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60번째 줄: 360번째 줄:
|''35196 편성''||''도입 예정''
|''35196 편성''||''도입 예정''
|-
|-
|''35197 편성''||rowspan="4"|[[2024년]]||''도입 예정''|| rowspan="4" |기존 35119 ~ 35122편성 대차분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35197 편성''||rowspan="4"|[[2024년]]||''도입 예정''|| rowspan="4" |기존 35119 ~ 35122편성 대차분으로 2024년 도입될 예정이다.
|-
|-
|''35198 편성''||''도입 예정''
|''35198 편성''||''도입 예정''
374번째 줄: 374번째 줄:
!width="50"|차호!!width="75"|도입 시기!!width="90"|운행 중단 시기!!비고
!width="50"|차호!!width="75"|도입 시기!!width="90"|운행 중단 시기!!비고
|-
|-
|''35201 편성''||rowspan="6"|[[2028년]]||''도입 예정''|| rowspan="6" |35123 ~ 35128편성 대차분으로 2028년 도입될 예정이다.
|''35201 편성''||rowspan="6"|[[2028년]]||''도입 예정''|| rowspan="6" |기존 35123 ~ 35128편성 대차분으로 2028년 도입될 예정이다.
|-
|-
|''35202 편성''||''도입 예정''
|''35202 편성''||''도입 예정''

2021년 9월 27일 (월) 06:15 판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죽전역을 출발하는 3세대 중기형 35136편성
죽전역을 출발하는 3세대 중기형 35136편성
월곶역에 진입중인 수인·분당선 3세대 전기형 35161편성(도색 변경 전)
월곶역에 진입중인 수인·분당선 3세대 전기형 35161편성(도색 변경 전)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통근형 전동차(도시 철도 구간 입선용)
제작사
운영 회사 한국철도공사
제작 연도 1993년~1996년, 1999년, 2003년, 2011년~2014년, 2017년
생산량 수인·분당선 61개 편성 총 366량
제원
양 수 6량
궤간 (mm) 1,435
성능
전기 방식 교류 25,000 V 60 Hz
제어 방식 VVVF-GTO(도시바) 1C4M제어[1]
VVVF-IGBT(도시바) 2레벨 1C4M제어[2]
기어비 14:99
기동가속도 3.0 km/h/s
영업 최고 속도 * ATS 구간 110 km/h
  • ATC 구간 80(급행 100) km/h
설계 최고 속도 110 km/h
감속도
  • 상용 3.5 km/h/s
  • 비상 4.5 km/h/s
전동기 출력 200[3] kW
편성 출력 2,400(4200마력)[4] kW
구동 장치 TMK010C형 농형 3상 유도전동기
구동 방식 WN드라이브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MT비 3M 3T
보안 장치 ATS, ATC
비고 수인·분당선 일부 차량의 경우, 두 노선 간의 상호 직결 운행을 염두에 두고, ATC·ATS 겸용 시스템으로 설치하였다(초창기 도입분인 35101~35121편성 제외).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에서 운행 중인 한국철도공사통근형 전동차이다. 이 전동차는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중 최초로 VVVF 제어 방식이 채택되었으며, 도입 초기에는 2030호대를 사용하다가 2011년 현재 351000호대로 변경되었다. 현재 총 6량 61개 편성(366량)이 운행하고 있다.

기술적 사양

대한민국 최초로 도입된 VVVF제어 전동차

2030호대 (351000호대) 전동차는, 대한민국 최초로 VVVF제어와 유도전동기를 채용한 전동차로서 첫 반입분인 30편성 (현 341000호대 01 편성) 1993년 7월말에 처음으로 제작, 시운전에 착수하여 같은 해 11월에 시운전을 마치고 본선운행에 들어갔다. 비슷한 시기인 1993년 9월에 처음 제작된 서울메트로 (현 서울교통공사)의 첫 반입분 451편성과 비교하여 약간 빠르다.[5][6] [7]

제어기기

제어시스템은 GTO 사이리스터를 사용한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 방식을 사용하며, 1개의 제어기기에 4개의 전동기를 사용하는 1C4M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기존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에 비해 출력을 높여 MT비를 줄임과 동시에 회생제동 능력을 갖춰 에너지 절약 및 검수소요 감소를 도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도시바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후 우진산전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것으로 교체되었다. 다만 VVVF 인버터의 경우 자연냉각식이 아니라 당시 신칸센 300계 전동차신칸센 500계 전동차에서 사용한 자동 강제냉각식을 사용하였다.

차체 및 대차

차체에는 STS304를 사용한 스테인리스 용접방식의 무도장 차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차는 원추형 고무스프링을 사용한 에어스프링 볼스터리스 방식을 채택해 승차감 향상과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 제동장치는 응답성이 빠르고 전기제동과의 조화가 양호한 전기지령식 제동을 사용하고 있다.

실내설비

도입 초기에는 아이보리색 계통의 실내구성과 전형적인 모켓 롱시트로 이루어져 있었고, 객실 천장에는 LED방식의 승객안내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냉방은 기존 차량보다 냉방 출력을 강화한 준집중형식으로 제작하였다. 3세대형부터, 기존의 LED 안내기 대신 LCD TV가 설치되었다.

승무 설비

승무 설비는 투핸들 형태의 제어대와 계기판, TGIS모니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창기 차량은 ATC 혹은 ATS 전용 운용을 위하여 1차 도입분 차량 운전실을 개조하여 ATC 속도계만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이후 6차분 까지 ATC 혹은 ATS 전용 전동차로 반입되었다, 초창기 도입분의 경우,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와 동일한 사양의 교류-직류 겸용, ATS·ATC 겸용으로 도입되었기 때문에, 2000년대 이후 교류 전용 전동차로 개조하는 과정에서 분당선의 ATC·ATS 절환스위치는 운전실 개조를 하며 사라졌다.[8] 1인 승무를 위하여 출입문 개폐용 스위치가 제어대에 추가되어 있다. 3세대형 도입분부터는 기존 투핸들에서 원핸들 형태로 변경되었으며, 7차분 차량부터 분당선-수인선간 상호 직결 운행을 염두에 두고, ATC·ATS 겸용 차량으로 도입되었다.

TGIS

TGIS는 Train General Information System의 약자로서 열차의 기본적 정보를 승무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기본적으로 제어차에 장비된 중앙장치와 각 차량에 장비된 단말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말기를 루프식으로 구성된다. 각 단말기간의 통신은 RS-485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단말장치는 각 차량의 전기기기, 서비스기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중앙 장치에서 통합 후 모니터를 통하여 승무원(기관사, 차장)에게 전달한다. TGIS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승무원 지원 기능: 각종 기기 상태, 운행상태, 정차역 통보기능
  • 주 제어 기기 및 각종 고압전기기의 상태현시 및 고장기록
  • 서비스 기기(안내방송, 공조장치, 행선·열번 표시기 등)제어기능
  • 검수 지원 기능: 운행·고장기록, 입·출고 점검 및 응급고장처치 안내기능.

1993년 차량 도입 당시엔, 일본 도시바사의 수입 완제품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대한민국 우진산전에서 제작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제품보다 기능과 성능이 한층 더 강화된 제품이다.

편성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그리고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등을 갖춘 Tc차와 아무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어 있다.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3510XX(20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511XX(22XX) M(주변환장치)
3512XX(23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513XX(28XX) T(무동력객차)
3514XX(25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519XX(21XX)[9]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배속

  • 개번 전 차량번호가 2030 (2030-2130편성)부터 부여된 이유는 1993년 도입 당시 2000호대 디젤 기관차가 아직 퇴역하기 전이었고, 다른 차번(4000호대, 5000호대, 6000호대)은 아직 차적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이다.
  • 과거 4호선과 분당선의 차번은 열차 도입 순서에 따른 것으로 별도로 구분짓지 않았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통 이후에는 별도의 소속 기지를 구분하지 않고, 운행 다이어에 따른 차량기지로 입고한다. 다만 351X01~351X21편성은 ATS신호를 운영중인 고색역 이서 구간 운행이 불가능하여 분당기지 고정이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현재 운행 구간

과거 운행 구간

도입 역사

1세대

1차분 (1993년 ~ 1995년)
2차분 (1996년)
3차분 (1999년)

1993년부터 1999년까지 초창기에 도입된 전동차로 분당선 35101 ~ 35122편성 (변경 전 2x47 ~ 2x48, 2x50, 2x55 ~ 2x69, 2x73 ~ 2x76편성)이 해당되며, 1993년 12월 ~ 1994년 11월, 1996년 1월 ~ 1996년 2월, 1999년 1월 ~ 1999년 4월에 제작됐다. 차량은 대우중공업한진중공업에서 생산되었는데, 여기서 대우중공업에서는 35101 ~ 35102, 35117 ~ 35118편성을, 한진중공업에서는 35104 ~ 35116, 35119 ~ 35122편성을 제작했다. 단 35103편성일 경우 351003, 351303 ~ 351403, 351903호는 한진중공업에서 제작을 했으며 351103 ~ 351203호는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했다. 35101 ~ 35116편성의 경우, 4호선에서 운행하고 있는 차량 처럼 교직 겸용, ATS-ATC 겸용 차량이었으나, 이후 분당선 1세대 전동열차는 모든 차량이 교류, ATC 전용화로 운전실 개조 및 팬터그래프 애자 부위가 전량 교류전용으로 개조 되었다.[14] 35117 ~ 35122편성은 제작 당시부터 교류 전용 차량으로 제작되었다. 수인선 직결 운행에 대비하여, 35122편성은 ATC·ATS 자동 전환 시스템으로 개조하였다, 나머지 또한 2017년에는 35112 ~ 35122편성은 스피커가 노후화로 인해 스피커 교체로 경고음이 개선되었으나, 초창기 도입분인 35101 ~ 35111편성은 차량 노후화로 인해 교체되지는 않았다. 또한, 1세대 1 ~ 2차분과 3차분 일부는 ATS 미설치 차량이므로 수인선 오목천역 ~ 인천역 구간과 왕십리역 ~ 청량리역 구간에서는 운행되지 않는다.

2세대

4차분 (2003년)

35123 ~ 35128편성(변경 전 2x82 ~ 2x87편성)의 도입분으로, 2003년 분당선 수서 ~ 선릉 연장 개통을 위하여 도입된 편성이다. 2003년 8월에 제작됐다. 전체적인 사양은 5000호대 (현 311000호대) 2세대 전동차에 기초하였으며, 반입 당시부터 신도색이 적용되었다. 객실 측면창에 통유리가 채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창문 UV코팅 처리는 이 차량에서는 빠져있고 폐문 시 경고음이 났었으나 2011년 쯤에 안내방송장치 개량으로 인해 경고음이 사라졌다. 다만 35128편성은 스피커 교체로 경고음 재추가했으며 2017년에는 35112 ~ 35122편성 1세대 스피커 교체로 경고음 개선과 동시에 나머지 편성도 스피커 교체로 경고음 재추가했다. 수인선 직결 운행에 대비하여, 모든 편성이 ATC·ATS 자동 전환 시스템으로 개량하였다.

3세대

5~6차분 (2011년)

2011년 분당선 기흥 연장 개통과, 수인선 송도 ~ 오이도 개통을 대비하기 위하여 도입되었으며, 분당선 전기형 35129 ~ 35133편성과 수인선 전기형 35161 ~ 35168편성이 이에 해당된다. 2011년 1~9월 제작됐다. 전두부 모양이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부터 채용한 승무시야 확장형 전두부와 동일하게 변경되었고 현대로템의 표준형 전동차 설계 기준을 따르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에 기초하였으나 스테인레스 차체가 적용되어 있고 기존에 사용하던 도색과 시트가 변경되었으며, 바닥재는 기존 사양과 비슷한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음) 무늬가 적용되었다. 또한 UV코팅이 적용된 통유리와 키 높낮이를 고려한 입석용 손잡이, 객실간 통로문 자동문 설치, 그리고 천장형 LCD TV가 채용되었다. 분당선 및 수인선 직결 운행에 대비하여, ATS·ATC 자동 전환 시스템으로 개량하였다.

7차분 (2012년)

2012년 분당선 선릉 ~ 왕십리 연장 개통과 기흥 ~ 망포 연장 개통에 대비하여 도입되었으며, 중기형 35134 ~ 35140편성이 해당된다. 2011년 10월 ~ 2012년 4월까지 제작됐다. 바닥무늬가 동일 세대의 311000호대 초기 사양으로 변경되었고, 6량 중 M, T 각 1량씩을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6량화로 인해서 발생하는 잉여차량을 부수차로 전환 사용하여 각각 반입되었다.[15] 그러나 코레일2014년까지 중앙선 잉여차량들을 원위치 시켜 321000호대 전동차 전 차량을 8량으로 재환원 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여 중앙선 잉여차량들이 분리되어 빠져 나감에 따라 휴차되었다가 2014년 4월부터 동년 7월까지 35134 ~ 35140편성 모두 2량씩 (총 14량) 신조되어 반입되었다. 수인선 직결 운행에 대비하여, ATS·ATC 자동 전환 시스템으로 개량하였다. 반입은 순차적으로 이어지지 않았는데, 2012년 3월 31일 35138편성이 반입되고 4월 14일 35134편성이 반입되었다. 신조차량 반입 역시 순차적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2014년 10월 7일 35135편성이, 10월 8일 35134편성이 반입되었다.

8~9차분 (2013년)

2013년 분당선 수원 연장과 2016년 수인선 오이도 ~ 인천 연장 개통에 대비하기 위하여 2013년에 도입되었으며 분당선 후기형 35141 ~ 35143편성과 수인선 후기형 35169 ~ 35172편성이 이에 해당된다. 각각 2013년 1~3, 7~10월까지 제작됐다. 헤드램프가 LED로 반입되었으며, 선두차 측면 코레일 로고 및 객실 안내 스티커가 변경되었다[16]. 또한 분당선수인선 직결 운행을 염두에 두고, ATC·ATS 자동 전환 시스템이 기 탑재되어 있다. 수인선 후기형 35169 ~ 35172편성은 중앙선 6량화로 인해 잉여객차가 환원되면서 35134 ~ 35140편성이 휴차되자 잠시 분당선에서 영업시운전[17]을 진행한 바 있다.

10차분 (2017년)

35173 ~ 35178편성이 도입되었으며, 31195 ~ 31203편성, 37101 ~ 37112편성, 38101 ~ 38110편성(동해선 광역전철용), 39101 ~ 39107편성(서해선 광역철도용)과 사양이 동일하며, 싱글암 팬터그래프, 전두부 상단 LED행선기 중앙에 전조등이 추가되었으며, 내부에 CCTV가 설치되어있다. 또한 휠체어석 스티커가 작은 검은색으로 변경되었으며, 내부 출입문 경고스티커가 네모검정바탕으로 바뀌었으며, 손잡이 바로 위로 변경되었다. 게다가, 통로문 상단 패찰도 글씨체가 작아졌으며, 의자(시트), 손잡이, 바닥은 경강선 및 동해선, 서해선과 동일한 사양으로 적용되었다. 또한 분당선, 수인선 직결 운행을 염두에 두고, ATC·ATS 자동 전환 시스템이 기 탑재되어 있다.

개조 역사

도색 변경

도입을 한 후부터 2005년까지는 주황색 - 빨간색 도색을 공통으로 사용하여 왔으나, 2005년부터 불연재 내장 리뉴얼과 함께 한국철도공사 도색으로 교체되었으며 3호선 차량은 주황색군청색, 4호선 차량은 하늘색군청색, 분당선 차량은 노란색(카나리아색)과 군청색, 수인선 차량은 1호선 및 경의중앙선 차량과 동일한 빨간색군청색이 적용되었다. 이후 수원역까지 수인선이 개통하면 분당선과 직결 운행할 계획이기 때문에, 기존 분당선 도색과 동일하게 노란색(카나리아색)과 군청색으로 재도색되었다.

전장품 변경

  • 2004년부터 2005년까지 모든 차량의 SIV (정지형 인버터)를 우진산전 IGBT 제품으로 변경하였다.
  • 2004년부터 답면제동장치 소음개량 사업이 시작되어 현재 진행 중이다.
  • 2005년부터 도시바에서 제작한 TGIS 장비가 우진산전의 장비로 개량되어 안내방송, 냉방, 행선 표시등 서비스 기기 제어 기능이 추가되었다. (분당선 35101 ~ 35128편성)
  • 2003년부터 분당선 일부 차량의 주변환장치가 IGBT 2레벨 인버터로 교체되었다. 35101 ~ 35108, 35110, 35113, 35115 ~ 35116, 35119, 35125편성 등 모두 14개 편성이다. 35129편성부터 IGBT 2레벨 인버터가 탑재되어 도입되었다.
  • 2013년부터 분당선 일부 차량의 객실 LED 안내기가 기존 검은색의 구형 3색 LED 안내기에서 흰색 3색 LED 안내기로 교체되었다.(35104편성)
  • 2011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분당선 전동차의 차량 객실간 통로문이 자동문으로 개조되었다. 3세대 전기형 차량은 자동문이 설치된 채로 반입되었으나 2021년 이후에 도입되는 4세대형 차량은 통로문 벽을 아예 없앤다.
  • 2012년 수인선에서 운행중인 일부 편성의 Tc 차량에 자전거 전용 거치대가 설치되어 있다. 35161 ~ 35164편성으로 이는 중앙선에 임시로 차출 투입할 때 설치되었다.[18]
  • 2012년 12월부터 코레일 소속 분당선 일부 차량의 출입문 구동방식이 기존 공기식에서 전기식으로 개량되었다 (35111, 35123 ~ 35126, 35128편성(35127편성 제외)). 모두 6개 편성이다.
  • 2016년부터 코레일 소속 분당선, 수인선 일부 차량의 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점진적으로 교체되고 있는 중이다 (35101 ~ 35107, 35109 ~ 35117, 35118(351918호만), 35121, 35122(351922호만), 35123 ~ 35140, 35166, 35167(351967호만), 35168편성).[19]
  • 2016년부터 35128편성의 차내 스피커 시범교체를 시작으로 2017년에는 분당선 일부 차량의 차내스피커가 교체되었다. 새로 바뀌는 신형 스피커는 35129 ~ 35143편성과 35161 ~ 35172편성의 동일한 음질로 기존 스피커보다 더 향상한 스피커다. (35112 ~ 35128편성)[20]
  • 2016년부터 2020년 9월 11일까지 수인·분당선 계통의 신설을 염두에 두고, 초창기 도입분(35101 ~ 35121)을 제외한, 일부 차량이 ATC·ATS 겸용 시스템으로 개량되었다.

주변환장치 교체 현황

내장재 교체 사업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차량의 내연 기준으로 인하여 2004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철도공사의 전 차량이 불연재 기준에 맞춘 내장재로 교체되었다. 교체 사업에는 로윈, SLS중공업 등이 참여하였다. 이와 동시에 보수성이 떨어지는 전면, 측면행선표시장치(DI)를 롤지 회전 방식에서 LED 현시 방식으로 교체하였다.

차출 운행

중앙선 차출 시절의 35161편성

현황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35101~35121편성은 왕십리 ~ 고색 구간만 운행하는 ATC 전용 차량이며, 35122~35143, 35161~35178편성은 청량리 ~ 왕십리 ~ 고색 ~ 인천 구간을 직결 운행하는 ATC·ATS 겸용 차량이다.

1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5101 편성 1993년 운행 중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5102 편성
35103 편성
35104 편성
35105 편성
35106 편성
35107 편성
35108 편성
35109 편성
35110 편성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5111 편성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에서 전기식으로 개조되었다.
35112 편성
35113 편성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5114 편성
35115 편성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5116 편성
35117 편성 1996년
35118 편성
35119 편성 1999년 운행 중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5120 편성
35121 편성
35122 편성 1세대 차량중 유일하게 ATS / ATC 전환 시스템이 탑제된 차량이다.

2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5123 편성 2003년 운행 중
35127 편성을 제외한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에서 전기식으로 개조되었다.
35125편성은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5124 편성
35125 편성
35126 편성
35127 편성
35128 편성

3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5129 편성 2011년 운행 중
35130 편성 운행 중
35131 편성 운행 중
35132 편성 운행 중
35133 편성 운행 중
35134 편성 2012년, 2014년 운행 중 수도권 전철 중앙선 6량화 및 8량 환원 과정에서 편성 재조합으로 인하여 휴차된 적이 있다.
35135 편성 운행 중
35136 편성 운행 중
35137 편성 운행 중
35138 편성 운행 중
35139 편성 운행 중
35140 편성 운행 중
35141 편성 2013년 운행 중 이 차량은 도입 당시부터 LED 전조등이 달려 있다.
35142 편성 운행 중
35143 편성 운행 중 ATC·ATS 자동 전환 시스템이 기 탑재되었다.
35161 편성 2011년 운행 중 도입 당시에는 빨강색+파랑색 도색이었으나 지금은 노란색+파랑색 도색이다.
35161 편성 경의선, 중앙선으로 차출되어 운행한 적이 있다.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35162~35164 편성 중앙선으로 차출되어 운행한 적이 있다.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35169~35172 편성 ATC·ATS 자동 전환 시스템이 기 탑재되었다.
35162 편성 운행 중
35163 편성 운행 중
35164 편성 운행 중
35165 편성 운행 중
35166 편성 운행 중
35167 편성 운행 중
35168 편성 운행 중
35169 편성 2013년 운행 중
35170 편성 운행 중
35171 편성 운행 중
35172 편성 운행 중
35173 편성 2017년 운행 중 싱글암 팬터그래프 및 ATC·ATS 자동 전환 시스템이 기 탑재되었다.
35174 편성 운행 중
35175 편성 운행 중
35176 편성 운행 중
35177 편성 운행 중
35178 편성 운행 중

4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5179 편성 2021년 ~ 2022년 시운전 예정[22] 노후화된 35101 ~ 35118편성 대차분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이 편성부터는 신도색이 적용된다.
35180 편성 도입 예정
35181 편성 도입 예정
35182 편성 도입 예정
35183 편성 도입 예정
35184 편성 도입 예정
35185 편성 도입 예정
35186 편성 도입 예정
35187 편성 도입 예정
35188 편성 도입 예정
35189 편성 도입 예정
35190 편성 도입 예정
35191 편성 도입 예정
35192 편성 도입 예정
35193 편성 도입 예정
35194 편성 도입 예정
35195 편성 도입 예정
35196 편성 도입 예정
35197 편성 2024년 도입 예정 기존 35119 ~ 35122편성 대차분으로 2024년 도입될 예정이다.
35198 편성 도입 예정
35199 편성 도입 예정
35200 편성 도입 예정

5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5201 편성 2028년 도입 예정 기존 35123 ~ 35128편성 대차분으로 2028년 도입될 예정이다.
35202 편성 도입 예정
35203 편성 도입 예정
35204 편성 도입 예정
35205 편성 도입 예정
35206 편성 도입 예정

사고

사진

각주

  1. 35109, 35111 ~ 35112, 35114, 35117 ~ 35118, 35120 ~ 35122 ~ 35124, 35126 ~ 35128
  2. 35101 ~ 35108, 35110, 35113, 35115 ~ 35116, 35119, 35125, 35129 ~ 35144, 35161 ~ 35178
  3. 연속 정격출력 200 kW, 1시간 정격출력 230 kW
  4. 연속 정격출력으로 계산시 2,400 kW이며, 1시간 정격출력으로 계산시 2,760 kW
  5. “VVVF 제어 電動車(전동차) 韓進重(한진중) 국내처음 제작”. 매일경제(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93년 7월 28일. 
  6. “차세대 전기동차 시범운행”. 연합뉴스. 1993년 7월 26일. 
  7. “보관된 사본”. 2013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23일에 확인함. 
  8. 분당선-수인선 직결 운행을 위해, 분당선 전동차는 ATS 신호장치를 재설치하고, 수인선 전동차는 ATC 신호장치를 새로 설치하였다(초창기 도입분 제외).
  9. 개번 당시 35128편성 이전은 6호차 Tc 차호가 3515XX이었지만, 이후에 3519XX로 개번되었다.
  10. 35101 ~ 35121편성 제외, 해당 편성은 ATC 전용이라 운행할 수 없다.
  11. 35101 ~ 35121편성은 고색까지만 운행
  12. 35161편성
  13. 중앙선 효율성 때문에 8량에서 6량화 시행하는 바람에 몇 편성이 부족하자 수인선 개통 전 35161~35164편성을 경의선 직결 운행 시기를 염두에 두고, 8량 환원이 되기 전에 중앙선에서 임시 운행을 하였다.
  14. 이러한 교직겸용에서 교류전용으로 전동열차 개조는 직류 노선을 주행할 필요가 없는 분당선 전동차 이외에 2007년 중앙선 덕소 ~ 팔당 개통으로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8량화 교체로 인하여 직류 구간 (서울역 ~ 청량리)에서 운행할 필요가 없게 되자, 교류전용으로 개조된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전기편성 (32101 ~ 32107편성)편성이다.
  15. 분당선에 차출된 중앙선 잉여차량들은, 코레일에서 2014년 까지 경의선, 중앙선 직결 운행에 대비하여 32115 ~ 32121편성의 차량들을 모두 8량으로 환원한다는 계획 하에, 신호와 도색을 재개정하여 환원되었다.
  16. 분당선 차량의 경우, 반입시에 전두부의 코레일 로고가 파란색, 객실 안내 스티커는 기존사양으로 반입되었으나, 이후 전두부 코레일 로고는 흰색으로, 객실 안내 스티커는 신형으로 교체되었다.
  17. 시운전이긴 하나 승객취급을 하며 운행함
  18. 자전거의 경우 주인이 직접 들고 다녀야 한다.
  19. 2013년도에 도입된 전동차의 LED 전조등(7발)과는 달리 전조등의 LED 수가 10발이다.
  20. 2세대형 차량인 경우 안내방송 개량으로 인해 발차 경고음이 사라졌지만 발차 경고음을 재추가되었다. 그리고 1세대형 차량은 발차 경고음이 개선되었다.
  21. “중앙선 6량으로 감량 한달째...승객들 "출퇴근길 지옥". 머니투데이. 2011년 10월 28일. 2011년 10월 28일에 확인함. 
  22.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191718
  23. “분당선 열차 죽전역에서 탈선…일부구간 운행중단”. MBN. 2011년 4월 23일. 

같이 보기

위키미디어 공용에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