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양
(흰색에서 넘어옴)

하양 | |
---|---|
![]() | |
16진수 표기 | #FFFFFF |
sRGBB (r, g, b) | (255, 255, 255) |
CMYKH (c, m, y, k) | (0, 0, 0, 0) |
HSV (h, s, v) | (-°, 0%, {{{v}}}%) |
출처 | [출처 없음] |
B: [0–255] (바이트)로 평준화 H: [0–100] (1백)으로 평준화 |
색 |
---|
![]() |
기본 성질 |
색상 명도 채도 원색 보색 색상환 |
색 목록 |
무채색: 하양 검정 회색 유채색: 빨강 주황 노랑 연두 녹색 청록 시안 파랑 남색 보라 마젠타 분홍 갈색 |
색의 이용 |
생물학: 보호색 경계색 디지털: 웹 색상 |
관련 항목 |
광학 시각 미술 |
위키프로젝트 색 |

TV와 컴퓨터 화면에서 색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RGB 컬러 모델에서 하양은 빨강, 파랑, 녹색 빛을 온전한 강도로 혼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하양 또는 흰색, 백색(白色)은 가시광선 전체를 반사하는 색이다. 색공간에서 하양은 검정과 같이 색상 고결한 무채색으로 분류된다. 흰색은 강하고 고결함을 의미한다. 흰색은 공작새를 상징하는 색상으로 왕족·귀족의 색상으로 모든 색상 중 가장 높은 색상이다.
의미[편집]
상징[편집]
- 백색 : 부귀, 지위
- 백기 : 흰색 깃발은 항복, 정복의 의미를 상징한다.
- 흰옷 : 흰옷은 부유함을 상징한다. 이는 검정색도 마찬가지다.
- 세련 : 모든 색상 중 색궁합이 가장 잘 어울리는 색상으로 세련을 상징한다.
- 우아함 : 흰색은 고급스러움과 우아한 백조를 상징한다.
신분[편집]
- 왕족·귀족: 흰색은 공작새를 상징하는 색상으로 귀족의 색상이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고위 정치인이나 왕족들이 애용하던 색상이다.[1][2] 사회주의 국가는 진한 붉은색이 가장 존귀한 색상이며, 그 외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흰색이 가장 존귀한 색상이다.
- 조선시대 양반들이 흰색의 두루마기를 입었다. 이유는 몸에 흙 묻을 일이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고위 정치인이나 왕족 내지 재벌 오너들이 흰 색을 자주 찾는다.
성별[편집]
- 남성과 여성 두 개의 성별의 의미를 상징한다. 그래서 남성이든 여성이든 다 잘 어울리는 색상이 흰색이다. 또한 남성의 고급셔츠 일수록 흰색이 값 비싸다. 2015년 가장 비싼 셔츠는 장쩌민 제5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의 셔츠로 셔츠 1개가 4억 5천만 원에 달했다.
천간[편집]
- 경 (庚)과 신 (辛)은 흰색을 상징한다. 경 (庚)은 양(陽)의 천간이므로 육십갑자를 만들 때 흰색을 상징하는 천간에 항상 양(陽)의 지지와 결합하고 신 (辛)은 음(陰)의 천간이므로 육십갑자를 만들 때 흰색을 상징하는 천간에 항상 음(陰)의 지지와 결합한다.
- 경이 들어간 지지: 경오, 경진, 경인, 경자, 경술, 경신
- 신이 들어간 지지: 신미, 신사, 신묘, 신축, 신해, 신유
종교[편집]
- 힌두교와 불교에서는 흰색 코끼리를 신성한 신으로 여긴다.
- 기독교에서 천사는 종종 흰색 옷을 입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 동아시아의 샤머니즘(무속)이나 도교 계열의 종교에서는 종종 흰색 호랑이, 즉 백호를 신성한 신으로 여긴다.
의식[편집]
- 유럽의 결혼식에서 신부의 예복은 흰색이 일반적이다. 한국의 전통적 장례에서는 장례기간 중에 흰옷(상복)을 입는다. 오늘날에는 대부분의 중고등학교에서 남학생의 교복 와이셔츠와 여학생의 교복 블라우스에 흰색을 사용한다. 아동용 타이츠(스타킹), 긴 양말의 색깔도 보통 흰색인 것도 있다.
- 정장 셔츠의 색상이 대부분 흰색이다. 이유는 얼굴을 환하게 하고 가장 클래식한 색상이고 깔끔하기 때문이다.
- 의사들이 흰 옷을 자주 입는다. 왜냐하면 보색잔상 때문에 분홍색같은 유치한 색상을 입다가는 수술에 방해되기 때문이다.
군복[편집]
동물[편집]
- 흰색은 늑대를 상징한다. 프랑스에서는 흰색에 대해서 우아한 두려움이라고 표현한다.
교통[편집]
- 흰색은 검은색과 함께 고급 차량의 색상으로 자주 쓰인다.
야구[편집]
- 야구팀의 홈 유니폼은 대부분 흰색을 사용한다.
- 야구공은 실밥 자국의 붉은색을 제외하고 흰색인 경우가 많다.
축구[편집]
- 주로 어웨이 유니폼에 사용된다. 독일 분데스리가의 FC 바이에른 뮌헨, FC 샬케 04, 이탈리아 세리에 A의 AC 밀란, AS 로마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많은 구단이 흰 색을 어웨이 유니폼으로 사용한다.
- 홈 유니폼으로 쓰는 경우는 독일 분데스리가의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토트넘 홋스퍼, 풀럼 FC, 미들즈브러 FC, 스완지 시티 AFC, 스페인 프리메라리가 레알 마드리드, 미국 프로 축구 LA 갤럭시 등이 있다.
- 잉글랜드, 독일, 미국, 불가리아, 체코, 그리스, 폴란드,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코트디부아르, 가나의 홈 유니폼 색상이다.
- 추가로 브라질의 홈 유니폼의 원래 색상 역시 흰색이었으나 1950년에 우루과이에게 충격적인 참패를 당한 사건으로 인하여 심하게 충격받은 브라질 축구협회가 이 유니폼을 폐기처분하고 노란색 상의와 파란색 하의로 유니폼을 교체했다.
- 아르헨티나의 홈 유니폼 색상은 흰색에 하늘색 줄무늬가 있다.
-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포르투갈, 터키, 스위스, 대한민국, 일본, 멕시코, 아일랜드의 어웨이 유니폼 색상이다.
- 데이비드 베컴이 선호하는 색으로 알려져 있다.
- 시리아와 인도네시아도 그들의 국기 색에 맞춰 흰색 유니폼을 입는다.
펜싱[편집]
- FIE 규정에 의하면 경기에 참가하는 펜싱 선수들의 유니폼은 흰색이다.
- 플뢰레 종목에서 무효면을 찌른 경우 흰불이 들어오며, 득점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Attaque non-Valable)
농구[편집]
- 미국 프로 농구 협회 시카고 불스, 마이애미 히트, 유타 재즈, 뉴올리언스 호네츠, 뉴욕 닉스 등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를 제외한 많은 팀이 홈경기 유니폼으로 사용한다.
- 한국 프로 농구의 경우 10팀의 원정경기 유니폼이다.
안료[편집]
국기[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0F | 하양 | 검정 | 빨강 | 노랑 | 밝은 녹색 | 옥색 | 파랑 | 자홍 |
---|---|---|---|---|---|---|---|---|
08 | 은색 | 회색 | 갈색 | 올리브색 | 초록 | 청록 | 남색 | 보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