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 (釜山 田浦洞 球狀斑糲岩)은 부산광역시 황령산 서쪽 기슭에 드러난 반려암 의 노두 이며 부산국가지질공원 의 지질유산이다. 반려암 의 노두는 1979년 12월 김형식, 김진섭, 김항묵에 의해 처음 발견 보고되었으며[ 1] 1980년 10월 27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67호로 지정되었다.
구상암(球狀岩)이란 공처럼 둥근 암석으로 특수한 환경 조건에서 형성되며, 대부분 화강암 속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부산 전포동의 구상 반려암은 길이 400m, 폭 300m에 달하는 반려암 속에 구상암이 들어있는 형태를 하고 있으며, 이는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기록된 희귀암석의 종류이다. 구상암의 지름은 작게는 1㎝ 이하인 것부터 크게는 5∼10㎝인 것도 있다. 색깔은 암록회색 내지는 연한 회색이다.[ 2]
부산 전포동의 구상 반려암은 암석의 생성과정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매우 희귀하고 특수한 암석으로서 지질학적 연구가치가 크다.[ 2]
구상반려암 지질명소는 부산의 중심부에 위치한 황령산의 서편 전포동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지역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에 관입한 불국사 화강암 류의 일종인 반려암 (gabbro)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에서 마그마가 서서히 냉각되어 만들어지는 심성암에서는 등립질, 중립질, 세립질의 현정질조직이 나타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구상반려암에서는 암석 중의 광물들이 어떤 점(핵)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의 구를 이루면서 분포하는 구상조직이 나타난다. 구상구조가 나타나는 반려암의 분포면적은 약 0.14 km2 에 달하며, 이는 구상반려암뿐만 아니라 모든 구상암 중에서도 세계적인 규모에 속한다. 아울러 도심지 한가운데에 위치한 특수성을 지닌 구상반려암은 지금까지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보고되고 있어 연구가치가 매우 높은 부산국가지질공원의 으뜸 명소이다.
신동층군 하양층군
유천층군 불분명·기타 지역별 지질
지질 유산
경북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 청송지질공원
암석
지질유산
퇴적암 류화성암 류
주왕산 기암단애
주방천 페퍼라이트
주왕산 연화굴
주왕산 용추협곡
주왕산 용연폭포
주왕산 급수대 주상절리
주왕산 절골협곡
주산지
청송 얼음골
법수도석
병암 화강암 단애
나실 마그마 혼합대
면봉산 칼데라
수락리 주상절리
파천 구상 화강암
청송 구과상 유문암
노루용추 계곡
달기약수
의성지질공원 영양소분지 의성소분지
대구 경남
부산 울산 기타
경상 분지 내 단층
지하자원
암석
선캄브리아기 고생대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
지층 삼엽충 생층서대
묘봉층
Redlichia
Elrathia
Mapania
Bailiella
세송층
Stephanocare
Neodrepanura
Prochuangia
Chuangia
Kaolishania
화절층
Asioptychaspis subglobosa
동점층
두무골층
Asaphellus
Protopliomerops
Kayseraspis
직운산층
코노돈트 생층서대
화절층
Proconodontus
Eoconodontus notchpeakensis
Cambrooistodus minutus
Cordylodus proavus
Fryxellodontus inornatus-Monocostodus sevierensis-Semiacontiodus lavadamensis
두무골층
Chosonodina herfurthi-Rossodus manitouensis
Glyptoconus quadraplicatus
Paracordylodus gracilis
Triangulodus dumugol
막골층
Triangulodus changshanensis-Aurilobodus leptosomatus
직운산층
Eoplacognathus suecicus-Eoplacognathus jigunsanensis
영월층군
지층 삼엽충 생층서대
삼방산층
Metagraulos sampoensis
Megagraulos semicircularis
마차리층
Tonkinella
Lejopyge armata
Glyptagnotus stolidotus
Glyptagnostus reticulatus
Proceratopyge tenuis
Hancrania brevilimbata
Eugonocare longifrons
Eochuangia hana
Agnostotes orientalis
Pseudoyuepingia asaphoides
와곡층
Fatocephalus hunjiangensis
문곡층
Yosimuraspis
Kainella
Shumardia
영흥층
필석 생층서대
문곡층
Adelograptus
Callograptus-Dendrograptus
Psigraptus
평창층군 용탄층군
문경층군 평남분지 주요 화석
바실리엘라
직운산층
Basiliella sp.
Basiliella kawasakii
Basiliella typicalis
Basiliella choii
돌레로바실리쿠스
직운산층
Dolerobasilicus yokusensis (Kobayashi)
지질구조
지질유산
지하자원
기타
고생대 평안 누층군 고생대 옥천 누층군
충주·제천 보은·옥천 대전 이남 지역별 지질 지질유산
중생대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 하양층군
유천층군 불분명·기타 지역별 지질
지질 유산
경북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 청송지질공원
암석
지질유산
퇴적암 류화성암 류
주왕산 기암단애
주방천 페퍼라이트
주왕산 연화굴
주왕산 용추협곡
주왕산 용연폭포
주왕산 급수대 주상절리
주왕산 절골협곡
주산지
청송 얼음골
법수도석
병암 화강암 단애
나실 마그마 혼합대
면봉산 칼데라
수락리 주상절리
파천 구상 화강암
청송 구과상 유문암
노루용추 계곡
달기약수
의성지질공원 영양소분지 의성소분지
대구 경남
부산 울산 기타
경상 분지 내 단층
지하자원
신생대 북한
신생대 관입암류 중생대 관입암류 고생대 관입암류 원생대 관입암류 시생대 관입암류
주요 지질 구조
주요 지진
고려 시기 이전 (- 1392)
(고구려 졸본 (2 · M?) )
위례성 인근 (13 · M?)
위례성 인근 (27 · M6.3)
광주 (89 · M6.3)
경주 (100 · M6.3)
경주 (123 · M6.3)
경주 (304 · M6.3)
평양 (502 · M6.3)
경주 (510 · M6.3)
경주 (664 · M6.3)
경주 (779 · M6.7)
경주 (780 · M6.3)
개성 (1036 · M5.7)
개성 (1385 · M6.3)
조선 시기 (1392-1905)
순천 (1455 · M6.4)
한성 (1518 · M6.7)
백천 해역 (1518 · M6.7)
경산 (1553 · M6.3)
백두산 인근 (1597 · M8<)
수원 (1613 · M6.3)
합천 (1643 · M6.4~6.7)
울산 해역 (1643 · M6.7)
황해 해역 (1649 · M6.5)
순창 (1664 · M6.3)
황해도 청단 (1668 · M6.4)
김제 해역 (1670 · M6.3)
양양 해역 (1681 · M7.5)
홍성 (1700 · M6.5)
개성 (1714 · M6.7)
함흥 (1727 · M5.7)
부령 (1810 · M?)
대한제국 중부 (1899 · M6.4)
근대적 관측 시기 (1905-1977년) 정밀 관측 시기 (1978년-현재) 한국에 영향을 준 지진해일
지역별 지질
지질 명소
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 한국의 산맥 관련 기관 옛날 지질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