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루 왕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쿠루
कुरुः

기원전 12세기 ~ 기원전 5세기
 

기원전 10세기경 쿠루 강역
기원전 10세기경 쿠루 강역
수도아산디바트(초기)
하스티나푸라(중기)
인드라프라스타(후기)
정치
정치체제초기: 군주제(삼라지야)
후기: 공화제(가나상가)
라자
기원전 12세기경 ~ 10세기경
기원전 12세기경 ~ 9세기경
기원전 9세기경
기원전 9세기경

파리크시트
자나메자야
아슈와메다다타
니칵슈
왕조쿠루 왕조
입법부사바
역사
역사적 시대베다 시대
 • 건국BC 12세기
 • 바라타 전투?BC 950년?
 • 멸망BC 5세기
지리
위치북인도 중서부
인문
공통어베다 산스크리트어
민족인도아리아인
경제
통화파나
종교
종교베다 힌두교

쿠루(산스크리트어: कुरुः)는 철기 시대 북인도의 베다 인도아리아인 부족 연합으로, 중기 베다 시대(기원전 1200년 ~ 기원전 800년)에 등장해 델리, 하리아나, 펀자브 및 서부 우타르프라데시의 일부 지역을 지배하였으며,[1][2] 인도 아대륙에서 최초로 기록화된 국가로 발전하였다.[3][4][5]

쿠루 왕국은 전기 베다 시대의 종교적 유산을 결정적으로 변혁시켰는데, 베다 찬송가를 수집해 집대성하거나, 인도 문명에서 스라우타로 자리잡은 새로운 의식을 개발하였으며,[3] 소위 "고전적 종합""[5] 또는 "힌두교 종합"[6]으로 이어지는데 기여하였다. 이로 인해 쿠루 왕국은 파리크시트자나메자야의 치세 동안 중기 베다 시대의 주요 정치 및 문화 중심지로 기능하였지만,[3] 후기 베다 시대(기원전 900년 ~ 500년경)부터 중요성이 감소하기 시작해 기원전 5세기 십육대국 시대에는 "어딘가 후미진 곳"으로 전락하였다.[5] 그러나, 쿠루 왕국에 대한 전통과 전승은 베다 시대 이후에도 계승되어 마하바라타 서사시의 뿌리를 제공하였다.[3]

오늘날 쿠루 왕국을 이해할 때 주요 사료로 사용되는 베다에서는 이 기간 동안의 삶에 대한 자세한 내용 및 역사적 인물과 사건에 대한 암시를 담고 있으며,[3] 베다 문헌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로 추산한 쿠루 왕국의 시대와 지리적 범위는 고고학적 회색 도자기 문화와 일치하는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5]

역사[편집]

쿠루국의 파나

쿠루 왕국을 건설한 부족인 쿠루족은 본래 초기 베다 시대리그베다 부족 중 하나인 바라타족의 후신이다. 바라타족은 본래 푸루족의 분파로 출발한 민족이었으나 수다스의 통치 아래 성장하며 푸루족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세력을 확장하였고 이 과정에서 푸루족을 비롯한 다른 리그베다 부족들과 충돌하며 발발한 다사라즈나 전투에서 승리한 바라타족푸루족과 결합하면서 쿠루족으로 발전하였으며, 이들이 오늘날의 하리아나 지역으로 정착한 이후 이 지역을 중심으로 쿠루국이 건국되었다. 나중에 하스티나푸라로 주거지를 옮긴 쿠루국은 베다 시대 초기의 베다 유산을 결정적으로 바꾸어 베다를 성문화하기 시작하는 등 인도 문화의 기반을 마련하면서 초기 베다 문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으며[3] 파리크시트자나메자야 시기에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쿠루의 전성기를 이끈 동시에 베다 힌두교 의례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이 둘은 베다에서 칭송받고 있는데, 아타르바베다에서는 파리크시트를 젖과 꿀이 흐르는 쿠루의 명군으로 칭송하고 있으며, 파리크시트의 아들인 자나메자야에 대해서는 아슈바메다를 수행한 위대한 정복왕으로 칭송하고 있다.[7] 이렇듯 화려한 전성기를 가구하던 쿠루는 자나메자야 왕 사후 살바족의 잦은 침입을 받으면서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기원전 800년 경 쿠루의 수도인 하스티나푸라가 홍수로 침수되는 일이 발생한 직후 쿠루 왕조의 일원들이 하스티나푸라를 벗어나 카우샴비로 이주한 후 밧사 왕국을 건국하자 공위 상태가 된 쿠루는 공화정으로 개편되었으며, 인드라프라스타로 수도를 천도한 후 300년간 존속하다가 기원전 5세기에 멸망하였다.

사회[편집]

현대에 재현된 쿠루 시대의 정규 스라우타 의식.
쿠루 시대의 정규 스라우타 의식인 아그니카야나에 사용된 기구 및 팔콘 모양의 제단의 현대 레플리카.

초기 쿠루는 유목 사회였지만 점점 , 보리을 재배하는 농경 사회로 발전하면서 흙으로 만들어진 해자와 제방을 중심으로 나무 울타리로 둘러싸인 도시들을 건설하였으며,[8] 동시에 철기의 사용과 잉여 생산의 성장으로 전문 장인이 출현하였다. 또한 오늘날의 브라만-크샤트리야-바이샤-수드라로 구성된 바르나 형식의 카스트 제도는 이 시기에 처음 등장하였다. 쿠루는 동쪽과 남쪽으로 잦은 정복 활동을 벌이는 동시에 라자(국왕), 사바(부족 회의), 푸로히탐(대사제), 족장, 세나파티(군대의 장군), 식품 유통업자, 전령을 통하여 왕국을 통치하였으며, 크샤트리야브라만들은 베다 문화를 확립하여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계급 체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아그니차야나아슈바메다 등의 야즈나 의례를 자주 실시하였다.

의의[편집]

쿠루 시대에 고대 인도펀자브 지방을 중심으로 서로 동등한 권력을 지닌 라자(지도자)와 사바(장로 회의)가 마을 공동체를 통치하는 초기 베다 시대에서 갠지스강 유역을 중심으로 사바보다 높은 권력을 지니게 된 라자를 수장으로 하는 왕정이 공동체를 통치하는 중기 베다 시대로 돌입하였으며,[9] 고대 인도의 문화 기반이 쿠루 시대에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쿠루는 베다 시대 초중기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마하바라타[편집]

쿠루국의 일대기를 저술한 인도 서사시 문학인 마하바라타에서는 기원전 10세기경에 쿠루국을 지배하던 두 씨족인 판다바카우라바 사이의 충돌로 쿠루크셰트라 전쟁이 발생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쿠루국의 역사적인 왕인 파리크시트와 자나메자야는 판다바의 자손으로 등장하였다.

가계[편집]

이 가계는 마하바라타에 묘사된 쿠루 왕조의 신화적 가계도로, 반드시 혈통이 아닌 왕실과 가족 계승의 선을 보여준다. 또한 신화적 가계도를 묘사한 것이기에 실제 역사와는 차이가 있다.

쿠루a
아나사반a
파리크시트(1)a
자나메자야(1)a
비마세나(1)a
프라티스라바스a
프라티파a
강가샨타누a샤트야바티파라샤라
비슈마치트랑가다암비카비치트라비리야암발리카비야사
드리타라스트라b간다리샤쿠니수리야a쿤티판두b마드리
카르나c유디슈티라d비마d아르주나d수바드라나쿨라d사하데바d
두료다나e두샬라두샤사나(97 아들)
아비만유f웃타라
파리크시트마드라비티
자나메자야


심볼 키

주해

형제자매의 출생 순서는 출생 순서가 설명되지 않은 비야사 및 비슈마와 그 뒤에 태어난 비치트라비리야와 치트랑가다를 제외하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계도에 올바르게 표시된다. 암비카와 암발리카가 자매라는 사실은 가계도에 표시되지 않았으며, 두료다나의 탄생은 카르나, 유디슈티라 및 비마의 탄생 이후 나머지 판다바 형제가 태어나기 전에 이루어졌다.

여기에 표시된 캐릭터들 중 치트랑가다(비치트라비리야의 맏형)와 비두라(드리타라스트라판두의 이복형제)를 포함한 일부 형제는 명확성을 위해 생략되었다.

각주[편집]

인용주[편집]

참조주[편집]

  1. Pletcher 2010, 63쪽.
  2. Witzel 1995, 6쪽.
  3. Witzel 1995.
  4. Also in B. Kölver (ed.)(1997), Recht, Staat und Verwaltung im klassischen Indien [The state, the Law, and Administration in Classical India]. München: R. Oldenbourg. pp. 27–52.
  5. Samuel 2010.
  6. Hiltebeitel 2002.
  7. Raychaudhuri, H. C. (1972).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From the Accession of Parikshit to the Extinction of the Gupta Dynasty, Calcutta:University of Calcutta, pp.11-46
  8. James Heitzman, The City in South Asia (Routledge, 2008), pp.12-13
  9. The Ganges In Myth And History

참고 문헌[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