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크로네시아 연방
![]() |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 |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하여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2022년 3월) |
미크로네시아 연방국 | |||
---|---|---|---|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 |||
| |||
표어 | Peace, Unity, Liberty | ||
표어 설명 | 평화, 통일, 자유 | ||
국가 | 미크로네시아의 애국자 | ||
![]() | |||
수도 | 팔리키르 북위 6° 55′ 04″ 동경 158° 11′ 06″ / 북위 6.917778° 동경 158.185° | ||
미크로네시아 연방 (미크로네시아 연방) | |||
정치 | |||
정치체제 | 연방제 의원내각제하 대통령제 공화국¹ | ||
대통령 부통령 | 데이비드 파누엘로 요시오 P. 조지 | ||
역사 | |||
독립 | 미국으로부터 독립 | ||
• 독립 | 1986년 11월 3일 | ||
지리 | |||
면적 | 702 km2 (188 위) | ||
내수면 비율 | 0% | ||
DST | (없음) | ||
인문 | |||
공용어 | 영어 | ||
지역어 | 추크어, 코스라에어, 폰페이어, 야프어 | ||
인구 | |||
2005년 어림 | 110,000명 | ||
2000년 조사 | 135,869명 (192위) | ||
인구 밀도 | 154명/km2 (66위) | ||
경제 | |||
GDP(PPP) | 2002년 어림값 | ||
• 전체 | $2.77억 (215위) | ||
• 일인당 | $2,000 (180위) | ||
GDP(명목) | 2002년 어림값 | ||
HDI | 0.645 (117위, 2012년 조사) | ||
통화 | 달러 (USD) | ||
종교 | |||
종교 | 기독교 95.3%[1] 토속신앙 4.1% 기타/무종교 0.6% | ||
기타 | |||
ISO 3166-1 | 583, FM, FSM | ||
도메인 | .fm | ||
국제 전화 | +691 | ||
1. 의회에서 정부수반인 대통령을 선출. |
미크로네시아 연방국(영어: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페더레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마이크로네시아[*], 미크로네시아 연방) 또는 미크로네시아(영어: Micronesia 마이크로네시아[*])는 오세아니아의 미크로네시아 캐롤라인 제도에 있는 국가이다. 북쪽으로는 북마리아나 제도, 동쪽으로는 마셜 제도, 서쪽으로는 팔라우, 그리고 남쪽으로는 파푸아뉴기니가 존재한다. 지리적으로는 캐롤라인 제도라 불리며, 수도는 폰페이섬에 위치한 팔리키르이다.
국명[편집]
정식 명칭은 미크로네시아 연방국[2](영어: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이며, 줄여서 FSM이라고도 한다. 원래 미크로네시아는 이 나라를 포함해 더 넓은 범위를 함께 말하는 것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이 나라만 의미한다.
역사[편집]
600년경, 폰페이 선주민족이라 불리는 이들이 난 마돌 유적을 세웠다. 대항해시대 이후 스페인의 영토가 되었다가, 스페인이 미국-에스파냐 전쟁에서 패배한 뒤 독일 제국령 뉴기니에 속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맹에 의해 일본 제국의 위임통치령이 되어 일본 남양청(南洋廳, 일본어: 南洋庁)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UN에 의해 미합중국의 신탁통치령이 되었다. 본래 미크로네시아 연방은 팔라우와 마셜 제도까지 포함하고 있었지만, 1979년 마셜 제도가, 1981년 팔라우가 연방에서 탈퇴하면서 4개 지역만이 북마리아나 제도라는 이름으로 연방에 잔류하였다. 1979년 미국의 자치령이 되었고, 1986년 11월 3일 최종적으로 독립국이 되었다. 현재에도 미국으로부터 경제 및 군사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미국과의 외교를 중시하고 있다.
행정 구역[편집]
수도는 폰페이섬에 위치한 팔리키르이다. 4개 주로 구성되어 있다.
기후[편집]
사람과 언어[편집]
주민은 미크로네시아인이다. 또 카핑아마랑이섬 같은 일부 지역에는 폴리네시아계의 주민도 있다.
언어는 영어가 공용어이며 공통어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 외에도 추크어, 야프어, 코스라에어, 폰페이어, 누쿠오로어, 카핑아마랑이어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본어도 그나마 사용한다.
종교는 대개가 기독교이며, 가톨릭과 개신교가 대체로 절반 정도이다. 개신교는 바하이교, 여호와의 증인, 재림교, 몰몬교, 침례교 등 다양한 교파가 있으며 타 종교는 소수의 불교 신자와 이슬람교 신자가 있다.
문화[편집]
이 나라는 4개주가 독특한 문화를 가져왔으나 수세기동안 경제적 교류로 지금은 문화적 차이점을 찾을 수 없다[출처 필요].
외교 관계[편집]
미크로네시아는 1991년에 대한민국과 단독 수교하였지만 양국 모두 재외 공관을 두고 있지 않다. 일본과의 관계가 비교적 깊다. 미크로네시아에서는 아직까지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직항편이 운행하지 않아 미크로네시아에서 한국으로 가거나 한국에서 미크로네시아로 가려면 반드시 괌이나 호놀룰루 등 제3국에서 비행기를 갈아타야 한다.
미크로네시아는 2022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일본·미국·중화인민공화국·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를 비롯한 88개 유엔 회원국, 몰타 기사단·성좌(바티칸 시국)·쿡 제도·코소보와 외교 관계를 맺고 있다. 러시아와는 1999년 3월 9일에 수교했으나 2022년 2월 25일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항의하는 표시로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영어) 미크로네시아 정부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