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4년 12월) |
![]() 4량 편성 시절 936편성(현재는 6량으로 운행중) | |
제작 및 운영 | |
---|---|
주 용도 | 도시 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제작사 | 현대로템 |
운영 회사 | 서울시메트로9호선 |
제작 연도 | |
생산량 | 270량 |
사용량 | 45편성 |
제원 | |
양 수 | 6량 |
편성 길이 | 78.850 (4량) 118.850 (6량) mm |
전장 | 19,500 mm |
전폭 | 3,120 mm |
전고 | 3,600 mm |
차량 중량 | 142.8 t |
궤간 (mm) | 1,435 |
성능 | |
동력 방식 | 동력분산식 |
전기 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제어 방식 | VVVF-IGBT(미쓰비시)(현대로템 IPM) 2레벨 1C4M제어 |
기동가속도 | 3.0 km/h/s |
영업 최고 속도 | 8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20 km/h |
감속도 | 3.5 km/h/s (비상시) 4.5 km/h/s |
전동기 출력 | 210[1] kW |
구동 장치 | 유도전동기 |
제동 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제동 |
MT비 | 3M 3T |
보안 장치 | ATO [자동/수동겸용] |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는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서울시메트로9호선의 통근형 전동차이다. 현재 총 6량 45개 편성(270량)이 운행하고 있다.
개요[편집]
한국형 표준전동차를 바탕으로 한 표준 설계 사양에 따라 제작되었다. 차체는 스테인레스 곡면을 적용하였으며, ATO 방식 자동운전을 채택하였다. 실내는 롱시트로 구성되었고, 승객 편의를 고려한 낮은 손잡이가 설치되었다. 객실 좌석 아래에는 짐을 넣는 공간이 있고, 좌석 위 선반은 노약자석과 7인석 중 2곳만 설치되었다. 전면부 중앙에는 행선지가 표시되지 않고 열차번호와 일반, 급행 중 1가지만 표시된다. 차량 가격은 년도에 따라 차이가 나며 1량당 13 ~ 14억 원 기준이고, 6량 1편성당 78억 원 가량이다.[2] 현재 총 6량 45개 편성이 운행중이다. 또한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의 3차분 차량이 이 차량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지만 전면부 및 측면과 객차 수가 8량인 점이 다르다
도입 역사[편집]
1차 도입분 (901 ~ 924편성, 2007년 12월 ~ 2009년 11월)[편집]
2009년 7월 24일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도입되었다. 도입 당시에는 4량이었으나, 6량으로 증차 칸이 도입되면서 6량이 되었다.
2차 도입분 (925 ~ 936편성, 2011년, 2012년, 3월~8월)[편집]
2011년 10월 15일 증차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본래 2015년 3월 28일 2단계 구간 개통에 대비하여 도입될 예정이었으나, 9호선의 혼잡도 해소를 위해 조기 도입되었다. 도입 당시에는 4량으로 도입되었으나, 6량으로 증량 객차가 도입되면서 6량이 되었다.
3차 도입분 (937 ~ 945편성, 2016년 3월~8월)[편집]
937~940편성은 2016년 8월 31일 증차 목적, 941~945편성은 2018년 12월 1일 3단계 구간 개통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제작 당시 전조등이 LED였고, 현대로템 패찰도 기존의 것과 다른 것으로 달고 도입되었다. 도입 당시 937~944편성은 4량, 945편성 6량이었으나 이후 937~944편성의 증량 칸이 도입되면서 6량화되었고, 현재는 모두 6량 편성으로 운행하고 있다.
4차 도입분 (946 ~ 953편성[3])[편집]
946~950편성은 2023년 증차 목적, 951~953편성은 2027년 4단계 구간 개통분 목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1~3차분과는 달리, 처음부터 6량으로 도입된다. 또한 이차량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4차분,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3차분과 동일한 IGBT를 탑재할 예정이다 또한 946~950편성은 2022년 10월부터 반입이 시작될 예정이다. 지금 현재 지연이 되고 있는 상황이여서 11월로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2023년 3월부터 초도편성이 반입될 예정이다.
조성[편집]
현재 운행 중인 편성은 901~945편성이다.
과거 편성[편집]
901편성부터 944편성만 해당하며 2019년까지 모든 차량이 6량으로 증량되었다.
◇◇ | ◇◇ | ||||
90XX | 91XX | 94XX | 95XX | ||
Tc | M' | M' | Tc | ||
←중앙보훈병원 | ※##는 편성 번호 | 김포공항/개화→ |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와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로만 구성되어 있다.
객차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90XX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91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VVVF) |
94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VVVF) |
95XX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현재 편성[편집]
◇◇ | ◇◇ | ||||
90XX | 91XX | 92XX | 93XX | 94XX | 95XX |
Tc | M' | M | T | M' | Tc |
←중앙보훈병원 | ※##는 편성 번호 | 김포공항/개화→ |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와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로 구성되어 있다.
객차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90XX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91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VVVF) |
92XX | M(주변환장치VVVF) |
93XX | T(무동력객차) |
94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VVVF) |
95XX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배속[편집]
- 901~945편성: 김포차량사업소, 6량
현재 운행구간[편집]
- ●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 ~ 중앙보훈병원
현황[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901 편성 | 2007년 | 운행 중 | |
902 편성 | 운행 중 | ||
903 편성 | 2008년 | 운행 중 | |
904 편성 | 운행 중 | ||
905 편성 | 운행 중 | ||
906 편성 | 운행 중 | ||
907 편성 | 운행 중 | ||
908 편성 | 운행 중 | ||
909 편성 | 운행 중 | ||
910 편성 | 운행 중 | ||
911 편성 | 운행 중 | ||
912 편성 | 운행 중 | ||
913 편성 | 운행 중 | 2009년 7월 24일 1단계 구간 개통식 기념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 |
914 편성 | 운행 중 | ||
915 편성 | 운행 중 | ||
916 편성 | 운행 중 | ||
917 편성 | 운행 중 | ||
918 편성 | 운행 중 | ||
919 편성 | 운행 중 | ||
920 편성 | 운행 중 | ||
921 편성 | 운행 중 | ||
922 편성 | 운행 중 | ||
923 편성 | 운행 중 | ||
924 편성 | 운행 중 | ||
925 편성 | 2011년 | 운행 중 | |
926 편성 | 운행 중 | ||
927 편성 | 운행 중 | ||
928 편성 | 운행 중 | ||
929 편성 | 운행 중 | ||
930 편성 | 운행 중 | ||
931 편성 | 운행 중 | ||
932 편성 | 운행 중 | ||
933 편성 | 운행 중 | ||
934 편성 | 운행 중 | ||
935 편성 | 운행 중 | ||
936 편성 | 운행 중 | ||
937 편성 | 2016년 | 운행 중 | |
938 편성 | 운행 중 | ||
939 편성 | 운행 중 | ||
940 편성 | 운행 중 | ||
941 편성 | 운행 중 | ||
942 편성 | 운행 중 | ||
943 편성 | 운행 중 | 2018년 11월 30일 3단계 구간 개통식 기념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 |
944 편성 | 운행 중 | ||
945 편성 | 운행 중 | 6량 상태로 도입되었다. | |
946 편성 | 2023년 | 시운전 중 | |
947 편성 | 시운전 중 | ||
948 편성 | 제작 예정 | ||
949 편성 | 제작 예정 | ||
950 편성 | 제작 예정 | ||
951 편성 | 제작 예정 | ||
952 편성 | 제작 예정 | ||
953 편성 | 제작 예정 |
반입 경로[편집]
- 김포차량사업소: 신창원역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 (트레일러) → 김포차량사업소 (1차분)
- 김포차량사업소: 신창원역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 인천국제공항철도 → 김포차량사업소 (2차분)
- 김포차량사업소: 신창원역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 수색직결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 김포차량사업소 (3차분, 중간 부수차 추가 도입분)
사진[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9호선 뉴스 - 9호선 중정비 개시
- ↑ 2018년 도입된 32량은 총 사업비가 440억 원이다.
-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81&aid=0003151154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