핏케언 제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핏케언 제도
영어: Pitcairn Islands
핏케언어: Pitkern Ailen
Bounty Bay Jetty 1970s.jpg
Flag of the Pitcairn Islands.svg
국기
Coat of arms of the Pitcairn Islands.svg
국장
표어없음
국가우리는 핏케언 출신
Pitcairn Islands on the globe (French Polynesia centered).svg
수도애덤스타운 남위 25° 04′ 서경 130° 06′ / 남위 25.06° 서경 130.1°  / -25.06; -130.1
정치
정치체제영국의 해외 영토
총독리차드 펠
총리제이 워렌
역사
자치 
 • 뉴질랜드로부터1965년 8월 4일
지리
면적240 km2 (210 위)
내수면 비율-
시간대CST (UTC-8)
인문
공용어영어, 핏케언어
인구
2010년 어림48명
인구 밀도1명/km2
경제
통화달러 (NZD)
기타
ISO 3166-1612, PN, PCN
도메인.pn
국제 전화+없음
애덤스타운

핏케언 제도(영어: Pitcairn Islands, 핏케언어: Pitkern Ailen 피트케른 아일렌, 문화어: 피트케안제도)는 오세아니아폴리네시아에 위치한 영국의 해외 집합체 중 하나이다. 공식 명칭은 핏케언, 헨더슨, 듀시, 오에노 제도(영어: Pitcairn, Henderson, Ducie and Oeno Islands)로, 서로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이 4개의 화산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면적은 47제곱미터이다. 그 중 헨더슨 섬이 영토의 86%를 차지하지만 핏케언 섬에만 사람이 거주하고 있다.

세계에서 자치권을 가진 지역 중 가장 적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일부 도시국가를 제외하면 영토도 가장 작다. 핏케언 제도의 역사는 1790년에 영국의 군함인 바운티 호에서 선상 반란을 일으킨 영국인 선원 9명이 타히티인 여자들을 데리고 핏케언 섬에 정착한 데서 시작되었으며, 오늘날 원주민은 그들의 후손이다.

지도[편집]

역사[편집]

15세기 무렵까지는 폴리네시아인이 살고 있었던 흔적이 있지만 유럽인들에게 발견되었을 때에는 인간이 살지 않는 무인도였다. 바운티 호의 반란이 일어난 뒤에 선원들이 타히티 원주민들과 함께 정착하였으며, 대대로 그들의 후손들이 산다. 1829년에 영국이 이 곳을 자국의 영토로 선언하면서 정식으로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현재 수십 명의 주민이 주도인 핏케언 섬에만 살며, 2021년 기준 이 섬의 인구는 47명으로, 이는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속령이다. (가장 인구가 적은 독립 국가는 바티칸 시국이다.)

지리[편집]

핏케언섬을 포함해서 전부 4개의 섬으로 이루어지며, 핏케언 제도의 극동 지역(듀시섬)에서 극서 지역(오에노섬)까지는 거리는 500여 km나 되며, 핏케언 제도는 4.50km3 면적의 작은 화산섬(최고점: 355m)이다.

섬은 주위가 절벽으로 둘러싸여 있고 파도가 심하며, 해안선의 대부분 지역은 거의 돌이 굴러다니는 바닷가다.

이로 인해 대형 선박을 정박하기 어려우며, 섬 북쪽 바다를 바라보는 언덕에는 바운티 호의 반란을 일으킨 플레처 크리스천이 살고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크리스천 동굴(Christian's Cave)이 있다.

섬 주위에는 아담스 암초(Adams' Rock)와 영 암초(Young's Rock)와 같은 작은 암초들이 있다.

기후는 아열대 해양성 기후이며, 7월부터 12월까지는 우기이다.

인구[편집]

인구 인구 인구 인구 인구 인구
1790년 27 1880년 112 1970년 96 1992년 54 2002년 48 2012년 48
1800년 34 1890년 136 1975년 74 1993년 57 2003년 59 2013년 56
1810년 50 1900년 136 1980년 61 1994년 54 2004년 65 2014년 56
1820년 66 1910년 140 1985년 58 1995년 55 2005년 63 2015년 50
1830년 70 1920년 163 1986년 68 1996년 43 2006년 65 2016년 49
1840년 119 1930년 190 1987년 59 1997년 40 2007년 64 2017년 50
1850년 146 1936년 250 1988년 55 1998년 66 2008년 66 2018년 50
1856년 0 1940년 163 1989년 55 1999년 46 2009년 67 2019년 50
1859년 16 1950년 161 1990년 59 2000년 51 2010년 64 2020년 50
1870년 70 1960년 126 1991년 66 2001년 44 2011년 67 2021년 47

경제[편집]

산업은 어업과 농작물을 중심으로 한 물물교환이 행해지고 있는데, 주로 감자, 바나나, 오렌지 등을 재배하고 있다. 또한 외화를 벌기 위해 우표 판매도 하고 있으며, 광물자원 개발도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인터넷 도메인 .pn의 판매에 노력하고 있어서 핏케언 제도 정부의 홈페이지에서도 도메인을 판매하고 있다.

시설[편집]

핏케언 제도는 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아서 시설이 갖추어진 병원 등으로 가는 경우에는 이 섬에서 4,000km 떨어진 곳에 있는 뉴질랜드까지 가는 배를 며칠 동안 이용할 수 밖에 없으며, 급한 경우는 배를 빌려야 한다.

교통[편집]

공항 시설[편집]

현재 핏케언 제도에는 인구가 적은 이유로 공항은 없다.

화물선[편집]

3개월에 한 번씩 뉴질랜드에서 북미로 향하는 화물선의 기항이 있다.

육지 교통 수단[편집]

섬에서는 수상 교통으로 개조한 대형 보트를 이용하며, 육지에서는 사륜차나 오토바이를 타고 다닌다.

참고 문헌[편집]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편집]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