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Bgh0320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3월 2일 (일) 03:02 판 (→‎정회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영어: Socialist International, 약칭 SI)은 1951년에 창설된 민주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사회주의노동 계열 정당들의 국제적 연맹체를 말한다.

역사

1889년에 형성된 제2인터내셔널 즉 세계노동자대회는 1914년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직전 해산되었다. 제2인터내셔널은 1889년 5월 1일에 국제 노동절을 선포한 것과 1910년 3월 8일여성의 날을 선포한 것으로 유명하다. 제2인터내셔널이 해산되자, 참가하고 있던 일부 정당들은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전신인 '국제 사회주의위원회' (또는 '코미스코')를 결성한다. 이 위원회는 1923년에 '노동사회주의 인터내셔널'로 변경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51년 7월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된 회의에서 현재의 모양새로 재탄생되었다.

조직 및 이념

1당 투표제

정관을 보면,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정당은 그 당의 크기에 관계 없이 1당투표제를 적용하며, 결의안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전회원이 그 안에 동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의사결정의 최고기관은 총회로서 2년마다 1번씩 개회되며, 조직의 기본방침들을 공표하고 회원과 조직규약을 결정한다. 소위원회(council)는 매년 소집되며, 각 당의 대표자로 구성된다. 소위원회는 당면한 정치적 문제에 대한 조직의 태도를 공식화하고 의장과 사무총장을 선임하며, 회원의 가입비용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사무국(bureau)은 12개국의 당 대표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소집되고, 사무총장의 활동에 대한 감찰권을 갖는다. 2009년 현재,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사무총장은 1989년부터 직책을 수행하고 있는 칠레의 루이스 아얄라다.

기본방침 선언서

민주주의 강조

조직의 기본방침 선언서는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이 중점을 두고 있는 사항은 사회주의의 정치적 측면, 특히 민주주의와 시민적 자유를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냉전의 격환 상황 속에서도 평화공존정책과 소련과의 긴장완화정책, 그리고 국제적인 감시하의 일반 군축정책 등을 지지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민중에 대한 억압을 철폐한다는 의미에서, 포르투갈 (1974년), 스페인 (1975년), 그리스 등에 파시스트 정권이 세워지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이들 정권에 저항하는 그 나라의 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을 원조하는 한편,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자행되던 아파르트헤이트 곧 흑인 및 유색인종에 대한 백인들의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성명을 냈다. 또한 베트남전 당시에는 베트남에서의 정전을 주장하고, 남베트남북베트남의 인민 모두가 자신들의 미래를 결정하고 중립을 보장할 수 있는 해결책이 필요함을 역설한 것은 물론 니카라과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FSLN)과 같이 식민지국가와 종속국가 국민들의 자결(自決)을 위한 투쟁을 지지하기도 하였다.

세계상호원조계획

이러한 정치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저개발국가의 경제적인 어려움을 인도주의적인 문제라고 여겨 상세한 '세계상호원조계획'(World Plan for Mutual Aid)을 채택하고, 각 정부가 UN 기구를 통해 이 계획을 수행할 것을 각국의 회원 정당들에게 촉구하는 한편 이 계획의 중요성을 알리는 선전전을 시행할 것을 결의하기도 하였다.

국제연합 지지

그러나 한편으로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설립을 지지하고 국제 연합을 지지하여 중화인민공화국UN 가입을 촉구하는 등 이른바 '자유 세계'의 주장과 궤를 같이 하는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스라엘 문제에 관해서는 독립과 주권의 원칙 아래 아랍권과 이스라엘이 협상하여 현존하는 문제들의 항구적인 해결을 도모할 것을 주장하는 등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이 기존에 다른 제3세계 문제들을 바라보는 시각과 전혀 다른 활동을 하여 비 SI 계열의 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 정당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회원 정당이나 자문 정당이 집권하고 있는 나라들 (2008년 8월 기준).

유럽에서의 활동

이 밖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유럽 연합의 형성을 지지하고 있으며, SI에 가입한 유럽권 정당들은 유럽 의회 등에 유럽 정당 (유럽 사회당)을 구성하여 활동하고 있다. 이밖에 서유럽 노동조합에도 참여하고 있다.

정당들의 구성

현재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유럽·아시아·아프리카·오세아니아 그리고 서반구 등지에 있는 60개 이상의 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 정당들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에서의 참여

한때 한국의 민주당민주노동당도 옵저버였으며, 군사독재 때의 통일사회당은 정회원이었다.[출처 필요]

역대 의장

총회 개최지

  1. 독일의 기 독일 프랑크푸르트, 1951년
  2.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밀라노, 1952년
  3. 스웨덴의 기 스웨덴 스톡홀름, 1953년
  4. 영국의 기 영국 런던, 1955년
  5.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 1957년
  6. 독일의 기 독일 함부르크, 1959년
  7.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로마, 1961년
  8.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1963년
  9. 벨기에의 기 벨기에 브뤼셀, 1964년
  10. 스웨덴의 기 스웨덴 스톡홀름, 1966년
  11. 영국의 기 영국 이스트본, 1969년
  12.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 1972년
  13. 스위스의 기 스위스 제네바, 1976년
  14. 캐나다의 기 캐나다 밴쿠버, 1978년
  15. 스페인의 기 스페인 마드리드, 1980년
  16. 포르투갈의 기 포르투갈 알부페이라, 1983년
  17. 페루의 기 페루 리마, 1986년
  18. 스웨덴의 기 스웨덴 스톡홀름, 1989년
  19. 독일의 기 독일 베를린, 1992년
  20. 미국의 기 미국 뉴욕, 1996년
  21. 프랑스의 기 프랑스 파리, 1999년
  22. 브라질의 기 브라질 상파울루, 2003년
  23. 그리스의 기 그리스 아테네, 2008년

정회원

국가 이름 집권 여부 비고
알바니아의 기 알바니아 사회민주당 비집권
알바니아의 기 알바니아 알바니아 사회당 비집권
알제리의 기 알제리 사회주의세력전선 비집권
안도라의 기 안도라 사회민주당 집권
앙골라의 기 앙골라 앙골라 자유대중운동 집권
아르메니아의 기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 비집권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사회당 비집권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급진시민동맹 비집권
아루바의 기 아루바 대중선거운동 집권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 오스트레일리아의 내각|비집권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집권(연립 내각)
바베이도스의 기 바베이도스 바베이도스 노동당 비집권
벨기에의 기 벨기에 플랑드르 사회당 비집권
벨기에의 기 벨기에 사회당 집권(연립 내각)
베냉의 기 베냉 사회민주당 비집권 '민주역동 동맹'의 일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독립 사회민주동맹 집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민주당 집권
브라질의 기 브라질 민주노동당 집권(연립 내각)
불가리아의 기 불가리아 불가리아 사회민주당 비집권 '불가리아 연합'의 일부
불가리아의 기 불가리아 불가리아 사회당 비집권 '불가이라 연합'의 일부
부르키나파소의 기 부르키나파소 민주진보당/사회당 비집권
카메룬의 기 카메룬 사회민주당 비집권
캐나다의 기 캐나다 신민주당 비집권
카보베르데의 기 카보베르데 케이프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 집권
칠레의 기 칠레 칠레 사회당 집권 '민주화를 위한 정당협약'의 일부
칠레의 기 칠레 급진 사회민주당 집권 '민주화를 위한 정당협약'의 일부
칠레의 기 칠레 민주당 집권 '민주화를 위한 정당협약'의 일부
콜롬비아의 기 콜롬비아 콜롬비아 자유당 비집권
코트디부아르의 기 코트디부아르 코트디부아르 인민 전선 집권
코스타리카의 기 코스타리카 자유국민당 집권
크로아티아의 기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비집권
퀴라소의 기 퀴라소 신 앤틸리스운동 비집권
키프로스의 기 키프로스 사회민주운동 집권(연립 내각)
체코의 기 체코 체코 사회민주당 비집권
덴마크의 기 덴마크 사회민주당 비집권
도미니카 공화국의 기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혁명당 비집권 '한나라동맹'의 일부
에콰도르의 기 에콰도르 민주좌파당 집권 '빠이스 동맹'의 일부
이집트의 기 이집트 민주국민당 집권
적도 기니의 기 적도 기니 사회민주연대 비집권
에스토니아의 기 에스토니아 사회민주당 집권
핀란드의 기 핀란드 핀란드 사회민주당 비집권
프랑스의 기 프랑스 사회당 집권
독일의 기 독일 독일 사회민주당 비집권[1]
가나의 기 가나 민주국민회의 집권
그리스의 기 그리스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 비집권
과테말라의 기 과테말라 희망국민연대 집권
기니의 기 기니 기니인민연합 비집권 지난 선거를 보이콧함에 따라 의석 없음
아이티의 기 아이티 아이티 사회민주융합 집권 (연정 구성)
헝가리의 기 헝가리 헝가리 사회당 집권
헝가리의 기 헝가리 헝가리 사회민주당 집권 헝가리 사회당과 연정 구성
아이슬란드의 기 아이슬란드 사회민주동맹 집권 (연립 내각)
이라크의 기 이라크 쿠르디스탄 애국동맹 집권(연립 내각) '쿠르디스탄 민주애국동맹'의 일부
아일랜드의 기 아일랜드 노동당 비집권
이스라엘의 기 이스라엘 이스라엘 노동당 집권 (연립 내각)
이스라엘의 기 이스라엘 신운동-매레츠 비집권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좌파민주당 비집권 민주당의 일부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민주좌파 비집권 원외정당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사회당 비집권 원외정당
자메이카의 기 자메이카 인민국가당 비집권
일본의 기 일본 사회민주당 비집권
레바논의 기 레바논 진보사회당 집권 (연립 내각) '3월 14일 동맹'의 일부
라트비아의 기 라트비아 라트비아 사회민주노동당 비집권 원외정당
리투아니아의 기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비집권
룩셈부르크의 기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사회노동당 집권 (연립 내각)
북마케도니아의 기 북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 사회민주동맹 비집권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민주행동당 비집권 '파키스탄 라크얏'의 일부
말리의 기 말리 말리 민주동맹 집권 '민주진보동맹'의 일부
말리의 기 말리 말리 연합 비집권 '민주공화전선'의 일부
몰타의 기 몰타 노동당 비집권
모리타니의 기 모리타니 민주전선연합 비집권
모리셔스의 기 모리셔스 모리셔스 투쟁운동 집권 'MMM-MSM 동맹'의 일부
모리셔스의 기 모리셔스 모리셔스 노동당 집권 '사회동맹'의 일부
멕시코의 기 멕시코 민주혁명당 비집권 '멕시코동맹'의 일부
멕시코의 기 멕시코 제도혁명당 비집권 '멕시코동맹'의 일부
몽골의 기 몽골 몽골 인민혁명당 집권
몬테네그로의 기 몬테네그로 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 집권 (연립 내각) '유럽 몬테네그로 연정'의 일부
몬테네그로의 기 몬테네그로 몬테네그로 민주사회당 집권 (연립 내각) '유럽 몬테네그로 연정'의 일부
모로코의 기 모로코 인민세력 사회연합 집권 (연립 내각)
모잠비크의 기 모잠비크 모잠비크 해방전선 집권
나미비아의 기 나미비아 서남아프리카 인민기구 집권
네팔의 기 네팔 네팔의회당 집권 (연립 내각)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노동당 집권 (연립 내각)
뉴질랜드의 기 뉴질랜드 뉴질랜드 노동당 비집권
니카라과의 기 니카라과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집권
니제르의 기 니제르 나이지리아 민주사회당 비집권
북아일랜드 사회민주노동당 집권 (연립 내각)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 노르웨이 노동당 비집권 (연립 내각)
파키스탄의 기 파키스탄 파키스탄 인민당 집권 (연립 내각)
파나마의 기 파나마 민주혁명당 비집권
파라과이의 기 파라과이 2월혁명당 집권 '변화를 위한 애국동맹'의 일부
페루의 기 페루 아메리카 인민혁명동맹 집권 (연립 내각)
폴란드의 기 폴란드 민주좌파동맹 비집권
폴란드의 기 폴란드 노동동맹 비집권 원외 정당
포르투갈의 기 포르투갈 사회당 집권
푸에르토리코의 기 푸에르토리코 푸에르토리코 독립당 비집권
루마니아의 기 루마니아 사회민주당 집권
산마리노의 기 산마리노 사회민주당 비집권
세네갈의 기 세네갈 세네갈 사회당 비집권 지난 선거 보이콧으로 의석 없음.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민주당 집권 (연립 내각) '유럽 세르비아'의 일부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사회민주당 원외 정당
슬로바키아의 기 슬로바키아 방향 - 사회민주 집권 (연립 내각)
슬로베니아의 기 슬로베니아 사회민주당 집권 (연립 내각)
스페인의 기 스페인 스페인 사회노동당 비집권
스웨덴의 기 스웨덴 스웨덴 사회민주당 비집권
스위스의 기 스위스 스위스 사회민주당 집권 (연립 내각)
튀니지의 기 튀니지 헌법민주연합 집권
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 인민공화당 비집권
영국의 기 영국 노동당 비집권
미국의 기 미국 미국 민주사회당 대표 없음 선거용 정당 아님
우루과이의 기 우루과이 우루과이 사회당 집권 '광역 전선'의 일부
우루과이의 기 우루과이 신공간 집권 '광역 전선'의 일부
베네수엘라의 기 베네수엘라 민주 행동 비집권
베네수엘라의 기 베네수엘라 사회주의운동 비집권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프리카 민족회의 집권
짐바브웨의 기 짐바브웨 민주변화운동 - 창기라이 집권 (연립 내각)

자문 정당

옵저버

함께 보기

주석

  1. 한국시각 2009년 9월 28일에 치러진 독일 총선 결과, 기민-기사당 및 민주자유당의 의석수가 과반을 넘음에 따라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이들로 구성된 '보수 연정'을 꾸릴 것으로 예상된다.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