013년 12월 21일). “South Sudan: Attack On UN's Akobo Base Killed 30 Civilians, Says Foreign Minister”. allAfrica.com. 2013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Govt: 500 killed in South Sudan violence”. 2013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 “Indian peacekeepers prevented more casualties in S Sudan: UN official”. 《Zee News》. 2013년 12월 22일. 2013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 2 Kenyans killed in South Sudan fighting
- ↑ Four hurt as gunfire hits US military plane sent to evacuate Americans from South Sudan
- ↑ “U.S. Marines poised to enter South Sudan”. CNN. 2013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 Waakhe Simon Wudu (2013년 12월 30일). “Battles rage in South Sudan as cease-fire hopes fade”. The Daily Star.
- ↑ “South Sudan forces battle White Army”. 《The Daily Star》 (LB). 2013년 12월 29일. 2017년 8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25,000 rebels march on strategic South Sudan town”. Press TV. 29 December.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UNMISS Facts and Figures – United Nations Mission in the Republic of South Sudan”. UN. 2012년 1월 2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