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경부고속도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구성: 양산분기점-양산IC는 왕복8차로입니다.
→‎역사: 양산~부산은 APEC때문에 조금 일찍 개통했습니다.
75번째 줄: 75번째 줄:
* [[2003년]] [[12월 15일]] : [[영동1터널]] ~ [[옥천1터널]] 구간 직선화 개통
* [[2003년]] [[12월 15일]] : [[영동1터널]] ~ [[옥천1터널]] 구간 직선화 개통
* [[2003년]] [[12월 23일]] : [[동대구 분기점]] ~ [[김천 분기점]] 71.8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완료
* [[2003년]] [[12월 23일]] : [[동대구 분기점]] ~ [[김천 분기점]] 71.8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완료
* [[2005년]] [[12월 14일]] : [[구서 나들목]] ~ [[언양 분기점]] 40.5km 구간 왕복 6, 8차로 확장 완료
* [[2005년]] [[11월 14일]] : [[구서 나들목]] ~ [[양산 분기점]] 14.5km 구간 왕복 6차로 확장 완료, [[노포 나들목]] 개통
* [[2005년]] [[12월 14일]] : [[양산 분기점]] ~ [[언양 분기점]] 26km 구간 왕복 6, 8차로 확장 완료
* [[2005년]] [[12월 15일]] : [[옥천 나들목]] ~ 증약 지점 5.4km 구간 왕복 6차로 확장 완료
* [[2005년]] [[12월 15일]] : [[옥천 나들목]] ~ 증약 지점 5.4km 구간 왕복 6차로 확장 완료
* [[2006년]] [[11월 8일]] : [[영천 나들목]] ~ [[동대구 분기점]] 16.4km 구간 왕복 6 ~ 8차로 확장 완료
* [[2006년]] [[11월 8일]] : [[영천 나들목]] ~ [[동대구 분기점]] 16.4km 구간 왕복 6 ~ 8차로 확장 완료

2015년 11월 29일 (일) 00:15 판

고속국도
1
고속국도 제1호선
경부고속도로
고속국도 제1호선
거의 모든 구간이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의 일부[1]
노선도
총연장 416.05 km
개통년 1968년 12월 21일
기점 부산광역시 금정구
주요
경유지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주요
교차도로
중앙고속도로지선
울산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익산포항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중부내륙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
중부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1983년 ~ 1997년 1997년 ~ 2001년
노선명 경부고속도로
(고속국도 제1호선)
기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종점 부산광역시 금정구
버스전용차로

경부고속도로(京釜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호선, 의 일부)는 부산광역시 금정구를 기점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2]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개요

1968년 2월 1일에 기공하여 1970년 7월 7일 완공되었다. 대부분의 구간이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 구간의 일부이다.[1] 본래 경부고속도로였던 양재 나들목 - 한남 나들목 구간은 2002년 12월에 고속도로 구간에서 해제되었으며, 현재는 단순한 자동차 전용도로로 취급되고 있다. 경부고속도로의 차로 수는 왕복 4차로에서 10차로로 되어 있으며, 거의 모든 구간이 콘크리트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가장 큰 도시인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를 이으며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등 3개의 광역시를 거친다. 또한 수원시, 성남시, 용인시 등 인구 100만명 이상이거나 그에 근접한 수도권 대도시, 청주시 등 지역 거점 도시들을 거치므로, 통행량이 매우 많다. 때문에 대한민국에서는 ‘국토의 대동맥’등으로 부르기도 한다.[3]

그리고 대한민국 대표 고속도로로 불리기도 한다. 고속도로의 번호가 개통 당시와 변함없이 1번인 이유는 역사적 의미를 갖고 있고, 국가의 중요 도로이며, 남북축 도로이지만 대전 ~ 경주 구간은 동서축 고속도로이며, 영천 구간에서 약간 북쪽으로 올라가는 불규칙한 노선이기 때문에 다른 고속도로와 같은 체계로 번호를 매길 경우 번호가 나누어지며, 이로 인해 혼란이 빚어질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역사

경부고속도로가 완공되기 전 부산과 서울을 통행하는 가장 빠른 방법은 경부선 철도를 이용하는 것이었다. 경부고속도로는 서울과 부산을 5시간 내로 잇는 사업으로, 기공 전에는 현실성 등의 이유로 논란이 많았다. 경부고속도로는 429억원이 투입 되어 1968년 2월 1일부터 1970년 7월 7일까지 2년 5개월만에 완공 되었고, 연인원 892만 8천명과 165만대의 장비가 투입된 대형 사업이었고, 77명이 건설과정에서 사망하였다. 16개의 업체와 3개 건설공병단이 참여하여 건설하였다.[4] 2014년 승용차의 서대전 - 부산간 통행 요금은 13,800원이나 1970년엔 1,000원이었다. 경부고속도로가 개통 되자 고속버스도 운행을 시작 하였다. 1970년 당시 서울 - 부산간 고속버스 요금은 성인 1명 기준 1,600원이었다. 2015년 서울 - 부산간 고속버스 요금은 23,000원이다.

구간별 개통일

구간명 연장(km) 개통일
부산~대구 122.1 1969년 12월 19일
대구~대전 149.8 1970년 7월 7일
대전~천안 68.2 1969년 12월 10일
천안~오산 38.1 1969년 9월 29일
오산~용인 14.2 1968년 12월 30일
용인~서울 23.6 1968년 12월 21일

구성

차로수
총 연장
  • 416.05km (개통 당시 428km)
제한속도

터널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삼평터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250m 2010년 서울방면
판교IC터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281m 2010년 부산방면
대전터널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동 796m 1999년
812m
증약터널 대전광역시 동구 신상동 755m 1999년
삼양터널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서정리 336m 2005년
361m
옥천1터널 충청북도 옥천군 동이면 조령리 681m 2003년
690m
옥천2터널 충청북도 옥천군 동이면 우산리 210m 2003년
212m
옥천3터널 1,613m 2003년
1,593m
옥천4터널 충청북도 옥천군 청성면 묘금리 868m 2003년
873m
영동1터널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길현리 618m 2003년
578m
영동터널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부상리 505m 1970년
475m
황간터널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계룡리 613m 2006년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광평리 624m
경주터널 경상북도 경주시 서면 도계리 152m 1969년
135m

나들목 · 분기점

  •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 (Tollgate), SA는 휴게소 (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 중첩 구간은 번호란의 배경색을 참조.
번호 이름 로마자 이름 한자 이름 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부산시점 Busan 釜山 - 0.00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국도 제7호선 (중앙대로)
금정로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울방향 기준으로
부산시점에서 구서동 만남의 광장 간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의 통행제한이 시행되지 않음
(금정문화회관, 동래여고에 진입하는 경우)[22]
1 구서 Guseo 久瑞 0.60 0.60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11호선 (번영로)
1-1 영락 Yeongnak 永樂 금정도서관로 부산방향 진출입만 가능
영락공원 외에는 진출입 불가[23]
TG 부산 요금소 Busan TG 釜山料金所 본선요금소
2 노포 Nopo 老圃 4.48 5.08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국도 제7호선 (중앙대로)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
고분로
서울방향 진출입만 가능
SA 양산휴게소 Yangsan SA 梁山休憩所 경상남도 양산시 서울방향
3 양산 분기점 Yangsan JC 梁山分岐點 7.76 12.84 551호선 중앙고속도로지선
4 양산 Yangsan 梁山 5.10 17.94 국도 제35호선 (양산대로)
SA 통도사휴게소
통도사 하이패스
Tongdosa SA 通度寺休憩所 12.76 30.70 국도 제35호선 (양산대로) 부산방향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부산방향 진입만 가능)
버스정류장 병행[24]
5 통도사 Tongdosa 通度寺 1.35 32.05 국도 제35호선 (반구대로) 울산광역시 울주군
6 서울산
(삼남)
W.Ulsan
(Samnam)
西蔚山
(三南)
6.43 38.48 국도 제35호선 (반구대로)
7 언양 분기점 Eonyang JC 彦陽分岐點 1.63 40.11 16호선 울산고속도로
(65호선 동해고속도로)
울산방향 진출시 동해고속도로 간접 연결
SA 언양휴게소 Eonyang SA 彦陽休憩所 서울방향[25]
SA 경주휴게소 Gyeongju SA 慶州休憩所 경상북도 경주시 부산방향
9 경주 Gyeongju 慶州 28.15 68.26 국도 제7호선 (산업로·원화로)
국도 제35호선 (반구대로·서라벌대로)
SA 건천휴게소 Geoncheon SA 乾川休憩所 양방향
(부산방향 주유소 없음)
10 건천 Geoncheon 乾川 10.40 78.66 국도 제20호선 (건포산업로·단석로)
11 영천 Yeongcheon 永川 17.73 96.39 국도 제4호선 (대경로)
영천아이시로
영천시
SA 평사휴게소 Pyeongsa SA 平沙休憩所 경산시 부산방향
SA 경산휴게소 Gyeongsan SA 慶山休憩所 서울방향
12 경산 Gyeongsan 慶山 16.45 112.84 지방도 제919호선 (대학로)
13 동대구 분기점 E.Daegu JC 東大邱分岐點 9.27 122.11 55호선 중앙고속도로 대구광역시 동구
14 도동 분기점 Dodong JC 道洞分岐點 4.08 126.19 20호선 익산포항고속도로
16 북대구 N.Daegu 北大邱 7.68 133.87 국도 제4호선 (동북로)
국도 제25호선 (동북로)
대구광역시도 제11호선 (신천대로)
북구
17 금호 분기점 Geumho JC 琴湖分岐點 5.48 139.35 55호선 중앙고속도로
451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18 칠곡물류 Chilgok Logistics 漆谷物流 10.74 150.09 국도 제4호선 (칠곡대로) 경상북도 칠곡군
19 왜관 Waegwan 倭館 3.18 153.27 국도 제4호선 (칠곡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호국로)
SA 칠곡휴게소 Chilgok SA 漆谷休憩所 양방향
20 남구미 S.Gumi 南龜尾 13.98 167.25 국도 제33호선 구미시
21 구미 Gumi 龜尾 5.07 172.32 국도 제33호선
22 김천 분기점 Gimcheon JC 金泉分岐點 10.86 183.18 45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 김천시
22-1 동김천 E.Gimcheon 東金泉 8.82 192.00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9호선 (김선로·환경로)
SA 김천휴게소 Gimcheon SA 金泉休憩所 양방향
23 김천 Gimcheon 金泉 8.27 200.27 국도 제4호선 (영남대로)
24
SA
추풍령
추풍령휴게소
Chupungnyeong
Chupungnyeong SA
秋風嶺
秋風嶺休憩所
12.05 212.32 국도 제4호선 (영남대로) 양방향
25 황간 Hwanggan 黃澗 10.06 222.38 국도 제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충청북도 영동군
SA 황간휴게소 Hwanggan SA 黃澗休憩所 양방향
26 영동 Yeongdong 永同 9.89 232.27 국도 제19호선 (남부로)
지방도 제514호선
27
SA
금강
금강휴게소
Geumgang
Geumgang SA
錦江
錦江休憩所
16.04 248.31 국도 제4호선 (옥천로)
금강로
옥천군 양방향
SA 옥천휴게소 Okcheon SA 沃川休憩所 양방향
28 옥천 Okcheon 沃川 11.40 259.71 국도 제4호선 (옥천로)
국도 제37호선
29 비룡 분기점 Biryong JC 飛龍分岐點 8.67 268.38 35호선 통영대전고속도로
300호선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대전광역시 동구
30 대전 Daejeon 大田 3.56 271.94 국도 제17호선 (대전로)
동서대로
대덕구
31 회덕 분기점 Hoedeok JC 懷德分岐點 5.95 277.89 30호선 당진영덕고속도로
251호선 호남고속도로지선
SA 신탄진휴게소 Sintanjin SA 新灘津休憩所 서울방향
32 신탄진 Sintanjin 新灘津 4.08 281.97 국도 제17호선 (신탄진로)
SA 죽암휴게소 Jugam SA 竹岩休憩所 충청북도 청주시 양방향
33 남청주 S.Cheongju 南淸州 11.08 293.05 국도 제17호선 (청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연청로)
구 청원 나들목
34 청주 분기점 Cheongju JC 淸州分岐點 3.50 296.55 30호선 당진영덕고속도로 구 청원 분기점
35 남이 분기점 Nami JC 南二分岐點 3.94 300.49 35호선 중부고속도로 부산방향의 경우, 하남방향 진출 불가능
36 청주 Cheongju 淸州 4.62 305.11 국도 제36호선 (가로수로)
SA 옥산휴게소 Oksan SA 玉山休憩所 부산방향[26]
SA 청원휴게소 Cheongwon SA 淸原休憩所 서울방향
SA 천안휴게소 Cheonan SA 天安休憩所 충청남도 천안시 부산방향
37 목천 Mokcheon 木川 24.80 329.91 국도 제2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38 천안 분기점 Cheonan JC 天安分岐點 3.53 333.44 25호선 논산천안고속도로
SA 천안삼거리휴게소 Cheonan-Samgeori SA 天安三거리休憩所 서울방향
39 천안 Cheonan 天安 6.70 340.14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제한속도 110km/h 시점
SA 망향휴게소 Manghyang SA 望鄕休憩所 부산방향
39-1 북천안 N.Cheonan 北天安 8.36 348.50 국도 제34호선
SA 입장휴게소 Ipjang SA 笠場休憩所 서울방향
40 안성 Anseong 安城 11.61 360.11 국도 제38호선 경기도 안성시
SA 안성휴게소 Anseong SA 安城休憩所 부산방향
41 안성 분기점 Anseong JC 安城分岐點 4.83 364.94 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
SA 안성휴게소 Anseong SA 安城休憩所 서울방향
42 오산 Osan 烏山 13.27 378.21 국도 제1호선 (경기대로)
지방도 제310호선 (경기대로)
동부대로
오산시
42-1 동탄 분기점 Dongtan JC 東灘分岐點 3.89 382.10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화성시
43 기흥동탄 Giheung-Dongtan 器興東灘 4.39 386.49 지방도 제318호선
기흥 Giheung 器興 0.70 387.19 지방도 제317호선 용인시 서울방향 진출입만 가능
SA 기흥휴게소 Giheung SA 器興休憩所 부산방향
44 수원신갈 Suwon-Singal 水原新葛 5.09 392.28 국도 제42호선 (중부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중부대로)
구 수원 나들목
45 신갈 분기점 Singal JC 新葛分岐點 2.68 394.96 50호선 영동고속도로
SA 죽전휴게소 Jukjeon SA 竹田休憩所 서울방향
TG 서울 요금소 Seoul TG 서울料金所 성남시 본선요금소
47 판교 Pangyo 板橋 11.98 406.94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대왕판교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서현로)
서울방향 진출입시 요금지불
48 판교 분기점 Pangyo JC 板橋分岐點 1.10 408.04 100호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부산방향의 경우, 양방향 (구리·일산) 모두 진출 불가능[27]
대왕판교 Daewang-Pangyo 大旺板橋 0.28 408.32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대왕판교로) 서울방향 진출입만 가능, 진출입시 요금지불
SA 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 Seoul Underground Rendezvous SA 서울만남의廣場休憩所 서울특별시 서초구 부산방향
49 양재 Yangjae 良才 7.73 416.05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경부간선도로
구 경부고속도로 직결

통과하는 지역

교통량

2009년의 교통량 정보는 다음과 같다[28].

구간 거리
(km)
평균 통행량 (대/일)
12시간 24시간
구서 ~ 언양 40.0 43,934 58,852
언양 ~ 동대구 82.2 30,842 42,905
동대구 ~ 금호 17.3 80,110 118,495
금호 ~ 김천 43.9 55,552 86,345
김천 ~ 회덕 94.8 22,949 36,376
회덕 ~ 남이 22.6 69,491 103,187
남이 ~ 천안 32.9 55,362 79,993
천안 ~ 안성 31.5 91,418 126,835
안성 ~ 신갈 30.0 98,519 138,298
신갈 ~ 양재 21.0 115,567 175,044

최고 통행량 지점은 수원신갈 나들목부터 신갈 분기점까지의 2.5km 구간으로, 24시간에 189,828대 (10개 차로, 차로당으로 환산하면 18,983대/차로)가 통과한다. 차로당 최고 통행량 지점은 신갈 분기점부터 판교 분기점까지 13.0km 구간으로 24시간당 차로당 23,038대 ((판교에서 서울 요금소까지는 서울 방향 5차로, 부산 방향 8차로, 이후 구간은 왕복 10차로), 총 184,310대)가 통과한다. 경부고속도로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통행량이 많은 고속도로 중의 하나지만, 대체 도로 등이 계속 개통되면서 2005년부터는 대체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구간 과속 단속

사진

고속도로 지정해제구간

자동차 전용도로
경부간선도로
경부고속도로[31]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의 일부
2002년 12월 고속국도 1호선 지정 해제
총연장 6.86 km
개통년 1968년
기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종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주요
교차도로
경부고속도로
양재대로
남부순환로
사평대로
신논현로
강남대로
올림픽대로

과거 양재 나들목 ~ 한남 나들목 구간은 경부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이었으나, 2002년에 이 구간의 관리권이 한국도로공사에서 서울특별시로 이양되면서 고속도로 구간에서 해제되어 일반 자동차 전용도로가 되었다. 때문에 이 구간은 고속국도법의 적용을 받지 않게 되었으며, 현재는 양재 나들목이 고속국도 제1호선 경부고속도로의 종점이다. 그러나 도로명 주소상 정식 도로명은 여전히 경부고속도로이며, 교통방송 등에서는 아직도 경부고속도로라고 하거나 혹은 “시구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경부고속도로와 이어지는 만큼 이 구간도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한편, 이 도로는 고속도로 구간에서 해제되기 직전인 2002년 11월 25일자로 전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32] 때문에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을 금지하고 있으며,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는 통행을 금지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당국에서는 2006년 1월부터 경부간선도로로 칭하고 있다.[33]

아래 표에서, 구간 거리 및 누적 거리는 2002년 도로현황조서를 바탕으로 하였다.

이름 로마자 이름 한자 이름 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양재 Yangjae 良才 418.62 경부고속도로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경부고속도로 직결
서초 Seocho 瑞草 2.56 421.18 서울특별시도 제92호선 (남부순환로) 한남방향 진입로 폐쇄
반포 Banpo 盤浦 2.28 423.46 사평대로 양재방향 진출입만 가능
잠원 Jamwon 蠶院 0.74 424.20 신반포로 한남방향 진출입로 없음
한남대교 Hannamdaegyo 漢南大橋 1.28 425.48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강남대로)
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 (올림픽대로)
한남대교
압구정로·잠원로
강남구

통과하는 지역

제한 속도

  • 전 구간 : 최고 80km/h, 최저 50km/h

옛 경부고속도로 구간

1990년대 대대적으로 착공된 경부고속도로 대전 ~ 대구 구간의 선형 개량 및 일부 확장 공사로 인해 대전 ~ 영동 구간에는 옛 경부고속도로 구간들이 많이 남아있으며, 대전광역시옥천군 구간에 있는 도로들은 일반도로로 활용 중이다. 구 경부고속도로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같이 보기

각주

  1. 부산 시점에서 구서 나들목까지는 구간이 아니다. 부산광역시도 제11호선 번영로를 거쳐 일본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2. 2002년 이전에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이었다.
  3. 경부고속도로, 불혹 맞이한 국토대동맥, 2010년 7월 7일 연합뉴스
  4. 이다일, 전국 일일생활권 연 국가대동맥, 경부고속도로, 경향신문
  5. 대통령령 제3336호, 1967.12.30.
  6. 65회 국회본회의 13차 회의록
  7.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 대통령령 제3872호, 1969.4.8
  8. 秋風嶺(추풍령)서高速(고속)버스慘事(참사) 25명死亡(사망)22명負傷(부상),《매일경제(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70년 8월 22일 작성.
  9. 고속국도노선지정령, 대통령령 제5770호, 1971.8.31.
  10. 고속국도노선지정령, 대통령령 제9059호, 1978.6.22.
  11. 고속국도노선지정령, 대통령령 제5771호, 1971.8.31.
  12.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2001년 5월 24일)
  13. 대통령령 제17794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2002년 12월 5일)
  14. http://www.ex.co.kr/portal/rod/route/route_info/popup/YOline_widen.html 한국도로공사 노선 안내 2013년 6월 11일 확인.
  15. 경부고속道 양재~천안, 제한속도 110㎞로 올려 조선일보 2010-09-01 00:49
  16. 한국도로공사 경부고속도로 판교 ~ 양재 구간 확장 공사 안내
  17. 한국도로공사 경부고속도로 판교 ~ 양재 구간 확장 공사 안내
  18. 로드플러스 판교분기점~양재IC 확장 조기 개통 안내
  19. 한국도로공사 경부고속도로 영동 ~ 옥천 구간 확장 공사 안내
  20. 경부고속도로 영동~옥천·국도 9곳 추석 전 조기개통 한국경제 2015-09-21 19:02:51
  21. 한국도로공사 경부고속도로 언양 ~ 영천 구간 확장 안내
  22. 도시철도 두실역에서 진입하는 경우 대체도로가 없기 때문이다. 만남의 광장에서 진출하면 체육공원로29번길을 통해 체육공원로로 진입하게 된다.
  23. 금정도서관로는 접속만 될뿐, 영락공원에서 막혀 있어, 실제로는 연결되지 않는다.
  24. 천마고속 소속 부산 ↔ 경주 ↔ 동대구 일반고속 노선과 태화공항리무진 울산 ↔ 김해공항 노선이 정차한다. 다만 태화공항리무진의 경우 이용 전에 미리 운송회사를 통해 연락하여야 한다.
  25. 부산방향은 2011년 8월 25일에 폐쇄되었다. “경부고속도 언양휴게소 25일 폐쇄”. 뉴시스. 2011년 8월 23일. 
  26. 서울 방향 휴게소는 2005년 11월 4일에 폐쇄되었다. “경부고속道 옥산휴게소 폐쇄 (서울방향…낡고 좁아 건립 24년만에)”. 중부매일. 2005년 10월 27일. 
  27. 부산방향 차로에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타려면, 판교 나들목 진출 후 서울방향으로 재진입 하여야만 한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내선에서 서울방향, 외선에서 서울방향도 마찬가지이다.
  28. 2009년 통계 연보 PDF, 95-97 페이지, 교통량 정보제공 시스템, 2010년 8월 21일 읽어봄.
  29. 경부․평택-시흥 고속도로 구간단속카메라 설치 운영 아시아뉴스통신 2014년 2월 9일
  30. 경부·평택-시흥 고속도로 17일부터 구간단속 KBS뉴스 2014년 2월 9일
  31. 도로명 주소
  32. 서울특별시보 서고 제2002-1333호, 2002년 11월 25일 공고.
  33. 특별시도 노선 인정 현황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