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체라국
சேரர்நாடு

기원전 3세기 ~ 서기 1102년
국기
Chera territoriesa.png
수도반치 무투르(전기)
마호다야푸람(후기)
정치
정치체제군주제
벤탄(왕)
105년 ~ 130년
130년 ~ 188년

우티얀 체랄라탄
네둔 체랄라탄
역사
 • 전기 체라기원전 3세기 ~ 서기 2세기
 • 콩구 체라6세기 ~ 9세기
 • 체라 페루말9세기 ~ 11세기
지리
위치타밀라캄
인문
공통어고대 타밀어(전기)
말라얄람어(후기)
민족말라얄리인
코친 유대인
나스라니인
종교
국교힌두교
기타 종교자이나교
유대교
성 토마스 기독교

체라국(말라얄람어: സെരാർനാട്ടു 체라낫, 타밀어: சேரர்நாடு 체라나두), 또는 체라(말라얄람어: ചേര, 타밀어: சேரர்)는 기원전 3세기부터 서기 1102년까지 케랄라 지역을 중심으로 서부 타밀라캄을 다스린 말라얄리계 왕국이다. 케랄라푸트라(Keralaputras)[2]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3] 상감 시대 체라의 수도는 반치 무투르(카루르)였으머, 타밀나두의 서남부를 중심으로 존재하였다. 체라의 지배 전반에 걸쳐 교역이 계속되어 타밀라캄에 부를 가져왔는데, 체라 지역의 상아, 원목, 진주와 보석들을 이집트, 로마, 그리스, 페니키아, 아랍, 메소포타미아페르시아 등에 수출하는 등 다양한 국가들과 무역을 실시하였다.

어원[편집]

'체라(Chera)' 혹은 그 변형인 '케랄라푸타스(Keralaputas)'는 그와 관련된 통치 가문과 국가를 의미한다.[4]

'체라'의 어원은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상당한 추측을 야기하는 논쟁거리이다. 한 학설은 체라가 '체랄(Cheral)'에서 나온 것이며, 체랄은 '산의 내리막길'을 뜻하는 타밀어(Tamil) '차랄(Charal)'의 변형이라고 제시하면서, 케랄라(Kerala)의 산악 지형과의 연관성을 보여준다.[5] 다른 학설은 '모래'를 뜻하는 'cher'와 '지역'을 뜻하는 'alam'에서 유래한 'Cheralam', 말그대로 '질퍽한 땅'에서 나왔다고 본다.[5] 이러한 추정 외에도, 역사 연구에서 여러 이론들이 존재한다.[6][5]

고대 타밀 이외의 자료에서, 체라 왕조는 다양한 이름으로 지칭되었다. 체라는 기원전 3세기 작성된 아쇼카왕(Ashoka)의 팔리어(Pali) 칙령에서 '케달라푸토(Kedalaputo)' 혹은 산스크리트어로는 '케랄라 푸트라(Kerala Putra)'라고 지칭된다.[7] 대 플리니우스(Pliny the Elder)와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Claudius Ptolemy)는 체라를 각각 '카엘로보트로스(Kaelobotros)'와 '케로보트로스(Kerobottros)'라고 칭했으나, 그리스-로마 교역 지도인 『에리트레아 항해지(Periplus Maris Erythraei)』에서는 체라를 '케프로보트라스(Keprobotras)'라고 했다. 이 모든 그리스-로마 이름은 북인도(northern India)와의 관계를 통해 전해졌을 '케달라 푸토(Kedala Puto)/케랄라 푸트라(Kerala Putra)'의 변형임이 입증된다.[8][9]

'체랄람디부(Cheralamdivu)' 혹은 '체란 티부(Cheran Tivu)'와 같은 어원인 단어들은 '체라 왕들의 섬(island of the Chera kings)'을 의미하며, 스리랑카(Sri Lanka) 고전 타밀어 이름으로 '체라'에서 유래한 것이다.[10]

역사[편집]

기원전 3세기경 건국된 체라는 촐라, 판디아 등의 이웃 왕국들과 자주 충돌하였다. 때로는 결혼 동맹을 맺음으로써 화친을 모색하지만 얼마 안가 다시 적대 관계로 돌아서는 등의 상황이 반복되다 서기 3세기경 칼라브라 왕국에게 멸망했으며, 이후 9세기에 다시 부활했다가 1102년에 완전히 멸망하였다.

각주[편집]

  1. 《Series-15 Indian History–Ancient India》. 43–44쪽. 
  2. Keay, John (2000) [2001]. India: A history. India: Grove Press. ISBN 0802137970.
  3. Bhanwar Lal Dwivedi (1994). Evolution of Education Thought in India. Northern Book Centre. p. 164. ISBN 978-81-7211-059-8. Retrieved 10 October 2012.
  4. Veluthat 2018, 13–31쪽.
  5. Menon 2007, 21쪽: Citing K. Achyutha Menon, Ancient Kerala: Studies in Its History and Culture, pp. 7
  6. Menon 2011, 15쪽: 메논(Menon)에 의하면, '추가된' 혹은 '수복된' 땅 역시 케랄라 형성에 관한 파라슈라마(Parashurama)의 신화를 보완한다. 그 안에서, 비슈누(Vishnu)의 화신 중 하나인 파라슈라마는 고카르남(Gokarnam)에서 칸야쿠마리(Kanyakumari)로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바다를 가로 질러 도끼를 던졌고, 도끼가 꽂힌 땅까지 물이 물러나면서 케랄라가 생겼다.
  7. Keay 2001.
  8. Narayanan 2013.
  9. Caldwell 1998, 92쪽.
  10. Ramachandran 1991, 34쪽: "Sri Lanka was known as "Cerantivu" (island of the Cera kings) in those days. The seal has two lines. The line above contains three signs in Indus script and the line below contains three alphabets in the ancient Tamil script known as Tam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