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메르카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riest-king from Uruk, Mesopotamia, Iraq, c. 3000 BCE. The Iraq Museum (transparent).png

BC 3400-3100년대[1] 또는 BC 2900-2600년대[2]에 활동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엔메르카르우루크의 왕이었다.

엔메르카르는 약간의 수메르 전설에서 알려져 있다. 그는 아라타의 주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여기서 수메르태양신 우투의 후예로 불리며 우루크를 창건하고, 아라타를 강압하여 조공하게 하기 위해, 점토판에 기록 문자를 발명하였으며, 에리두에 사원(지구라트)을 지었다. 그는 또한 슈부르(Shubur), 하마지(Hamazi), 수메르(Sumer), 아카드(Uri-ki), 마르투(Martu) 땅의 사람들이 한 언어로 엔릴을 찬미하게 하기 위해 에리두의 주신 엔키에게 간청하였으며, 그를 위해 엔키의 사원을 건축하였고, 이 때 엔키가 마법을 이용하여 그들이 한 언어로 엔릴을 찬미하게 되었다고 한다.

아라타의 엔메르카르[편집]

그는 전설적인 수메르의 이야기로 초기의 수메르 이후의 사본에 보전되어 있는데, 신 수메르 시기(기원전 21세기)에 만들어졌다. 그것은 우루크(우눅-쿨라바)의 왕 엔메르카르와 아라타의 무명왕 사이의 다툼을 기술하는 일련의 이야기 중의 하나이다.

이야기의 시작 부분에 다음의 배경이 제공된다. 그 옛날의 시절에는 목적지가 결정되고 위대한 왕자는 우눅-쿨라바의 에아나에게 그 머리를 높게 들어 올리게 허여 하였다.

허물이 된 많았던 홍수와 얼룩 보리를 자라게 하는 비가 우눅-쿨라바에 증가하였다. 딜문 땅이 아직 존재하기 전에 우눅-쿨라바의 에아나는 잘 건설되어 있었다.

에아나는 우루크지구라트로 모든 나라의 숙녀 이난나 여신을 기념하여 지어졌다. 비슷하게, 아라타의 주인은 이난나의 이름으로 스스로 왕이되었다. 그러나 그녀는 우루크의 벽돌 사원만큼 기쁘지 않았다.

엔메르카르는 그리하여 현명한 산에서 그녀의 거룩한 심장의 이난나에 의해 선택되어 이난나에게 그가 아라타를 복종하게 그리고 아라타의 백성들이 귀금속과 보석의 조공을 보내게 요구하였다. 에리두에 엔키의 고상한 압주 지구라트를 건설하고 우루크에 에아나 성소를 장식하기 위해서였다. 이난난은 엔메르카르에게 수신과 안샨의 산을 넘어서 포고관을 아라타의 주인에게 보내어 항복과 조공을 요구하도록 조언하였다.

엔메르카르는 동의하고 사절단을 보냈는데 그들이 조공을 하지 않을 시에는 아라타를 파괴하고 사람들을 분산시키겠다는 규정적인 협박이 따랐다.


같이 보기[편집]

  1. Yushu, Gong (2004). The Sumerian Account of the Invention of Writing —A New Interpretation. Elsevier Ltd. pp. 7446–7453.
  2. Lugalbanda, Reallexikon der Assyriologie 7, p.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