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바르 술탄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바르 술탄국
مابار سلطنت

1335년 ~ 1378년
수도마두라이
정치
정치체제군주제
술탄 /
1335년 ~ 1339년
1339년
1339년 ~ 1340년
1340년 ~ 1344년
1344년 ~ 1345년
1356년 ~ 1358년
1358년 ~ 1368년
1368년 ~ 1378년

잘랄 웃 딘 샤(초대)
알라 웃 딘 샤
쿠트브 웃 딘 샤
기야트 웃 딘 샤
나시르 웃 딘 샤
샴즈 웃 딘 샤
파크르 웃 딘 샤
알라 웃 딘 샤 2세
(말대)
인문
공용어페르시아어
민족타밀족
종교
국교이슬람교

마바르 술탄국(페르시아어: مابار سلطنت), 또는 마두라이 술탄국은 오늘날 인도 타밀나두 주마두라이를 수도로 존속하다 단명한 독립 왕국이다. 마바르 술탄국은 1335년 당시 마두라이의 총독인 잘랄 웃 딘 아산 칸이 델리 술탄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며 건국되었다. 아산 칸과 그의 후손들은 1378년 마지막 술탄인 알라 웃 딘 시칸다르 샤가 쿠마라 캄파나가 이끄는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군대와 전투에서 패배하며 멸망할 때까지 마두라이와 인근 지역을 통치하였다. 43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술탄국에는 8명의 다른 통치자가 있었다.

역사[편집]

마바르 술탄국의 첫 통치자인 잘랄 웃 딘 아산 칸의 주화

2세기 이상(대략 950년에서 1200년 사이) 타밀나두를 지배했던 촐라 왕이 쇠퇴하고 대신 판디아 왕이 다음 세기(대략 1200년에서 1300년) 동안 우위를 점하였다. 마라바르만 쿨라세카라 판디안 왕(1268~1310)에게는 자타바르만 순다라 판디안과 자타바르만 비라 판디안이라는 이름의 두 아들이 있었다. 큰아들 순다라 판디안은 왕비에게서, 작은아들 비라 판디아는 정실에게서 태어났다. 전통과 달리 왕은 작은 아들이 왕위를 계승할 것이라고 선언하자 이에 격분한 순다라 판디안은 1310년에 아버지를 죽이고 왕이 되었으며, 왕국의 일부 지역 족장들이 동생 비라 판디안에게 충성을 맹세하며 내전이 발발하였다.[1]

순다라 판디안은 내전에서 패배하고 나라를 떠났다. 그는 델리에서 북인도의 대부분을 통치하고 있던 술탄 알라 웃 딘 킬지(Sultan Ala-ud-din Khilji)에게 도움을 청하였다. 그 당시 말리크 카푸르 장군 통솔하의 킬지 군대는 남쪽의 드바라사무드라(타밀나두 북쪽)에 주둔하고 있었다. 순다라 판디아를 돕기로 한 킬지는 말리크 카푸르에게 타밀나두로 진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순다라 판디안의 도움으로 북쪽에서 온 이 이슬람 군대는 1311년에 타밀나두로 입성하였다. 많은 역사가들은 당시 드바라사무드라에 기반을 둔 말리크 카푸르가 남쪽의 타밀나두까지 진군할 계획이 없었으며, 단지 순다라 판디아의 요청과 이에 의한 술탄의 명령으로 타밀나두를 침공했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따라서 델리의 첫 타밀나두 침공은 판디아 왕가 내부 분쟁의 직접적인 결과라고 볼 수 있다.[2] 그 후 델리 술탄국에서 두 차례의 원정이 더 있었다. 두번째는 1314년에 쿠스로 칸이, 세번째는 1323년에 울루흐 칸이 원정군을 이끌었다. 이러한 침공은 판디아 제국을 산산조각내었다. 이전의 침공은 약탈에 만족했지만, 울루흐 칸은 이전 판디아 영토를 델리 술탄국의 마바르주로 합병하였다. 남인도 대부분은 데바기리, 틸링, 캄필리, 도라사무드라, 마바르의 5개 주로 나뉜 채 델리의 지배를 받았다.[3]

1325년, 울루그 칸은 무하마드 빈 투글루크(Muhammad bin Tughluq)라는 이름으로 델리 술탄으로 즉위하였다. 페르시아호라산을 침공하려는 그의 계획은 국고를 파탄시켰고 결국 주조된 화폐를 발행하였지만 이로 인해 위조 화폐 문제가 발생하며 술탄국의 재정이 더욱 악화되었다. 술탄이 자신의 대군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을 지불할 수 없게 되자 결국 먼 지방에 주둔한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을 일으킨 첫 번째 주는 벵골이었고 곧 마바르가 뒤를 이었다. 마바르 주지사인 잘랄 웃 딘 아산 칸은 독립을 선언하고 마바르 술탄국을 건국하였다.[4] 마바르 술탄국의 정확한 건국 연도는 분명하지 않다. 화폐 증거에 따르면 건국 연도는 1335년으로 추정되지만,[4] 페르시아 역사가 피리슈타는 마바르의 반란이 일어난 해를 1340년으로 보고 있다.[4]

마두라이에서 단명한 이 이슬람 왕조는 제2차 판디아 제국의 쇠퇴 이후에 존재했으며, 다음 43년 동안 마두라이, 트리키노폴리 및 남아르콧 일부를 통치했는데, 처음에는 델리 술탄국봉신국으로 존재하다 후에는 독립 군주국으로서 1378년까지 존속하였다.[5] 마바르 술탄국은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부상으로 멸망하고 나중에 마두라이 나야크가 이를 뒤따랐다.

마바르 술탄국의 부유한 상인 아부 알리, 또는 패합리는 마바르 왕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아부 알리는 그들과 결별한 후 원나라로 이주하여 몽골 대칸으로부터 한국인 여성을 아내로 맞이하고 직업을 얻었는데, 동국통감, 고려사 및 리우멩얀의 중간지에는 이 여성이 승가의 이전 아내이자 고려 충렬왕 시기 문신이었던 채송년의 딸로 기록되어 있다.[6][7]

각주[편집]

  1. 《Muslim Architecture of South India : the Sultanate of Ma'bar and the Traditions of Maritime Settlers on the Malabar and Coromandel Coasts (Tamil Nadu, Kerala and Goa).》. Taylor and Francis. 2013. 65-110쪽. ISBN 978-1-136-49984-5. OCLC 958544485. 
  2. 《Muslim Architecture of South India : the Sultanate of Ma'bar and the Traditions of Maritime Settlers on the Malabar and Coromandel Coasts (Tamil Nadu, Kerala and Goa).》. Taylor and Francis. 2013. 160-210쪽. ISBN 978-1-136-49984-5. OCLC 958544485. 
  3. Nilanakta Sastri (1958).
  4. Aiyangar (1921).
  5. Majumdar 2006
  6. Angela Schottenhammer (2008). 《The East Asian Mediterranean: Maritime Crossroads of Culture, Commerce and Human Migration》. Otto Harrassowitz Verlag. 138–쪽. ISBN 978-3-447-05809-4. 
  7. Sen, Tansen (2006) “The Yuan Khanate and India: Cross-cultural Diplomacy in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Asia Major 19 (1/2). Academia Sinica: 317. Archived 2016년 1월 27일 - 웨이백 머신 https://www.jstor.org/stable/41649921?seq=17.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