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세계의 역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계사(世界史), 혹은 세계의 역사, 내지는 인류사(人類史)는 선사 시대부터 이어져 온 지구상 모든 인류의 경험과 활동을 기록한 역사이다.[1] 넓은 의미에서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같은 원인(原人)에서부터 호모 사피엔스와 같은 현생 인류에 이르기까지의 진화 과정 전체를 다룬다.[2] 학자들은 생활 양식에 따라 선사 시대, 고대, 중세, 근대, 현대와 같이 시기를 구분하며, 지역과 문화에 따라 서양사, 유럽사, 중동사와 같이 구분하기도 하고, 한국의 역사, 일본의 역사, 미국의 역사와 같이 나라별로 구분하기도 한다. 세계사는 이러한 시기와 지역 및 나라별 역사에 대하여 "하나의 전체로서 통일적인 연관성을 지닌 세계의 역사"[3]를 가리키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생 인류는 대략 30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진화했으며 처음에는 수렵 생활을 영위했다. 이들은 마지막 빙하기가 끝나갈 무렵 아프리카에서 다른 대륙으로 퍼져나갔으며, 12,000년 전에 빙하기가 완전히 막을 내렸을 때는 지구 대부분에 거주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서아시아 지역에서 일어난 신석기 혁명 덕분에, 인류는 식물과 동물을 어느정도 이해하고 초기 농업목축업을 시작했으며 이때 많은 사람들이 유목민에서 정주민으로 생활 방식을 전환했다. 인류 사회의 복잡성이 커져 나감에 따라 회계쓰기와 같은 문명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결국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인더스, 황허에서 초기 문명들이 등장했다. 이후 문명에서 발전해 나온 수많은 지역 국가들이 출현했고 농경이 본격적인 사회 기반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인구 역시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 무렵에 힌두교불교, 유교, 그리스 철학, 도교, 유대교, 조로아스터교 등의 다양하고 혁신적인 철학적, 종교적 사상이 대두되어 각 문명의 정체성을 형성하기도 했다. 기원전 1,500년에서 기원후 1,500년 사이의 기간은 각 지역의 문명들이 세계의 새로운 지역으로 확장해나가며 다른 문명 사회들과 전쟁을 비롯한 여러 교류를 시작한 시기였다. 이때는 로마 제국, 이슬람 칼리파국, 몽골 제국, 중국 왕조들이 두각을 드러냈으며 이들 이외에도 다양한 국가들이 흥망성쇠를 거듭했다. 이 시기의 화약인쇄기, 그리고 몇몇 기술의 발명은 이후의 역사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기원후 1,500년에서 1,800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유럽 강대국들은 전 세계를 탐험하고 식민지화하여 각 지역들 간의 문화적, 경제적 교류를 강화했다. 이 시대에는 르네상스, 과학 혁명, 계몽주의 전파에 힘입어 특히 유럽에서 지적, 문화적, 기술적으로 상당한 수준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18세기에 이르러 지식과 기술의 축적은 산업 혁명을 불러일으켰고, 유럽 사회의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어냈다. 세계화 과정에서 유럽 국가들은 서로 다른 문명을 '억지로' 연결하고 19세기 내내 그들의 지배력을 강화하려 애썼다. 이들의 이해관계가 충돌한 결과 두 차례의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인류는 전쟁의 무서움과 국제 사회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1950년을 전후하여 오늘날의 세계는 인구, 농업, 산업, 경제, 과학, 통신, 군사 등의 분야에서 이전과는 비견될 수 없을 정도의 성장을 일구어냈다. 다만 그 과정에서 발생한 환경 오염이나 소수 민족, 테러, 내전 등의 문제는 현대 인류가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선사시대

[편집]
Skeleton
최초로 발견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유골은 "루시"라고 이름붙여졌으며 그 키는 1.06m에 불과했다.[4]

선사 시대문자가 발명되기 이전의 인류의 역사이며, 석기 시대 전반을 포함하고 별다른 문자 기록이 없기 때문에 당시 사용하였던 도구를 기준으로 구석기, 중석기, 신석기 등으로 구분된다. 이때는 재산의 유무가 없어 모두가 평등한 공산사회이기도 했다.

인류의 진화

[편집]

아프리카에서, 인류는 유인원에서부터 차츰 진화하여 대략 700~500만 년 전에 호미닌(사람속)으로 분화했다.[5][6][7][8] 최초의 인류는 에티오피아의 아파르 지역에서 발견된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로 대략 450~440만 년 전에 거주했으며,[9] 420만 년 전에 우리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원시 인류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로 진화했다. 두 발로 걸을 수 있는 능력은 원시 인류들을 침팬지같은 다른 영장류와 구분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의 서식지를 삼림에서 사바나 초원으로 바꾸는 중대한 변화를 일으켰다.[10][11] 초기 인류들은 약 330만 년 전부터 초보적인 석기를 이용하기 시작했다.[a][15][16]

'호모'(Homo) 속은 초기 인류였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Australopithecus) 속에서 별도로 분화해나왔다.[17] 가장 오래된 호모 화석은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된 280만 년 된 LD 350-1이며,[18] 학자들은 이들 종을 230만 년 전에 진화한 호모 하빌리스라고 명명했다.[19] 호모 하빌리스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보다 뇌 용량이 50% 정도 증가했다는 차이점이 있다.[20] 호모 하빌리스에서 다시 진화한 호모 에렉투스[b] 200만 년 전에 분화되었으며[21][c] 아프리카를 떠나 유라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간 최초의 사람속이다.[23] 최소 150만 년 전에,[d] 확실하게는 25만 년 전부터 원시 인류는 불을 사용하여 요리를 포함한 여러 작업들을 수행하기 시작했다.[24][25]

대략 50만 년 전에 호모속은 유럽의 네안데르탈인, 시베리아의 데니소바인, 인도네시아의 플로레스인 등 새롭고 다양한 구인류로 진화해나갔는데,[26][27] 이것은 단순히 선형(線形)적이거나 분지(分枝)적인 진행이 아니라 근연종들 간의 교배 및 혼혈을 수반했다.[28][29][30] DNA 연구에 따르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모든 인류 개체군에는 네안데르탈인에서 기원한 여러 유전자가 있다고 하며, 네안데르탈인 및 데니소바인과 같은 다른 사람속들이 오늘날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사람들에게 그들 게놈의 최대 6%를 나누어주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31][32]

인류의 이주

[편집]
World map with arrows showing human migrations
해안 이주설, 또는 남부 분산설에 따른 세계로의 인류 이주 상상도. 년도 단위는 1,000년 기준(Kya)이다.

180만 년 전에 호모 에렉투스는 사하라 남부를 벗어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리고 100만 년 전, 하이델베르크인이 아프리카 북부와 근동 지방으로 퍼져 나간 데 이어 약 50만 년 전에는 북유럽에까지 이르렀다.[9] 진정한 현생 인류라고 할 수 있는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종은 약 30만 년 전의[e] 아프리카에서 출현했다.[f][34][35][36] 그뒤 인류는 10만 년 전에는 보석과 황토를 이용해 몸을 치장할 정도가 되었으며[37] 5만 년 전에는 죽은 이를 매장하고 투척 무기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항해술을 구사할 수준까지 계속 진화했다.[38] 정확한 날짜는 알 수 없지만, 이 시기에 이루어진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는 구문 언어의 발달로 인류의 의사소통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점이다.[39] 초기 예술적 표현의 징후는 상아, 돌, 뼈로 새긴 동굴 벽화와 몇몇 조각품들에게서 나타나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애니미즘이나[40] 샤머니즘의 초기 형태로 간주되기도 한다.[41] 독일 슈바벤 주라에서 발견된 뼈 피리는 4만 년 전의 인류가 사람의 목소리 말고도 악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42][43] 이때의 인류는 수렵채집 사회였으며 때때로 유목생활도 병행했다.[44]

바위그림. 25,000년 전에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유행했다. 이 그림은 보다 나중의 것으로 '광채가 나는 두 형제'를 묘사하고 있는데, 오스트레일리아 남서부에서 온 와르다만 원주민의 조상 숭배 정신을 보여준다.[9]

해부학적으로 보면 호모 사피엔스, 그러니까 현생 인류의 아프리카 기원은 대략 194,000~177,000년 전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었다.[45][g] 학자들 사이에서는 50만 년 전 즈음에 첫번째 이동이 멈추었고 10만 년 전에 호모 사피엔스가 아프리카 남부 사하라에서 퍼져나가면서 두번째 이동이 시작되었으며, 아프리카인을 제외한 모든 현대 인류가 이때 아프리카를 떠난 이들의 후손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49][50][51][h] 당시 지구는 제6빙하기 전의 온난기로 아프리카 대륙에는 이미 나일강이 흐르고 있었고 현재의 사하라 사막 등 아프리카의 사막은 녹지였을 것으로 추측된다.[53] 65,000~50,000년 전, 인류는 배를 타고 오스트레일리아에 이르렀고[54] 45,000~30,000년 전에는 유럽,[55] 33,000년 전에는 서태평양들의 섬들에 인류가 살기 시작했으며 21,000~15,000년 전에는 아메리카에도 인류의 발길이 닿았다.[56] 4,500년 전, 대륙빙하가 줄어들자 극지방 근처까지 주거지가 넓혀졌다. 마침내 2,000년 전에 인류는 태평양 한가운데의 섬들까지 퍼져나갔고 1,200년 전에는 뉴질랜드에 도달했다.[9] 이들 모두는 아직 날씨가 그다지 온난하지 않았던 최종빙기 시기에 이루어졌다.[57][58]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 12,000년 전에 빙하기가 끝나갈 무렵, 인류는 (극지방 깊숙한 곳을 제외한) 지구상의 거의 모든 지역에 존재하고 있었다.[59] 한편 이때 홍적세 후기 멸종네안데르탈인의 절멸이라는 두가지 사건이 일어났다.[60] 이것은 아마도 기후 변화나 인간 활동이라는 각각의 요소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거나, 아니면 두 요소 모두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지도 모른다.[61][62]

농경과 초기 인류 발전

[편집]
  소련의 니콜라이 바빌로프가 1930년대에 제안한 인류 기원의 중심지
  최근 연구에 따르면 3번 지역은 더이상 기원 중심지가 아님
  뉴기니 (P 지역)는 최근에 기원 중심지로 밝혀짐
[63][64]

기원전 10,000년에서 기원전 4,000년 사이에 중요한 변화 세 가지가 일어났는데, 정착 생활의 시작과 최초의 농경, 최초의 도시 건설이 바로 그것이다. 특히 그중에서도 농업의 발전을 두고 신석기 혁명이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하지만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기원전 8,000년경에 오늘날과 같은 기후 조건이 마련되기 전까지 수천 년 동안 식량을 습득하는 기술은 아주 천천히 변화해왔다. 그때까지 인류는 수렵 및 채집을 하는 무리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개체 수가 점차 늘어나기는 했지만 생활 방식은 이전의 선조들과 거의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인류는 자연 조건을 적절하게 개조하면서 자신들이 재배할 수 있는 종의 수를 늘려나갔는데, 이는 전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것이었지만, 특히 남위 10°에서 북위 50° 사이의 지역에서 오늘날과 같은 종류의 동식물들을 길렀다. 인류가 야생 곡물을 수집하여 먹었던 것은 최소한 105,000년 전이지만,[65] 그로부터 수만 년이 지난 23,000년 전이 되서야 레반트의 갈릴리 호수에서 겨우 에머 밀, 보리, 귀리와 같은 곡물들을 재배하기 시작했다.[66][67] 한편 쌀은 기원전 11,500년에서 기원전 6,200년 사이에 중국에서 작물화되었으며, 최소한 기원전 5,700년에 최초로 재배가 확인되었고[68] 녹두, 대두, 아즈키 콩이 그 뒤를 이었다. 양은 13,000년에서 11,000년 전에 메소포타미아에서 길들여졌으며,[69] 돼지의 가축화는 약 10,500년 전에 유럽, 동아시아, 서남아시아를 포함하여 유라시아의 대부분 지역에서 야생 맷돼지를 길들이면서 이루어졌다.[70][71] 에티오피아 고원과 서아프리카 열대우림에는 또다른 농경 중심지들이 생겨났고[72] 인더스 강 주변에서는 기원전 7,000년 즈음에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했을 뿐만 아니라 기원전 6,500년경엔 이미 소를 가축화하여 사용하고 있었다.[73][i] 남미의 안데스 산맥 일대에서는 감자가 10,000년에서 7,000년 전에 콩 및 코카, 라마, 알파카, 기니피그와 함께 재배·사육이 가능한 종이 되었고 사탕수수와 몇몇 뿌리 채소들은 9,000년 전 뉴기니에서 작물화됐다.

식물 재배 및 동물 가축화의 기원, 기원전 4,000년경
식물 재배 및 동물 가축화의 기원, 기원전 4,000년경[9]
- 중국·동남아시아 서남·중앙아시아 열대 아프리카 북부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북부
곡물 아시아벼, 기장, 조 보리, 귀리, 호밀, 밀 아프리카 벼 옥수수, 테오신트 (없음)
콩류 녹두, 대두 잠두, 이집트 콩, 야생 완두, 렌즈콩, 완두 동부, 완두 강낭콩, 꼬투리콩, 덩굴콩 강낭콩, 리마콩
뿌리 작물 토란, 얌 당근, 파스닙, 무 (없음) 카사바, 감자, 고구마, 얌
과일 살구, 바나나, 감귤류, 망고, 복숭아 사과, 대추야자, 무화과, 포도, 올리브, 배 타마린드, 수박 아보카도, 토마토 구아바, 파인애플, 가시여지, 번여지
기타 작물 가지, 코코넛, 사고야자, 차 마늘, 양파, 홍화 커피, 야자, 참깨 칠레 후추, 호박 캐슈, 칠레 후추, 코코아, 땅콩, 퀴노아, 호박
가축 닭, 돼지, 소, 물소, 염소, 사슴, 말, 당나귀, 낙타, 야크 칠면조, 기니피그, 라마, 알파카

신석기 혁명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설명이 제안되었다.[75] 일부 이론에서는 인구 증가를 주요 요인으로 파악했는데, 이에 따르면 사람들은 늘어나는 식량 소비를 감당하기가 어려워져 새로운 식량원인 곡물을 찾게 되었다. 한편 다른 이들은 인구 증가가 원인이 아닌, 식량 공급의 개선이 이루어진 '결과'라고 보기도 한다.[76][j] 추가로 제안된 가설로는 기후 변화, 자원 부족 등이 있긴 하다.[77]

기원전 7,000년에서 6,000년경에는 곳곳에서 신석기 마을이 나타났다. 당시 경제 체제는 동식물의 사육 및 재배 기술의 발전에 토대를 두고 있었다. 이 무렵에 아나톨리아부터 자그로스 산맥에 이르는 광활한 지역에서 밀과 보리 재배, 염소 사육 등이 일반화되었고 이러한 농업 관행은 곧이어 그리스와 그 너머 유럽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 지역들은 농사를 짓기에는 너무 건조했다. 기원전 6,000년에서 기원전 5,000년 무렵에 강에서 물을 끌어들이는 관개 기술이 개발되고 나서야 농경지가 비로소 메소포타미아 평원까지 확대될 수 있었다. 파키스탄의 카치 평원에서는 기원전 7,000년에 정착 농경이 시작되었는데, 그 지역의 사람들은 보리와 밀을 재배했고 양, 소, 염소를 길렀으며, 기원전 6,000년부터는 진흙 벽돌로 창고를 지은 뒤에 그곳에 식량, 도구, 교역품을 구분하여 저장하였다. 한편 근동에서는 기원전 8,000년경에, 중국에서는 기원전 5,500년경에 마을에 방어 성벽을 쌓기 시작했다. 나아가 이들은 농경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동물의 힘을 이용하기 시작했는데, 소가 최초였다. 또한 기원전 5,000년~기원전 4,000년 사이에 번성한 이집트의 파이윰A 문화의 경우 당시 사용한 토기와 움집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보리, , 아마와 같은 작물이 재배되었고 양과 나귀를 가축으로 길러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78]

여성의 성적 특징을 과장한 진흙 조각품. 풍요나 다산을 기원하는 것으로, 초기 농경지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위의 조각상은 튀르키예 중남부의 차탈회위크에서 발굴된 것으로 높이는 불과 16.6m이다.

기존의 수렵채집 사회는 직접적으로 식량 생산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들에게는 식량을 제공하지 못했지만, 농경 사회로 체제가 전환되자 이제는 그렇지 않았다.[79] 곡물의 엄청난 생산성 덕분에 식량 생산은 이제 흑자로 돌아섰고 인구 부양력이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결국 농경을 통해 식량을 마련하려는 새로운 생활 방식이 등장한지 2,000년이 채 못 되어 몇몇 지역에서 부락이 등장했으며, 5,000년이 지난 뒤에는 최초의 도시가 건설되기 시작했다.[80][9]

도시는 무역, 제조, 권력의 중심지였으며[81] 다른 마을들과 생산물을 서로 교환하고 공산품 및 다양한 수준의 정치적 이익을 제공하는 등 상호 유익한 관계를 발전시켰다.[82][83] 초기 원시 도시는 기원전 10~9세기에 건설된 차탈회위크예리코(성벽 도시)였다.[84][85][86][k] 한편, 유라시아 스텝 지역이나 아프리카의 사헬 지대와 같이 농경에 적합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동물을 이끌고 목초지를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 다니는 유목 생활 방식이 발전했다.[88] 그러나 유목 생활은 필연적으로 농경 생활에 비해 생산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었고, 이것을 만회하기 위해 유목민들이 이따금 마을이나 도시들을 공격하고 약탈하는 사건은 이후의 세계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되었다.[89]

신석기 시대의 사회는 일반적으로 그들의 조상이나 성지, 또는 의인화된 을 숭배했는데,[90] 가장 대표적인 예는 기원전 9,500~8,000년에 건설된 튀르키예의 종교적 복합단지인 괴베클리 테페이다.[91][92] 또한 기원전 5,000년 경에 세워진 이집트 분묘에서는 매장된 시신과 함께 토기, 장신구와 같은 유물과 의 뼈가 발견되어 당시 이미 내세 사상이 있었음을 알게 해 준다.[93] 당시 일반적인 숭배 대상은 태양이었으며 이러한 태양 숭배는 이집트, 인도, 중국, 한반도 등 지역에서 두루 발견된다.[94][95] 또한, 모성 숭배와 함께 하늘을 아버지에 견주어 숭배하는 사상도 이 때부터 시작되었다.[96]

야금술은 기원전 6,400년경 구리 도구와 장식품을 제작하기 위해 처음 발명되었으며[72] 얼마 있지 않아 그 대상이 으로까지 확대되었다.[72] 구리주석의 합금인 청동은 기원전 4,500년경에 최초로 등장했지만,[97] 기원전 3,000년대가 되어서야 비로소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98]

고대

[편집]

이 시기가 되면서 인류는 지역에 따라 독특한 문화를 가진 문명을 이루어냈고 문자를 발명했으며 스스로의 역사를 기록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다른 지역과의 교역으로 세계에 대한 인식이 발전하여 지도의 제작과 지리에 대한 기록으로 이어졌다. 한편,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과 인간에 대한 성찰은 철학, 종교, 윤리와 같은 문화를 낳았다. 고대 시기의 국가들은 문명에 따라 도시 국가의 모습을 띠기도 하고 제국을 이루기도 하였다. 국가의 지배를 위해 법률이 제정되었고 이웃 지역과의 충돌로 국가간 전쟁이 일어났다. 고대 시기의 시작과 끝은 각 문화마다 그 시기가 다르다.

문명의 요람

[편집]
Three large pyramids in the desert, together with subsidiary pyramids and the remains of other structures
이집트의 기자 대피라미드
Photo of a cuneiform inscription
튀르키예 동부에서 발견된 쐐기문자

청동기 시대에 이르러 각 지역에서 문명이 발전해나가기 시작했다.[99][100] 최초의 문명인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기원전 3,300년경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근처의 저지대에서 일어났으며,[101][102] 그 뒤를 이어 나일 강이집트 문명(기원전 3,200년경),[103][104] 페루 해안의 노르테 치코 문명(기원전 3,100년경),[105] 파키스탄 인더스 강인더스 문명(기원전 2,500년경),[106][107][108] 그리고 황하양자강 일대의 황하 문명(기원전 2,500년경)이 차례대로 발생했다.[109][l]

이들 문명은 중앙집권적인 정부, 복잡한 경제 및 사회 구조, 글자와 기록 보관 체계 등의 여러 공통된 특성을 발전시켰다.[112] 특히 바퀴,[113] 수학,[114] 청동,[115] 돛단배,[116] 돌림판,[115] 직조,[117] 기념비적인 건물 건설,[117] 문자[118] 등은 이 시기에 발명된 대표적인 기술들이며, 이를 바탕으로 이 시기에 지금까지 인류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국가, 도시, 정치, 법률, 철학과 같은 것들이 출현하였다.

문자는 행정과 도시 관리, 아이디어 표현, 정보의 전달과 보존이 더욱 쉽게 이루어지도록 했다.[119] 기원전 3,300년경의 메소포타미아,[120] 기원전 3,250년경의 이집트,[121][122] 기원전 1,200년경의 중국,[123] 그리고 기원전 650년경의 메소아메리카 저지대 등 적어도 4개의 고대 문명에서 문자가 독자적으로 발명, 발전해나갔다.[124] 최초의 문자[m]는 메소포타미아의 쐐기 문자로, 초기에는 그림 문자였기 때문에 꽤나 단순하고 추상적이었다.[126][127][n] 영향력이 있는 다른 초기 문자로는 이집트의 상형문자인더스 문자가 있다.[129] 중국에서는 적어도 상나라 시대인 기원전 1,766~1,045년 사이에 처음으로 문자가 사용되었다.[130][131]

블레셋 사람 진영에서 가드 사람인 골리앗이 나왔는데 그 신장은 여섯 큐빗 한 뼘이요, 머리에는 청동 투구를 썼고 몸에는 사슬갑옷을 입었는데 그 갑옷의 무게가 청동 5,000 세겔이며, 다리에는 청동 각반을 쳤고 어깨에는 청동 단창을 매었더라.
 
구약성서」 사무엘상 17:4~6

야금술의 발전으로 기원전 4,000년 무렵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청동기 제작이 시작되었다. 이곳에서 비소구리의 합금으로 된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후 비소 대신에 주석을 섞은 것이 보다 견고하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주석-구리의 합금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132] 성경, 사기 등 많은 기록에서 당시 청동기 사용을 확인할 수 있다. 청동기의 획득으로 인류는 석기 시대에 비해 농업 생산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였으며, 사회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직업의 분화, 문화 수준의 향상이 일어났다.

강과 바다를 포함한 수로를 통해 물자를 운반하려는 시도는 아이디어, 사상, 발명품 등의 교류를 촉진시켰다.[133][134] 한편 유라시아 대초원의 육로를 통해서도 위의 요소들이 자주 교류되었는데 이때 이미 비단길의 원형이 되는 교역로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비소가 함유된 메소포타미아의 청동기가 중국 북부에서 발굴되어 이 지역과 메소포타미아 사이에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135] 청동기 시대 후기에는 말을 이용한 전차기병과 같은 새로운 육상 기술이 등장하여 군대가 더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136][137] 무역은 도시 사회가 머나먼 땅에서 생산된 상품과 자신들의 원자재를 교환함으로써 방대한 상업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고대 세계화가 시작됨에 따라 점점 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았다.[138] 일례로 남서아시아에서 청동기를 생산하려면 멀리 떨어진 영국에서 주석을 수입해와야 했다.[139]

도시의 성장은 종종 국가, 그리고 여기서 한 단계 더 발전한 제국의 등장으로 이어졌다.[140] 기원전 3,100년경, 상부와 남부로 나뉘어져 있던 이집트가 통일되었으며[141] 기원전 2,600년경에 인더스 문명의 사람들은 하라파모헨조다로 등의 도시를 건설했다.[142][143]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여러 도시 국가들 간의 잦은 전쟁으로 인해 한 도시에서 다른 도시로 패권이 이동하는 일이 빈번했으나[144] 기원전 25~21세기 사이에 아카드신수메르(우르 제3왕조) 등의 제국들이 잇달아 출현했다.[145] 기원전 2,000년경 크레타 섬에서 등장한 미노스 문명은 유럽 최초의 문명으로 간주된다.[146]

그 후 수천 년 동안 전 세계 각지에서 문명이 발전했다.[147] 기원전 1,600년경, 미노스 문명의 뒤를 이어 그리스에서 미케네 문명이 출현하여[148] 기원전 1,300년~기원전 1,000년 사이에 많은 지중해와 근동의 문명들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친 청동기 시대 후기의 붕괴까지 번성했다.[149] 한편 비슷한 시기에 아나톨리아에서는 하티인들이 아나톨리아 대부분을 장악하여 히타이트를 건국했는데, 그들은 철기를 최초로 사용한 사람들로 유명하다. 철기는 나중에 유목민을 통해 전세계로 퍼져나갔다.

반투어 화자들은 기원전 3,000년부터 기원전 1,000년까지 중앙아프리카, 동아프리카, 남아프리카 일대로 확산되기 시작했다.[150] 이들의 확장과 다른 민족과의 만남은 피그미족코이산족의 이주를 초래했고, 더 나아가서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전역에 혼합 농업제철 기술을 퍼뜨림으로서 훗날 이 지역에 세워지는 국가들의 기반이 되어주었다.[151]

A stone head
올멕 거대 석조두상. 올멕인들이 남긴 대표적인 유산 중 하나이다. 현재는 안트로폴로기아 데 살라파 박물관이 소장 중.

라피타 문화는 기원전 1,500년경 뉴기니비스마르크 군도 일대에서 등장하여, 오지 오세아니아의 많은 무인도를 식민지로 삼아 확산되었으며 기원전 700년에는 사모아까지 도달했다.[152]

아메리카 대륙에서, 특히 안데스 일대에서는 기원전 3,100년경에 등장한 노르테 치코 문명 이외에도 차빈 데 후안타르와 같은 종교 유적지를 중심으로 한 차빈 문화,[153] 일상 생활을 다양한 토기로 묘사한 모체 문화, 사막에 기하학적인 그림을 남긴 나스카 문화 등의 여러 안데스 문명들이 번성했다. 한편 메소아메리카에서는 올멕 문화가 기원전 1,200년경에 등장하여 거대한 현무암 석조두상 등의 유산을 남겨주었고[154][155] 마야테오티우아칸 건설 및 메소아메리카 달력의 고안과 같은 업적을 이루어냈다.[156] 더 위쪽으로 가면 북아프리카 평원의 인디언 부족사회들이 있었는데, 그들은 대체로 모두가 평등한 수렵채집 사회였으며, 때때로 식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동부의 농경 단지에서 길러진 식물을 섭취했다.[157] 이들의 유산으로는 루이지애나에 건설한 왓슨 브레이크(기원전 4,000년경)와 빈곤 지점(기원전 3,600년경) 등이 있다.[158]

메소포타미아

[편집]
옛날 옛적 지위가 낮은 작은 신들은 노동을 하고, 큰 신들은 그들을 지켜 보며 쉬고 있었다. 홍수를 방지하고 농사를 잘 짓기 위해 작은 신들은 강과 수로의 흙을 파내야 했다. 노동이 점점 힘들어지자 신들은 점점 불평과 불만으로 가득했다. …… 지혜의 신 엔키는 지하수의 여신 남무에게 진흙에 신들의 피를 섞어 신들의 노역을 대신할 사람들을 만들게 했다.
 
— 수메르의 인간 창조신화
우바이드 시대의 주요 수메르 도시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는 오늘날의 이라크튀르키예 남동부, 시리아 북동부, 이란 북서부에 걸쳐있는 지역을 가리키는 말로서 '두 강 사이의 땅'을 의미한다. 이 지역은 이름대로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이 만나 토양이 비옥하고 수자원이 풍부하여(비옥한 초승달 지대) 농경 생활에 적합했다. 기원전 8,000년을 전후하여 메소포타미아에는 신석기 문화가 등장했고 이것이 발전하여 최초의 문명이 되었다. 메소포타미아가 '문명의 요람'이라고 불리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159] 최초로 알려진 메소포타미아에서의 사람의 흔적은 기원전 6,500~3,800년 사이에 등장한 우바이드 문화이나 아마도 그 이전의 흔적은 충적층 아래에 가려져 발견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160][161] 이 시기에 도시화가 시작되었다. 농경과 목축 등이 메소포타미아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졌고 특히 북부에서 더욱 그랬다. 남부에서는 관개 수로를 이용한 농경이 주로 이루어졌다.[162]

기원전 6,000년경 이집트 전역에 신석기 정착지가 나타나기 시작했는데,[163] 형태학적,[164] 유전학적,[165][166][167][168][169] 고고학적[170][171][172][173]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이것은 신석기 혁명 동안 이집트와 북아프리카에 도착하여 이 지역에 농경 기술을 가져온 근동의 이민자들 덕분이라고 한다. 텔 알 우웨일리는 기원전 5,400년경 메소포타미아에 정착한 가장 오래된 유적지이며, 우르 역시 비슷한 시기에 형성되었다.[174] 남부에서는 우바이드 문화가 기원전 6,500년경부터 기원전 3,800년경까지 지속되었다.[175] 그뒤 농업의 집약화와 교류 촉진, 인구 밀도 급증과 함께 거대한 도시들이 세워지며 발전이 급속하게 이루어졌고, 그중에서도 주요 대도시들을 중심으로 도시 국가들이 생겨났다.

길가메쉬가 [그의] 뱃사공인 우르샤나비에게 말했다.
"우르샤나비여, 성벽에 올라 우루크로 들어가서 거닐어보아라. 밑의 토대를 살펴보고 건물의 석공술을 눈여겨보아라. 그것들은 가마로 구워낸 벽돌이 아니던가? 정말 훌륭하지 않은가. 일곱 현인들이 그것의 기초를 세웠다. 1'사르'[o]는 도시이고, 1사르는 대추야자나무 숲이 우거진 정원, 1사르는 점토 채석지, 그리고 이슈타르 신전이 있으니 우루크의 규모는 [모두] 3사르이다."
 

수메르 문명이라고도 불리는 우루크 시대는 기원전 4,000년에서 기원전 3,100년 사이의 메소포타미아를 가리키며[177] 이 시대에 가장 번성했던 수메르 도시인 우루크의 이름을 딴 것이다. 전성기의 우루크는 그 면적이 250~300 헥타르에 달했고 25,000명에서 50,000 명의 인구가 한데 거주했다. 이때 기술적으로 엄청난 발전이 이루어졌다. 메소포타미아 최초로 도시 생활이 등장했고 쟁기의 사용으로 농업 생산량이 비약적으로 폭증했으며, 초기 형태의 야금술이 나타났다. 우루크 시대 후기에는 쐐기 문자가 발명되었다. 이 지역에서의 원시 문자의 등장은 기원전 3,800년경, 초기 문자는 기원전 3,300년경, 그리고 초기 쐐기 문자는 기원전 3,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원통 인장과 함께 구리 장식이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도자기 그림이 쇠퇴한 것도 이 시기였다.[178] 우루크 시대의 수메르 도시들은 아마도 신권 정치를 기반으로 했을 것이며, 남성과 여성이 모두 포함된 원로원의 도움을 받아 대사제-왕('엔' 또는 '엔시')가 통치했을 가능성이 높다.[179] 후기 수메르의 판테온은 아마도 이러한 정치구조를 모델로 삼았을 것이다.

우루크 시대가 막을 내린 이후에는 기원전 3,100년부터 기원전 2,900년까지 이어진 젬데트 나스르 시대가 열렸다. 이때 쐐기 문자가 발전을 거듭했다. 가장 오래된 점토판은 우루크에서 생산되었으며 제작년도는 기원전 4,000년대 후반으로 추정되는데, 이것은 젬데트 나스르 시대보다 약간 빠르다. 이 시기가 되면 대본은 여러가지 중요한 변화를 겪었는데, 원래는 단순히 그림만으로 구성되었던 것이 이때에 이르러 이미 더 간단하고 추상적인 외관을 갖추게 되었으며 상징적으로 쐐기 문자를 사용했다.[180][181] 한편, 이때 우루크의 무역망이 메소포타미아의 다른 지역들뿐만 아니라 저멀리 북캅카스까지 뻗어나가기 시작했다.

지구라트를 밑에서 바라본 모습.

젬데트 나스르 시대는 나중에 정치 체제와 사회 계층화가 이루어지면서 기원전 2,900년경에 초기 왕조 시대로 이어졌다.[182][183][184] 그뒤에 도시 국가들의 권력은 기존의 사제들과 성전에서 보다 세속적인 '루갈'(위대한 남자)에게로 이동했다.[185] 루갈로 추정되는 대표적인 인물로는, 초기 그림문자에서 음절 문자가 발전하기 시작한 기원전 2,700년경에 역사적 기록이 시작되기 직전에 통치한 것으로 보이는 엔메르카르, 루갈반다, 길가메쉬 등이 있다. 문명의 중심지는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여전히 남아있었지만, 수메르 통치자들은 점차 인근 지역으로 확장해 나가기 시작했다. 이리하여 수메르인과 함께 메소포타미아에 살았던, 아카드인이나 아시리아인, 바빌로니아인과 같은 이웃 셈족은 수메르 문화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초창기 지구라트는 초기 왕조 시대 말기에 건설되었다.[186] 이 시기에 수메르 도시 국가들의 여러 왕조들은 두각을 잠시 드러냈다가 쇠퇴하고 다음 왕조로 대체되는 등 흥망성쇠를 거듭했다.[184]

라가쉬의 왕인 에안나툼은 기원전 2,500년에 역사상 최초로 확인 가능한 왕국을 세웠다.[187] 오늘날 이란 지역에 있던 엘람 역시 동기 시대에 도시를 이루어 왕국을 형성했다. 이들은 고대 근동의 주요 국가들 중 하나였다.[188] 기원전 3,000년경에 남겨진 엘람인들의 기록들 가운데 일부분은 수메르 역사의 초기 기록과도 유사하다.[189] 그 무렵에 수메르인과 아카드인들 사이에 매우 친밀한 문화적 공생 관계가 이루어졌다.[190][191][192] 아카드인이 점차 다수가 되면서, 기원전 3,000년에서 기원전 2,000년기 사이에 아카드어가 점차 수메르어를 대체하기 시작했다.[193] 마침내 기원전 2,350년경 사르곤의 치하에서 아카드 제국이 등장하여 메소포타미아 전역을 통일했다.[182] 아카드 제국은 기원전 24세기에서 22세기 사이에 전성기를 구가했다. 이후 엘람이나 구티와 같은 외부 세력의 침입으로 아카드 제국은 멸망했지만, 수메르인들은 우르남무의 치하에서 구티를 몰아내고 우르 제3왕조를 세워 페르시아 만에서 니네베까지 이르는 그들의 패권을 재확인했다.[194][9] 기원전 2,004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 수메르 패권이 최종적으로 붕괴된 이후, 그 지역에 있던 셈족들은 두개의 주요 국가들로 나뉘어졌다. 북쪽의 아시리아(초기 왕들의 연대는 기원전 25세기로 확인됨)와, 몇 세기 후에 세워진 남쪽의 바빌로니아가 바로 그것이었는데 이들은 모두 기원전 20세기에서 기원전 6세기 사이에 강력한 고대 제국을 세웠다. 이들이 강성해짐에 따라 수메르인들은 결국 셈족 아시리아-바빌로니아인들에게 동화되었다.[195][196]

이집트

[편집]
왕조 시대 고대 이집트의 주요 도시와 유적지를 보여주는 지도(기원전 3,150년경~기원전 30년경)

토기 이전 신석기 시대 A(기원전 10,200년)와 토기 이전 신석기 시대 B(기원전 7,600년에서 기원전 6,000년)에 존재했던 발달된 신석기 문화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등장했으며 얼마 있지 않아 동쪽과 서쪽으로 확산되었다.[197] 그뒤 나일 강을 따라 생활하던 수렵채집 사회가 최초로 낫을 사용하여 곡물을 수확하는 농경 사회로 변모하였다. 지질학적 증거와 컴퓨터 기후 모델링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8,000년경에 일어난 기후 변화는 목초지였던 북아프리카를 건조하고 메마른 사하라 사막으로 바꾸었다. 이로 인해 이집트인들의 초기 조상이 비교적 비옥한 나일 강 주변에 정착하여 생활하기 시작했다.[198] 이집트에서, 완전히 성숙하고 또 가장 오래된 신석기 문화는 기원전 5,500년경에 시작된 파이윰 A 문화이다.

기원전 5,500년경, 나일강 주변에 모여살던 작은 부족들은 저 멀리 수단 남부까지 일련의 상호 협조적인 문화로 발전하면서 농경과 축산을 다룰 수 있게 되었고 빗, 팔찌, 구슬, 토기 등의 물품을 만들어냈다. 상이집트 북부의 초기 문화들 가운데, 가장 규모가 컸던 서부 사막 지역의 바다리 문화는 특히나 정교한 토기, 석기, 구리 사용으로 유명하다.[199] 아프리카에서 소는 최소한 기원전 4,440년경에 파이윰 일대에서 가축화되었다.[200] 바다리 문화의 뒤를 이어 나카다 문화가 등장해 여러 기술적 발전을 이루어냈다.[201] 나카다 문화의 첫번째 시대인 암라티야 시기에, 이집트인들은 암석 박편에서 돌칼과 기타 도구들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흑요석에티오피아에서 수입했다.[202] 이집트 최초의 왕조가 등장하기 직전인 기원전 3,300년경, 이집트는 남쪽 나일강 중상류의 상이집트와 북쪽 나일강 삼각주 일대의 하이집트로 나뉘어져 있었다.[203]

이집트 문명은 기원전 3,500년경 게르제 문화(또는 나카다 2기)로 알려진 나카다 문화의 두번째 시기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그뒤인 기원전 3,150년경 상이집트와 하이집트가 통일되었다.[204] 이 무렵에 식량 생산의 대부분이 농경으로부터 이루어지고 대부분의 인구가 정주 생활을 선택함에 따라, 나일강 주변의 정착지들은 약 5,000명이 거주하는 도시로 성장했다. 도시민들은 진흙 벽돌을 사용하여 건물을 건설했고 아치형 벽과 움푹 들어간 벽을 장식으로 사용하기도 했으며,[205] 돌 대신에 구리를 가지고 도구와 무기 등을 만들기 시작했다.[205][206] 게르제 도자기 겉면에 새겨진 기호가 이집트 초기 상형문자와 비슷하다는 점은 주목할 만 하다.[207] 이 시기에 근동, 특히 가나안비블로스 등의 해안 도시들과 접촉했다는 증거가 있다.[208] 이와 같은 문화적 발전에 힘입어 상이집트와 하이집트 모두에서 그 지역의 마을과 사회를 통일하는 과정이 이루어졌다. 기원전 3,100년경에 히에라콘폴리스의 통치자들은 상이집트를 장악하고 하이집트를 넘보기 시작했다. 마침내 기원전 3,273년에서 기원전 2,987년 사이에 상이집트의 왕이었던 나르메르가 이집트 전역을 통일했다.[209]

이로써 이집트 초기왕조 시대가 열렸다. 일반적으로 고고학계에서는 나카다 3기에서부터 기원전 2,686년경 고왕국 시대가 시작될 때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제 1왕조제 2왕조의 지배기간을 초기왕조 시대로 여긴다.[210] 왕의 신격화와 함께 수도는 기존의 티니스에서 새롭게 멤피스로 옮겨졌다. 예술, 건축, 종교와 같이, 우리가 알고 있는 고대 이집트 문명의 주요 요소들이 이때 형성되었으며, 이집트의 통치자가 스스로를 파라오라고 칭하기 시작한 것도 이때이다. 강력해진 왕권은 고대 이집트 문명의 성장에 필수적으로 작용한 토지, 노동력, 자원에 대한 국가의 직접적인 통제를 가능케했으며 이를 정당화하는 역할을 겸했다.[211]

고왕국 시대에 이르러, 명확한 중앙집권 체제의 형성으로 비로소 가능해진 농업 생산성의 증대와 함께, 이집트의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212] 고대 이집트의 최고 유산 중 하나로 꼽히는 기자 대피라미드스핑크스 역시 이때 건설되었다. 짜티라 불리는 재상의 지시에 따라 중앙행정부는 각 지역에 관리를 파견하여 세금을 징수하고, 농작물의 수확량을 조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관개 시설을 정비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으며, 백성들을 모집하여 대규모 건설 작업에 참여시켰을 뿐만 아니라 평화 및 질서 유지의 목적으로 형법 체제를 구축했다. 중앙 행정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면서 파라오로부터 봉토를 수여받은 교육받은 서기관이나 관료들이 신흥 계급으로 떠올랐다. 파라오는 또한 지역 사원이나 무덤을 관리하는 곳에 보조금을 지급하여, 자신이 사망하면 이들이 왕가를 떠받치는 지지자들이 되도록 했다. 그러나 5세기에 걸쳐 행해진 이러한 관행은 결과적으로 파라오의 경제력을 점차 약화시켰고, 마침내 국가 경제가 더 이상 대규모의 중앙집권적인 행정 정책을 뒷받침하지 못하도록 만들었다.[210] 파라오의 권력이 약화되자 노모스라 불리는 지역 총독(주지사)들이 통치자의 패권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이리하여 기원전 2,200년에서 2,150년 사이의 극심한 가뭄과 함께 140년 동안 이어질 제1중간기의 막이 올랐다.[213][214]

인더스

[편집]
인더스 문명의 최대 범위

인도 아대륙에서 등장한 가장 초기의 신석기 유적지 중 하나는, 기원전 7,600년경 오늘날 인도 하리아나에 있는 고대의 가가르-하크라 강 유역을 따라 형성된 비라나이다.[215] 또다른 초기 유적지들로는 갠지스강 중류의 라후라데와, 그리고 갠지스강과 야무나강이 합류하는 지점 인근에 건설된 주시가 있었다.[216][217]

오늘날 파키스탄의 메르가르에서는 토기 신석기 문화가 기원전 7,000년에서 기원전 5,500년까지 지속되었고, 그다음에 3,300년까지 초기 청동기 문화로 발전했다. 메르가르는 농경과 목축이 이루어진 흔적이 있는 인도 아대륙 최초의 유적지 중 하나이다.[218] 메르가르를 중심으로 하여 퍼져나간 문화가 인더스강 근처에 자리잡아 인더스 문명을 형성했을 가능성이 높다.[219] 이 지역에서 가장 초기에 요새화된 마을은 기원전 4,000년경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일대와 조브 강 계곡 근처의 지역에 건설된 라흐만 데리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다른 요새화 도시로는 신드암리(기원전 3,600년~기원전 3,300년)와 코트 디지, 그리고 하크라 강칼리방간(기원전 3,000년)이 있다.[220][221][222][223]

인더스 문명은 기원전 3,300년경부터 시작되어 기원전 2,600년경에 막을 내린 초기 하라파 단계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때 인더스인들은 여전히 마을을 기반으로 정착 공동체를 만들어 생활했으며 오늘날 남아있는 것이라곤 그들이 만든 도자기뿐이다. 그러나 이때 초기 인더스 문자가 발명되었고,[224][225] 중앙집권적인 체제와 점점 더 도시로 변모해가는 시타델이 등장했다.[226] 국제 무역망은 이 문화를 근처의 관련 지역 문화들 뿐만 아니라 저멀리 수메르에까지 연결시켜, 라피스 라줄리 및 기타 재료들이 채굴되는 머나먼 원천지와 인더스 문명이 교류할 수 있도록 했다. 기원전 2,600년경쯤 되면 인더스인들은 완두콩, 참깨, 대추, 목화 등 수많은 작물을 재배하고 물소를 비롯한 동물들을 길들였다.[227][228]

그뒤 하라파, 돌라비라, 모헨조다로, 로탈, 루파, 라키가르히 등의 정착지들이 대규모 도시로 성장하고, 비교적 크기가 작은 1,000개 이상의 마을과 도시가 등장하면서 기원전 2,600년에서 기원전 1,900년 사이에 성숙 하라파 시기가 열렸다.[229] 이 시기의 인더스인들은 야금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을 발명하여 구리, 청동, 납, 주석을 생산하고 높은 수준의 공학을 선보였다.[230] 특히 모헨조다로나 라키가르히와 같은 도시에는 상하수도 및 위생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었다.(자세한 것은 인더스 문명의 발명 및 발견 목록을 참조) 덕분에 주민들은 도시 내에 있는 우물에서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목욕을 하고 난 뒤에 생긴 폐수는 도로 옆에 있는 배수구로 흘려보내면 되었다. 심지어 여러 명이 사용하는 대중 목욕탕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각 주택들은 안마당을 구비하고 있었고 길에는 살짝만 개방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사생활 걱정을 할 필요가 없었다. 이 지역의 일부 마을에서 보여준 건축은 여전히 어떤 면에서는 하라파의 건축 양식과 유사한 점을 가진다.[231] 하라파의 주요 건축물로는 인상적인 조선소, 미곡창, 창고, 벽돌 공장, 그리고 성벽 등이 있다. 인더스 도시들의 거대한 성벽은 주기적으로 범랑하는 강에서 자신들을 지키거나 주변 도시들과의 군사적 충돌을 염려하여 지었을 가능성이 높다.[232]

기원전 1,800년경에 접어들면서, 인더스 문명 전역에서 점진적으로 쇠퇴의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얼마 지나지 않은 기원전 1,700년경에는 대부분의 도시들이 버려졌다. 이들이 갑작스럽게 몰락한 이유는 오늘날까지도 불명이지만, 학자들은 아마도 강의 유로 변화와[233] 중동 인근 지역까지도 영향을 미친 기후 변화에 의해 인더스 문명의 쇠퇴가 촉발되었다고 본다.[234][235] 2016년 현재는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이집트 및 메소포타미아와의 무역이 줄어들면서 인더스 문명이 붕괴되었다는 주장도 나왔다.[236] 가가르-하크라 강 유역의 도시들은 그 지역에 내리는 비에 의존하였는데,[237][238][note 1][239][note 2] 기원전 1,800년경부터 몬순이 전반적으로 약화되어 이 지역이 이전보다 시원하고 건조해진 것은[237][240][241] 가가르-하크라 강의 유로를 히말라야 산기슭으로 뻗어나가게 만들면서 농사에 필요한 충적토를 가져다주던 홍수가 점차 불규칙하고 덜 광범위하게 되도록 만들었다. 이 때문에 인더스강 일대의 농업 생산성이 크게 약화되었고, 마침내 그 지역에 닥친 극심한 가뭄은 문명의 종말을 초래했다. 살아남은 이들은 건조를 피해 동쪽으로 이주해야 했다.[242][243][244][note 3] 몬순이 계속 남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홍수가 농사에 필요한 물을 충분히 공급할 만큼 빈번하게 발생하지 않게 되자 주민들은 소규모 마을들로 이동했다. 이 작은 지역사회에서 생산된 조그만한 잉여 자원은 무역의 발전을 허용하지 않았고, 상황이 이렇게 되자 각 지역들과의 긴밀했던 연결이 끊어졌다. 마침내 옛 도시는 모든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졌다.[245] [p]

아리아인의 초기 이주 이후 생겨난 문화권들

그 무렵에 인도아리아인들이 갑자기 인더스강 일대로 이주하기 시작했다.[247] 이들은 다뉴브강우랄산맥 사이에 있던 얌나야 문화(기원전 3,300년~기원전 2,600년경)에서 기원했으며, 오늘날에는 대체로 신타슈타 문화를 계승한 안드로노보 문화 중 정주문화를 받아들인 이들이 세운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

고고학적으로 가장 이른 시기에 확인되는 아리아 계통 문화는 기원전 1,900년대부터 1,300년대까지 번성한 묘지 H 문화와 비슷한 시기에 탄생한 황토색 도자기 문화(OCP) 및 구리 공예품 무리 문화(CHC)이다. 이들의 경우 인더스 문명과의 연결성과 더불어 아리아 문화의 영향이 모두 드러나기 때문에, 인더스 문명에서 아리아인의 지배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로 주목받는다. 다만 방금까지 설명한 문화들은 인더스 문명과의 문화적 연결성이 명확하게 보이고 인더스계 주민이 여전히 다수 잔존한다는 점에서, 이 문화의 구성원들 일부 또는 다수가 아리아인으로 추정됨에도 불구하고 인더스 문명의 후기 시대, 또는 토착 인더스 후기 문화로서 평가받고 있다.

황허

[편집]
황하 인근의 하나라 추정 유적지(빨간색)와 얼리터우 문화 유적지(검은색)

고고학, 지질학, 인류학을 바탕으로 하여, 현대 학자들은 중국 문명이나 역사의 기원을 선형적인 이야기라기보다는, 서로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서로 다른 민족과 문화의 상호 작용이라고 보고 있다.[248] 중국에서의 기장 농업에 대한 초기 증거는 기원전 7,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249] 양자강 인근의 청투산에서 발견된 벼 재배에 대한 초기 증거는 기원전 6,5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청투산은 중국 최초의 성벽 도시가 건설된 곳이기도 하다.[250] 신석기 혁명이 시작될 무렵, 황하 강 유역은 기원전 7,000년경부터 기원전 5,000년경까지 농경, 건축, 토기, 매장 등의 요소와 함께 번성한 페이리강 문화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했다.[251] 농업이 발전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곡물을 저장 및 재분배하며, 장인과 관리 등의 직업이 나타날 수 있는 잠재력이 생겼다.[252] 이 시기에 형성된 가장 눈에 띄는 유적지 중 하나는 지아후이다. 몇몇 학자들은 기원전 6,600년경 즈음에 발명된 지아후 부호가 중국에서 등장한 가장 초기의 원시 문자라고 주장했다.[253] 그러나 이것은 문자 자체라기보다는 오랜 기간 동안 석판이나 갑골 등을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던 것이 본격적인 문자로 넘어가기 전의 상태에 해당한다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254] 고고학자들은 페이리강 문화가 정치 체제가 거의 없는, 모두가 평등한 공산 사회였다고 믿는다.

마침내 기원전 5,000년경에 석기를 연마하고 고도의 체계를 갖춘 양사오 문화가 등장해 기원전 3,000년경까지 발전해나갔다. 이들은 심지어 초기 형태의 양잠업을 할 줄도 알았다.[255] 양사오인들의 주요 식량은 서곡이었는데, 일부 주역에서는 를 먹고 다른 지역에서는 기장을 먹었지만 을 먹었다는 증거도 발견되었다. 양사오인들이 일군 농업의 정확한 성격은 현재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대체로 소규모 화전농업 또는 반영구적인 정착농업 중 하나일 것이다. 그 지역의 흙이 다 사용되면, 주민들은 자신들의 물품을 챙겨 다른 지역으로 이주해 새로운 마을을 건설했다.[256] 그러나 장즈와 같은 양사오 문화 중부 유적지에서 잉여 곡물 저장에 필요한 고층 창고와 밀가루의 제작에 사용되는 연석이 발견됨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257]

나중에 양사오 문화는 기원전 3,000년경부터 기원전 1,900년경까지 황하를 중심으로 발전한 룽산 문화로 대체되었고, 그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곳은 타오쓰였다.[258] 기원전 3,000년기 동안 이 지역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많은 마을들이 주변에 흙으로 만든 벽을 쌓았다. 기원전 2,000년경에 룽산 문화는 쇠퇴하다가 중부 지역에서 갑자기 청동기 기술을 가진 얼리터우 문화가 등장했다. 초기 청동 유물은 얼리터우 문화와 이웃한 마자야오 문화(기원전 3,100년~기원전 2,700년)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259][260]

본격적인 중국 문명은 얼리터우 문화의 두번째 단계(기원전 1,900년~기원전 1,500년)에 시작되었다. 때문에 얼리터우 문화는 동아시아 최초의 국가 수준 사회로 여겨진다.[261] 그러나 얼리터우 문화가 반전설 상의 하나라인지, 아니면 그와 연관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불분명하여 상당한 논쟁이 있다. 중국 측의 주장에 따르면, 기원전 2,070년경에 건국되어 기원전 1,600년경에 멸망한 하나라는 중국 역사상 최초의 왕조이며, 서주 시대의 「죽서기년」과 같은 몇몇 고대 중국 사료에서 확인되었다. 이들은 중국 역사학에서 중요한 요소이나, 현재까지 그들의 존재를 입증할 만한 문헌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얼리터우 문화 시기에 청동 야금술과 도시화의 수준이 발전을 거듭했으며, 사회계층화가 이루어졌다는 증거인 궁전과 같은 복합단지가 여럿 건설되었다.[262] 얼리터우 문화는 약 50년에 걸쳐 발전을 거듭했는데 이를 네 단계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 1단계: 100헥타르에 달하는 마을이었던 얼리터우는 이 시기에 인구가 수천 명으로 증가했다.[263] 하지만 아직 도시 문명이나 정치적 중심지(수도)의 수준은 아니었다.[264]
  • 2단계: 본격적으로 도시화가 이루어진 시기로서, 얼리터우는 인구가 대략 11,000명에 그 규모는 300헥타르에 달했다.[263] 12헥타르 규모의 궁전은 가로와 세로로 각각 나있는 4개의 도로를 통해 구분되었고, 150m의 축을 따라 세 개의 마당이 딸린 150x50m 규모의 제3궁전과 제5궁전이 별도로 있었다.[265] 궁전 남쪽에는 청동 주조 공장이 세워졌다.[266]
  • 3단계: 도시화가 절정에 달한 시기. 이때 얼리터우는 인구 24,000명을 가볍게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성장했다.[264] 궁전을 보호하기 위해 주변에 2m 두께의 흙벽이 세워졌으며, 또한 궁전 1, 7, 8, 9가 새롭게 건설되었다. 가장 큰 궁전 1의 부피는 최소 20,000m3에 달했다. 나중에 궁전 3과 5는 버려진 채 4,200m2 규모의 궁전 2와 궁전 4로 대체되었다.[267][268]
  • 4단계:인구 감소와 쇠퇴가 이루어진 시기. 초기에 도시 인구가 약 20,000명으로 줄어들었지만 건축 사업은 계속되었다. 궁전 2의 연장선상으로 궁전 6이 지어졌고, 그 뒤를 따라 궁전 10과 궁전 11이 따랐다. 이 무렵은 얼리강 문화의 형성 초기(기원전 1,600년~기원전 1,450년)와 겹친다. 기원전 1,600년에서 기원전 1,560년 사이, 얼리터우에서 북동쪽으로 약 6km 떨어진 옌스 일대에 문화적으로 얼리강 특징을 가진 도시가 건설되었다.[268] 이때 얼리터우의 화살촉 생산량이 갑자기 증가했는데,[263] 이것은 신도시인 옌스가 구도시였던 얼리터우와 패권을 놓고 경쟁하고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263] 청동과 기타 고급품들의 생산은, 4단계가 끝나갈 무렵 동쪽으로 85km 떨어진 곳에 얼리강 문화를 받아들인 도시 정저우가 건설됨과 동시에 중단되었다. 화재나 전쟁 등으로 파괴되었다는 증거는 없지만, 얼리강 문화 후기(기원전 1,450년~기원전 1,300년)가 되면 얼리터우는 이미 모든 궁전이 버려진 채 30헥타르 마을로 전락해버린 상태였다.[268]

고고학적 증거와 역사적 사료를 통해 교차검증함으로써 그 실체가 공식적으로 확인된 최초의 중국 왕조는 상나라(기원전 1,600년경~기원전 1,046년경)이다. 상나라인들은 가장 초기에 등장한 중국 문자갑골문자를 제작했으며, 뼈를 가지고 을 치기도 했다. 이것들은 당시 정치, 경제, 종교 관행부터 중국 문명 초기의 예술적, 의학적 단계에 이르기까지 많은 요소들을 어림잡아 추정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269] 몇몇 역사학자들은 얼리터우 문화의 초기 단계를 상나라 역사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 미국 국립 미술관인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는 중국의 청동기 시대를 기원전 약 2,000년경에서 기원전 771년경까지의 시기로 정의하고 있는데, 이는 얼리터우 문화 발생부터 서주 통치의 붕괴까지를 아우른다.[270] 한편 양자강 상류, 즉 사천 일대에서 번성한 삼성퇴 문화는 상왕조와 동시대에 존재했던 또 다른 중국 청동기 문화이지만, 이들과는 구분되는 독자적인 청동 제조 방법을 발전시켰다.[271]

근동 (오리엔트)의 발전

[편집]
기원전 1,400년경의 근동 세계

수메르인의 마지막 제국이었던 우르 제3왕조가 기원전 2004년경 멸망한 이래로, 근동은 여러 민족들이 세운 국가들이 난립하는 혼란기로 접어들었는데 그중에서 셈족계 아모리인바빌로니아가 두각을 드러냈다.[272] 기원전 1,792년에 바빌로니아의 왕으로 즉위한 함무라비는 수도 바빌론을 국제적인 도시로 만듦과 동시에, 팽창 정책을 펼쳐 엘람, 라르사, 마리 등을 잇달아 정복하고 나아가 아시리아까지 굴복시킴으로써 메소포타미아 대부분을 지배 하에 두었다. 이때 제국의 영향력은 아나톨리아 동남부까지 이르렀다.[273][274] 그러나 바빌로니아 역시 그 창시자가 죽자 오래가지 못했다. 함무라비 사후, 아시리아와 이라크 남부는 기존의 바빌로니아와는 별개의 민족이 통치하는 바빌론 제2왕조에게로 넘어갔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바빌론 제2왕조 역시 또다른 외부 민족이었던 카시트인에게 바빌로니아를 빼앗겼다.[275]

비슷한 시기에 이집트는 제1중간기 이후 중왕국 시대를 거치며 나름 평화를 구가하였으나, 기원전 1,650년경 셈족 계통의 힉소스인들이 쳐들어와 나일강 삼각주를 점령하고 제15왕조를 세우면서 다시금 혼란기의 막이 올랐다. 이때를 제2중간기라고 한다. 그뒤 제17왕조의 후예였던 아흐모세 1세가 힉소스를 몰아내고 제18왕조를 개창하면서, 이집트는 본격적인 전성기인 신왕국 시대에 돌입하게 되었다. 제18왕조와 제19왕조의 기나긴 통치 기간 동안에 등장한 유능한 파라오들은 내치를 정비하고 외부로의 적극적인 팽창을 도모했다. 이때 이집트의 영토는 북쪽으로는 나일강 삼각주에서부터 남쪽으로는 저 멀리 제벨 바르칼과 주변의 백나일강 지류들을 포함한 누비아 일대를 아울렀다. 또한 더 나아가서는 레반트 남부와 동부 사막 및 홍해 연안, 시나이 반도,[276] 그리고 (여러 오아시스들을 거점으로) 서부의 사막 지대에까지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곧 새로운 적과 직면했는데, 아나톨리아 대부분 및 시리아 북부를 석권한 하티인히타이트가 바로 그것이었다. 수필룰리우마 1세무르실리 2세의 치하에서 전성기를 구가하던 히타이트의 주요 관심사는, 철기 제작에 필수불가결한 재료인 철광석의 산지이자 대부분의 국제 무역로가 집중되어 있는 킬리키아와 시리아 북부였다. 이러한 가운데 이집트가 시리아 남부까지 쳐들어오자 히타이트로서는 이들에게 위협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마침내 히타이트의 무와탈리 2세, 그리고 이집트의 람세스 2세가 이끄는 군대가 기원전 1,274년에 카데시에서 맞붙었는데, 그 결과는 불완전하나 아마도 히타이트의 근소한 승리 또는 무승부로 끝난 듯 하다. 그러나 이 전투 이후 양 제국은 현저하게 쇠퇴하는 양상을 보였다.

기원전 14세기 무렵 중아시리아가 갑자기 이 지역의 패권국으로 부상했다. 아슈르-우발리트 1세 치하의 아시리아인들은 후르리-미탄니 제국을 멸망시키고, 히타이트의 거대한 영토 대부분을 합병했으며, 카시트인의 바빌로니아를 정복했다. 심지어 그들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이집트를 공격해 이 지역에서 물러나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엘람인, 프리기아인, 가나안인, 페니키아인, 킬리키아인, 구티인, 우라르투인, 딜문인, 아람인 등을 잇달아 물리쳤다. 전성기에 중아시리아 제국은 캅카스 남부에서 바레인까지, 지중해 연안의 페니키아에서 이란의 자그로스 산맥까지 뻗어 있었다.

기원전 1,206년경, 고대 근동 세계는 알 수 없는 이유로 붕괴에 준하는 피해를 입었다. 미케네 그리스, 에게해 지역, 아나톨리아의 궁전 경제가 무너지면서, 그 일대에 기원전 1,100년경부터 기원전 750년까지 계속되는 암흑기가 도래했으며 여러 도시들은 무역이 단절된 채로 각자의 작고 고립된 마을 문화를 형성했다. 아나톨리아와 레반트에 걸쳐있던 히타이트는 이 시기에 멸망했고, 중아시리아나 이집트 신왕국 등은 약화된 상태로 겨우 명맥을 존속할 수 있었다. 학자들은 이러한 사건의 원인에 대해 여러가지 주장을 펄쳤는데, 그 중에서는 기후 변화, 화산 폭발, 가뭄, 질병, 바다 민족 또는 도리아인의 침공, 제철 기술의 발달로 인한 경제적 혼란, 전차전의 쇠퇴를 가져온 새로운 군사 기술 및 전략의 도입 등이 유력하다. 기원전 1,150년 이후 이러한 피해들이 회복되면서 고대 근동 세계는 기원전 1,000년기에 철기 시대로 이어졌다.

(유다 왕 히스기야가 이르기를) "여호와여, 앗수르 여러 왕이 과연 여러 민족과 그들의 땅을 황폐하게 하고 또 그들의 신들을 불에 던졌사오니, 이는 그들이 신이 아니요 사람의 손으로 만든 것 곧 나무와 돌 뿐이므로 멸하였나이다. 우리 하나님 여호와여, 원하건대 이제 우리를 그의 손에서 구원하옵소서. 그리하시면 천하 만국이 주 여호와가 홀로 하나님이신 줄 알리이다" 하니라.
 
— 「구약성서」 열왕기하 18~19 中
신아시리아 제국의 최대 영토
아슈르바니팔과 함께 전차를 타고 있는 세명의 황실 근위대를 묘사한 부조. 기원전 7세기에 제작된 것이다.[277][278]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인들은 신아시리아를 세워 근동의 패권을 다시 한번 잡았다. 그것은 고대 근동에서 등장한, 유례없이 강력한 제국으로서 이전의 바빌로니아, 이집트, 우라르투, 엘람을 훨씬 능가했다.[279] 많은 학자들은 신아시리아 제국이 지정학적 지배와 세계 지배에 기반한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들을 최초의 '세계 제국'으로 간주한다.[278][280] 신아시리아는 메소포타미아, 레반트, 이집트 전역은 물론이고 아나톨리아, 아라비아 북부, 그리고 오늘날 이란과 아르메니아 및 튀르키예 대부분에 걸친 대제국이었으며 아다드-니라리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 샬마네세르 3세, 세미라미스,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 사르곤 2세, 센나케리브, 에사르하돈, 아슈르바니팔의 치하에서 기나긴 전성기를 구가했다.[281]

이 시기에 아시리아에서는 아카드어의 영향을 받은 동아람어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되었으며, 메소포타미아 아람어가 아시리아 및 바빌로니아 주민들의 언어로서 기존의 아카드어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이 언어의 후손 방언들은 오늘날 이라크 남부에 거주하는 만다안인과 이라크 북부에 거주하는 아시리아인들에게로 이어졌다. 신아시리아 제국은 문화적으로 중요한 유산을 남겼는데, 이들이 확립한 정치 구조는 신아시리아의 뒤를 이은 후기 제국들의 표준 모델이 되었고, 신아시리아 통치자들이 실시한 보편 통치의 이념은 세계 정복이라는 이데올로기 형성에 영감을 주었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 등은 신아시리아 통치 시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았는데, 특히 「성경」에 등장하는 수많은 이야기들 중에는 초기 아시리아 신화와 역사를 바탕으로 쓰여진 것이 많으며 초기 유대교 신학에 대한 아시리아의 영향력은 엄청났다. 다만 이들은 자신들이 정복한 지역의 피지배민족에 대해서는 잔혹한 탄압 정책을 실시하여, 다른 도시로의 강제 이주를 명하거나 대대적인 학살을 벌이기도 했다.[277][282]

결국 많은 민족들의 증오를 받은 신아시리아 제국은, 마지막 전성기를 이끌었던 아슈르바니팔 사후 왕위 계승 분쟁으로 내부가 분열된 틈을 타 수도 니네베바빌로니아인, 칼데아인, 메디아인, 페르시아인, 파르티아인, 스키타이인, 킴메르인 연합군에게 함락당하면서 기원전 605년에 멸망하였다.[283]

나보니두스 치하의 신바빌로니아 제국

그 후 칼데아인이 세운 신바빌로니아 제국이 신아시리아의 뒤를 이었다. 이들은 본래 시리아 지역에 거주하던 민족이었으나 청동기 문명이 붕괴하던 기원전 10세기 말~기원전 9세기 초엽에 메소포타미아 남부로 이주하였고, 시간에 지남에 따라 토착 바빌로니아인들과 동화되어 스스로를 바빌로니아 사람이라고 여기게 되었다. 기원전 626년에 칼데아인이었던 나보폴라사르가 바빌론을 점령하고 아시리아 지배에 반기를 들었으며, 신아시리아 멸망 이후에는 메소포타미아 전역과 레반트, 가나안, 이스라엘, 유다를 정복하고 이집트까지 물리침으로써 서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다.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수도 바빌론 상상도

이 사례는 고바빌로니아 멸망 이후 메소포타미아 남부 도시가 고대 근동의 패권을 차지한 마지막 사례였다. 신바빌로니아 통치 기간 동안 이 지역에서 전례없는 인구 및 경제의 성장과 더불어 문화예술의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졌다. 신바빌로니아의 가장 위대한 왕인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그 명성과 업적이 고바빌로니아함무라비와 견줄 만 하다. 그가 아버지 나보폴라사르로부터 물려받은 제국은 당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제국이었다. 네부카드네자르는 이웃한 메디아의 공주 아미티스와 결혼함으로써 양국 사이의 동맹을 견고하게 구축했다. 몇몇 기록들은, 아미티스가 식물이 우거지고 물이 흐르는 고향을 그리워하자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그녀를 위해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바빌론의 공중 정원을 건설했다고 한다. 43년 간에 걸친 그의 통치는 중동에서 가장 강력한 왕국이 된 바빌로니아의 황금기를 상징한다.[284] 신바빌로니아 패권은 기원전 539년경 마지막 왕이었던 나보니두스가 페르시아에게 폐위당하면서 끝장이 났다.

축의 시대

[편집]
A statue of a standing man wearing a cloak
간다라 양식으로 제작된 불상, 기원전 2세기경

기원전 800년부터 기원전 200년까지,[285] 소위 '축의 시대'라고 불리는 이 기간 동안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여러 지역에서 발전한 혁신적인 철학적, 종교적 사상이 등장했다.[286] 중국의 유교,[287] 인도의 불교자이나교,[288] 유대인의 유일신론 등은 모두 이 시기에 발생했다.[289]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는 기원전 1,000년경에 시작되었지만, 이 시대가 되서야 그것을 받아들인 페르시아인들에 의해 국교로 지정되었다.[290] 기원전 5세기에 그리스에서는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철학자들에 의해 새로운 철학이 대두되었으며,[291] 최초의 올림픽이 기원전 776년에 개최되었다. 학자들은 이 시기를 두고 '고전 고대'(Classical antiquity)라고 명명하기도 한다.[292] 기원전 508년, 세계 최초의 민주주의적 정부 체제아테네에 도입되었다.[293]

축의 시대에 등장한 사상들은 그 지역만의 종교적인 특색과 역사를 발전시켰다. 유교는 추후 도가, 법가 등과 함께 중국 사상을 지배하게 될 세 철학 중 하나였다.[294] 그중에서도 특히나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될 유교 전통은 대체로 법에 의한 통치가 아닌, 기본 덕목스스로의 수양, 그리고 타인으로부터의 모범에 입각한 이상적인 통치를 추구했다.[295] 유교는 나중에 한국과 일본으로 전파되었다.[296] 불교는 기원전 1세기경에 중국에 들어와서 널리 퍼졌는데, 7세기가 되면 북중국에만 약 30,000개의 불교 사원이 있을 정도였다.[297][298] 불교는 나중에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의 많은 지역에서 주요 종교가 되었다.[299] 그리스 철학 전통은 기원전 4세기 무렵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활동으로 인해 지중해 세계를 넘어 페르시아, 심지어 인도까지 확산되었다.[300] 한편 유대교의 신념에서 나중에 기독교이슬람교가 창시되었다.[301]

기원전 500년부터는 전례 없는 규모의 제국이 잇달아 출현했다. 잘 훈련된 군대, 통일된 이데올로기, 정교한 관료제의 발전은 황제라 불리는 단 한명의 인물이 인구가 수천만이 넘는 거대한 영토를 통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302] 나라의 영토가 커지자 자연스럽게 국제 무역 역시 확대되었다. 지중해 무역로, 인도양 해상무역, 비단길 등이 대표적이 예이다.[303]

유럽과 서아시아

[편집]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의 최대 영토

기원전 539년, 고대 근동에 있었던 메디아, 신바빌로니아, 리디아 등의 국가들이 이란 남부의 파르스에서 발흥한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에게 합병되었다. 그 창시자인 키루스 2세는 이전의 신아시리아와는 다르게 정복지에 관용 정책을 펼침으로써 피지배민족의 폭넓은 지지를 얻어낼 수 있었다. 그의 아들인 캄비세스 2세는 이집트를 정복함으로써 서아시아에서의 아케메네스조의 패권을 확고하게 했으며 캄비세스 사후 왕위에 오른 다리우스 1세 시기에는 제국의 영토가 최대로 늘었다.

이때 아케메네스 페르시아는 동쪽으로 인더스 강 유역에서부터 서쪽으로 발칸 반도트라키아까지 그들의 패권을 뻗쳤으며, 여러 민족들이 거주하는 다민족 국가였을 뿐만 아니라 고도의 행정 체계와 문화 수준을 갖춘 중앙집권적 제국이었다.

하지만 다리우스 1세와 그의 아들 크세르크세스 1세그리스 정복에 실패했고,[304] 이후 즉위한 통치자들은 대체로 대외 문제보다는 제국 내의 문제에 더 집중해야 했다. 그런 와중에 제국 내부에서는 환관이 득세하고 부정부패가 만연했으며, 이로 말미암아 이전 통치자들이 구축해놓았던 행정 체계는 완전히 쓸모없어졌다. 마침내 아케메네스 페르시아는 기원전 330년경 그리스에서 쳐들어온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무너졌고, 그의 사후에는 페르시아 대부분이 셀레우코스 제국에게로 넘어갔다.[305]

그러나 타민족 그리스인들이 세운 헬레니즘 왕조였던 셀레우코스 제국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고, 기원전 1세기 중반에 이란 북동부에서 일어난 파르티아 제국(기원전 247년~기원후 224년)이 페르시아를 석권했다. 서기 2세기에는 파르티아 역시 아케메네스 제국의 부활을 제창한 사산 제국(기원후 224년~기원후 651년)에게 멸망당한다. 사산 제국은 서아시아의 강대국으로서 지중해의 패권을 장악한 로마 제국(395년 이후 동로마)과 맞설 수 있는 몇 안되는 국가 중 하나였으나 서기 7세기에 아라비아 반도에서 발흥한 이슬람 세력에게 멸망하고 만다.

아테네 아크로폴리스파르테논 신전

그리스는 에게해키클라데스 문명(기원전 3,100년~기원전 1,000년경) 및 크레타미노스 문명(기원전 2,700년~기원전 1,500년경)을 시작으로 유럽 최초의 선진 문명이 존재했었다.[306][307][308] 그 뒤를 이은 미케네 문명(기원전 1,600년~기원전 1,100년경)은 그리스 본토에서 궁전 국가, 도시 조직, 예술 작품, 그리고 독특한 문자 체계를 갖추고 있었으며 트로이아 전쟁으로 오늘날 우리에게 잘 알려져있다.[309][310] 그러나 이들은 기원전 1,200년경 청동기 시대가 막을 내릴 때 지중해 동부의 다른 여러 문명들과 함께 파괴되었다.[311] 이로 인해 그리스 암흑기라고 알려진 시대가 열렸는데 이 시기에는 별다른 문자 기록이 등장하지 않는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제국의 지도. 대략 11년 동안 존속했으며, 그의 사후에는 디아도코이들 사이에 분열되었다.

기원전 8세기경부터는 그리스에서 '폴리스'라 불리는 여러 도시국가들이 출현하여 서쪽의 시칠리아에서부터 동쪽의 흑해 연안에 이르기까지 지중해 전역으로 그리스 세계를 확장시켜나갔다.[312] 특히 아테네솔론의 개혁과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참주권 수립 이래로 고대 그리스의 주도적인 세력으로 부상했으며[313] 강력한 군사력으로 유명했던 스파르타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전자는 델로스 동맹을 통해 페르시아의 위협에 대응하여 범그리스적 정서를 단결시킴으로써,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후자에게 패배하기 전까지 거듭되는 발전을 이루었다.[314] 기원전 5세기 내내, 고전 그리스 세계는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북쪽에서 강성해진 마케도니아가 이들을 정복하여 그리스 전역을 통일했다. 마케도니아의 왕 알렉산드로스는 그런 다음 페르시아를 정복하고 나아가 인더스 강 유역까지 진출하여 대제국을 건설했다. 이리하여 헬레니즘 시대가 개막되었다.[315] 알렉산드로스가 갑자기 급사하자 그 휘하의 장군들, 이른바 디아도코이라고 불렸던 이들은 각각 안티고노스 왕조, 셀레우코스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등을 개창하여 제국을 분할했다.[316] 이 세 왕국은 다른 소규모 헬레니즘 왕국들과 함께 그리스 문화 및 생활 양식을 아시아와 이집트에 전해주었다.[317] 헬레니즘 시대는 기원전 31년 마지막 헬레니즘 왕국이었던 프톨레마이오스 치하의 이집트가 로마에게 정복당할때까지 지속되었다.

서기 117년의 로마 제국

고대 로마는 기원전 8세기경 이탈리아 반도 중부에 세워진 한 작은 도시국가에서 시작하여 지중해를 아우르는 거대한 제국을 이룬 고대 문명으로서 고대 그리스, 오리엔트, 셈족, 서유럽 켈트, 게르만 등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이들이 일구어낸 업적은 당대를 넘어 중세, 심지어는 근대까지 이어졌으며 오늘날 유럽 문명의 근간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기원전 7세기의 로마는 일대의 지역 중심지로서 번영하던 도시 국가였으며 왕정 체제였다. 기원전 509년에는 왕정이 무너지고 귀족과 평민 계급이 공화정을 세웠다. 로마인들은 평민과 귀족 간에 200여 년 이상 투쟁과 타협을 반복하며 로마 특유의 과두 공화정 체제를 점진적으로 이루었다. 내부의 안정을 달성한 로마는 외부로 눈을 돌렸고, 약 150여 년간 포에니 전쟁과 같은 여러 정복 활동을 통해 갈리아, 카르타고, 이집트, 시리아 등을 정복함으로써 지중해 전역을 제패했다. 이 무렵에 활동한 율리우스 카이사르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폼페이우스 등은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로마 시대의 인물들이다.

고대사는 모두 로마사로 흘러들어 간다고 할 수 있다. 많은 개울이 호수로 흘러들어 가듯이, 그리고 근대사는 다시금 로마사에서 흘러나온다. 로마가 존재하지 않았더라면 역사는 무의미한 것이라고 나는 과감히 주장한다.
 
— 1854년, 바이에른 국왕 막시밀리안 2세의 사학 강의 중
로마 제국이 외부 민족으로부터 받은 침략
서로마 멸망 이후의 동로마 제국. 서구 역사학계에서는 대개 '비잔티움 제국'이라고도 부른다.

일련의 내부 분쟁으로 인해 로마 공화국은 서기 1세기에 황제가 통치하는 제정으로 변모했다. 유능한 황제들의 통치 하에서, 제국은 '팍스 로마나'(Pax Romana)라 불리는 전례없는 평화와 번영, 안정의 시기를 구가하면서도 동시에 몇 세기에 걸쳐 그들의 문화를 국경 너머 여러 지역으로 퍼뜨렸다.[318] 그러나 3세기 중엽 이민족들의 침공 및 페르시아의 승리로 제국은 잠시 주춤해야 했으며, 설상가상으로 내부에서조차 문제가 터져나오고 있었다.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연쇄작용을 일으키면서 로마 제국은 결국 쇠퇴했다.[319] 특히 훈족의 공격과 게르만족의 유럽 침입은 무너져가던 제국에 결정타를 날렸다. 그 뒤 히스파니아, 갈리아, 이탈리아 본토를 비롯해 제국의 서쪽 영토는 '서로마 제국'으로, 발칸 반도, 이집트, 아나톨리아를 비롯해 제국의 동쪽 영토는 '동로마 제국'으로 각각 분열되었는데,[320] 이것은 디오클레티아누스 시기에 처음으로 확립된 통치 관행으로부터 생겨난 것이었다.[321] 분열이 이어지던 서기 4세기에, 예수가 창시한 기독교콘스탄티누스 대제테오도시우스 1세의 노력 덕분에 로마 제국의 공식적인 국교가 되었다.

동로마 제국은 몇 세기 간은 페르시아의 침입을 막아내고 경제가 발전하는 등 나름 전성기를 누렸으나 서로마 제국은 그렇지 않았다. 마침내 서기 476년에 서로마 제국은 무너졌고 그 영토에는 게르만인들이 세운 여러 나라들이 들어섰다.[322] 오늘날의 현대 역사학자들은 보통 이때를 중세 시대의 시작으로 본다.

남아시아

[편집]
베다 시대 초기의 지도

기원전 16세기가 되면서 인도아리아인은 대대적으로 펀자브 지방에 침입하여 그곳에 정착하였다. 이 시기에 나타난 간다라 무덤 문화는 신타슈타-안드로노보 문화의 아리아적 전통을 다수 포함하며, 이전 인더스 문명과의 급격한 단절이 드러난다는 점에서 베다 문화의 근원이라고 여겨진다. 인도아리아인은 정착하는 과정에서 본래 그곳의 원주민이었던 인더스 문명 구성원들을 제압하였는데, 이때 이들은 인도아리아인들의 노예가 되거나 남쪽으로 쫒겨났다(드라비다인). 인도아리아인들이 인도를 침입한 뒤의 생활에 대해서는 그들 고유의 종교찬가이자 경전이며, 주요 문자 기록이었던 「베다」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시대를 베다 시대(기원전 1,500년~기원전 500년경)라고 부른다.

베다 시대 후기의 지도
십육대국 시대 각 왕국들의 지도

기원전 1,200년에서 기원전 1,000년 사이에 베다 문화는 동쪽의 비옥한 갠지스 평원으로 퍼져나갔다. 그 후 토착 인더스 후기 문화와 아리아 문화가 결합하여 탄생한 채색된 회색 도자기 문화(PGW)가 출현한다. 이 문화는 후기 베다 시대에 가장 강력한 왕국이자 최초의 국가였던 쿠루 왕국 및 그 동맹인 판찰라 왕국으로 비정된다. 이때 오늘날 우리가 아는 바르나(카스트 제도), 즉 브라만(사제) - 크샤트리아 (귀족, 왕족) - 바이샤 (상인, 자영농) - 수드라 (농노)의 4계급이 형성되었다. 인도아리아인들은 이를 중심으로 농촌사회를 확립하고 고립적이며 폐쇄적인 경제생활을 하였다.

이 시기가 되면 국가라 불릴만한 정치 집단들이 출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왕권이 확대되면서 기존에 정치를 주도했던 부족회의 및 원로회의의 권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베다 시대 전기의 왕은 세습이나 선출로 정통성을 인정받았으나 베다 시대 후기에는 귀족들 사이에서 권력 다툼을 통해 우위를 점하고, 그 뒤에 브라만에 의해 통치자로서 즉위하는 성스러운 의식을 개최한 다음에야 왕으로서 정통성을 인정받았다. 이 의식을 통해서 왕은 모든 도전에 대처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고, 또한 누구의 도전도 용납하지 않는 신성한 존재임을 분명히 드러내었다.

베다 시대 후기부터 북인도 지역에서는 인도아리아인들이 세운 여러 국가들(자나파다)이 난립하였는데 그중 강대한 세력을 지닌 국가들이 주변 소국들을 합병하는 양상이 반복되었다. 마침내 총 16개의 나라가 살아남았으며 이리하여 십육대국 시대가 열렸다. 인도 서사시의 2대 작품으로 꼽히는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가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점 때문에 이 시대를 '인도 서사 시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기원전 500년에서 기원전 400년 무렵에 십육대국은 바트사, 아반티, 코살라, 마가다의 4 나라로 통합되었다.[323] 이 무렵은 불교의 창시자였던 고타마 싯다르타가 살았던 시기이기도 하다.

마우리아 제국의 최대 영토

기원전 320년, 마우리아 왕조의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갠지스 강 하류에 있는 마가다국 및 중부 인도 대부분을 점령하고, 나아가 305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후계자들이 통치하고 있던 인더스 강 유역을 합병한 것은 인도사에서의 또 하나의 전환점이었다.[9]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의 손자 아소카는 대대적인 정복 활동을 펄쳐, 마우리아 제국의 영토를 남쪽으로 크게 넓혀 인도 아대륙 대부분을 자신의 치하에 두었다. 그러나 그는 칼링가 정복 도중 전쟁의 참혹함에 대해 깨닫고, 이후부터는 불교(상좌부 불교)를 전폭적으로 후원하여 평화를 추구했다. 또한 그는 제국의 여러 행정 업무를 손보았을 뿐만 아니라, 돌기둥이나 바위 등에 자신의 칙령을 새겨 그 뜻을 널리 알리기도 했다.

아소카 사후에 마우리아 제국은 급격하게 무너졌다. 그 뒤로 즉위한 황제들은 정무에 별다른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설상가상으로 데칸 고원에서 사타바하나가 발흥하면서 중부 영토를 모조리 상실했다. 하지만 더 큰 위협은 중앙아시아에 건설된 그리스인 국가들이었다. 결국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이 마우리아 왕조의 북서부 영토를 점령했다. 이후 마우리아 제국은 얼마 못가 슝가 왕조에게 멸망당하고 말았다. 마지막 왕이었던 브리하드라타는 슝가 왕조의 개창자인 푸시야미트라 슝가에게 암살당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 마우리아 제국이 정복하지 못한 남인도 지역에는 촐라, 체라, 판디아 세 왕조가 존재했으며, 그보다 더 남쪽에서는 데바남피야 티사가 불교로 개종한 뒤 아누라다푸라에 수도를 두고 스리랑카를 지배하고 있었다.

마우리아 이후 인도 아대륙에는 여러 국가들이 난립하게 되었는데 그중에서 두각을 드러낸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중앙아시아의 유목민들인 월지가 세운 쿠샨 제국이었다. 쿠샨 제국은 그리스인과 사카인(스키타이)의 침공으로 혼란에 빠져있던 북인도를 침입하여 그 지역 대부분을 장악하고, 불교(대승불교)를 후원하였으며 로마 제국과 무역 활동을 전개했다. 쿠샨 제국은 서기 2세기에 페르시아 지역에서 발흥한 사산 제국에게 멸망당했다.

굽타 제국의 영토

쿠샨 제국이 멸망하자, 서기 319년경에 마가다 지역으로부터 굽타 제국이 일어나 이후 1세기 동안 북인도 대부분을 정복하고 데칸고원에까지 영향력을 행사했다. 굽타 제국은 이전 왕조들과 달리 불교 대신 힌두교를 후원하여 제국의 공식 국교로서 삼았다. 인도 문학 및 학문의 발전은 이 시대에 정점에 이르렀으며 많은 위인들이 굽타 제국 치하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인도 숫자의 발명, 삼각 함수의 고안, 무한대0 개념의 확립 등이 있다.

서기 5세기에 굽타 제국은 약화되었고 북인도는 다시 타민족들의 위협을 받게 되었다. 마침내 중앙아시아에서 세력을 떨치던 후나족이 쳐들어와 인도 북서부를 점령했다. 굽타 제국이 언제 멸망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서기 6세기경부터 이 지역에서 굽타 제국에 대한 기록이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그 즈음에 멸망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뒤로 북인도는 이전과 같이 여러 국가들이 난립하는 혼란기로 돌입하게 된다.

동북아시아

[편집]
갑골문자가 새겨진 뼛조각. 상나라 시기의 유물이다.

기원전 16세기 즈음에 건국된 상나라는 문헌뿐만 아니라 고고학적인 발견을 통해 그 존재가 명확히 확인되는 중국 역사상 최초의 왕조이다. 이들은 황허 유역에 있던 대부분의 씨족 연합체들을 거느리고 있었는데, 그 지역에서 발전한 선진적인 청동 문화와 전차 기술은 상나라 문명의 근간이었다. 안양 인근에 위치한 옛 상나라 수도 은허에서 성벽, 왕궁, 도서관, 무덤, 작업장 등의 흔적이 발견된 것은 그들의 생활을 알 수 있는 좋은 사료가 되어주었다. 이 무렵에 뼈에 글자를 새겨 정보를 기록하거나 점을 치는 등의 갑골문자가 발명되었는데,[324] 그 수는 대략 100,000개 이상으로 추정된다.[325]

기원전 10세기 즈음, 상나라는 서쪽 웨이허 지역에서 일어난 주나라에게 정복되었다. 이때 주나라 통치자들은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최초로 '천명'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그들의 수도는 황허 중상류의 호경이었다. 주나라는 특이하게 군주가 각 지역에 분봉왕 및 유력 제후들을 임명하여 통치하는 봉건제 국가였다.[326]

기원전 8세기 주나라가 서쪽의 이민족인 견융의 침입으로 무너지자, 유력 제후들은 그들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중원의 패권을 쥐기 위해 서로 경쟁하기 시작했다.[q] 결국 주나라는 각지에서 할거한 제후들에 의해 수십~수백개의 국가들로 나뉘어졌으며 이리하여 중국사의 유명한 분열기인 춘추 시대가 개막되었다. '춘추'라는 명칭은 이 시대를 기록한 가장 유명한 역사서인 「춘추(春秋)」의 이름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다.[327] 이때는 다양한 국가들이 출현하여 흥망성쇠를 거듭했으며 수차례의 전란이 일어나기도 했지만,[328][329][330] 제자백가로 대표되는 고대 중국 철학이 번성하면서, 급격하게 변화하는 정치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유가, 도가, 법가, 묵가 등의 사상들이 창시된 시기이기도 했다.[331][332] 이때 봉건제로부터 군현제로, 도시국가에서 영토국가로, 지방분권에서 중앙집권으로 정치 체제가 대부분 이행되었다. 그리고 춘추 시대 중기에는 철제 농기구가 도입되면서 농업 생산력이 증대되었다.

진시황릉병마용

춘추 시대 초기에 대략 140여개에 달했던 국가들은 기원전 5세기 말이 되면 7개의 국가들만 남아 있게 되었는데, 이들이 서로 경쟁했던 시기를 전국 시대라고 부른다.[333] 이 시기에 이르러 주의 봉건제는 완전히 붕괴되었다. 제후들은 주나라 왕에 대한 명목상의 충성도 하지 않게 되었고, 주나라 왕의 직위는 기원전 256년을 마지막으로 폐지된다.[334] 제후들 가운데 가장 두각을 드러냈던 것은 단연 중원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었던 진(秦)이었다.[335][336] 마침내, 진나라 왕 영정이 기원전 213년에 다른 6국들을 모조리 정벌하여 병합하면서 중국의 분열기는 막을 내렸다.[337] 중국의 통일이라는 전대미문의 업적을 달성한 영정은 스스로를 진나라의 초대 황제, 즉 진시황제라고 칭했다.

서기 1세기 초의 한나라는 동북아시아의 패권국이었다.

진시황제는 이전 주나라와 다르게 중앙집권적인 행정 체계를 구축하여 황제 한 사람에게 모든 권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는 전국적인 도로망과 운하망을 건설했으며 수도를 함양으로 이전했다. 북방 유목민의 침입을 막기 위해 만리장성이 축조되고, 양자강 너머까지 중국의 영향력이 확대되었으며, 표준화된 문자 체계 및 도량형 그리고 원형 화폐의 보급 등이 이루어진 것이 바로 이때이다. 그러나 진시황제는 백성들에게 많은 부담을 안겨 주었고, 가혹한 형벌 체제를 실시하여 그에 대한 원성이 자자했다. 결국 기원전 206년에 그가 사망하자 곧 내전이 일어났다.[338] 하지만 오래지 않아 새 왕조였던 한(漢)이 중국을 재통일했는데 그들은 무려 4세기 가량을 통치했다.[339] 한나라 시대에 철기 농기구가 보급되면서 식량 생산량과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종이, 나침반 등 각종 물품들이 발명되었다. 이들의 주요 생산품 중 하나인 비단은 타림 분지를 거쳐 중앙아시아와 페르시아, 심지어는 저 멀리 로마에까지 수출될 정도로 대단한 인기를 끌었다.[340]

話說(화설) 天下大勢(천하대세) 分久必合(분구필합) 合久必分(합구필분)
무릇 천하의 대세라 함은 오랫동안 나뉘어져 있으면 반드시 합쳐지게 되고, 오랫동안 합쳐져 있으면 반드시 나뉘어지게 된다.
 
— 소설 「삼국지연의」 中

한나라는 서기 1세기 후반부터 무너지기 시작했는데 왕실 친인척들과 대제후들이 부정부패를 일삼는 한편으로 백성들의 삶이 힘들어지는 것이 가장 큰 문제였다. 마침내 민중의 분노는 황건적의 난으로 터져나왔고 이 즈음에 실질적인 권력은 지방 군벌들에게로 넘어갔다. 서기 208년경이 되면 한나라는 사실상 멸망한 채로 조조, 손권, 유비가 각각 중국 대륙을 삼분하는 형세를 보였으며, 220년이 되자 마지막 한나라 황제가 퇴위하면서 한나라는 멸망했고 제국은 세 나라로 쪼개졌다. 이로부터 1세기 뒤에 북방 이민족들이 만리장성을 넘어 쳐들어와 북중국을 휩쓸었다. 중국은 589년까지 정치적인 분열을 거듭했다.[341][9]

서기 5세기 무렵의 한반도

중국과 인접한 동아시아의 국가들은 중국 문명과 여러 영향을 주고받으면서도 독자적인 문화를 이루면서 성장해갔다. 한반도에서는 고조선이, 베트남에서는 어우락남월 등이 잇달아 등장하였으나 기원전 2세기에 한 무제에 의해 모두 정복당했다. 이때 중국 문화가 그 지역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향후 수 세기에 걸쳐 그 지역에 남아있게 되었다.[342] 뒤이어 한 무제는 한나라의 주적이었던 북방의 흉노마저 정벌함으로써 중국 패권을 완성시켰다.

수십년이 지난 기원전 108년에 한나라가 쇠퇴하자 한반도에서 백제, 고구려, 신라의 세 왕국들이 생겨나 중국의 잔재를 몰아냈다. 이후 그들은 서로 반목하기도 하고 협력하기도 하면서 서기 9세기까지 존속하였다. 한편 한반도 너머 일본에서는 기원전 500년 이전에 조몬 문화가, 기원전 200년에 야요이 문화가 등장했으며 서기 300년에는 야마토 평원에 한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왕국이 형성되었다.[343]

동남아시아와 오스트로네시아

[편집]
고대 동남아시아인들이 제작한 동선 청동북

동남아시아에서, 야금술을 통해 구리와 청동을 주조했다는 최초의 증거는 기원전 2,000년경에 존재했던 태국 북동부의 반 치앙 및 베트남 북동부의 풍응우옌 문화의 유적지들에서 잘 드러난다.[344]

동선 문화는 청동 주조 기술을 확립했으며, 시간이 조금 더 지나서는 훨씬 정교한 쟁기나 도끼, 낫, 화살, 창살, 장식품 등을 청동 및 철기로 만들 정도가 되었다. 기원전 500년경에는 70kg가 넘는, 크기가 작지 않으면서도 그 장식이나 세부 묘사들이 잘 묘사되어 있는 청동 드럼을 로스트 왁스 주조법으로 제작해내기도 했다. 이 고도로 정교한 금속 가공 기술은 같은 시기 중국이나 인도에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그들이 독자적으로 발전해낸 것이다. 오늘날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작품들이 조직적이고, 중앙집권화된 계층사회 및 인구 증가의 결과물이라고 여긴다.[345][346]

기원전 1,000년에서 기원전 100년 사이에, 베트남 북동부 해안선을 따라 사후인 문화가 출현하여 번성했다.[347] 이들의 특징으로는 무덤이 포함된 도자기 매장지가 거의 전 유적지에서 발견된다는 점이다. 그 안에는 크고 두께가 얇은 테라코타 병, 장식을 위해 제작된 화려한 색상의 그릇, 유리 공예품, 옥 귀걸이 및 금속 물체들이 다수 있었다.[348] 기원전 500년 즈음에는 '농업 왕국'이라고도 불리는 군주국들이 동남아시아 본토와 그 주변 섬들에서 등장하여, 잉여 작물의 재배와 적당한 해안 무역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켜 나갔다.[349] 한편 말라야-인도네시아 지역에 있던 국가들은 대양 무역을 장악했으며, 에야와디 계곡 일대의 쀼 도시국가들홍강 삼각주반랑 왕국, 메콩강 하류의 푸난 등의 국가들과 같은 문화를 공유했다.[350][351][352]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이주 모형도

기원전 3,000년에서 기원전 1,500년경 즈음 대만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이주는 아마도 인구 증가로 인해 촉발된 것이었는데, 그들은 곧 필리핀 군도 일대, 그 중에서도 북부의 루손섬에 정착하여 대략 23,000년 전부터 그곳에 거주했던 초기 오스트레일리아-멜라네시아인들과 혼혈되었다. 이후 1,000년 동안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더 남동쪽으로, 필리핀의 나머지 지역으로 이주했으며 보르네오섬술라웨시해의 수많은 섬들로 차레차례 퍼져나갔다.[353][354] 나중에 한 번 더 일어난 이주 물결로 인해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영향권은 수마트라 및 베트남 남부, 그리고 더 서쪽으로 확장되었고 이때 이주한 이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가운데 말레이어 화자와 참어 화자들의 조상이 되었다.[355]

필리핀에 도착한 이후,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기원전 1,500년 또는 그 이전에 북마리아나 제도를 거점으로 삼아 오지 오세아니아에 처음으로 도착한 인류가 되었다. 차모로인들은 이 무렵에 태평양 제도로 이주한 유일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으로서, 쌀 지배를 그 지역에서도 성공적으로 유지했다는 점이 독특하다. 기원전 1,000년까지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별도의 항해를 통해 팔라우야프로도 이주하였다.[355][353][354]

또 다른 중요한 사건은 기원전 1,200년경 뉴기니 북부 해안의 섬들, 솔로몬 제도, 뉴기니 해안지대, 멜라네시아 군도에서 라피타 문화가 등장했다는 것이었다. 이들은 대양 중간에 존재하는 섬들을 식민지로 삼아 항해 이주를 계속해나갔는데, 기원전 900~800년경에는 피지, 사모아, 통가에 도달했고 200년이 지나서는 쿡 제도타히티, 마르키즈 제도, 서기 900년에는 하와이, 서기 1,000년에는 라파누이, 서기 1,200년에는 뉴질랜드에까지 퍼져나갔다.[356][357][358] 몇 세기 동안, 폴리네시아의 여러 섬들은 고립된 지리적 위치로 인해 더 이상 접촉이 어려워진 라파누이를 제외하고는 서로 간에 양방향 장거리 항해무역을 이어갔다.[358] 한편 핏케언, 커르머덱, 노퍽 등의 지역은 이전에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정착했지만 나중에 버려졌다. 이들이 주식으로 섭취했던 고구마의 확산에 근거하여, 오스트로네이사인들이 훨씬 더 멀리, 심지어는 남미까지 퍼져나가서 아메리카 원주민들과 교역했을수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359][360]

오스트로네시아인초기 해상 무역로. '해상 실크로드'라고도 불린다.[361]
8~11세기 사이에 강력한 해양제국이었던 스리위자야말라카 해협순다 해협을 장악했다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기원전 2,000년부터 기원전 1,000년까지, 대략 3,000년 동안 대만과 필리핀에 걸쳐 존재했던 옥 무역로를 포함하여 동남아시아에 광범위한 초기 해상 무역망을 구축했다. 이 무역은 대만 원주민들과 필리핀 원주민들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나중에는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그리고 태국 일부 지역 및 동남아시아의 다른 지역(사후인-칼라나이 상호작용권)에도 형성되었다. 링링오 장신구는 이 무역 과정에서 거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특히 주목할만한 고고학적 유물 중 하나이다.[362][363][364][365] 한편 해상 옥 무역로가 번영을 누리는 동안, 섬에 거주하던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기원전 1,000~600년 사이에 스리랑카 및 남인도까지 그들만의 향신료 무역망을 뻗쳤다.[366][367][368]

심지어 카메룬우간다에서 발견된 바나나 식물석, 그리고 잔지바르의 신석기 시대 닭 뼈 유적과 같은 고고학적 증거들은 기원전 500년이나 그보다 훨씬 이전에 오스트로네시아인들과 동아프리카인 사이에 장거리 접촉이 있었음을 암시한다.[369][370] 결국 칼리만탄술라웨시 그리고 마카사르 인근에 거주하던 몇몇 오스트로네시아 부족들이 동아프리카 및 마다가스카르로 이주했는데, 이것이 발생한 시기의 추정치는 대략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6~7세기 후반까지 광범위하다.[371][372][368][369][370] 마다가스카르에 정착한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인도양을 직접 건너기보다는, 남아시아와 동아프리카를 관통하는 해상 경로를 따라갔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355] 유전학적 증거에 따르면 오스트로네시아인들 일부는 아프리카의 더 깊숙한 곳과 아라비아 반도에도 퍼져나갔다.[373]

기원후 10세기 이전까지 동남아시아인들은 주로 그들만의 전통적인 선박만을 이용하여 항해했으나, 나중에 타밀인페르시아인들이 상업적인 목적으로 이 지역에 진출하면서 차츰 변화하게 되었다.[374][375] 어찌됐든 기원전 2세기 무렵이 되면 동남아시아의 옥과 향신료 해상 무역망은 남아시아, 중동, 동아프리카, 심지어 지중해까지 광범위한 지역들과 연결되어 있었다. 이 덕분에, 유럽~동아프리카의 상품들이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물품들과 서로 교환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375]

5세기 후반, 팔렘방에서 건국된 스리위자야말라카 해협~순다 해협 일대의 엠포리움 및 해상 무역망을 자신의 영향력 아래 두고, 저 멀리 유럽과 중동에서부터 번성하는 당나라 시장에 이르기까지 활발하게 거래되는 향신료와 각종 불교 유물들을 수출함으로써 엄청난 번영을 누렸다.[374](p. 12) 그들은 명실상부 이 지역의 해양제국이었다. 스리위자야가 남인도의 촐라 제국에게 무너지고 난 다음에는 믈라유, 크다, 타루마나가라, 마타람 등이 그 지위를 이어받았다. 이들은 모두 동남아시아를 관통하는 무역로들, 특히 향신료 제도를 주축으로 한 향신료 무역과 인도~중국 간의 해상 무역망의 혜택을 톡톡히 누렸다.[376]

이집트 이외의 아프리카

[편집]
고대 카르타고의 최대 영향권

카르타고는 기원전 814년경, 오늘날 레바논 일대에 거주하던 페니키아인들에 의해 지중해 연안의 식민도시로서 설립되었다.[377] 이로부터 도시 국가였던 고대 카르타고가 건국되어, 북아프리카 대부분과 히스파니아 전역에 걸쳐 지중해 해상무역을 장악하고 각지에 동맹 세력을 구축했다.[378] 그들의 영향력이 절정에 달했을때, 카르타고는 서지중해 대부분을 차지한 상태였다.[377] 그러나 카르타고는 곧 일련의 분쟁에 휘말려야 했다; 이탈리아 중부에서 성장한 로마는 카르타고의 가장 강력한 위협이 되었다. 이리하여 포에니 전쟁이 발발하였는데, 카르타고는 한니발 바르카의 활약으로 잠시 우세를 점하였지만 최종적으로 패배하고 로마에 의해 멸망했다.[379]

누비아(수단) 출신 파라오들의 석상

기원전 3,100년경에 정복된 이래로 누비아는 줄곧 이집트의 통치를 받았지만, 기원전 2,500년에 이르러 누비아인들은 케르마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그들만의 독립적인 국가를 세웠다.[380] 그뒤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누비아는 다시 한번 이집트에게 정복되었다. 그러나 기원전 1,100년에 나파타를 수도로 한 쿠시 왕국이 생겨나 기원전 760년에 이집트를 역으로 정복했다. 누비아 파라오들은 신아시리아에게 패배하기 전까지 약 한 세기 동안 이집트의 지배권을 유지했다.[381]

에자나 비문은 악숨인들이 기독교로 개종한 이후 어떻게 주변 지역을 정복했는지를 기록했다

한편 그보다 조금 더 남쪽에서는 악숨 왕국이 성장해나가고 있었다. 그들은 에리트레아와 에티오피아에 걸쳐 있는 지리적 입지 덕분에 동아프리카로 향하는 해상 무역로들을 장악할 수 있었다. 기원전 4세기경부터 발전해오던 악숨 왕국은 서기 1세기부터 그 지역의 주요 강국으로 떠올랐고,[382] 마침내 서기 6세기에는 전성기를 맞이하여 에티오피아 대부분과 홍해 연안, 예멘까지 팽창했다.[383] 특기할만한 점으로, 악숨 왕국의 아라비아 반도 침공시기는 이슬람의 창시자이자 예언자인 무함마드의 탄생일과 겹친다는 기록이 존재한다.

녹 문화의 대표적인 테라코타 유물, '앉아있는 사람'.

녹 문화는 기원전 1,500년경 나이지리아 부근에서 등장하였으며 기원전 1세기 즈음에 알 수 없는 이유로 신비롭게 사라졌다. 이들의 사회 시스템은 당시 서남아프리카의 문화라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발달되어 있었다. 또한 이들은 실물 크기의 정교한 테라코타 조각품들을 제작하였으며 수준 높은 철기 제련법을 보유하고 있었다.[384]

젠네-제노는 오늘날 말리의 나이저 강 부근에 위치해 있으며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화 중심지이자 가장 유명한 고고학 유적지 중 하나로 꼽힌다. 이 고고학 유적지는 비슷한 이름을 가진 오늘날의 도시 젠네에서 대략 3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고대에는 장거리 무역과 아프리카 쌀의 재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도시의 크기는 33헥타르를 훨씬 뛰어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광범위한 조사 결과 그정도까지는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도시는 기원전 250년부터 서기 900년까지 이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지만, 이슬람의 확산 및 젠네 모스크 건설로 인해 점차 버려져 오늘날에 이르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전까지, 학자들은 다른 지역의 상인들이 이곳에 도착하기 전에 서남아시아에는 선진적인 무역망과 복잡한 사회 시스템이 생겨나지 못했다고 여겼으나, 젠네-제노의 발견으로 완전히 뒤집혔다. 젠네-제노와 비슷한 문화의 마을들이 기원전 900년경에 나이저 강 유역을 따라서 생겨났으며, 말리의 또다른 유적지인 디아에서도 발전했다.

다르 티칫오울라타는 기원전 2,000년경 오늘날 모리타니 일대에 있던 초기 도시 중심지들 가운데서 두각을 드러냈다. 이 무렵에 사하라 사막의 옛 사바나 지역에는 대략 500개의 석기 정착지가 드문드문 흩어져 있었는데, 그곳의 주민들은 기장을 재배하고 근처에 조그맣게 흐르는 개울에서 낚시를 하는 것으로 생활했다. 기원전 300년경, 이 지역이 더욱 건조해지면서 정착지는 감소하기 시작했다. 이들 중 살아남은 정착지들은 이후 말리 제국의 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구 젠네는 이 시기에 정착한 사람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곳에서는 철기 생산의 흔적과 복잡한 양식의 무덤 등이 발견된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닝케족이 이러한 정착지의 설립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이들은 소닝케족의 조상이었을지도 모른다.

오늘날 반투족의 조상들은 남부 아프리카 전역에 퍼져나갔고 적어도 기원전 2,000년경까지 콩고 강을 지나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1,000년 이후에는 콩고 저지대에 농경 생활 방식이 확산되었으며, 비슷한 시기에 반투족들은 적도 남쪽의 남아프리카로도 그들의 발걸음을 옮겼다.[385] 선진적인 철 제련법과 야금술, 그리고 농경 기술이 그들과 함께 확산되어, 남아프리카에서는 기장, 기름야자, 수수, 얌 등이 재배되고 가축으로는 돼지나 양이 길러졌다. 이러한 기술들은 이 지역의 인구 증가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고, 기원 전후로 사막이나 울창한 삼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이 개간되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정착 공동체가 보편화되었다.[386] 나중에 기원후 15세기가 되면 대짐바브웨를 중심으로 주변에 유목 마을들을 거느린 강력한 반투 왕국들이 여럿 등장한다.[9]

아메리카

[편집]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도착하기 전, 그러니까 '선콜럼버스 시대(Pre-Columbian era)'의 아메리카에서는 서반구, 메소아메리카, 남미 서부에서 어느정도 중앙집권화된 고대 문명들이 출현했다.[387] 특히 안데스 산맥에서 발전한 고대 안데스 문명, 그리고 아마존 강 하구의 마라호아라 문화와 비슷한 시기에 북아메리카 평원지대에서도 농경 문화가 점차 확대되었다.[출처 필요][388]

외계인(?)을 묘사했다고 추정되는 한 나스카 지상화. 일부 음모론자들은 나스카 지상화가 당대 기술로는 만들 수 없는 것이며, 필시 UFO를 타고 우주에서 날아온 외계 문명의 도움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고대 안데스 문명은 기원전 3,500년경 이 지역에서 어업을 주 생활로 하던 공동체가 발전하면서 시작되었다. 정교한 해안 사회와 함께, 각지에 공동체의 중심지 역할을 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대형 기념물들이 건설되었다.[389] 이 지역의 사람들은 콩류, 면화, 땅콩, 고구마를 재배했으며 어업을 병행했다. 기원전 2,000년경에는 재배 가능 작물에 감자가 추가되었다. 기원전 1,000년 무렵에 차빈 컬트를 기반으로 한 차빈 문화가 등장하여 대형 사원과 예술품, 그리고 정교하게 짜여진 직물 등의 흔적을 남겼다. 금, 은, 구리는 보석으로서 사용되었으며 때때로 소형 도구를 제작할 때 이를 같이 쓰기도 했다.[390]

차빈 문화는 기원전 250년경에 쇠퇴해 사라졌고, 기원전 200년을 전후로 하여 여러 도시들이 건설되었다. 개중 후아리, 푸카라, 티아와나코와 같은 도시들에는 10,000명 이상의 주민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390] 서기 300년에는 모체 강을 따라 모체 문화가 등장했다. 모체인들은 그들의 사회 및 문화 전반을 새긴 토기를 남겼다. 한편 서기 100년경 이후부터는 안데스 산맥에 모체 이외에도 다양한 문화들이 등장했다.[391] 특히 나스카 문화카후아치의 대규모 신전과 더불어 사막에 그려진 나스카 지상화로 유명하다.[392]

메소아메리카에서의 농경 생활은 기원전 8,000년경에 시작되었는데 아보카도, 콩류, 고추, 박류, 스쿼시(squash) 등은 시간이 조금 더 지난 기원전 7,000년경부터 재배되었다. 기원전 4,000년경에는 옥수수가,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는 토마토가 이 지역에 들어와 재배 가능한 작물로서 자리잡았다. 기원전 3,000년경이 되자 수많은 정착지들이 생겨났고 기원전 2,000년경에는 메소아메리카의 대부분 지역에서 농경이 실천되고 있었다. 이때 일부 동물들이 가축화되었는데, 운송이나 노동에 적합한 대형 육상 동물이 아메리카에는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대상은 칠면조 등에만 국한되었다.[393]

기원전 1,200년경 산 로렌초로부터 메소아메리카 최초의 문명인 올멕이 등장하였다. 올멕 문화의 중심지는 처음에는 산 로렌초였으나 기원전 800년경에 라 벤타로, 다시 기원전 400년경에는 트레스 사포테로 옮겨갔다. 이들을 포함하여 올멕 유적지의 공통적인 특징은, 석재로 지어진 무덤과 대형 사원 그리고 기타 신앙 관련 건축물들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올멕 사회가 얼마나 복잡하고 고도화되어 있었는지를 증명해준다. 다만 그들이 어떻게 생활하고 어떠한 계급 사회를 형성했는지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을 비롯한 다양한 올멕 유물들은 대체로 메소아메리카 전역에서 발견되며, 아마도 그들이 구축한 무역로를 통해 옮겨졌을 가능성이 높다. 올멕 문자는 주로 그 지역 고유의 달력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후기 메소아메리카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394]

메소아메리카의 도시 국가였던 테오티우아칸 유적지. 오늘날에는 유명한 관광지이다.

올멕은 기원전 400년경 알 수 없는 이유로 쇠퇴했다. 그 뒤 올멕의 잔재로부터 마야, 사포텍, 테오티우아칸이 등장하여 메소아메리카를 석권했다.[395] 사포텍 문명은 기원전 500년 즈음 오악사카 계곡몬테 알반에서 시작되었다. 몬테 알반은 서기 200년경에 대략 25,000명의 주민을 가진 대도시로 성장했으며 그 내부에는 대형 석조 사원과 광장 등이 있었다. 사포텍인들은 올멕인들과 마찬가지로 고유의 문자 체계 및 달력을 가지고 있었던 듯 하다. 하지만 서기 900년경에 몬테 알반은 알 수 없는 이유로 버려졌다.[396] 테오티우아칸은 서기 200년 무렵부터 발전하였는데 전성기에는 무려 20만 명이 넘는 주민들이 거주하고 그 면적은 21km2에 달했다. 도시는 서기 700년경에 원인이 불분명한 화재로 인해 버려지기 전까지 계속 메소아메리카의 중심지로서 기능하였다.[397]

마야 문명은 서기 300년경 멕시코의 유카탄 반도와 그 일대에서 등장했다. 고전기 600년 동안 사원, 피라미드, 궁전과 같은 마야 유적지가 80개가 넘게 건설되었다.[398] 마야 문명은 서로 전쟁을 벌이는 도시 국가들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는데 이 무렵에는 티칼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었다. 각 도시 국가들은 경쟁을 계속하면서도 도시 간의 무역을 활발하게 추진했으며 자신들의 문화를 발전시켜 나갔다. 특히 올멕 문자에 기반한 마야 문자가 발명되었으며 달력이나 천문학적 지식 등이 여럿 기록되었다. 역사, 시, 그리고 기타 정보들은 아마도 책에 기록되었을 것이나 스페인의 메소아메리카 정복 시기에 대부분이 사라졌다. 마야인들은 수학 계산에서 0의 개념을 사용하는 놀라운 모습을 보여주었다(구대륙에서는 인도 수학자들이 발명). 마야 문명은 서기 800년경에 이 지역이 건조 기후로 이행하자 점차 쇠퇴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치첸이트사, 마야판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도시들이 버려졌으며[399] 이들 역시 13~14세기를 지나면서 점차 황폐화되었다. 스페인의 콩키스타도르들이 1511년에 침략해올 당시에 마야 문명은 거의 몰락한 상태였다.

고대의 미국과 캐나다에서 조직화된 사회의 흔적은 종종 흙더미나 돌무더기를 쌓아올려 만든 건축물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들 중에서도 독특하게 여겨지는 것은 미국 루이지애나 주에 위치한 소위 '빈곤 지점 문화(Poverty Point culture)'로 100여개 이상의 무더기들이 조성되어 있다. 북미 전역을 관통하는 미시시피 강은 고대 북미 원주민들에게는 장거리 무역과 문화 발전의 핵심이었을 것이다. 빈곤 지점 문화 이후, 초기 우드랜드 시대에 미국 남동부에서는 호프웰과 같은 복합적인 문화가 연이어 등장했다. 서기 500년경에 이 지역에 농경 생활이 생겨나기 전에는 대부분의 원주민들이 수렵 채집 사회를 유지했다.

고대 시대의 종말

[편집]
야만족에 의해 파괴된 고대 인도의 수도원
3세기경 , , 삼국의 형세

서기 3세기를 전후로, 유라시아 남반부에 줄지어 들어섰던 고대 제국들은 거대한 군대를 유지하고 중앙 관료제를 지원하는 데 있어 공통된 문제에 직면했다.[400] 특히 로마와 한나라는 국가 자체가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동시에 국경 지대를 향해 가해지는 외부에서의 압력은 이전보다 더욱 심화되었다.[400] 중국에서는 서기 220년에 한나라가 멸망했지만, 실은 그보다 조금 더 전에 이미 커다란 내전에 휩싸이고 있었으며, 마침내 삼국시대를 시작으로 반세기가 넘는 기나긴 혼란에 빠졌다. 로마 제국은 흔히 3세기의 위기라고 알려진 시기에 점점 더 중앙집권제가 약화되고 내부 분열이 심화되었다. [401]

이후 4세기와 5세기에 걸쳐 북방의 유목민족들이 주요 문명권에 파괴적인 공격을 감행했다.[402][r] 304년 내몽골 지역의 흉노족이 만리장성을 넘어 남하했고, 10년도 채 안되어 황하에 이르렀으며 북중국 대부분을 점령했다. 그뒤 3세기 동안 북중국 지역은 주변 이민족들로부터의 연이은 침략에 시달렸다(오호십육국 시대). 많은 중국인들이 전란을 피해 양자강 너머 남중국으로 피난을 떠나야 했다.[404]

비슷한 시기에 또 하나의 유목 민족인 훈족이 아시아 서남부를 휩쓸고 동유럽으로 쳐들어갔는데, 이것은 흑해 및 다뉴브 주변의 게르만족들에게 연쇄반응을 일으켰다. 게르만족은 이들을 피해 발칸반도와 남유럽으로 내려와야 했고 곧 로마 제국과의 갈등이 일어났다. 378년, 서고트인들은 아드리아노플 부근에서 로마 군대를 패퇴시켰으며 뒤이어 이탈리아로 쳐들어가 410년에 로마를 약탈했다. 한편 다른 게르만족들은 라인 강을 건너 서유럽과 스페인, 북아프리카를 잠식했다. 로마 제국의 유일한 승리는 451년에 있었다. 이후 중앙아시아의 호전적인 유목민인 아바르족이 서진해 한 세대가 채 지나지 않아 발칸 반도를 점령했다. 이들의 뒤를 이어 슬라브족불가르족이 발칸 반도를 침공했고 롬바르드족은 북이탈리아로 남진했다.

480년, 또 한 갈래의 훈족(백훈족)이 북인도를 침공해 굽타 제국을 약화시켰으며 나아가 484년에 사산 페르시아 제국을 공격하여 황제를 살해했다. 이들은 대략 한 세기 동안 중앙아시아 대부분을 장악하고 페르시아와 북인도에 걸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5세기가 끝나갈 무렵의 지중해 세계

600년경이 되면 로마장안을 비롯하여 유라시아의 수많은 대도시들이 급격히 쇠퇴하는데, 그 과정은 '붕괴'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새로운 구조가 낡은 구조를 대체하는 과정이었다. 많은 지역에서 전통적인 지식과 기술은 퇴출당하고 변화의 바람이 일어났다. 인도와 북중국을 점령한 이민족들은, 자신의 통치 방식을 강제하면서도 지방의 실권자들에게는 그들의 전통과 문화를 간직하도록 하는 협력 체제를 구축했다. 유럽에서도 프랑스의 프랑크족, 스페인의 서고트족, 이탈리아의 동고트족 등 원시 게르만족 통치자들 역시 자신들의 체제를 강요하지 않고 다만 로마의 전통을 조금씩 바꾸었을 뿐이다. 476년에 서로마의 마지막 황제가 퇴위한 것은 서유럽이 고대에서 중세로 이행하는 작은 발걸음일 뿐이었다. 라틴어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살아남았고, 훗날 기독교 성직자와 이슬람 학자들은 고대 문화를 번역하여 미래 세대로 전해주었다.[9]

중세

[편집]
1175년에서 1180년 사이 캔터베리 대성당에 조성된 스테인드 글라스. 성경 속 이야기인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를 묘사한 것이다.

중세는 르네상스 시대의 유럽인들이 이전의 역사를 암흑기로 치부하여 이를 폄하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용어이며, 고대근대를 먼저 구분한 뒤에 그 사이의 시대를 뭉뚱그려서 지칭한 것이므로 꽤나 모호한 점이 없지 않아 있다. 때문에 중세는 그 특징을 확실하게 설명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시대의 구분은 서구권에서 비유럽 지역을 정복하고 종속시키는 과정을 통해 보편적인 역사 구분으로서 확립되었으며, 특히 카를 마르크스시대구분론(원시 공산주의 시대-고대 노예제-중세 농노제-근대 자본주의-미래 공산주의 사회)과 사회진화론(그것이 계몽주의적인 형태이든, 제국주의적인 형태이든)이 호응을 얻음에 따라 서구식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사람들 역시 이러한 개념은 수용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비유럽권, 특히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왕조 혹은 그에 비견할 만한 집권 세력에 따라 시대를 구분하는 경우가 다분하였으며, 유럽의 고대근대에 비견할 만한 시대가 정확하게 합의되지 못한 상태에서 무력을 통해 강제적으로 서구식의 근대를 맞이하였다. 따라서 중세 구분의 개념에 대해서는 탈근대 움직임이 태동하는 1970~1990년대까지도 치열한 논쟁이 계속되었다.

오늘날에 들어 그러한 시대 구분법에 대해 많은 비판이 있는데[405] 특히 동양사적인 시각으로 보았을때 그들의 역사 일부를 중세로 구분하는 것은 유럽 중심의 역사 구분을 기계적으로 적용한 것이라는 점이 가장 크다.[406][407][408][409] 일부 학자들은 중세의 대체 용어로 고전후 시대(Post-classical history), 고대후 시대(post-ancient era), 혹은 전근대 시대(Pre-Modern Era)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스탄불아야 소피아

그러나, 중세는 근대 이전의 시기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의미로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네덜란드의 역사학자인 요한 호이징아는 오히려 르네상스를 《중세의 가을》로 표현한 바 있다.[410] 대한민국 역시 고려를 중세 시대의 왕조로 구분하며, 중국에서는 아예 어느 시점을 중세의 기준점으로 삼을 것인가를 두고 여러 주장이 분분하다.

각 지역별 역사에서 중세는 대략 다음의 시기를 뜻한다.

이 시기에 아라비아 남부에서 이슬람이 발흥하면서, 서아시아에는 신정 체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종교제국이 세워졌고 얼마 있지 않아 엄청난 번영을 누리게 되었다. 한편 동아시아에서는 중국의 황제 체제가 일본, 한국, 베트남과 같은 주변 지역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그 힘이 세계로 뻗어나가는 양상이 보인다. 이때 불교성리학과 같은 종교·학문들이 확산되었다.[417] 화약 역시 이 무렵의 중국에서 처음 발명되었다. 13세기에 급부상한 몽골 제국은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여 두 지역 사이에 전례없는 대여행의 시대를 열었다.[418] 중세 시대의 시작이었던 500년경에 약 2억 1천만 명이었던 전세계 인구는, 중세 시대가 끝나갈 무렵인 1,500년경이 되면 약 4억 6천 1백만 명으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419] 비록 중간에 유스티니아누스 역병, 몽골 침공과 학살, 중세 흑사병 등의 위기가 닥치면서 부수적인 감소가 있기는 했으나, 대체로 이 기간 동안에 인구는 꾸준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420][421]

근대

[편집]

근대라는 시대 구분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서양의 근대는 17세기 이후 일어난 구체제의 붕괴와 산업혁명을 통해 형성된 민족주의, 자본주의, 제국주의 등의 형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흐름이다. 한편으로는 시민사회의 형성과 민주주의의 발전 등이 근대의 특징으로 일컬어진다.[422]

그러나, 제국주의에 의해 식민지로 전락한 제3세계에 대하여 이러한 서양의 근대 특성을 기계적으로 대입하는 것은 "각 시기의 정권이 얼마나 이러한 기준에 도달하였는지"를 보는 것이고, 그 결과 근대의 각 요소인 경제발전과 민주주의를 분리하여 민주주의를 경제성장의 대립적 개념으로 파악하고 민주주의적 가치보다 경제성장을 우선시 하는 것이 "근대화"라는 몰역사적 근대 인식을 형성하는 원인이 된다는 비판이 있다.[423] 이에 따라 식민지 역시 세계사적인 흐름에서 연관된 세계로 파악하여 식민지 근대를 이룬다는 시각이 있다.[424]

한편, 이와 같은 근대의 기준과 달리 중세 이후 역사를 구분하기 위해 근세라는 개념을 사용하기도 한다. 한국의 경우 조선시대를 근세로 본다.[425] 일본의 경우 16세기 이후 19세기 메이지 시대 이전까지를 근세로 보며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 및 에도 시대에 해당한다.[426]

서양의 초기 근대 사회

[편집]

15세기 이후 영국의 산업발전과 고전경제학의 성립, 그리고 산업혁명은 서양의 근대가 시작되는 중요한 전환점이다. 이와 더불어 대항해 시대이후 서양의 지리 인식 확장과 아메리카 식민지 및 인도의 유럽 경제 편입은 이후 제국주의 팽창의 시발점이 되었다. 한편, 프랑스 대혁명으로 인해 구체제가 붕괴되고 국민국가가 출현하였다. 프랑스 대혁명과 영국의 명예 혁명이후 유럽에서는 민주주의 정치 체제가 들어서기 시작하였다.[427]

제국주의의 세계분할

[편집]
열강에 의해 분할된 세계지도

산업혁명이후 자본주의의 발달로 역사상 유래 없는 경제력과 군사력을 갖추게 된 유럽의 각국은 세계 각 지역을 자국의 식민지로 만들어 갔으며 19세기 무렵에는 세계의 대부분 (아프리카, 아시아 등의 국가들)이 영국,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스페인, 이탈리아, 포르투갈 같은 이른바 열강에 의해 분할되었다.[428] 서구의 동아시아로의 제국주의적 팽창에 있어 종교는 빠질 수 없는 한 축이다. 특히 프랑스는 유독 선교사의 보호와 선교 자유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는데, 프랑스 국내에서는 가톨릭의 영향을 원하지 않으면서도 식민지나 포교지에서는 국가의 이익을 위해 가톨릭 선교를 지원 · 보호정책을 취하였다.[429] 그리고 이 식민 해외 제국주의 정책을 펼치던 서유럽 열강 7개 나라 속에서 자금적 패권을 행사했던 배후에는 로스차일드 가문 같은 유럽의 유대계 재벌 가문이 포함되어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편집]
만일 불타는 꿈속에서 / 그가 실려가는 마차 뒤를 따라 걸을 수 있다면 / ……/ 독가스 찬 폐 속에서 쿨렁쿨렁 쏟아져 나오는 피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 …… / 친구여 영광의 이야기를 졸라대는 아이들에게 / 그렇게 진심으로 거짓말을 하지는 못할 테지 / 그 오래된 거짓말 말일세 / "조국을 위해 몸바치는 것은 고귀한 영예라고."
 
— 윌프레드 오언, 《고귀한 영예》, 인류이야기 현대편 1에서 재인용[430]


사라예보 사건으로 시작된 제1차 세계대전은 열강들의 제국주의와 범슬라브주의, 범게르만주의와 같은 민족주의가 작용하여 전 세계적인 전쟁으로 번졌다. 1차 대전은 전 지구상에서 동시에 전쟁이 일어난 세계대전이었으며 총력전, 참호전, 대량 학살이 일어난 전쟁이었다. 이 때의 전쟁으로 탱크, 독가스 등의 신무기들이 발명되었으며, 이전까지의 열강이었던 영국프랑스미국에게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전쟁의 결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되었고 독일은 바이마르 공화국이 세워졌다.[431]

소비에트 연방

[편집]

제1차 세계대전 직후 러시아에서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나 소비에트 연방이 세워졌다. 이 후 소비에트 연방은 20세기 말 붕괴될 때까지 서양의 자본주의 체제와 양립하는 양대 세력 중 하나로 존재하였다.[431][432]

대공황

[편집]

1929년 10월 24일 뉴욕 주식시장의 붕괴가 일어난 검은 목요일이후 자본주의 세계는 유래 없는 공황을 맞이하였다. 미국에서는 대 공황에 대한 대처로 케인즈주의와 함께 관세를 최대 48%까지 올리는 스무트-홀리 관세 법안이 통과되었다.[433] 이로써 자유 방임 주의에 기반한 자본주의 경제를 대체하여 케인즈의 이론에 따른 뉴딜 정책과 같은 수정 자본주의가 대두되었다.[434] 또한 이 사건으로 세계의 경제는 잠시 후퇴하였으며, 독일일본은 혼란을 벗어나기 위해 점점 제국주의로 흐르면서 다시 제 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제2차 세계 대전

[편집]
나카사키에 투하된 원자 폭탄

대공황의 여파로 인해 붕괴된 세계 경제는 독일나치즘이탈리아파시즘과 같은 전체주의 사상이 세력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독일 나치의 지지율과 실업률 사이에는 상당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독일 나치의 총통 히틀러는 군대를 늘려 실업률을 떨어뜨렸다.[435] 또한 독일, 이탈리아, 일본은 물자가 풍부한 영국, 미국 등의 식민지를 빼았으려고 하는 추축국을 결성하고 미국, 소비에트 연방, 영국 등이 식민지를 지키려는 연합국을 구성하면서 세계는 두 편으로 나뉘게 되었다. 제 2차 세계 대전은 독일의 폴란드 침공을 이유로 연합국이 추축국에 전쟁을 선언해 전 세계적인 전쟁으로 확산되었으며, 이후 일본 제국동남아시아를 점령하기 위해서 미국을 견제하기 위해 태평양전쟁을 일으켜 세계대전에 합류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은 유럽에서는 베를린 함락, 태평양에서는 원자 폭탄의 투하와 일본의 항복으로 끝났다. 전쟁의 결과 추축국인 독일, 이탈리아, 일본이 패망하였고 세계는 유엔을 결성했다.[436]

현대

[편집]

현대는 현재의 정치 체제하의 시대와, 현재의 국제 사회 체제하의 시대를 가리키는 역사 개념이다. 2011년 현재 "현대"의 시작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5월 8일 독일의 항복, 9월 2일 일본의 항복), 1989년 냉전 종식 (동유럽 혁명) 중 하나를 가리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폴로 17호의 달착륙 (1972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45년부터 1960년대에 이르기까지 세계 각지의 식민지들이 대부분 독립하였다. 이들 국가중 상당수는 냉전 시기 비동맹주의를 고수하였고 미국소련이라는 양대 강국과 떨어진 다른 세계라는 의미의 제3세계로 불렸다.[437] 제3세계라는 용어는 사회주의국가가 붕괴한 오늘날에도 남북문제와 같은 경제 관계에서 여전히 관용적으로 사용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각국은 전지구적인 전쟁의 위험을 줄이고 평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유엔을 결성했다. 최초 회원국은 51개 국이었으며 현재 193개 국이 가입되어 있다.[438] 한편으로 종전 후 수십년 동안 제국주의 국가들이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점령했던 식민지들은 때로는 독립권 부여나 자체 투쟁으로, 때로는 독립전쟁을 통해 독립을 쟁취하여 하나의 국가로 변모하였다.[439] 그러나 이렇게 새로이 독립한 국가들은 신식민주의, 사회정치적 혼란기, 빈곤과 문맹 등의 난관을 마주해야 했다.[440]

서유럽 국가들은 경제적 위기감 등을 계기로 일종의 정치경제 공동체인 유럽 연합 (EU)을 결성해 나갔으며, 냉전이 끝난 이후에는 동쪽의 구소련 위성국가들도 편압하게 되었다.[441][442][443] 그러나 헌법 제정에 앞서 연합규약을 두었던 미합중국과는 달리, 유럽연합은 그에 맞먹는 정치경제적 공동조직이 미성숙한 덕에 유효성이 보다 떨어진다는 걸림돌을 안고 가야 했다. 한편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들도 아세안이나 아프리카 연합과 같은 대륙별 연합체 결성에 잠정적인 첫걸음을 내디뎠다.

냉전 과정에서 또다른 세계대전을 저지하기 위하여, 혹은 그에 대비하기 위하여 기술 발전에 속도가 붙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 정립되어 전시에 긴급상황을 지원하였던 제트기, 로켓, 컴퓨터 등이, 전쟁 이후의 기술발전으로 제트 여객기를 통한 항공여행, 인공위성GPS 등의 수많은 응용기술, 컴퓨터를 잇는 인터넷의 발명과 그것으로 촉발된 정보화 시대로 거듭나게 되었다.

21세기

[편집]
인터넷의 전개도 (2005년 기준)

1950년대 이후 이어져왔던, 인류가 자초한 핵무기 위협은 21세기에 들어서도 계속되었다. 핵무기를 새롭게 개발하여 배치하고자 하는 나라들과 그렇게 하지 않도록 막으려는 기존 보유국들 간에 신경전이 이어지는 것이다. 그와 동시에 핵무기를 지닌 국가들 사이에서는 모든 핵무기를 점차 줄여나가자는 서약을 이행하는 데 별다른 열의를 보이지 않았다. 이 같은 핵무기가 그것의 사용 대상에게는 물론 보유국에게도 똑같이 위험천만한 존재가 되고 있는 것은 여전하다.[444][445]

한편으로 21세기에는 날로 고조되는 경제적 세계화와 통합, 그리고 그 결과로 상호연결된 경제에 딸린 위험성 역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주된 특징이며, 휴대전화인터넷을 통한 통신 확대로 경제, 정치, 개인 사생활에 이르기까지 사회의 근본적 변화를 일으키는 중이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설명주1

[편집]
  1. 이 날짜는 2015년 케냐의 로메키 유적지에서 초기 석기가 발견된 것을 근거로 하는 것이지만,[12] 몇몇 고생물학자들은 에티오피아 디키카에서 도축의 흔적이 있는 뼈가 발견된 것을 근거로 석기가 약 339만 년 전에 발명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하며[13] 아예 두 지역의 발견 자체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들도 있다.[14]
  2. 아프리카의 호모 에렉투스 아종은 '호모 에르가스테르'라고 명명되었다
  3. 2018년 중국 샹첸에서 발견된 210만 년 전의 석기로 인해 호모 에렉투스의 분화 날짜가 바뀔 수도 있다.[22]
  4. 아프리카 남부에서 발견된 불에 탄 뼈들은 150만 년 전의 인류가 음식을 익혀 먹는 방법을 터득했음을 보여주는 근거였다.[9]
  5. 몇몇 학자들은 약 20만 년 전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33]
  6. 호모 로데시엔시스(Homo rhodesiensis)라는 용어도 이따금 사용된다.
  7. 이 날짜는 2018년 이스라엘의 미슬리야 동굴에서 발견된 위턱뼈를 조사한 결과를 기반으로 추정한 것이며,[46] 2019년 그리스의 아피디마 동굴에서 발견된 화석 두개골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10,000년 전으로 앞당겨질수도 있다고 한다.[47] 다만 후자의 연구 결과는 현재 많은 논란이 있다.[48]
  8. 다른 학자들은 인류가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으로 갔거나 아니면 여러 경로를 통해 다양한 지역으로 분산되었다고 주장한다.[52]
  9. 다만 최초의 소는 약 10,500년 전 오늘날의 튀르키예와 파키스탄 일대에 폭넓게 분포하던 야생 오록스를 가축화함으로써 탄생했다.[74]
  10. 레반트의 나투프 문화와 중국의 초기 신석기 문화가 그 예로 꼽힌다.
  11. 몇몇 학자들은 년도를 기원전 6,000년에서 5,000년 즈음으로 추정한다.[87]
  12. 이 년도는 중국 전설상의 왕조인 하나라의 건국 년도이며 고고학적으로는 확인되지 않았다.[109] 중국 문명의 기원은 초기 양사오 문화룽산 문화(기원전 4,000~기원전 2,000년경)에 있지만,[110] 고고학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최초의 중국 왕조는 상나라(기원전 1,750년)이다.[111]
  13. 그 이전에도 다양한 형태의 원시 문자들이 존재했지만 완전하게 발전된 문자 체계를 구성하지는 못했다.[125]
  14. 쐐기 문자는 강가의 갈대첨필로 사용하여 점토판에 문자를 새기는 방식으로 기록되었다.[128]
  15. '사르'는 3600을 의미하는 아카드어이다.[176]
  16. 하지만 인더스 문명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고, 이들의 문화는 훗날 인도아리아인에게 많은 영향을 주어 베다 시대 후기까지 줄곧 이어졌다.[246]
  17. 제후들 중에서도 유독 강력한 이들은 소위 '패자'(覇者)라고 불렸는데, 패자는 회맹(會盟)을 주최하여 질서를 유지하고, 주 왕실을 명목상으로만 존중한 채로 존왕양이(尊王攘夷, 왕을 받들고 이민족을 배척함) 명분을 내세워 중원을 통제했다(춘추오패).
  18. 등자의 발명과 궁기병의 발전으로 유목 세력은 정주 문명에 지속적인 위협이 되었다.[403]

설명주2

[편집]
  1. 피터 클리프트가 이끄는 지질학 연구팀은, 기후 또는 하천의 변화가 하라파의 쇠퇴를 초래했는지에 대한 여부를 실험하기 위해 8,000년 전부터 이 지역의 강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조사했다. 지르콘 모래 입자의 U-Pd 연대 측정을 사용한 결과, 그들은 비아스, 수트레지, 야무나와 같이 인더스 강의 히말라야 지류에서 발견되는 전형적인 퇴적물들이 가가르-하크라 강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다만 빙하수로 인해 형성된 강에서 발생한 퇴적물들은 인더스 문명이 발달하기 훨씬 전에, 최소한 10,000년 전에 멈춘 것으로 보인다.[238]
  2. 트리파티 외(2004)는 지난 20,000년 동안 가가르-하크라 강의 물 공급 시스템이 히말라야 빙하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그것보다 더 낮은 지대에서 발원한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것이 전적으로 빗물에 의존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들은 또한 이것이 하라파 시대의 강력한 '사라스바티' 강에 대한 생각과 모순된다고 생각했다.[239]
  3. Broke:[244] "The story in Harappan India was somewhat different (see Figure 111.3). "고고학자들이 지역들 사이의 방어와 전쟁의 징후를 거의 발견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인더스 강의 청동기 시대 마을과 도시 사회는 일종의 이례적인 현상이다. 홀로세 초중반의 풍부한 몬순 강우량은 모두에게 풍요로운 조건을 형성하고 경쟁의 에너지가 전쟁이 아닌 상업으로 유입된 것처럼 보인다. 학자들은 오랫동안 이러한 비가 기원전 2,600년경 신석기 시대의 마을에서 발생한 하라판 도시의 기원을 형성했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이제 이 강우량은 하라파 도시들이 개발되기 시작한 바로 그 시짐인 기원전 3,000년경에 서서히 줄어들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남아시아에서의 이 '최초의 도시화'는 후기 홀로세 시대에 시작된 건조에 대한 인더스인들이 초기 대응이었던 것이었을지도 모른다. 이 도시들은 300~400년 동안 유지되었다가, 인더스인들이 영토의 동쪽 범위에 있는 흩어져 있는 마을에 정착해나가면서 점차 버러졌다..."
    17 (참고):
    a)Liviu Giosan et al., "Fluvial Landscapes of the Harappan Civilization," PNAS, 102 (2012), E1688—E1694;
    (b) Camilo Ponton, "Holocene Aridification of India," GRL 39 (2012), L03704;
    (c) Harunur Rashid et al., "Late Glacial to Holocene Indian Summer Monsoon Variability Based upon Sediment Records Taken from the Bay of Bengal," Terrestrial, Atmospheric, and Oceanic Sciences 22 (2011), 215–28;
    (d) Marco Madella and Dorian Q. Fuller, "Paleoecology and the Harappan Civilization of South Asia: A Reconsideration," Quaternary Science Reviews 25 (2006), 1283–301. Compare with the very different interpretations in Possehl, Gregory L. (2002), 《The Indus Civilization: A Contemporary Perspective》, Rowman Altamira, 237–245쪽, ISBN 978-0-7591-0172-2 , and Michael Staubwasser et al., "Climate Change at the 4.2 ka BP Termination of the Indus Valley Civilization and Holocene South Asian Monsoon Variability," GRL 30 (2003), 1425. Bar-Matthews and Avner Ayalon, "Mid-Holocene Climate Variations."

인용주

[편집]
  1. Blainey, Geoffery (2000). A Short History Of The World. Penguin Books, Victoria. ISBN 0-670-88036-1
  2. 만프레프 마이, 김태환 역,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 세계사, 웅진닷컴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사전
  4. Jungers 1988, 227–231쪽
  5. Bulliet et al. 2015a, 1쪽, "Human beings evolved over several million years from primates in Africa."
  6. Christian 2011, 150쪽, "But it turned out that humans and chimps differed from each other only by about 10 percent as much as the differences between major groups of mammals, which suggested that they had diverged from each other approximately 5 to 7 million years ago."
  7. Dunbar 2016, 8쪽, "Conventionally, taxonomists now refer to the great ape family (including humans) as hominids, while all members of the lineage leading to modern humans that arose after the split with the [Homo-Pan] LCA are referred to as hominins. The older literature used the terms hominoids and hominids respectively."
  8. Wragg-Sykes 2016, 183–184
  9. 지오프리 파커 (2004). 《아틀라스 세계사》. 
  10. Dunbar 2016, 8, 10쪽, "What has come to define our lineage – bipedalism – was adopted early on after we parted company with the chimpanzees, presumably in order to facilitate travel on the ground in more open habitats where large forest trees were less common....The australopithecines did not differ from the modern chimpanzees in terms of brain size."
  11. Lewton 2017, 117
  12. Harmand 2015, 310–315
  13. McPherron 등. 2010, 857–860쪽
  14. Domínguez-Rodrigo & Alcalá 2016, 46–53
  15. de la Torre 2019, 11567–11569쪽
  16. Stutz 2018, 1–9쪽, "The Paleolithic era encompasses the bulk of the human archaeological record. Its onset is defined by the oldest known stone tools, now dated to 3.3 Ma, found at the Lomekwi site in Kenya."
  17. Strait 2010, 341쪽, "However, Homo is almost certainly descended from an australopith ancestor, so at least one or some australopiths belong directly to the human lineage."
  18. Villmoare 등. 2015, 1352–1355쪽
  19. Spoor 등. 2015, 83–86쪽, "The latter is morphologically more derived than OH 7 but 500,000 years older, suggesting that the H. habilis lineage originated before 2.3 million years ago, thus marking deep-rooted species diversity in the genus Homo."
  20. Bulliet et al. 2015a, 5쪽, "What most distinguished Homo habilis from the australopithecines was a brain that was nearly 50 percent larger."
  21. Herries 등. 2020
  22. Zhu 등. 2018, "Fourth, and most importantly, the oldest artefact age of approximately 2.12 Ma at Shangchen implies that hominins had left Africa before the date suggested by the earliest evidence from Dmanisi (about 1.85 Ma). This makes it necessary to reconsider the timing of initial dispersal of early hominins in the Old World."
  23. Dunbar 2016, 10쪽
  24. Gowlett 2016, 20150164쪽, "We know that burning evidence occurs on numbers of archaeological sites from about 1.5 Ma onwards (there is evidence of actual hearths from around 0.7 to 0.4 Ma); that more elaborate technologies existed from around half a million years ago, and that these came to employ adhesives that require preparation by fire."
  25. Christian 2015, 11쪽
  26. Christian 2015, 400n쪽
  27. Dunbar 2016, 11쪽
  28. Hammer 2013, 66–71쪽
  29. Yong 2011, 34–38쪽
  30. Ackermann, Mackay & Arnold 2015, 1–11쪽
  31. Reich 등. 2010, 1053–1060쪽
  32. Abi-Rached 등. 2011, 89–94쪽
  33. Wragg-Sykes 2016, 180
  34. Hublin 등. 2017, 289–292쪽
  35. Fagan & Durrani 2021, 3. Enter Homo Sapiens (c. 300,000 Years Ago and Later)
  36. Coolidge & Wynn 2018, 5
  37. Christian 2015, 319쪽
  38. Christian 2015, 319–320, 330, 354쪽
  39. Christian 2015, 344–346쪽
  40. McNeill & McNeill 2003, 17–18쪽
  41. Christian 2015, 357–358, 409쪽
  42. Morley 2013, 42–43쪽
  43. Svard 2023, 23
  44. Christian 2015, 22쪽, "Most Paleolithic communities lived by foraging, nomadizing over familiar territories."
  45. Weber 등. 2020, 29–39
  46. Herschkovitz 2018, 456–459쪽
  47. Harvati 등. 2019, 500–504
  48. Rosas & Bastir 2020, 102745
  49. Christian 2015, 283쪽
  50. O'Connell 등. 2018, 8482–8490쪽
  51. Posth 등. 2016, 827–833쪽
  52. Li 등. 2020, 1699–1700쪽
  53. 요시쿠라 사쿠지, 김이경 역, 고고학자와 함께하는 이집트 역사기행, 서해문집, 2006, 34쪽
  54. Clarkson 등. 2017, 306–310쪽
  55. Christian 2015, 283쪽
  56. Bennett 2021, 1528–1531
  57. Christian 2015, 316쪽, "Dispersal over an unprecedented swath of the globe...coincided with an Ice Age that...spread ice in the northern hemisphere as far south as the present lower courses of the Missouri and Ohio rivers in North America and deep into what are now the British Isles. Ice covered what is today Scandinavia. Most of the rest of what is now Europe was tundra or taiga. In central Eurasia, tundra reached almost to the present latitudes of the Black Sea. Steppe licked the shores of the Mediterranean. In the New World, tundra and taiga extended to where Virginia is today."
  58. Pollack 2010, 93
  59. Christian 2015, 400쪽, "In any case, by the end of the era of climatic fluctuation, humans occupied almost all the habitats their descendants occupy today, with the exception of relatively remote parts of the Pacific, accessible only by high-seas navigation and unsettled, as far as we know, for many millennia more."
  60. Christian 2015, 321, 406, 440–441쪽
  61. Koch & Barnosky 2006, 215–250쪽
  62. Christian 2015, 406쪽
  63. Larson, G.; Piperno, D. R.; Allaby, R. G.; Purugganan, M. D.; Andersson, L.; Arroyo-Kalin, M.; Barton, L.; Climer Vigueira, C.; Denham, T.; Dobney, K.; Doust, A. N.; Gepts, P.; Gilbert, M. T. P.; Gremillion, K. J.; Lucas, L.; Lukens, L.; Marshall, F. B.; Olsen, K. M.; Pires, J.C.; Richerson, P. J.; Rubio De Casas, R.; Sanjur, O.I.; Thomas, M. G.; Fuller, D.Q. (2014). “Current perspectives and the future of domestication studies”. 《PNAS》 111 (17): 6139–6146. Bibcode:2014PNAS..111.6139L. doi:10.1073/pnas.1323964111. PMC 4035915. PMID 24757054. 
  64. Denham, T. P. (2003). “Origins of Agriculture at Kuk Swamp in the Highlands of New Guinea”. 《Science》 301 (5630): 189–193. doi:10.1126/science.1085255. PMID 12817084. S2CID 10644185. 
  65. Harmon, Katherine (2009년 12월 17일). “Humans feasting on grains for at least 100,000 years”. 《Scientific American》. 2016년 9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8일에 확인함. 
  66. Snir, Ainit; Nadel, Dani; Groman-Yaroslavski, Iris; Melamed, Yoel; Sternberg, Marcelo; Bar-Yosef, Ofer; Weiss, Ehud (2015년 7월 22일). “The Origin of Cultivation and Proto-Weeds, Long Before Neolithic Farming”. 《PLOS ONE》 (영어) 10 (7): e0131422. Bibcode:2015PLoSO..1031422S. doi:10.1371/journal.pone.0131422. ISSN 1932-6203. PMC 4511808. PMID 26200895. 
  67. “First evidence of farming in Mideast 23,000 years ago: Evidence of earliest small-scale agricultural cultivation”. 《ScienceDaily》 (영어). 2022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23일에 확인함. 
  68. Zong, Y.; When, Z.; Innes, J. B.; Chen, C.; Wang, Z.; Wang, H. (2007). “Fire and flood management of coastal swamp enabled first rice paddy cultivation in east China”. 《Nature》 449 (7161): 459–462. Bibcode:2007Natur.449..459Z. doi:10.1038/nature06135. PMID 17898767. S2CID 4426729. 
  69. Ensminger, M. E.; Parker, R. O. (1986). 《Sheep and Goat Science》 Fif판. Interstate Printers and Publishers. ISBN 978-0-8134-2464-4. 
  70. Larson, Greger; Dobney, Keith; Albarella, Umberto; Fang, Meiying; Matisoo-Smith, Elizabeth; Robins, Judith; Lowden, Stewart; Finlayson, Heather; Brand, Tina (2005년 3월 11일). “Worldwide Phylogeography of Wild Boar Reveals Multiple Centers of Pig Domestication”. 《Science》 307 (5715): 1618–1621. Bibcode:2005Sci...307.1618L. doi:10.1126/science.1106927. PMID 15761152. S2CID 39923483. 
  71. Larson, Greger; Albarella, Umberto; Dobney, Keith; Rowley-Conwy, Peter; Schibler, Jörg; Tresset, Anne; Vigne, Jean-Denis; Edwards, Ceiridwen J.; Schlumbaum, Angela (2007년 9월 25일). “Ancient DNA, pig domestication, and the spread of the Neolithic into Europe”. 《PNAS》 104 (39): 15276–15281. Bibcode:2007PNAS..10415276L. doi:10.1073/pnas.0703411104. PMC 1976408. PMID 17855556. 
  72. Bulliet et al. 2015a, 21쪽
  73. Barker & Goucher 2015, 265쪽
  74. McTavish, E. J.; Decker, J. E.; Schnabel, R.D.; Taylor, J. F.; Hillis, D. M. (2013). “New World cattle show ancestry from multiple independent domestication events”. 《PNAS》 110 (15): E1398–1406. Bibcode:2013PNAS..110E1398M. doi:10.1073/pnas.1303367110. PMC 3625352. PMID 23530234. 
  75. Barker & Goucher 2015, 218쪽
  76. Barker & Goucher 2015, 95쪽
  77. Barker & Goucher 2015, 216–218쪽
  78. 요시쿠라 사쿠지, 같은 책, 41쪽
  79. Roberts & Westad 2013, 34–35쪽
  80. Lewin 2009, 247쪽, "The date of 12,000 years before present (BP) is usually given as the beginning of what has been called the Agricultural (or Neolithic) Revolution...The tremendous changes wrought during the Neolithic can be seen as a prelude to the emergence of cities and city states and, of course, to a further rise in population."
  81. Yoffee 2015, 313, 391쪽
  82. Barker & Goucher 2015, 193쪽
  83. Yoffee 2015, 313–316쪽
  84. McNeill 1999, 13쪽
  85. Rael 2009, 113
  86. Ganivet 2019, 25
  87. McNeill 1999, 13쪽
  88. Barker & Goucher 2015, 161–162, 172–173쪽
  89. Bulliet et al. 2015a, 99쪽
  90. Bulliet et al. 2015a, 19쪽
  91. Kinzel & Clare 2020, 32–33쪽, Monumental – Compared to What? A Perspective from Göbekli Tepe
  92. Barker & Goucher 2015, 224쪽
  93. 요시쿠라 사쿠지, 같은 책, 43쪽
  94. The Sun God and the Wind Deity at Kizil
  95. 한영우 (2003). 《다시 찾는 우리 역사》 전면개정판. 경세원. 65쪽. ISBN 89-8341-057-4. 원시인들의 신앙 중에서 가장 큰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태양숭배였다. 우주 자연 중에서도 태양을 가장 위대한 조물주로 생각하고 이를 하느님으로 불렀다. 단군신화에 보이는 환인은 바로 우리 조상들이 믿은 하느님으로서 태양신을 말한다. 그리고 하느님의 후손 단군(檀君)이 나라를 세웠으므로 우리민족은 하느님의 후손이 된다고 믿었다. 
  96. Some Critiques of the Feminist/New Age "Goddess" Claims
  97. Radivojevic 등. 2013, 1030–1045
  98. Headrick 2009, 30–31쪽
  99. McClellan & Dorn 2006, 41
  100. Roberts & Westad 2013, 46쪽
  101. Stearns & Langer 2001, 21쪽
  102. Roberts & Westad 2013, 53쪽
  103. Bard 2000, 63쪽
  104. Roberts & Westad 2013, 70쪽
  105. Benjamin 2015, 563쪽
  106. Graeber & Wengrow 2021, 314쪽
  107. Chakrabarti 2004, 10–13쪽
  108. Allchin & Allchin 1997, 153–168쪽
  109. Ropp 2010, 2쪽
  110. Tignor et al. 2014, 71쪽
  111. Ropp 2010, 2–3쪽
  112. Bulliet et al. 2015a, 23쪽
  113. Headrick 2009, 32쪽
  114. Roberts & Westad 2013, 59쪽
  115. Bulliet et al. 2015a, 35쪽
  116. Roberts & Westad 2013, 91쪽
  117. McNeill 1999, 16쪽
  118. McNeill 1999, 18쪽
  119. Roberts & Westad 2013, 43–46쪽
  120. Yoffee 2015, 118쪽
  121. Regulski 2016
  122. Wengrow 2011, 99–103쪽, The Invention of Writing in Egypt
  123. Boltz 1996, 191쪽, Early Chinese Writing
  124. Fagan & Beck 1996, 762
  125. Trubek 2016, The Strangely Familiar Very Far Past
  126. {Roberts & Westad 2013, 53–54쪽
  127. Tignor et al. 2014, 49, 52쪽
  128. Headrick 2009, 33쪽
  129. Robinson 2009, 38
  130. Bulliet et al. 2015a, 80쪽
  131. Yoffee 2015, 136쪽
  132. 요요 마, 전원경 역, 요요 마의 실크로드, 시공사, 2008, 155쪽
  133. Abulafia 2011, xvii, passim
  134. Benjamin 2015, 89쪽
  135. 요요 마, 같은 책, 158쪽
  136. Bulliet et al. 2015a, 35쪽
  137. Christian 2011, 256
  138. Tignor et al. 2014, 48–49쪽
  139. Headrick 2009, 31쪽
  140. Graeber & Wengrow 2021, 362쪽, "There is no doubt that, in most of the areas that saw the rise of cities, powerful kingdoms and empires also eventually emerged."
  141. Bard 2000, 57–64쪽
  142. Yoffee 2015, 320쪽
  143. Bulliet et al. 2015a, 46쪽
  144. Yoffee 2015, 257쪽
  145. McNeill 1999, 36–37쪽
  146. Bulliet et al. 2015a, 56쪽
  147. McNeill 1999, 46–47쪽
  148. Price & Thonemann 2010, 25
  149. Benjamin 2015, 331쪽
  150. Benjamin 2015, 646–647쪽
  151. Benjamin 2015, 648쪽
  152. Benjamin 2015, 617쪽
  153. Benjamin 2015, 564쪽
  154. Nichols & Pool 2012, 118
  155. Brown 2007, 150쪽
  156. Brown 2007, 150–153쪽
  157. Benjamin 2015, 539–540쪽
  158. Benjamin 2015, 540–541쪽
  159. “Ubaid Civilization”. Ancientneareast.tripod.com. 2017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18일에 확인함. 
  160. Adams, Robert MCC. and Wright, Henry T. 1989. 'Concluding Remarks' in Henrickson, Elizabeth and Thuesen, Ingolf (eds.) Upon This Foundation – The 'Ubaid Reconsidered. Copenhagen: Museum Tusculanum Press. pp. 451–456.
  161. Carter, Robert A. and Philip, Graham Beyond the Ubaid: Transformation and Integration in the Late Prehistoric Societies of the Middle East (Studies in Ancient Oriental Civilization, Number 63)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2010) ISBN 978-1-885923-66-0 p.2, at http://oi.uchicago.edu/research/pubs/catalog/saoc/saoc63.html 보관됨 15 11월 2013 - 웨이백 머신; "Radiometric data suggest that the whole Southern Mesopotamian Ubaid period, including Ubaid 0 and 5, is of immense duration, spanning nearly three millennia from about 6500 to 3800 B.C".
  162. Pollock, Susan (1999). 《Ancient Mesopotamia: The Eden that Never Wa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7334-4. 
  163. Redford, Donald B (1992).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6쪽. ISBN 9780691036069. 
  164. Brace, C. Loring; Seguchi, Noriko; Quintyn, Conrad B.; Fox, Sherry C.; Nelson, A. Russell; Manolis, Sotiris K.; Qifeng, Pan (2006). “The questionable contribution of the Neolithic and the Bronze Age to European craniofacial form”.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103 (1): 242–247. Bibcode:2006PNAS..103..242B. doi:10.1073/pnas.0509801102. PMC 1325007. PMID 16371462. 
  165. Chicki, L; Nichols, RA; Barbujani, G; Beaumont, MA (2002). “Y genetic data support the Neolithic demic diffusion model”. 《Proc. Natl. Acad. Sci. USA》 99 (17): 11008–11013. Bibcode:2002PNAS...9911008C. doi:10.1073/pnas.162158799. PMC 123201. PMID 12167671. 
  166. “Estimating the Impact of Prehistoric Admixture on the Genome of Europeans, Dupanloup et al., 2004”. Mbe.oxfordjournals.org. 2007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1일에 확인함. 
  167. Semino, O; Magri, C; Benuzzi, G; 외. (May 2004). “Origin, Diffusion, and Differentiation of Y-Chromosome Haplogroups E and J: Inferences on the Neolithization of Europe and Later Migratory Events in the Mediterranean Area, 2004”. 《Am. J. Hum. Genet.》 74 (5): 1023–34. doi:10.1086/386295. PMC 1181965. PMID 15069642. 
  168. Cavalli-Sforza (1997). “Paleolithic and Neolithic lineages in the European mitochondrial gene pool” (PDF). 《Am J Hum Genet》 61 (1): 247–54. doi:10.1016/S0002-9297(07)64303-1. PMC 1715849. PMID 9246011. 2020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1일에 확인함. 
  169. Chikhi (1998년 7월 21일). “Clines of nuclear DNA markers suggest a largely Neolithic ancestry of the European gene”. 《PNAS》 95 (15): 9053–9058. Bibcode:1998PNAS...95.9053C. doi:10.1073/pnas.95.15.9053. PMC 21201. PMID 9671803. 
  170. Zvelebil, M. (1986). 《Hunters in Transition: Mesolithic Societies and the Transition to Farming》.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5, 167–188쪽. 
  171. Bellwood, P. (2005). 《First Farmers: The Origins of Agricultural Societies》. Malden, MA: Blackwell. 
  172. Dokládal, M.; Brožek, J. (1961). “Physical Anthropology in Czechoslovakia: Recent Developments”. 《Current Anthropology》 2 (5): 455–477. doi:10.1086/200228. S2CID 161324951. 
  173. Zvelebil, M. (1989). “On the transition to farming in Europe, or what was spreading with the Neolithic: a reply to Ammerman (1989)”. 《Antiquity》 63 (239): 379–383. doi:10.1017/S0003598X00076110. S2CID 162882505. 
  174. Leick, Gwendolyn (2002), "Mesopotamia: The Invention of the City" (Penguin)
  175. Carter, Robert A. and Philip, Graham. 2010. 'Deconstructing the Ubaid' in Carter, Robert A. and Philip, Graham (eds.) Beyond the Ubaid: Transformation and Integration in the Late Prehistoric Societies of the Middle East. Chicago: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p. 2.
  176. 제임스 B.프리처드 (2010). 《고대 근동 문학 선집》. 
  177. Crawford, Harriet E. W. Sumer and the Sumeria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nd ed. 2004
  178. An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Langer, William L. ed. Houghton Mifflin Company. Boston, MA. 1972
  179. Jacobsen, Thorkild (Ed) (1939),"The Sumerian King List"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Assyriological Studies, No. 11., 1939)
  180. Woods 2010, 36–37쪽
  181. Martin (1988), pp. 20–23.
  182. Pruß, Alexander (2004), 〈Remarks on the Chronological Periods〉, Lebeau, Marc; Sauvage, Martin, 《Atlas of Preclassical Upper Mesopotamia》, Subartu 13, 7–21쪽, ISBN 978-2503991207 
  183. Postgate, J.N. (1992), 《Early Mesopotamia. Society and Economy at the Dawn of History》, London: Routledge, ISBN 9780415110327 
  184. van de Mieroop, M. (2007),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 3000–323 BC》, Malden: Blackwell, ISBN 978-0631225522 
  185. Jacobsen, Thorkild (1976), "The Harps that Once...; Sumerian Poetry in Translation" and "Treasures of Darkness: a history of Mesopotamian Religion"
  186. Crawford, page 73–74
  187. Kleiner, Fred S.; Mamiya, Christin J. (2006).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The Western Perspective — Volume 1》 12판. Belmont, California, USA: Thomson Wadsworth. 22–23쪽. ISBN 978-0-495-00479-0. 
  188. 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 – by D. T. Pot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July 1999 – page 46 – ISBN 0521563585 hardback
  189. Elam: surveys of political history and archaeology, Elizabeth Carter and Matthew W. Stolp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p. 3
  190. Hock, Hans Heinrich (2009). 《Language History, Language Change, and Language Relationship: An Introduction to Histor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s》 2판. Mouton de Gruyter. 69쪽. ISBN 978-3110214291. 2023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91. Gnanadesikan, Amalia (2008). 《The Writing Revolution: Cuneiform to the Internet》. Blackwell. 25쪽. ISBN 978-1444304688. 
  192. Deutscher, Guy (2007). 《Syntactic Change in Akkadian: The Evolution of Sentential Complemen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21쪽. ISBN 978-0-19-953222-3. 2023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27일에 확인함. 
  193. Woods, C. (2006). “Bilingualism, Scribal Learning, and the Death of Sumerian” (PDF). 《S.L. Sanders (ed) Margins of Writing, Origins of Culture: 91–120》. Chicago. 2013년 4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2일에 확인함. 
  194. Samuel Noah Kramer (2010년 9월 17일).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45238-8. 2023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95. J. M. Munn-Rankin (1975). 〈Assyrian Military Power, 1300–1200 B.C.〉. I. E. S. Edwards.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2, Part 2, History of the Middle East and the Aegean Region, c. 1380–1000 B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7–288, 298쪽. 
  196. Christopher Morgan (2006). Mark William Chavalas, 편집. 《The ancient Near East: historical sources in translation》. Blackwell Publishing. 145–152쪽. 
  197. Bellwood, Peter. First Farmers: The Origins of Agricultural Societies. 2004. Wiley-Blackwell
  198. Barich et al. (1984) Ecological and Cultural Relevance of the Recent New Radiocabon dates from Libyan Sahara. In: L. Krzyzaniak and M. Kobusiewicz [eds.], Origin and Early Development of Food-Producing Cultures in Northeastern Africa, Poznan, Poznan Archaeological Museum, pp. 411–17.
  199. Hayes, W. C. (October 1964). "Most Ancient Egypt: Chapter III. The Neolithic and Chalcolithic Communities of Northern Egypt". JNES (No. 4 ed.) 23 (4): 217–272
  200. Barich, B. E. (1998) People, Water and Grain: The Beginnings of Domestication in the Sahara and the Nile Valley. Roma: L' Erma di Bretschneider (Studia archaeologica 98).
  201. Childe, V. Gordon (1953), New Light on the Most Ancient Near East, (Praeger Publications)
  202. Barbara G. Aston, James A. Harrell, Ian Shaw (2000). Paul T. Nicholson and Ian Shaw editors. "Stone," in Ancient Egyptian Materials and Technology, Cambridge, 5–77, pp. 46–47. Also note: Barbara G. Aston (1994). "Ancient Egyptian Stone Vessels," Studien zur Archäologie und Geschichte Altägyptens 5, Heidelberg, pp. 23–26. (See on-line posts: [1] 보관됨 1 2월 2011 - 웨이백 머신 and [2] 보관됨 29 6월 2011 - 웨이백 머신.)
  203. Adkins, L. and Adkins, R. (2001) The Little Book of Egyptian Hieroglyphics, p155. London: Hodder and Stoughton
  204. Shaw, Ian, 편집. (2000).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479쪽. ISBN 0-19-815034-2. 
  205. Redford, Donald B.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206. Gardiner, Alan H. Egypt of the Pharaohs: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207. Adkins, L.; Adkins, R (2001). The Little Book of Egyptian Hieroglyphics. London: Hodder and Stoughton.
  208. Patai, Raphael (1998), Children of Noah: Jewish Seafaring in Ancient Times (Princeton Uni Press)
  209. Roebuck, Carl (1966). The World of Ancient Times. New York, NY: Charles Scribner's Sons Publishing.
  210. Shaw, Ian (2003).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211. “Early Dynastic Egypt”. Digital Egypt for Universities, University College London. 2008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9일에 확인함. 
  212. James (2005) p. 40
  213. Fekri Hassan. “The Fall of the Old Kingdom”.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07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10일에 확인함. 
  214. Clayton, Peter A. (1994). Chronicle of the Pharaohs. London, England: Thames and Hudson.
  215. “Haryana's Bhirrana oldest Harappan site, Rakhigarhi Asia's largest: ASI”. 《The Times of India》. 2015년 4월 15일. 2016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16일에 확인함. 
  216. Fuller, Dorian (2006). “Agricultural Origins and Frontiers in South Asia: A Working Synthesis” (PDF). 《Journal of World Prehistory》 20: 42. doi:10.1007/s10963-006-9006-8. S2CID 189952275. 2011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1일에 확인함. 
  217. Tewari, Rakesh et al. 2006. "Second Preliminary Report of the excavations at Lahuradewa, District Sant Kabir Nagar, UP 2002-2003-2004 & 2005–06" in Pragdhara No. 16 "Electronic Version p.28" 보관됨 28 11월 2007 - 웨이백 머신
  218. UNESCO World Heritage. 2004. " 보관됨 3 11월 2020 - 웨이백 머신. Archaeological Site of Mehrgarh
  219. Parpol, Asko. 2015. The Roots of Hinduism: The Early Aryans and the Indus Civilis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20. Charles Keith Maisels, Early Civilizations of the Old World: The Formative Histories of Egypt, The Levant, Mesopotamia, India and China. 보관됨 1 11월 2022 - 웨이백 머신 Routledge, 2003 ISBN 1134837305
  221. Higham, Charles (2009년 1월 1일). 《Encyclopedia of Ancient Asian Civilizations》. Infobase Publishing. 9–쪽. ISBN 978-1-4381-0996-1. 
  222. Sigfried J. de Laet, Ahmad Hasan Dani, eds.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third millennium to the seventh century B.C. UNESCO, 1996 ISBN 9231028111 p.674
  223. Garge, Tejas (2010). “Sothi-Siswal Ceramic Assemblage: A Reappraisal”. 《Ancient Asia》 2: 15. doi:10.5334/aa.10203. 2021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224. Peter T. Daniels. 《The World's Writing Systems》. Oxford University. 372쪽. 
  225. Parpola, Asko (1994). 《Deciphering the Indus Script》.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3079-1. 
  226. Thapar, B. K. (1975). “Kalibangan: A Harappan Metropolis Beyond the Indus Valley”. 《Expedition》 17 (2): 19–32. 
  227. Valentine, Benjamin; Kamenov, George D.; Kenoyer, Jonathan Mark; Shinde, Vasant; Mushrif-Tripathy, Veena; Otarola-Castillo, Erik; Krigbaum, John (2015). “Evidence for Patterns of Selective Urban Migration in the Greater Indus Valley (2600–1900 BC): A Lead and Strontium Isotope Mortuary Analysis”. 《PLOS ONE》 10 (4): e0123103. Bibcode:2015PLoSO..1023103V. doi:10.1371/journal.pone.0123103. PMC 4414352. PMID 25923705. 
  228. “Indus Valley people migrated from villages to cities: New study”. 《The Times of India》. 2015년 4월 30일. 2019년 7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1일에 확인함. 
  229. “Indus re-enters India after two centuries, feeds Little Rann, Nal Sarovar”. 《India Today》. 2011년 11월 7일. 2018년 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7일에 확인함. 
  230. Pruthi, Raj (2004). 《Prehistory and Harappan Civilization》. APH Publishing. 260쪽. ISBN 9788176485814. 2023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231. Lal 2002, 93–95쪽
  232. Morris, A.E.J. (1994). 《History of Urban Form: Before the Industrial Revolutions》 Thi판. New York, NY: Routledge. 31쪽. ISBN 978-0-582-30154-2. 2023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233. Knipe, David (1991). 《Hinduism》. San Francisco: Harper. ISBN 9780060647803. 
  234. “Decline of Bronze Age 'megacities' linked to climate change”. 2018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4일에 확인함. 
  235. Emma Maris (2014), Two-hundred-year drought doomed Indus Valley Civilization 보관됨 10 8월 2017 - 웨이백 머신, nature
  236. “Indus Collapse: The End or the Beginning of an Asian Culture?”. 《Science Magazine》 320: 1282–3. 2008년 6월 6일. 
  237. Giosan, L.; 외. (2012). “Fluvial landscapes of the Harappan Civiliz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109 (26): E1688–94. Bibcode:2012PNAS..109E1688G. doi:10.1073/pnas.1112743109. PMC 3387054. PMID 22645375. 
  238. Clift et al., 2011, U-Pb zircon dating evidence for a Pleistocene Sarasvati River and capture of the Yamuna River, Geology, 40, 211–214 (2011). [3] 보관됨 2 1월 2016 - 웨이백 머신
  239. Tripathi, Jayant K.; Tripathi, K.; Bock, Barbara; Rajamani, V.; Eisenhauer, A. (2004년 10월 25일). “Is River Ghaggar, Saraswati? Geochemical Constraints” (PDF). 《Current Science》 87 (8). 2004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40. Rachel Nuwer (2012년 5월 28일). “An Ancient Civilization, Upended by Climate Change”. LiveScience. 2019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9일에 확인함. 
  241. Charles Choi (2012년 5월 29일). “Huge Ancient Civilization's Collapse Explained”. 《The New York Times》. 2020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18일에 확인함. 
  242. Madella, Marco; Fuller, Dorian (2006). “Palaeoecology and the Harappan Civilisation of South Asia: a reconsideration”. 《Quaternary Science Reviews25 (11–12): 1283–1301. Bibcode:2006QSRv...25.1283M. doi:10.1016/j.quascirev.2005.10.012. 
  243. MacDonald, Glen (2011). “Potential influence of the Pacific Ocean on the Indian summer monsoon and Harappan decline”. 《Quaternary International》 229 (1–2): 140–148. Bibcode:2011QuInt.229..140M. doi:10.1016/j.quaint.2009.11.012. 
  244. Brooke, John L. (2014), 《Climate Change and the Course of Global History: A Rough Journ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6쪽, Bibcode:2014cccg.book.....B, ISBN 978-0-521-87164-8, 2023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4일에 확인함 
  245. Thomas H. Maugh II (2012년 5월 28일). “Migration of monsoons created, then killed Harappan civilization”. 《Los Angeles Times》. 2012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9일에 확인함. 
  246. White, David Gordon (2003). 《Kiss of the Yogini》.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쪽. ISBN 978-0-226-89483-6. 
  247. Edwin Bryant (2001). The Quest for the Origins of Vedic Culture. pp. 159–60
  248. Ebrey, Patricia (2006).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18쪽. ISBN 978-0-521-43519-2. 
  249. “Rice and Early Agriculture in China”. 《Legacy of Human Civilizations》. Mesa Community College. 2009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10일에 확인함. 
  250. Longshan-Era Urbanism: The Role of Cities in Predynastic China 보관됨 14 7월 2015 - 웨이백 머신
  251. “Peiligang Site”. Ministry of Cultur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3. 2007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10일에 확인함. 
  252. Pringle, Heather (1998). “The Slow Birth of Agriculture”. 《Science282 (5393): 1446. doi:10.1126/science.282.5393.1446. S2CID 128522781. 2011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53. Rincon, Paul (2003년 4월 17일). 'Earliest writing' found in China”. 《BBC News》. 2012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2일에 확인함. 
  254. Li, X; Harbottle, Garman; Zhang Juzhong; Wang Changsui (2003). “The earliest writing? Sign use in the seventh millennium BCE at Jiahu, Henan Province, China”. 《Antiquity》 77 (295): 31–44. doi:10.1017/s0003598x00061329. S2CID 162602307. 
  255. Chang (1986), 113쪽.
  256. Pollard, Elizabeth (2015). 《Worlds Together Worlds Apart》. W.W. Norton & Company. 69–70쪽. ISBN 978-0-393-91847-2. 
  257. Chang (1986), 112쪽.
  258. Wertz, Richard R. (2007). “Neolithic and Bronze Age Cultures”. 《Exploring Chinese History》. ibiblio. 2012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10일에 확인함. 
  259. Martini, I. Peter (2010). 《Landscapes and Societies: Selected Cases》. Springer. 310쪽. ISBN 978-90-481-9412-4. 
  260. Higham, Charles (2004). 《Encyclopedia of ancient Asian civilizations》. Infobase Publishing. 200쪽. ISBN 978-0-8160-4640-9. 
  261. “Erlitou culture | Chinese history | Britannica”. 《www.britannica.com》. 2015년 6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62. Liu, L. & Xiu, H., "Rethinking Erlitou: legend, history and Chinese archaeology", Antiquity, 81:314 (2007)
  263. Liu 2006, 184쪽.
  264. Liu 2004, 229쪽.
  265. Li 2003.
  266. Liu 2004, 230–231쪽.
  267. “二里头:华夏王朝文明的开端”. 《寻根》 3. 
  268. Liu & Xu 2007.
  269. Howells, William (1983). 〈Origins of the Chinese People: Interpretations of recent evidence〉. Keightley, David N. 《The Origins of Chinese Civiliz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97–319쪽. ISBN 978-0-520-04229-2. 
  270. “Teaching Chinese Archaeology, Part Two — NGA”. Nga.gov. 2013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7일에 확인함. 
  271. Sanxingdui Museum (2006)
  272. “The Ziggurat of Ur”. 《British Museum. 201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273. Wolkstein, Diane; Kramer, Samuel Noah (1983). 《Inanna: Queen of Heaven and Earth: Her Stories and Hymns from Sumer》. New York City, New York: Harper&Row Publishers. 118–119쪽. ISBN 978-0-06-090854-6. 
  274. Kramer, Samuel Noah (1963).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Chicago, Illino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1–72쪽. ISBN 978-0-226-45238-8. 
  275. J. A. Brinkman, "Kassiten (Kassû)," RLA, vol. 5 (1976–80
  276. Hart-Davis 2012, 64쪽.
  277. Aberbach 2003, 4쪽.
  278. Düring 2020, 133쪽.
  279. “Black Obelisk, K. C. Hanson's Collection of Mesopotamian Documents”. K.C. Hansen. 2017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3일에 확인함. 
  280. Liverani, Mario (2017). 《"Thoughts on the Assyrian Empire and Assyrian Kingship".》. Hoboken: John Wiley & Sons. 536쪽. ISBN 978-1-118-32524-7. 
  281. “Neo-Assyrian Empire”. 《World History Encyclopedia》 (영어). 2022년 2월 7일에 확인함. 
  282. Frahm, Eckart (2017). 《A Companion to Assyria》. Hoboken: John Wiley & Sons Hoboken. 196쪽. ISBN 978-1-118-32524-7. 
  283. Georges Roux – Ancient Iraq
  284. Joshua J, Mark (2018). “Nebuchadnezzar II”. 《World History Encyclopedia》. 
  285. Benjamin 2015, 101쪽
  286. Baumard, Hyafil & Boyer 2015, e1046657쪽
  287. McNeill & McNeill 2003, 67쪽
  288. Kedar & Wiesner-Hanks 2015, 665쪽
  289. Benjamin 2015, 115쪽
  290. Benjamin 2015, 304쪽
  291. McNeill & McNeill 2003, 73–74쪽
  292. Short 1987, 10
  293. Dunn 1994
  294. Benjamin 2015, 9쪽
  295. Benjamin 2015, 439쪽
  296. Bulliet et al. 2015a, 314쪽
  297. Paine 2011, 273
  298. Kedar & Wiesner-Hanks 2015, 453, 456쪽
  299. Kedar & Wiesner-Hanks 2015, 467–475쪽
  300. Stearns & Langer 2001, 70–71쪽
  301. Bulliet et al. 2015a, 63쪽
  302. Burbank 2010, 56
  303. Bulliet et al. 2015a, 229, 233쪽
  304. Bentley & Ziegler 2006, 165쪽.
  305. Bentley & Ziegler 2006, 166쪽.
  306. Sansone, David (2011). 《Ancient Greek civilization》. Wiley. 5쪽. ISBN 9781444358773. 
  307. Frucht, Richard C (2004년 12월 31일).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ABC-CLIO. 847쪽. ISBN 978-1-57607-800-6. 2012년 12월 5일에 확인함. People appear to have first entered Greece as hunter-gatherers from southwest Asia about 50,000 years... of Bronze Age culture and technology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rise of Europe's first civilization, Minoan Crete 
  308. 《World and Its Peoples》. Marshall Cavendish. September 2009. 1458쪽. ISBN 978-0-7614-7902-4. 2012년 12월 5일에 확인함. Greece was home to the earliest European civilizations, the Minoan civilization of Crete, which developed around 2000 BC, and the Mycenaean civilization on the Greek mainland, which emerged about 400 years later 
  309. Lazaridis 등. 2017, Supplementary Information: pp. 2–3
  310. Fields 2004, 10–11쪽.
  311. Drews, Robert (1995). 《The End of the Bronze Age: Changes in Warfare and the Catastrophe Ca. 1200 BC》. Princeton University Press. 3쪽. ISBN 0691025916. 
  312. Boardman & Hammond 1970, xiii쪽.
  313. Boardman & Hammond 1970, xv쪽.
  314. Lewis 등. 1992, xiii–xiv쪽.
  315. Hart-Davis 2012, 99쪽.
  316. Parker 2017, 98쪽.
  317. Hart-Davis 2012, 98–99쪽.
  318. Hart-Davis 2012, 110–113쪽.
  319. Parker 2017, 113쪽.
  320. Hart-Davis 2012, 198–199쪽.
  321. Parker 2017, 110–111쪽.
  322. Hart-Davis 2012, 150–151쪽.
  323. Krishna Reddy (2003). Indian History. New Delhi: Tata McGraw Hill. p. A107. ISBN 0-07-048369-8
  324. Bentley & Ziegler 2006, 113–114쪽.
  325. Bentley & Ziegler 2006, 121–125쪽.
  326. Bentley & Ziegler 2006, 115–116쪽.
  327. Gernet 1996, 53쪽.
  328. Roberts & Westad 2013, 132–133쪽.
  329. Bentley & Ziegler 2006, 128쪽.
  330. Bentley & Ziegler 2006, 118쪽.
  331. Roberts & Westad 2013, 133–135쪽.
  332. Bentley & Ziegler 2006, 182–189쪽.
  333. Gernet 1996, 62–63쪽.
  334. Bentley & Ziegler 2006, 119쪽.
  335. Bentley & Ziegler 2006, 190쪽.
  336. Gernet 1996, 106쪽.
  337. Roberts & Westad 2013, 313-쪽.
  338. Bentley & Ziegler 2006, 190–192쪽.
  339. Bentley & Ziegler 2006, 193–194쪽.
  340. Bentley & Ziegler 2006, 197–198쪽.
  341. Bentley & Ziegler 2006, 200–203쪽.
  342. Bentley & Ziegler 2006, 195–196쪽.
  343. Parker 2017, 144쪽.
  344. Higham, Charles; Higham, Thomas; Ciarla, Roberto; Douka, Katerina; Kijngam, Amphan; Rispoli, Fiorella (2011년 12월 10일). “The Origins of the Bronze Age of Southeast Asia”. 《Journal of World Prehistory》 24 (4): 227–274. doi:10.1007/s10963-011-9054-6. S2CID 162300712. 2017년 2월 11일에 확인함 – Researchgate.net 경유. 
  345. Daryl Worthington (2015년 10월 1일). “How and When the Bronze Age Reached South East Asia”. New Historian. 2018년 3월 9일에 확인함. 
  346. 〈history of Southeast Asia〉. 《Encyclopædia Britannica. 2017년 2월 11일에 확인함. 
  347. John N. Miksic, Geok Yian Goh, Sue O Connor – Rethinking Cultural Resource Management in Southeast Asia 2011 Page 251 "This site dates from the fifth to first century BCE and it is one of the earliest sites of the Sa Huỳnh culture in Thu Bồn Valley (Reinecke et al. 2002, 153–216); 2) Lai Nghi is a prehistoric cemetery richly equipped with iron tools and weapons, ..."
  348. Ian Glover; Nguyễn Kim Dung. 《Excavations at Gò Cầm, Quảng Nam, 2000–3: Linyi and the Emergence of the Cham Kingdoms》. Academia.edu. 2017년 2월 12일에 확인함. 
  349. J. Stephen Lansing (2012). 《Perfect Order: Recognizing Complexity in Bali》.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쪽. ISBN 978-0-691-15626-2. 
  350. Carter, Alison Kyra (2010). “Trade and Exchange Networks in Iron Age Cambodia: Preliminary Results from a Compositional Analysis of Glass Beads”. 《Bulletin of the Indo-Pacific Prehistory Association》 30. doi:10.7152/bippa.v30i0.9966 (년 이후로 접속 불가 2024-11-02). 2017년 2월 12일에 확인함. 
  351. “Pre-Angkorian Settlement Trends in Cambodia's Mekong Delta and the Lower Mekong” (PDF). Anthropology.hawaii.edu. 2015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11일에 확인함. 
  352. “Early Mainland Southeast Asian Landscapes in the First Millennium” (PDF). Anthropology.hawaii.edu. 2022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12일에 확인함. 
  353. Gray RD, Drummond AJ, Greenhill SJ (January 2009). “Language phylogenies reveal expansion pulses and pauses in Pacific settlement”. 《Science》 323 (5913): 479–83. Bibcode:2009Sci...323..479G. doi:10.1126/science.1166858. PMID 19164742. S2CID 29838345. 
  354. Pawley A (2002). 〈The Austronesian dispersal: languages, technologies and people〉. Bellwood PS, Renfrew C. 《Examining the farming/language dispersal hypothesis》. McDonald Institute for Archaeological Research, University of Cambridge. 251–273쪽. ISBN 978-1-902937-20-5. 
  355. Blust, Robert (2019년 1월 14일). “The Austronesian Homeland and Dispersal”. 《Annual Review of Linguistics》 5 (1): 417–434. doi:10.1146/annurev-linguistics-011718-012440. 
  356. Bellwood, Peter (1991). “The Austronesian Dispersal and the Origin of Languages”. 《Scientific American》 265 (1): 88–93. Bibcode:1991SciAm.265a..88B. doi:10.1038/scientificamerican0791-88. JSTOR 24936983. 
  357. Gibbons, Ann. 'Game-changing' study suggests first Polynesians voyaged all the way from East Asia”. 《Science》. 2019년 4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23일에 확인함. 
  358. Freeman, Donald B. (2013). 《The Pacific》. Taylor & Francis. 54–57쪽. ISBN 9781136604157. 
  359. Van Tilburg, Jo Anne. 1994. Easter Island: Archaeology, Ecology and Culture. Washington D.C.: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360. Langdon, Robert. The Bamboo Raft as a Key to the Introduction of the Sweet Potato in Prehistoric Polynesia, The Journal of Pacific History, Vol. 36, No. 1, 2001
  361. Manguin, Pierre-Yves (2016). 〈Austronesian Shipping in the Indian Ocean: From Outrigger Boats to Trading Ships〉. Campbell, Gwyn. 《Early Exchange between Africa and the Wider Indian Ocean World》. Palgrave Macmillan. 51–76쪽. ISBN 9783319338224. 
  362. Tsang, Cheng-hwa (2000). “Recent advances in the Iron Age archaeology of Taiwan”. 《Bulletin of the Indo-Pacific Prehistory Association》 20: 153–158. doi:10.7152/bippa.v20i0.11751 (년 이후로 접속 불가 2024-11-01). ISSN 1835-1794. 
  363. Turton, M. (2021년 5월 17일). “Notes from central Taiwan: Our brother to the south”. 《Taipei Times》. 2021년 12월 24일에 확인함. 
  364. Everington, K. (2017년 9월 6일). “Birthplace of Austronesians is Taiwan, capital was Taitung: Scholar”. 《Taiwan News》. 2021년 12월 24일에 확인함. 
  365. Bellwood, Peter; Hung, H.; Lizuka, Yoshiyuki (2011). 〈Taiwan Jade in the Philippines: 3,000 Years of Trade and Long-distance Interaction〉. Benitez-Johannot, P. 《Paths of Origins: The Austronesian Heritage in the Collections of the National Museum of the Philippines, the Museum Nasional Indonesia, and the Netherlands Rijksmuseum voor Volkenkunde》. ArtPostAsia. ISBN 978-971-94292-0-3. 
  366. Bellina, Bérénice (2014). 〈Southeast Asia and the Early Maritime Silk Road〉. Guy, John. 《Lost Kingdoms of Early Southeast Asia: Hindu-Buddhist Sculpture 5th to 8th century》. Yale University Press. 22–25쪽. ISBN 9781588395245. 
  367. Mahdi, Waruno (1999). 〈The Dispersal of Austronesian boat forms in the Indian Ocean〉. Blench, Roger; Spriggs, Matthew. 《Archaeology and Language III: Artefacts languages, and texts》. One World Archaeology 34. Routledge. 144–179쪽. ISBN 978-0415100540. 
  368. Herrera, Michael B.; Thomson, Vicki A.; Wadley, Jessica J.; Piper, Philip J.; Sulandari, Sri; Dharmayanthi, Anik Budhi; Kraitsek, Spiridoula; Gongora, Jaime; Austin, Jeremy J. (March 2017). “East African origins for Madagascan chickens as indicated by mitochondrial DNA”. 《Royal Society Open Science》 4 (3): 160787. Bibcode:2017RSOS....460787H. doi:10.1098/rsos.160787. hdl:2440/104470. PMC 5383821. PMID 28405364. 
  369. Tofanelli, S.; Bertoncini, S.; Castri, L.; Luiselli, D.; Calafell, F.; Donati, G.; Paoli, G. (2009년 9월 1일). “On the Origins and Admixture of Malagasy: New Evidence from High-Resolution Analyses of Paternal and Maternal Lineage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26 (9): 2109–2124. doi:10.1093/molbev/msp120. PMID 19535740. 
  370. Adelaar, Alexander (June 2012). “Malagasy Phonological History and Bantu Influence”. 《Oceanic Linguistics》 51 (1): 123–159. doi:10.1353/ol.2012.0003. hdl:11343/121829. 
  371. Pierron, Denis; Razafindrazaka, Harilanto; Pagani, Luca; Ricaut, François-Xavier; Antao, Tiago; Capredon, Mélanie; Sambo, Clément; Radimilahy, Chantal; Rakotoarisoa, Jean-Aimé; Blench, Roger M.; Letellier, Thierry; Kivisild, Toomas (2014년 1월 21일). “Genome-wide evidence of Austronesian–Bantu admixture and cultural reversion in a hunter-gatherer group of Madagascar”.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1 (3): 936–941. Bibcode:2014PNAS..111..936P. doi:10.1073/pnas.1321860111. PMC 3903192. PMID 24395773. 
  372. Heiske, Margit; Alva, Omar; Pereda-Loth, Veronica; Van Schalkwyk, Matthew; Radimilahy, Chantal; Letellier, Thierry; Rakotarisoa, Jean-Aimé; Pierron, Denis (2021년 4월 26일). “Genetic evidence and historical theories of the Asian and African origins of the present Malagasy population”. 《Human Molecular Genetics》 30 (R1): R72–R78. doi:10.1093/hmg/ddab018. PMID 33481023. 
  373. Brucato, N. (2019). “Evidence of Austronesian Genetic Lineages in East Africa and South Arabia: Complex Dispersal from Madagascar and Southeast Asia”. 《Genome Biology and Evolution》 11 (3): 748–758. doi:10.1093/gbe/evz028. PMC 6423374. PMID 30715341. 2024년 5월 23일에 확인함. 
  374. Guan, Kwa Chong (2016). “The Maritime Silk Road: History of an Idea” (PDF). 《NSC Working Paper》 (23): 1–30. 
  375. Franck Billé; Sanjyot Mehendale; James W. Lankton, 편집. (2022). 《The Maritime Silk Road》 (PDF). Amsterdam University Press. ISBN 978-90-4855-242-9. 
  376. Sulistiyono, Singgih Tri; Masruroh, Noor Naelil; Rochwulaningsih, Yety (2018). “Contest For Seascape: Local Thalassocracies and Sino-Indian Trade Expansion in the Maritime Southeast Asia During the Early Premodern Period”. 《Journal of Marine and Island Cultures》 7 (2). doi:10.21463/jmic.2018.07.2.05. 
  377. Parker 2017, 58쪽.
  378. Roberts & Westad 2013, 212–213쪽.
  379. Bentley & Ziegler 2006, 264쪽.
  380. Bentley & Ziegler 2006, 64–66쪽.
  381. Bentley & Ziegler 2006, 67–69쪽.
  382. Phillipson 2012, 48쪽.
  383. Munro-Hay 1991, 57쪽.
  384. Shaw 1978.
  385. Bentley & Ziegler 2006, 81쪽.
  386. Bentley & Ziegler 2006, 82–83쪽.
  387. Parker 2017, 78쪽.
  388. Bentley & Ziegler 2006, 548쪽.
  389. jseagard (2011년 2월 2일). “Proyecto Arqueológico Norte Chico”. 《Field Museum》 (영어). 2020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14일에 확인함. 
  390. Bentley & Ziegler 2006, 146–147쪽.
  391. Bentley & Ziegler 2006, 147–148쪽.
  392. Parker 2017, 131쪽.
  393. Bentley & Ziegler 2006, 135쪽.
  394. Bentley & Ziegler 2006, 136–138쪽.
  395. Parker 2017, 128–129쪽.
  396. Parker 2017, 129쪽.
  397. Parker 2017, 128쪽.
  398. Parker 2017, 130쪽.
  399. Bentley & Ziegler 2006, 137–141쪽.
  400. Bulliet et al. 2015a, 170–172쪽
  401. Bulliet et al. 2015a, 158, 170쪽
  402. Benjamin 2015, 10쪽
  403. Benjamin 2015, 248, 264쪽
  404. Bulliet et al. 2015a, 165쪽
  405. 이경재, 중세는 정말 암흑기였나(살림지식총서 25), 살림, 2006
  406. 오카다 히데히로, 이진복 역, 세계사의 탄생, 황금가지, 2006
  407. Holmes & Standen 2018, 16쪽.
  408. 《Late antiquity: a guide to the postclassical world》. 2000년 4월 1일. 
  409. Rapp, Claudia; Drake, H.A. (편집.), 《The City in the Classical and Post-Classical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xv–xvi쪽, doi:10.1017/cbo9781139507042.016 (년 이후로 접속 불가 2024-11-01) 
  410. 요한 호이징아, 중세의 가을(현대의지성 35) , 문학과지성사, 1997
  411. 브라이언 타이어니, 이연규 역, 서양 중세사, 집문당, 1997
  412. 버나드 루이스, 이희수 역, 중동의 역사, 까치, 1998
  413. 패트리샤 버클리 에브리, 이동진 외 역, 케임브리지 중국사(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시공사, 2006. 이러한 시기 구분은 중국사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서양의 고대-중세-근대 구분과는 의미가 다르다.
  414. 한영우, 같은책
  415. 최관, 우리가 모르는 일본인(일본학총서 02), 고려대학교출판부, 2008, 259쪽
  416. 김진섭,한 권으로 읽는 인도사 , 지경사
  417. Thompson 등. 2009, 82쪽.
  418. Times Books 1998, 128쪽.
  419. Klein Goldewijk, Kees; Beusen, Arthur; Janssen, Peter (2010년 3월 22일). “Long-term dynamic modeling of global population and built-up area in a spatially explicit way: HYDE 3.1”. 《The Holocene》 20 (4): 565–573. Bibcode:2010Holoc..20..565K. doi:10.1177/0959683609356587. ISSN 0959-6836. S2CID 128905931. 
  420. Haub 1995, "The average annual rate of growth was actually lower from 1 A.D. to 1650 than the rate suggested above for the 8000 B.C. to 1 A.D. period. One reason for this abnormally slow growth was the Black Plague. This dreaded scourge was not limited to 14th century Europe. The epidemic may have begun about 542 A.D. in Western Asia, spreading from there. It is believed that half the Byzantine Empire was destroyed in the 6th century, a total of 100 million deaths.".
  421. Haub 1995, pp. 5–6: "The average annual rate of growth was actually much higher from 1 A.D. to 1650 than the rate suggested above for the 8000 B.C. to 1 A.D. period. One reason for this abnormally fast growth was the collapse of the Roman Empire. This dreaded scourge was not limited to 14th century Europe. The epidemic may have begun about 542 A.D. in Western Asia, spreading from there. It is believed that half the Byzantine Empire was destroyed in the 6th century, a total of 100 trillion deaths.".
  422. 임영태, 인류이야기 근대의 세계1 (중세인들, 근대의 문을 노크하다) ,아이필드 ,2007
  423. 역사문제연구소,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비판, 역사비평사, 2006
  424. 윤해동, 식민지 근대의 패러독스, 휴머니스트, 2008
  425. 한영우, 같은 책
  426. 최관, 같은 책
  427. 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 세계사교과서 2 , 휴머니스트, 2007
  428. 전국교사모임, 같은 책
  429. 응웬응옥투이, 〈19세기 조선-프랑스 관계와 베트남〉( 학위논문(석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2014. 2) 6쪽에서 인용된 최석우, 〈파리외방전교회의 한국 진출의 의의〉, 교회사연구5, 한국교회사연구소,1987, p.11.
  430. 임영태, 인류이야기 현대편 1, 아이필드, 2007, 112쪽
  431. 임영태, 같은 책
  432. 전국교사모임,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2
  433. 장하준, 나쁜 사마리아인들, 부키, 2007, 90 - 91쪽
  434. 임영태, 인류이야기 현대편 2, 아이필드, 2007, 25 - 29쪽
  435. 전국교사모임,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2, 192 - 193쪽
  436. 존 베일리스 스티브 스미스 편저, 하영선 외 역, 세계정치론, 을유문화사, 2007
  437. 존 베일리스 스티브 스미스 편저, 같은 책, 159쪽
  438. 유엔의 역사
  439. Abernethy 2000, 133쪽.
  440. Stern, Nicholas; Rogers, F. Halsey; Dethier, Jean-Jacques (2006). 《Growth and Empowerment: Making Development Happen》. Munich lectures in economics. Cambridge, Mass: MIT Press. ISBN 978-0-262-26474-7. 
  441. Dinan, Desmond (2004). 《Europe recast: a history of European Union》.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ISBN 978-0-333-98734-6. 
  442. Peterson, John; Shackleton, Michael, 편집. (2012). 《The institutions of the European Union》 3판.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57498-8. 
  443. Rifkin, Jeremy (2004). 《The European dream: how Europe's vision of the future is quietly eclipsing the American dream》. New York: Jeremy P. Tarcher. ISBN 978-1-58542-345-3. 
  444. Eric Schlosser, Command and Control: Nuclear Weapons, the Damascus Accident, and the Illusion of Safety, Penguin Press, 2013, ISBN 1-59420-227-3.
  445. Thomas Powers, "The Nuclear Worrier" (review of Daniel Ellsberg, The Doomsday Machine: Confessions of a Nuclear War Planner, New York, Bloomsbury, 2017, ISBN 9781608196708, 420 pp.),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vol. LXV, no. 1 (2018년 1월 18일), p. 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