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부카드네자르 2세
나부쿠두리우추르
𒀭𒀝𒆪𒁺𒌨𒊑𒋀 | |
---|---|
바빌론의 왕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우주의 왕 | |
![]() | |
제2대 신바빌로니아 국왕 | |
재위 | BC 604년 ~ BC 562년 |
전임 | 나부아팔우수르 |
후임 | 아멜 마르두크 |
신상정보 | |
출생일 | 기원전 632년 |
사망일 | 기원전 562년 |
국적 | 신바빌로니아 |
부친 | 나부아팔우수르 |
네부카드네자르 2세(아카드어: 𒀭𒀝𒆪𒁺𒌨𒊑𒋀 나부쿠두리우추르) 또는 느부갓네살(영어: Nebukadnessar)은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제2대 왕(재위: 기원전 604년 ~ 기원전 562년)으로, 신바빌로니아의 전성기를 이끈 왕이다. 수도 바빌론에 바빌론의 문, 마르두크 지구라트, 바빌론의 공중정원 등 여러 건축물을 세운 왕으로 유명하며 구약성서 다니엘서에서는 유대와 예루살렘을 정복한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기록[편집]
네부카드네자르는 전통적으로 네부카드네자르 대왕으로도 불리며, 유대를 정복하고 예루살렘에 있던 유대인들의 성전(聖殿)을 파괴하였는데, 성서에서는 처음엔 우상을 만들어 섬기는 행동들을 보이지만, 말년에 자신의 꿈대로 7년간의 광기 어린 생활을 당하게 되고, 그 이후 비로소 다니엘의 하느님을 깨닫게 된 후 하느님을 찬양하고 섬기라는 말을 하고 있다.
구약성서에 기록된 실존 인물인 바빌론의 왕 네부카드네자르로 구약성서의 열왕기하 24~25에는 네부카드네자르와 이집트의 파라오가 유다 왕국을 정복하기 위해 싸우는 이야기가 나온다. 승자는 네부카드네자르였는데 기원전 586년 예루살렘을 정복한 네부카드네자르의 군대는 솔로몬이 세운 유명한 성전을 파괴한 뒤 사람들을 잡아갔다. 네부카드네자르는 유다의 왕 시드기야의 눈알을 뽑아 시드기야를 소경으로 만들고 그의 아들들을 죽였다. 성전 안의 물건들도 바빌론으로 가져갔다. 유대인들이 바빌론에 잡혀간 사건을바빌론 유수라고 불렀다.
역사가들은 네부카드네자르가 기원전 605~562년에 재위했고 대규모 건축 사업을 일으켰다고 말한다. 가장 유명한 건축물은 세계 7대 불가사의의 하나로 꼽히는 바빌론의 공중정원이다. 하지만 네부카드네자르는 다른 민족을 정복하고 억압했으며, 성전을 약탈하고 불태웠다. 유대인들은 그 일을 결코 잊지 않았다. 유대인들에게 왕은 이교도 폭군의 완벽한 전형이었다. 네부카드네자르가 다스린 제국은 곧 무너져 페르시아(바사)에게 정복되었다. 페르시아는 유대인들이 고향으로 돌아가 성전을 재건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훗날 이 지역은 그리스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정복되었으며, 대왕은 기원전 323년 네부카드네자르가 세운 궁전에서 죽었다고 알려져 있다.[1]
바빌론의 공중정원[편집]
바빌로니아의 공중정원은 네부카드네자르 2세 궁정에 부속된 유적으로 왕이 메디아 출신인 왕비 아마티스를 위해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BC 500년경 만든 것으로 알려진 공중정원은 바빌론의 전설적인 바벨탑을 압도하는 뛰어난 건축물로 평가를 받아왔다.[2]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초기 유다왕국 흔적 찾는다 Archived 2013년 10월 29일 - 웨이백 머신 성서지리연구원, 라기스 발굴 참여, 국민일보 30면(2013.09.04) 기사 참조
- ↑ '바빌론 유수ㆍ공중정원' 네부카드네자르 2세 매일신문(2013.01.15) 기사 참조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 『바이블 키워드』, J. 스티븐 랭, 남경태, 도서출판 들녘(2007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