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 제국
팔라 제국 | ||||
---|---|---|---|---|
পাল साम्राज्यम् | ||||
| ||||
![]() | ||||
수도 | 파탈리푸트라 | |||
정치 | ||||
정치체제 | 전제군주제 | |||
마하라자디라자(황제) 750년 ~ 770년 1162년 ~ 1174년 | 고팔라 1세(초대) 고빈다 팔라(말대) | |||
역사 | ||||
• 건국 | 750년 | |||
• 멸망 | 1174년 | |||
지리 | ||||
850년 어림 면적 | 4,600,000 km2 | |||
인문 | ||||
공통어 | 고전 산스크리트어[1] 전기 벵골어[2] | |||
민족 | 벵골인, 비하르인, 아삼인 | |||
종교 | ||||
종교 | 대승 불교, 밀교, 시바교 |
인도의 역사 भारत का इतिहास |
---|
![]() |
벵골의 역사 বাংলার ইতিহাস |
---|
![]() |
팔라 제국(산스크리트어: পাল साम्राज्यम्, 벵골어: পাল সাম্রাজ্য)[3]은 750년에서 1174년경까지 동인도 지역을 지배한 중세 인도의 제국으로,[4] 인도 아대륙 최후의 불교 왕국이다. 750년에 불교도들이 선거를 통해 고팔라 1세를 가우다 지역의 마하라자디라자(황제)로 선출하면서 팔라 제국이 건국되었다.[5] 팔라 제국은 벵골과 비하르에 걸쳐 형성되었는데, 바이크람푸라, 파탈리푸트라, 가우다, 몽히르, 소마푸라, 람바티(바렌드라), 타말립타, 자갈다라 등의 주요 도시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팔라 제국은 외교적, 군사적으로 뛰어난 제국이었으며, 이들은 거대한 전투 코끼리 군단으로 명성을 떨쳤다. 해군을 육성하여 벵골만에서 상업은 물론, 해상방어전 역시 빈틈없이 수행하였다. 또한 팔라 제국 시대는 인도의 고전 철학과 문학, 회화와 조각의 주요 시초가 시작된 시기로, 소마푸라 마하비하라(Somapura Mahavihara)를 비롯한 웅장한 사원과 수도원을 지었고, 날란다와 비크라마실라의 위대한 대학들을 후원했다. 벵골어의 초기 형태인 전기 벵골어 역시 이 시기에 등장하였으며, 스리비자야 왕국, 토번, 아바스 칼리파국 등 주변국과의 왕래 또한 활발하였다. 팔라 제국의 통치 기간 동안 벵골과 중동 사이의 교역이 증가한 결과, 이슬람교가 처음으로 벵골 지역에 유입되었는데, 이는 아랍 역사가들의 기록뿐만 아니라 팔라 제국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아바스 동전 등이 발견되어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슬람 국가와 상업적, 문화적 교류가 빈번하였으며, 아바스 칼리파국의 수도 바그다드에 있는 지혜의 집은 이시기의 인도 수학과 천문학에 대한 지식을 받아들였다.[6]
9세기 초에 전성기를 맞았을 때 팔라 제국은 북부 인도 아대륙에서 지배적인 강국이었으며, 오늘날 파키스탄 동부와 북동부, 네팔과 방글라데시의 일부 지역까지 지배하고 있었다.[7] 팔라 제국은 다르마팔라 황제와 데바팔라 황제 치하에서 최전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데바팔라 사후 팔라 제국은 라자스탄의 구르자라 프라티하라 제국, 데칸의 라슈트라쿠타 왕국과의 삼파전에서 패배하며 약세를 보였다. 마이팔라 1세는 촐라 제국의 침략에 맞서 벵골과 비하르에 있는 황성 방어에 나섰다. 팔라 제국의 마지막 중흥기를 이끈 황제인 라마팔라 때에는 카마루파와 동강가를 격파하였지만, 제국은 이전에 의해 상당히 약화되었고, 많은 지역이 반란에 휩싸였으며, 결국 1174년에 벵골의 힌두계 국가인 세나 왕국에게 대체되며 멸망하였다. 팔라 제국 시대는 벵골 역사의 황금기 중 하나로 여겨진다.[8][9] 팔라 제국은 수세기 동안 교전하고 있는 분단간의 내전 끝에 벵골에 안정과 번영을 가져왔기 때문이다. 팔라 제국은 초기 벵골 문명의 업적을 발전시켰고 뛰어난 예술과 건축을 창조하였으며, 첫 번째 문학 작품인 차랴파다를 포함한 벵골어의 기초를 닦았다. 팔라 제국의 유산은 여전히 티베트 불교에 반영되어 있다.
기원[편집]
칼리푸르 동판 비문에 따르면 팔라 제국의 시조인 고팔라 1세는 바피타라는 이름의 전사의 아들이었다. 라마차리탐(Ramacharitam)은 바렌드라(북벵골)가 팔라 제국의 시초임을 증명한다. 후대의 기록에서는 고팔라 1세가 전설적인 크샤트리야 가문인 수리야밤사에 속한다고 주장하지만, 왕조의 민족적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다. 발랄라-카리타(Ballala-Carita)는 팔라 왕조의 시조가 크샤트리야였다고 진술하고 있는데, 이는 타라나타가 가나람 차크라바르티(Ghanaram Chakrabarty)로 알려진 인도 불교의 역사라는 책에서 되풀이되었다. 팔라 제국이 수리야밤사에 속해 있다는 주장은 신빙성이 없으며 팔라 제국의 기원을 은폐하려는 시도로 보인다.[10]
역사[편집]
성립[편집]
가우다 왕국이 멸망한 후 벵골 지역은 무정부 상태에 빠졌다. 중앙 권력이라고 할만한 왕국이 없었으며, 소규모의 왕국들 사이에 끊임없는 다툼이 있었다. 오늘날 인도에서는 이 시대를 "마차야니야(matsya nyaya)”- 물고기의 법"이라고 묘사하는데 이는 약육강식 즉,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먹는 상황을 뜻한다. 이런 상황에서 고팔라 1세를 시조로 하는 팔라 제국이 건국되었는데, 칼리푸르 동판의 기록에 의하면 이 지역의 권력가들이 그를 마하라자디라자(황제)로 추대하였다고 한다. 역사적 증거는 고팔라 1세가 그의 시민들에 의해 직접 선출된 것을 의미한다기보다, 봉건적 치세들의 집단에 의해 선출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며, 그러한 선거는 그 지역의 당대 사회에서 꽤 흔했다.[11] 고팔라 1세의 황제 등극은 여러 독립적인 권력가들이 아무런 투쟁도 없이 그의 정치적 권위를 인정했기 때문에 중대한 정치적 사건이었다.[12]
전성기[편집]
팔라 제국은 고팔라 1세의 아들인 다르마 팔라와 그의 손자 데바팔라 시기에 영토를 확장하며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다르마 팔라는 처음엔 프라티하라 제국의 황제인 바타라자와 라슈트라쿠타 왕국의 드루바에게 패배하였으며 드루바가 라슈트라쿠타 왕국의 수도인 마냐케타로 귀환한 후 다르마 팔라는 프라티하라의 수도인 카나우지를 점령한 다음 차크라우다를 카나우지의 왕으로 임명하였지만, 프라티하라의 황제인 나가바타 2세에 의해 카나우지는 다시 프라티하라의 손으로 돌아갔다. 그 후 다르마팔라는 나가바타 2세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였으나 이후 라슈트라쿠타의 왕인 고빈다 3세와 동맹을 맺고 프라티하라를 공격하여 나가바타 2세를 물리쳤다.[13][14][15] 다르마팔라 사후 팔라 제국의 황제로 즉위한 데바팔라는 팔라 제국의 가장 강력한 황제로 역사에 남아있다.[16] 데바팔라는 아삼 지역과 오디샤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하였다.[17]
분열기[편집]
데바팔라 사후 팔라 제국은 점차 힘을 잃기 시작하였다. 데바팔라의 조카였던 비그라하팔라 1세는 짧은 통치 끝에 왕위를 버리고 고행자가 되었다. 비그라하팔라 1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나라야나팔라 통치시기 팔라 제국은 더욱더 힘을 잃게 되었다. 나라야나팔라의 재위 기간 동안 라슈트라쿠타의 왕인 아모하르샤가 팔라 제국을 침략하여 격파하였다. 나라야나팔라의 아들 라지야팔라는 약 12년 동안 통치했으며, 여러 공공 시설과 사원을 건설했다. 그의 아들 고팔라 2세는 몇 년의 통치 끝에 벵골을 잃고, 그 후 비하르만을 다스렸다. 다음 왕인 비그라하팔라 2세는 찬델라와 칼라추리의 침략을 견뎌야 했다. 그가 통치하는 동안 팔라 제국은 가우다, 라다, 앙가, 반가와 같은 소왕국으로 분해되었다. 하리켈라(동부와 남부 벵골)의 칸티데바도 마하라자디히라자(황제)를 칭하였고, 이후 찬드라 왕조가 통치하는 별도의 왕국으로 분리되었다.[18] 가우다 지역은 캄보자계 팔라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다. 이 왕조의 통치자들 또한 접미사 –팔라(예: 라자야팔라, 나라야나팔라, 나야팔라)로 끝나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기원은 불확실하며, 가장 신뢰성 있는 견해는 그들이 팔라 제국의 주요 부분을 침략하여 통치하면서 당시 그 지역에 남아있던 팔라 관리로부터 유래했다는 것이다.[19][20]
부흥기[편집]
988년에 팔라 제국의 황제로 즉위한 마히팔라는 북부 벵골과 동부 벵골, 버드완 사단 북부 지역을 수복하며 팔라 제국을 다시 부흥시키기 시작하였다. 그의 재위 기간 도중인 1021년부터 1023년까지 촐라 제국의 라젠드라 1세가 갠지스강 유역을 건너 벵골 지역의 국가들을 공격해 수많은 전리품들을 약탈해갔는데, 이때 마이팔라 1세 치하의 팔라 제국 역시 촐라 제국의 침공을 받았지만 결국 패배해 라젠드라 1세에게 코끼리와 여자, 보물을 바쳤다.[21][22] 이후 라젠드라 1세가 촐라 제국의 본거지인 타밀라캄으로 귀환하자 마이팔라 1세는 가즈나 술탄국의 침공으로 타격을 입은 북인도 지역의 왕국들을 급습하여 비하르 및 바라나시를 정복하였다.
마에팔라 1세의 아들인 나야팔라는 오랜 투쟁 끝에 트리푸리 칼라추리의 왕 카르나(강게야데바의 아들)를 물리쳤다. 두 사람은 이후 불교학자 아티야자의 중재로 평화조약을 맺었다. 나야팔라의 아들 비그라하팔라 3세의 치세 때 카르나는 다시 한 번 팔라 제국을 침공했으나 패배하였으며, 비그라하팔라 3세는 카르나와 평화 협정을 맺은 후 카르나의 딸 요우바나스리와 결혼했다. 비그라하팔라 3세의 후계자인 마이팔라 2세는 짧은 영광을 누리고 단명하였다. 그의 통치 시기에 대해서는 라마차리탐에 있는 산디야카르 난디에 의해 잘 문서화되어 있다. 마이팔라 2세는 형제 라마팔라와 수라팔라 2세를 반란을 공모한 혐의로 감금하였다. 그리고 그는 곧바로 카이바르타지역의 족장들이 일으킨 반란에 직면하게 되었다. 디브야(Divya)라는 이름의 족장이 마이팔라 2세를 죽이고 바렌드라 지역을 점령하였으며 이후 이 지역은 그의 후계자인 루다크와 비마가 장악했다. 디브야의 손자 비마를 상대로 라마팔라는 대대적인 공세를 펼쳤으며, 이로써 수라팔라 2세가 왕위에 오를 수 있게 되었다. 마이팔라 2세에 의해 갇혀있던 수라팔라 2세는 비하르 지역으로 탈출하여 짧은 통치를 한 뒤 죽었다. 수라팔라 2세는 라슈트라쿠타 왕국의 왕이자 자신의 외삼촌인 마타나와 동인도 지역의 여러 지배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수라팔라 2세에 이어 황제기 된 라마팔라는 바렌드라 지역의 지배권을 얻음으로써 팔라 제국의 영광을 되살리려 했다. 그는 팔라 제국의 수도를 라마바티로 옮겼으며, 세금을 줄이고 경작을 장려하며 공공사업을 실시했다. 그는 카마루파 지역과 라르 지역을 자신의 지배하에 두고, 동벵골의 바르만 왕에게 그의 통치를 받아들이도록 강요했다. 그는 또한 오디샤 지역을 지배하기 위해 동강가 왕국을 공격하였으며, 가나 왕조와 서찰루키아를 견제하기 위해 촐라 제국의 쿨로퉁가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가하다발라의 통치자인 고빈다차르드라가 팔라 제국을 공격하자 결혼 동맹을 통해 이를 저지하기도 하였다.[23][24][25]
쇠퇴[편집]
이처럼 팔라 제국을 크게 부흥시킨 라마팔라 사후 팔라 제국의 왕위를 계승한 쿠마라팔라 치세에 카마루파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반란은 바이디야데바에 의해 진압되었으나 쿠마라팔라가 죽은 후 바이디야데바는 팔라 제국에서 벗어나 사실상 별도의 왕국을 건설하였다.[26] 라마차리탐에 따르면 쿠마라팔라의 아들 고팔라 3세는 삼촌 마다나팔라에 의해 살해되었다. 마다나팔라의 통치 기간 동안, 동벵골의 바만족은 팔라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고, 동강가는 팔라 제국을 다시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마다나팔라는 가하다발라스에서 멍게르를 포로로 잡았으나, 남부 벵골 동부를 장악하고 있던 비자야세나에게 패배하였다. 1162년경에 고빈다팔라가 가야 지역을 중심으로 팔라 제국을 지배했지만, 1174년에 벵골 지역의 신흥 힌두계 국가인 세나 왕국에게 대체되면서 팔라 제국은 완전히 멸망하였다.[27]
종교[편집]
팔라 제국의 황제들은 불교를 신봉하였다.[28] 다르마팔라는 불교 철학자 하리브하드라를 그의 영적 교사로 삼았으며, 그는 비카라마실라 수도원과 소마푸라 마하비하라를 세웠다. 또한 다르마팔라는 50개의 종교 기관을 설립하고 불교 작가인 하리이브하드라를 후원하였다. 데바팔라는 소마푸라 마하비하라의 구조물을 복원하고 확장하였으며, 마이팔라 1세는 사르나트, 날란다, 보드가야의 여러 성스러운 건축물들의 건축과 수리를 명령하기도 했다.[29]
팔라 제국은 비크라밀라와 날란다 대학과 같은 불교 학문의 중심지를 발전시켰다. 역사상 최초의 위대한 대학 중 하나로 여겨지는 날란다 대학은 팔라 제국의 후원 아래 절정에 달했다. 팔라 시대의 주목할 만한 불교 학자로는 아티샤, 산타락시타, 사라하, 틸로파, 비말라미트라, 단쉬엘, 단스리, 지나미트라, 얀나스리미트라, 만주호쉬, 묵티미트라, 파드마나바, 삼보그마야브라, 산타라크리, 실라브라, 스가트리아흐 등이 있다. 불교의 교조인 고타마 싯다르타가 활동한 지역을 지배한 팔라 제국은 불교계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 한때는 샤일렌드라의 왕 발라푸트라데바는 데바팔라에게 사신을 보내 날란다 지역에 존재하는 5개의 마을에 불교 수도원을 건립하기 위한 보조금을 요청한 적이 있는데,[30] 데바팔라는 발라푸트라데바의 요청을 수락하고 나가라하라(현재의 잘랄라바드)의 브라만 비라데바를 날란다 수도원장으로 임명하였으며, 불교 시인 바그라다타(로크스바라샤타카의 저자)를 궁정에 머무르게 하였다. 11세기에 활동한 팔라 제국의 불교 학자인 아티샤는 티베트와 수마트라에 대승 불교를 전파하였다.
팔라 제국은 시바파를 비롯한 힌두교 종파들도 자주 후원하였는데,[31] 나라야나팔라는 팔라 영토에 시바파 힌두교 만디르를 세운 후 그곳에서 자신의 직속 브라만 사제가 주관하는 야즈나 의식에 참여하였다.[32] 마다나팔라데바의 부인인 치트라마티카는 부미치히드라냐야의 원칙에 따라 마하바라타를 낭송한 브라만에게 보답으로 영토를 하사하였다. 팔라 제국은 불교 신들에 대한 그림뿐만 아니라 비슈누, 시바, 사라스바티와 같은 힌두교 신들에 대한 그림도 만들었다.[33]
문학[편집]
팔라 제국은 산스크리트 학자들도 후원했는데, 가우다 리티 형식의 작곡은 팔라 제국 시대에 등장하였다. 많은 불교 탄트릭 작품들이 팔라 통치 기간 동안 저술되고 번역되었다. 위에서 언급된 불교 학자들 외에도 지무타바하나, 산디카 난디, 마드하바카라, 수레세바라, 차크라파니 다타 등이 팔라 시대의 다른 유명한 학자들 중 하나이다.[34]
예술[편집]
팔라 제국의 조각예술은 인도 예술의 뚜렷한 단계로 인식되고 있으며, 벵골 조각가의 예술적 천재성으로 유명하다.[35] 팔라 제국의 예술은 굽타 미술의 영향을 받았다.[36]
유적[편집]
팔라 제국에서는 불교 수도원을 비롯하여 다른 성스러운 건축물들을 많이 지었다. 그 중 오늘날의 방글라데시에 있는 소마푸라 마하비하라 지역은 세계문화유산이다. 21에이커(8만5000m2) 단지의 수도원으로 177개의 세포와 수많은 석탑, 사원, 그리고 그 밖의 여러 보조 건물들이 있다. 팔라 제국과 세나 왕국 시대의 비하르와 벵골의 예술은 네팔, 미얀마, 스리랑카, 자바의 예술에 영향을 미쳤다.[37]
역대 군주[편집]
- 고팔라 1세 (Gopala I, 재위 750 - 770)
- 다르마팔라 (Dharmapala, 재위 770 - 810)
- 데바팔라 (Devapala, 재위 810 - 850)
- 마헨드라팔라 (Mahendrapala, 재위 850 - 854)
- 비그라하팔라 1세 (Vigrahapala I, 재위 854)
- 나라야나팔라 (Narayanapala, 재위 854 - 920)
- 라지야팔라 (Rajyapala, 재위 920 - 952)
- 고팔라 2세 (Gopala II, 재위 952 - 969)
- 비그라하팔라 2세 (Vigrahapala II, 재위 969 - 995)
- 마히팔라 1세 (Mahipala I, 재위 995 - 1043)
- 나야팔라 (Nayapala, 재위 1043 - 1058)
- 비그라하팔라 3세 (Vigrahapala III, 재위 1058 - 1075)
- 마히팔라 2세 (Mahipala II, 재위 1075 - 1080)
- 슈라팔라 (Shurapala, 재위 1080 - 1082)
- 라마팔라 (Ramapala, 재위 1082 - 1124)
- 쿠마라팔라 (Kumarapala, 재위 1124 - 1129)
- 고팔라 3세 (Gopala III, 재위 1129 - 1143)
- 마다나팔라 (Madanapala, 재위 1143 - 1162)
- 고빈다 팔라 (Govindapala, 재위 1162 - 1174)
각주[편집]
- ↑ Sengupta, Nitish Kumar (2011). 《Land of Two Rivers: A History of Bengal from the Mahabharata to Mujib》. New Delhi: Penguin Books India. 102쪽. ISBN 978-0-14-341678-4.
- ↑ Bajpai, Lopamudra Maitra (2020). 《India, Sri Lanka and the SAARC Region: History, Popular Culture and Heritage》. Abingdon: Taylor & Francis. 141쪽. ISBN 978-1-00-020581-7.
- ↑ 팔라 제국의 국호인 팔라는 산스크리트어로 “보호자”라는 뜻이다.
- ↑ Sailendra Nath Sen (1999).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New Age International. 280–쪽. ISBN 978-81-224-1198-0.
- ↑ R. C. Majumdar (1977). 《Ancient India》. Motilal Banarsidass. 268–쪽. ISBN 978-81-208-0436-4.
- ↑ Raj Kumar (2003). Essays on Ancient India. Discovery Publishing House. p. 199. ISBN 978-81-7141-682-0.
- ↑ Sailendra Nath Sen (1999).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New Age International. pp. 280–. ISBN 978-81-224-1198-0.
- ↑ Sailendra Nath Sen (1999).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New Age International. pp. 277–287. ISBN 978-81-224-1198-0.
- ↑ Sengupta 2011, pp. 39–49.
- ↑ Sengupta 2011, pp. 39–49.
- ↑ Biplab Dasgupta (2005). European Trade and Colonial Conquest. Anthem Press. pp. 341–. ISBN 978-1-84331-029-7.
- ↑ Sailendra Nath Sen (1999).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New Age International. pp. 277–287. ISBN 978-81-224-1198-0.
- ↑ John Andrew Allan; Sir T. Wolseley Haig (1934). The Cambridge Shorter History of India. Macmillan Company. p. 143.
- ↑ Bindeshwari Prasad Sinha (1977). Dynastic History of Magadha. New Delhi: Abhinav Publications. p. 177. ISBN 978-81-7017-059-4. Dharmapāla after defeating Indrāyudha and capturing Kanuaj made it over to Cakrāyudha, who was a vassal king of Kanuaj subordinate to Dharmapāla ... Dharmapāla was thus acknowledged paramount ruler of almost whole of North India as the Bhojas of Berar, Kīra (Kangra district), Gandhāra (West Punjab), Pañcāla (Ramnagar area of U.P.), Kuru (eastern Punjab), Madra (Central Punjab), Avanti (Malwa), Yadus (Mathura or Dwarka or Siṁhapura in the Punjab), Matsya (a part of Rajputana) were his vassals.
- ↑ Bindeshwari Prasad Sinha (1977). Dynastic History of Magadha. New Delhi: Abhinav Publications. p. 179. ISBN 978-81-7017-059-4. Nāgabhaṭa-II defeated Cakrāyudha and occupied Kanauj ... battle between the king of Vaṅga and Nāgabhaṭa in which the latter emerged victorious ... may have been fought at Mudgagiri (Monghyr in Bihar). If so, it shows the utter humiliation of Dharmapāla and strengthens the suspicion that as a revenge he might have surrendered to and welcomed Govinda III when he invaded North India.
- ↑ Sailendra Nath Sen (1999).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New Age International. pp. 277–287. ISBN 978-81-224-1198-0.
- ↑ Bhagalpur Charter of Narayanapala, year 17, verse 6, The Indian Antiquary, XV p. 304.
- ↑ Sailendra Nath Sen (1999).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New Age International. pp. 277–287. ISBN 978-81-224-1198-0.
- ↑ Sailendra Nath Sen (1999).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New Age International. pp. 277–287. ISBN 978-81-224-1198-0.
- ↑ Sengupta 2011, pp. 39–49.
- ↑ Sengupta 2011, p. 45.
- ↑ John Keay (2000). India: A History. Grove Press. p. 220. ISBN 978-0-8021-3797-5.
- ↑ Sailendra Nath Sen (1999).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New Age International. pp. 277–287. ISBN 978-81-224-1198-0.
- ↑ Sengupta 2011, pp. 39–49.
- ↑ Sengupta 2011, pp. 39–49.
- ↑ Sailendra Nath Sen (1999).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New Age International. pp. 277–287. ISBN 978-81-224-1198-0.
- ↑ Sengupta 2011, pp. 39–49.
- ↑ Huntington 1984, p. 39.
- ↑ Sailendra Nath Sen (1999).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New Age International. pp. 277–287. ISBN 978-81-224-1198-0.
- ↑ P. N. Chopra; B. N. Puri; M. N. Das; A. C. Pradhan, eds. (2003). A Comprehensive History of Ancient India (3 Vol. Set). Sterling. pp. 200–202. ISBN 978-81-207-2503-4.
- ↑ Bagchi 1993, p. 19.
- ↑ Bagchi 1993, p. 100.
- ↑ Krishna Chaitanya (1987). Arts of India. Abhinav Publications. p. 38. ISBN 978-81-7017-209-3.
- ↑ Sailendra Nath Sen (1999).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New Age International. pp. 277–287. ISBN 978-81-224-1198-0.
- ↑ Chowdhury, AM (2012). "Pala Dynasty". In Islam, Sirajul; Jamal, Ahmed A. (eds.). Banglapedia: National Encyclopedia of Bangladesh (Second ed.). Asiatic Society of Bangladesh.
- ↑ Rustam Jehangir Mehta (1981). Masterpieces of Indian bronzes and metal sculpture. Taraporevala. p. 21.
- ↑ Stella Kramrisch (1994). Exploring India's Sacred Art Selected Writings of Stella Kramrisch. Motilal Banarsidass Publishe. p. 208. ISBN 978-81-208-1208-6.
참고 자료[편집]
- Ramacharita, a Sanskrit work by Abhinanda (9th century)
- Ramacharitam, a Sanskrit epic by Sandhyakar Nandi (12th century)
- Subhasita Ratnakosa, a Sanskrit compilation by Vidyakara (towards the end of the Pala rule)
- Silsiltut-Tauarikh by the Arab merchant Suleiman (951 CE), who referred to the Pala kingdom as Ruhmi or Rahma
- Dpal dus khyi 'khor lo'i chos bskor gyi byung khungs nyer mkh (History of Buddhism in India) by Taranatha (1608), contains a few traditional legends and hearsays about the Pala rule
- Ain-i-Akbari by Abu'l-Fazl (16th-century)
- Bagchi, Jhunu (1993).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Pālas of Bengal and Bihar, Cir. 750 A.D.–cir. 1200 A.D.》. Abhinav Publications. ISBN 978-81-7017-301-4.
- Craven, Roy C., Indian Art: A Concise History, 1987, Thames & Hudson (Praeger in USA), ISBN 0500201463
- Harle, J. C., The Art and Architecture of the Indian Subcontinent, 2nd edn. 1994, Yale University Press. (Pelican History of Art), ISBN 0300062176
- Huntington, Susan L. (1984). 《The "Påala-Sena" Schools of Sculpture》. Brill Archive. ISBN 90-04-06856-2.
- Paul, Pramode Lal (1939). 《The Early History of Bengal》. Indian History 1. Indian Research Institute. 2016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28일에 확인함.
- Sengupta, Nitish K. (2011). 《Land of Two Rivers: A History of Bengal from the Mahabharata to Mujib》. Penguin Books India. 39–49쪽. ISBN 978-0-14-3416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