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서해안고속도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속국도
15
고속국도 제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고속국도 제15호선
노선도
총연장 336.65 km
개통년 1994년 7월 7일 (능해 ~ 안산)
1995년 12월 28일 (일직 ~ 안산)
1996년 12월 17일 (안산 ~ 포승)
1998년 8월 25일 (무안 ~ 목포)
1998년 10월 30일 (서천 ~ 동군산)
1998년 11월 25일 (금천 ~ 일직)
2000년 11월 10일 (서평택 ~ 당진)
2001년 9월 27일 (당진 ~ 서천)
2001년 12월 21일 (동군산 ~ 무안)

2002년 12월 12일 (서평택JCT)

폐지년 2011년 12월 23일(전라남도 목포시~전라남도 무안군)
기점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주요
경유지
전라남도 무안군
전라남도 함평군
전라남도 영광군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충청남도 서천군
충청남도 보령시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서산시
충청남도 당진시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 군포시
경기도 시흥시
경기도 광명시
경기도 안양시
서울특별시 금천구
종점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주요
교차도로
무안광주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
고창담양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11
고속국도 제11호선
1994년 ~ 1997년 1997년 ~ 2001년
노선명 서해안고속도로
(고속국도 제11호선)
기점 인천광역시 중구
종점 전라남도 목포시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16
고속국도 제16호선
1995년 ~ 1997년 1997년 ~ 2001년
노선명 서울안산고속도로
(고속국도 제16호선)
기점 서울특별시 금천구
종점 경기도 안산시

서해안고속도로(西海岸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5호선)는 전라남도 무안군을 기점으로, 서울특별시 금천구를 종점으로 하여 서해안을 따라 남북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2001년 12월 21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이 날 오후 3시,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서김제 나들목에서 개통식을 가졌다.[1]

남북 제1축에 해당하는 서해안권 지역을 잇는 대표적인 고속도로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경기도를 경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선 고속도로로는 남북형 노선으로 2009년 5월 28일에 개통한 충청남도 서천군공주시를 잇는 서천공주고속도로와, 2013년 3월 28일에 개통한 경기도 평택시시흥시를 잇는 평택시흥고속도로가 있다.

서해안고속도로의 대표적인 교통 시설물로는 경기도충청남도를 잇는 연장 7.3 km의 서해대교가 있다. 행담도를 가로지르며, 대한민국에서 총 연장으로는 세 번째, 교량 단일 길이만으로는 두 번째 규모다.

역사

[편집]

고속도로 노선 체계 재정비 이전

[편집]
  • 1991년 7월 25일 : 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 ~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11호선 서해안고속도로(서해안선)으로 지정
  • 1991년 8월 3일 : 당진 나들목 건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영천리 ~ 반촌리 2.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군산 나들목 건설을 위해 전라북도 옥구군 대야면 산월리 ~ 죽산리 900m 구간 도로구역 결정[2], 목포 나들목 건설을 위해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동 ~ 무안군 삼향면 유교리 1.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 서해안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 ~ 경기도 안산시 부곡동 27.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4]
  • 1991년 12월 : 능해 나들목 ~ 목포 나들목 전 구간 착공.
  • 1992년 4월 29일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 ~ 안산시 양상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6호선 시흥 ~ 안산고속도로(시흥 ~ 안산선)으로 지정[5]
  • 1992년 5월 8일 : 시흥 ~ 안산고속도로 논곡 ~ 안산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 장하동 2.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6]
  • 1992년 12월 1일 : 양상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안산시 양상동 700m 구간 도로구역 결정[7], 시흥 ~ 안산고속도로 시흥 ~ 논곡 구간 신설을 위해 서울특별시 구로구 시흥동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10.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8]
  • 1992년 12월 31일 : 서해안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기도 안산시 부곡동 ~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59.3km 구간,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 전라북도 옥구군 대야면 23.8km 구간,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 ~ 함평군 엄다면 22.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9]
  • 1993년 2월 5일 : 군자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로 구조 변경에 의해 경기도 안산시 선부동 1.22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
  • 1993년 11월 : 서해대교 착공
  • 1994년 7월 7일 : 능해 나들목 ~ 안산 분기점 27.2km 구간 개통[11]
  • 1994년 8월 30일 : 1996년 4월까지 목포 나들목 건설을 위해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동 ~ 무안군 삼향면 유교리 250m 구간 도로구역 결정[12]
  • 1995년 4월 1일 : 1995년 12월까지 목감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 9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3]
  • 1995년 9월 1일 : 1998년 12월까지 송악 나들목 건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복운리 2.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초대2육교 건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신평면 초대리 1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4][15]
  • 1995년 12월 11일 : 1997년 12월까지 일로 나들목 구조 변경으로 인해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지장리 ~ 삼향면 맥포리 1.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6]
  • 1995년 12월 28일 : 안산 분기점 ~ 일직 분기점 9.1km 구간 개통[17]
  • 1996년 1월 12일 : 1996년 12월까지 서서울 요금소 건설을 위해 경기도 안산시 장하동 942m 구간 도로구역 변경[18], 안산 분기점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안산시 양상동 ~ 부곡동 3.5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9]
  • 1996년 1월 26일 : 군산 나들목 국도 제26호선 접속부 입체화 공사로 인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산월리 9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0]
  • 1996년 3월 7일 : 1996년 12월까지 신갈 ~ 안산 고속도로 확장 공사로 인해 팔곡 분기점 ~ 둔대 분기점 연결도로(경기도 군포시 대야미동 ~ 안산시 건건동) 85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1]
  • 1996년 3월 9일 : 1996년 12월까지 매송 나들목 요금소 건설로 인해 경기도 화성군 매송면 원리 ~ 송라리 5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2]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에서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으로 변경, 시흥 ~ 안산고속도로의 기점을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에서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으로 연장하면서 서울 ~ 안산고속도로(서울 ~ 안산선)으로 노선명 변경[23]
  • 1996년 7월 9일 : 금천 나들목 신설 공사로 인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4.4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4]
  • 1996년 7월 26일 : 2000년 12월까지 행담도휴게소 주차장 설치 공사로 인해 충청남도 당진군 신평면 매산리 5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5]
  • 1996년 11월 8일 : 1999년 12월까지 군산 나들목을 익산 ~ 전주고속도로 연결을 대비한 북군산 분기점으로 변경하기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나포면 서포리 ~ 성산면 여방리 2.0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6][27]
  • 1996년 12월 17일 : 안산 분기점 ~ 포승 나들목 44.4km 구간 개통 및 팔곡 분기점 개통[28]
  • 1996년 12월 19일 : 월곶 나들목 개량 공사로 인해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 478m 구간을 947.3m로 도로구역 변경[29]
  • 1997년 1월 6일 : 서서울 요금소 신설과 함께 통행료 징수 개시[30]
  • 1997년 5월 26일 : 2002년 12월까지 당진 나들목 ~ 서천 나들목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1.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1]
  • 1997년 5월 27일 : 1998년 12월까지 군산휴게소 (상행) 설치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나포면 서포리 ~ 성산면 여방리 1.4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2]
  • 1997년 10월 25일 : 2001년 12월까지 서울 ~ 안산고속도로 일직 분기점 ~ 목감 나들목 구간 확장 및 남서울역 나들목 신설을 위해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 ~ 시흥시 목감동 3.02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3]
  • 1998년 4월 3일 : 2000년 12월까지 당진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1.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4]
  • 1998년 5월 4일 : 2002년 12월까지 군산 나들목 ~ 무안 나들목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5]
  • 1998년 8월 6일 : 2001년 12월까지 안산 나들목 이설 및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양상동 1.5km 구간을 안산시 양상동 ~ 화정동 1.5km로 도로구역 변경[36]
  • 1998년 8월 25일 : 무안 나들목 ~ 목포 나들목 23.2km 구간 개통[37]
  • 1998년 10월 30일 : 서천 나들목 ~ 동군산 나들목 23.6km 구간 개통[38]
  • 1998년 11월 12일 : 2000년 12월까지 매송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경기도 화성군 매송면 원리 ~ 안산시 팔곡2동 590m 구간 도로구역 변경[39]
  • 1998년 11월 25일 : 일직 분기점 ~ 금천 나들목 5.2km 구간 개통[40]
  • 1998년 12월 1일 : 목감 나들목 개통[41]
  • 1999년 5월 7일 : 2001년 12월까지 남동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촌동 9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2]
  • 1999년 7월 6일 : 2001년 12월까지 부안휴게소, 대산휴게소 (상행), 함평휴게소 (상행) 설치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3]
  • 1999년 9월 10일 : 2001년 12월까지 대천휴게소 (상행), 서천휴게소 (상행) 설치 공사를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1.9km 구간[44], 서안산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및 요금소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선부동 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5]
  • 1999년 10월 19일 : 2001년 12월까지 대산휴게소 (하행), 함평휴게소 (하행) 설치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6]
  • 1999년 11월 26일 : 조남 분기점 개통
  • 2000년 3월 7일 : 2001년 12월까지 고창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7]
  • 2000년 6월 1일 : 서해대교를 포함한 서평택 나들목 ~ 송악 나들목 구간과 직결을 위해 포승 나들목 폐쇄[48][49]
  • 2000년 6월 5일 : 2001년 12월까지 웅천 나들목 신설 공사로 인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1.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0]
  • 2000년 11월 10일 : 서해대교를 포함한 포승 나들목 ~ 당진 나들목 18.8km 구간 개통[51][52]
  • 2000년 12월 9일 : 2001년 12월까지 당진 ~ 서천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3.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3]
  • 2001년 4월 20일 : 2001년 12월까지 군산 ~ 무안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4]
  • 2001년 8월 24일 : 2001년 12월까지 줄포 나들목 접속부 확장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5]
  • 2001년 8월 25일 : 기존 서울 ~ 안산고속도로 전 구간을 편입, 기존 능해 나들목 ~ 서창 분기점 구간은 제2경인고속도로로, 서창 분기점 ~ 안산 분기점 구간은 영동고속도로로 이관. 기점과 종점을 각각 인천 → 목포에서 목포 → 광명/서울 (경기도 광명시 및 서울특별시 금천구)로 변경. 노선번호를 제11호에서 제15호로 변경.[56]

고속도로 노선 체계 재정비 이후

[편집]

구성

[편집]
서해대교
금천고가교 표지판(하행)
차로수
총연장
  • 336.65 km
제한속도

터널

[편집]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몽탄3터널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약곡리 590m 1998년 서울 방면
550m 목포 방면
몽탄2터널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구산리 540m 1998년 서울 방면
550m 목포 방면
몽탄1터널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내리 280m 1998년 서울 방면
290m 목포 방면
무안4터널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다산리 280m 1998년 서울 방면
310m 목포 방면
무안3터널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성암리 280m 1998년
무안2터널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성암리 310m 1998년 서울 방면
320m 목포 방면
무안1터널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성동리 480m 1998년
함평터널 전라남도 함평군 신광면 계천리 440m 2001년 서울 방면
450m 목포 방면
영광2터널 전라남도 영광군 군서면 보라리 590m 2001년 서울 방면
560m 목포 방면
영광1터널 전라남도 영광군 묘량면 영양리 860m 2001년 서울 방면
870m 목포 방면
대명터널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성산면 대명리 330m 1998년
종천터널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당정리 819m 2001년 서울 방면
879m 목포 방면
비인터널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 776m 2001년 서울 방면
790m 목포 방면
웅천터널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증산리 500m 2001년 서울 방면
520m 목포 방면
운산터널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80m 2001년
용담터널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 766m 1996년 서울 방면
853m 목포 방면
팔곡터널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일동 351m 1996년 서울 방면
336m 목포 방면
순산터널 경기도 군포시 둔대동 684m 1996년 서울 방면
627m 목포 방면

구간 과속 단속

[편집]

편의 시설

[편집]
행담도휴게소

서해안고속도로의 편의 시설 (휴게소)은 총 12곳이 있으며, 이 가운데 부안, 서천, 홍성, 서산, 목감휴게소는 개통 이후에 개장하였고, 행담도휴게소서해대교를 포함한 송악 나들목 ~ 서평택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면서 같이 설치되어 이듬해 2001년 1월에 개장하였으며, 매송휴게소는 2017년 4월 21일에 착공되어 2018년 4월 20일에 신설 개장되었다. 2001년추석 연휴를 맞아 서천 ~ 당진 구간이 개통되었을 당시에는 대천 휴게소만 존재하였으며, 이 당시 명절 귀성객 및 귀경객들의 통행량에 비해 편의 시설이 매우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하였다.[103]

나들목 · 분기점

[편집]
  •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번호 이름 로마자 이름 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국도 제2호선 서해안고속도로 직결
죽림 분기점 Jungnim JC - 4.16[104] 국도 제2호선 (서해안고속도로, 무영로)
(10호선 남해고속도로)
전라남도 무안군 남악방향 진출 시 남해고속도로 간접 연결
2 일로 Illo 2.10 6.26 지방도 제815호선 (문화로)
지방도 제820호선 (삼일로·임성로)
무안방향 진입 서울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
TG 목포 요금소 Mokpo TG 본선요금소
3 무안 Muan 17.28 23.54 국도 제1호선 (영산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영산로)
지방도 제811호선 (영산로)
함평군 엄다면과의 경계에 있음
4 함평 분기점 Hampyeong JC 2.46 26.00 12호선 무안광주고속도로 함평군
SA 함평천지휴게소 Hampyeong Cheonji SA 목포방향
5 함평 Hampyeong 7.81 33.81 국도 제23호선 (함영로)
SA 함평천지휴게소 Hampyeong Cheonji SA 서울방향
5-1
SA
불갑산
영광휴게소
Bulgapsan
Yeonggwang SA
영광군 무안방향(임시 휴게소)
(주유소 없음)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6 영광 Yeonggwang 24.33 58.14 국도 제23호선 (영대로)
7 고창 분기점 Gochang JC 16.06 74.20 253호선 고창담양고속도로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8 고창 Gochang 2.74 76.94 국도 제23호선 (고인돌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동서대로)
중앙로
SA 고창고인돌휴게소 Gochang-Goindol SA 양방향
9 선운산 Seonunsan 7.91 84.85 국도 제22호선 (선운대로)
국도 제23호선 (고인돌대로)
10 줄포 Julpo 9.87 94.72 지방도 제710호선 (주을로) 부안군
SA 부안고려청자휴게소[105] Buan Goryeo Celadon SA 양방향
11 부안 Buan 16.18 110.90 국도 제30호선 (부령로·하원로)
지방도 제747호선 (덕신로)
12 서김제 W.Gimje 13.93 124.83 국도 제29호선 (금만로)
만경로·석교로
김제시
13 동군산 E.Gunsan 12.55 137.38 국도 제21호선 (새만금북로)
국도 제26호선 (번영로)
국도 제29호선 (금만로·새만금북로)
군산시
SA 군산휴게소 Gunsan SA 무안방향
14 군산 Gunsan 8.40 145.78 국도 제27호선 (구암로·군익로)
지방도 제706호선 (구암로·십자들로)
지방도 제709호선 (동군산로·오성로)
SA 군산휴게소 Gunsan SA 서울방향
15 동서천 분기점 E.Seocheon JC 6.23 152.01 151호선 서천공주고속도로 충청남도 서천군
16 서천 Seocheon 8.98 160.99 국도 제4호선 (대백제로)
SA 서천휴게소 Seocheon SA 양방향
17 춘장대 Chunjangdae 11.91 172.90 국도 제21호선 (충서로)
국도 제77호선 (충서로)
18 무창포 Muchangpo 8.71 181.61 국도 제21호선 (충서로)
국도 제77호선 (충서로)
지방도 제606호선 (무창포로)
지방도 제607호선 (남포방조제로)
보령시
19 대천 Daecheon 11.99 193.60 국도 제36호선 (대해로)
국도 제77호선 (대해로)
지방도 제607호선 (대해로)
SA 대천휴게소 Daecheon SA 양방향
20 광천 Gwangcheon 19.72 213.32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홍남로)
SA 홍성휴게소 Hongseong SA 홍성군 양방향
21 홍성 Hongseong 10.80 224.12 국도 제29호선 (내포로)
국도 제40호선 (내포로·수덕사로)
22 해미 Haemi 13.68 237.80 국도 제45호선 (한티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한티로)
서산시
SA 서산휴게소 Seosan SA 양방향
23 서산 Seosan 10.72 248.52 국도 제32호선 (서해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서해로·중앙로)
운암로
24 당진 분기점 Dangjin JC 6.56 255.08 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 당진시
25 당진 Dangjin 9.39 264.47 국도 제32호선 (서해로·예당평야로)
국도 제34호선 (서해로)
반촌로
26 송악 Songak 8.07 272.54 국도 제38호선 (북부산업로)
국도 제77호선 (북부산업로)
지방도 제619호선 (송악로)
SA 행담도휴게소 Haengdam Island SA 양방향 통합형
회차 가능
포승 Poseung 국도 제38호선 (서동대로) 경기도 평택시 임시 나들목
2000년 6월 1일 폐쇄
27 서평택 W.Pyeongtaek 12.64 285.18 국도 제38호선 (서동대로)
국도 제77호선 (포승향남로)
국도 제82호선 (포승향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포승향남로)
28 서평택 분기점 W.Pyeongtaek JC 6.53 291.71 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
153호선 평택시흥고속도로
무안방향의 경우 평택시흥고속도로(시흥방향) 진출 불가능
29 발안 Baran 7.82 299.53 국도 제39호선 (서해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삼천병마로·푸른들판로)
발안양감로·3.1만세로
화성시
SA 화성휴게소 Hwaseong SA 양방향
29-1 팔탄 분기점 Paltan JC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30 비봉 Bibong 13.62 313.15 국도 제39호선 (서해로)
지방도 제313호선 (화성로)
SA 매송휴게소 Maesong SA 양방향
구 매송 요금소 부지
31 매송 Maesong 4.02 317.17 국도 제39호선 (수인로)
국도 제42호선 (수인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매송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매송로)
각골로·용담로
푸른들판로·해안로
31-1 팔곡 분기점 Palgok JC 3.80 320.97 50호선 영동고속도로 안산시 둔대 분기점과 연계
무안방향의 경우 영동고속도로(강릉방향) 진출 불가능
32 안산 분기점 Ansan JC 5.12 326.09 서울방향의 경우 영동고속도로(강릉방향) 진출 불가능
TG 서서울 요금소 W.Seoul TG 본선요금소
33 조남 분기점 Jonam JC 2.89 328.98 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시흥시
SA 목감휴게소 Mokgam SA 서울방향
2021년 7월 31일 임시 폐쇄
34 목감 Mokgam 3.16 332.14 국도 제42호선 (수인로)
지방도 제330호선 (제3경인고속화도로)
동서로
35 광명역 Gwangmyeong Stn. 1.15 333.29 광명역로·서독로 안양시
36 일직 분기점 Iljik JC 2.67 335.96 110호선 제2경인고속도로 광명시
37 소하 분기점 Soha JC 서울특별시도 제94호선 (강남순환로)
17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 남광명 ~ 성채/소하 구간
무안방향의 경우 강남순환로(서초방향) 진출 불가능
금천 Geumcheon 4.20 340.16 국도 제1호선 (서부간선도로·안양천로) 서울특별시 금천구 서울방향 진입과 무안방향 진출만 가능
서울종점 Seoul 0.65 340.81
국도 제1호선 서부간선도로 직결

고속도로 지정 해제 구간

[편집]
일반국도
자동차전용도로
2
국도 제2호선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2호선의 일부
총연장 4.8 km
기점 전라남도 목포시
종점 전라남도 무안군

목포시 ~ 죽림 분기점 4.8km 구간은 1998년 8월 25일 무안 ~ 목포 23.2km 구간의 일부로 개통되었으며 본래 서해안고속도로에 해당했다. 2011년 12월 23일에 무안군 삼향읍 ~ 영암군 삼호면 서호리 구간의 국도 제2호선무영로가 개통됨과 동시에 죽림 분기점이 신설되면서 기존 목포시 ~ 죽림 분기점 구간이 국도 제2호선으로 편입되고 서해안고속도로의 기점은 죽림 분기점으로 단축되었다. 다만 도로명은 여전히 서해안고속도로이다.

  • 시설물
    • IC : 나들목(Interchange)
    • JC : 분기점(Junction)
번호 이름 로마자 이름 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 고하대로 직결
목포기점 - 0.00 국도 제1호선 (고하대로)
국도 제2호선 (고하대로)
전라남도 목포시 구 기점
1 목포 Mokpo 0.26 0.26 국도 제1호선 (영산로)
2-1 죽림 분기점 Jungnim JC 3.90 4.16 국도 제2호선 (무영로) 무안군 남악방향 진출시 남해고속도로(영암~순천 구간) 간접연결
서해안고속도로 직결

통과하는 지역

[편집]

제한 속도

[편집]
  • 최고 90km/h, 최저 30km/h

통과하는 지역

[편집]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경기도
서울특별시

교통량

[편집]

2010년 기준의 교통량 정보는 다음과 같다[106].

구간 거리
(km)
평균 통행량 (대/일)
12시간 24시간
목포 ~ 함평 26.1 18,690 24,821
함평 ~ 고창 48.2 7,585 10,604
고창 ~ 동서천 77.8 15,702 21,710
동서천 ~ 당진 103.1 19,455 27,140
당진 ~ 서평택 36.6 47,352 67,994
서평택 ~ 안산 34.3 77,443 109,507
안산 ~ 금천 14.9 84,336 126,433

최고 통행량 지점은 안산 분기점부터 조남 분기점까지의 2.9 km 구간으로, 24시간에 193,753대 (10개 차선, 차선당으로 환산하면 19,375대/차선)가 통과한다. 차선당 최고 통행량 지점은 조남 분기점부터 목감 나들목까지 3.2 km 구간으로 24시간당 차선당 22,433대 (6개 차선, 총 134,596대)가 통과한다.

사고

[편집]

2006년 10월 3일 오전 7시 50분경 (한국 표준시) 서해대교 구간에서의 짙은 안개로 인한 29중 연쇄 추돌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 사고로 12명이 사망하고 50여명[107] 이 부상하는 인명피해를 냈다. 기상 상황 뿐만 아니라 운전자들의 과속, 일부 운전자들의 갓길 주행도 피해의 원인이었다. 피해액은 약 40억원으로, 한국의 자동차보험 역사상 가장 큰 사고로 기록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사고 이후, 서해대교 여러 구간의 안전시설이 보강되었다.

2016년 1월 3일 오전 8시 10분경 충청남도 보령시 천북면 서해안고속도로 광천 나들목 부근에서 심한 안개로 차량 17대가 추돌해 1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당시 충남지역에 안개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가시거리가 불과 50 m도 되지 않았다.[108] 대한민국 기상청의 기상 관측 기록에 의하면 사고 당시인 1월 3일 오전 8시 보령시의 시정은 불과 0.1 km 미만이었다.[109]

사고 당일 기상 상황
대한민국 기상청 기상실황표, 2016년 1월 3일 정오 이전
시각 충청남도 보령시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서산시 충청남도 천안시 충청남도 금산군 대전광역시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 이천시 인천광역시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정오 8.0 10.3 7.5 83 1.1 6.2 6.1 100 3.0 7.4 6.9 97 4.0 8.4 5.6 83 11.0 8.3 5.0 80 5.0 10.1 7.1 82 2.0 7.6 6.8 95 1.9 5.7 1.9 77 0.6 6.1 5.8 98
11시 5.0 8.8 8.6 99 0.2 4.6 4.5 100 0.5 5.9 5.4 97 0.3 7.4 5.3 87 0.7 2.1 1.5 96 2.0 5.5 5.0 97 0.8 6.3 6.2 100 1.3 3.2 0.7 84 <0.1 5.7 5.4 98
10시 0.3 6.5 6.3 99 0.2 3.7 3.6 100 0.2 5.1 4.6 97 0.1 4.8 4.5 98 0.2 0.1 -0.3 97 2.0 2.7 2.2 97 0.4 5.8 5.7 100 1.1 1.7 0.2 90 0.4 5.4 5.1 98
9시 <0.1 4.7 4.5 99 0.3 2.5 2.4 100 0.1 3.9 3.4 97 0.1 2.3 2.0 98 0.2 -0.6 -1.0 97 2.0 1.7 1.2 97 0.2 5.3 5.2 100 0.9 0.9 -0.5 90 <0.1 5.0 4.7 98
8시 <0.1 4.2 4.0 99 0.3 1.7 1.6 100 0.1 3.3 2.8 97 2.3 1.0 0.7 98 0.2 -1.3 -1.7 97 1.2 1.1 0.6 97 0.1 4.8 4.7 100 0.7 0.0 -1.4 90 <0.1 5.1 4.8 98
7시 0.3 4.4 4.2 99 0.2 1.4 1.3 100 0.1 2.7 2.2 97 2.7 0.9 0.4 97 0.3 -1.5 -1.9 97 1.5 1.7 1.2 97 0.7 4.6 4.5 100 0.8 -0.6 -2.0 90 <0.1 5.1 4,8 98
6시 0.1 5.0 4.8 99 0.2 1.3 1.2 100 <0.1 3.9 3.4 97 3.2 1.1 0.6 97 0.2 -0.8 -1.2 97 1.6 2.1 1.6 97 0.9 4.8 4.7 100 0.8 -0.7 -1.9 91 <0.1 5.1 4.8 98
5시 1.3 6.5 6.3 99 0.2 1.1 1.0 100 <0.1 4.4 3.9 97 2.8 1.5 1.0 97 0.3 -1.0 -1.5 96 1.7 2.6 2.1 97 0.9 3.9 3.8 100 0.9 -0.6 -2.0 90 <0.1 5.2 4.9 98
4시 1.7 6.0 5.8 99 0.1 0.6 0.5 100 <0.1 5.5 5.0 97 2.8 1.5 1.0 97 2.1 -0.7 -1.4 95 2.0 2.7 2.2 97 0.9 2.7 2.6 100 0.7 -1.4 -2.8 90 0.6 6.3 6.0 98
3시 2.5 6.2 6.0 99 0.1 0.9 0.8 100 0.3 5.7 5.2 97 3.0 1.7 1.1 96 2.8 0.0 -0.7 95 2.0 3.4 2.9 97 1.2 3.5 3.4 100 0.8 -0.6 -2.0 90 1.4 6.9 6.6 98
2시 3.9 7.6 7.4 99 1.1 1.4 1.3 100 0.8 5.6 5.1 97 3.0 2.1 1.5 96 3.3 0.4 -0.4 94 2.0 3.5 2.9 96 1.2 4.0 3.9 100 1.0 -0.1 -1.5 90 1.7 7.0 6.7 98
1시 3.6 6.8 6.5 98 0.8 1.8 1.7 100 1.3 3.9 3.4 97 2.9 2.2 1.4 95 3.0 -0.1 -0.7 94 2.5 3.9 2.8 93 1.4 4.1 4.0 100 1.0 0.1 -1.5 89 3.0 7.3 6.9 98
0시 5.0 8.4 8.0 98 1.7 2.4 2.3 100 1.5 3.9 3.4 97 3.8 2.6 1.7 94 2.6 0.5 -0.3 94 3.0 4.6 3.4 92 1.5 4.4 4.3 100 1.4 0.9 -1.0 87 3.0 7.4 7.0 98

2020년 송악 나들목

[편집]

2020년 10월 20일 새벽 5시 20분경 서해대교 인근 서해안고속도로 당진시 송악 나들목에서 짙은 안개로 인해 10여 대의 차량이 연쇄 추돌하였다. 먼저 25톤 화물차 2대가 추돌했고 후속차들이 서행하다 급정거 하면서 9대가 추돌했으며 추가로 4대가 더 충돌했다. 오전 6시 30분 기준으로 일대의 가시거리는 40~70 m에 불과했다. 이날 서해대교를 비롯해 천안시, 홍성군, 인천광역시, 파주시 등 서해안과 수도권 곳곳에 안개가 발생했다.

사고 당일 기상 상황
대한민국 기상청 기상실황표, 2020년 10월 20일 정오 이전
시각 충청남도 천안시 충청남도 서산시 충청남도 홍성군 경기도 이천시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 양평군 인천광역시 경기도 동두천시 경기도 파주시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정오 5.8 18.0 9.6 58 >20 20.7 6.2 39 6.0 16,7 13.2 80 5.1 17.6 9.2 58 8.2 18.9 10.1 57 10.6 16.6 9.0 61 4.2 16.5 9.6 64 >20 18.6 8.2 51 17.7 18.0 7.9 52
11시 3.3 13.0 12.9 100 >20 19.4 10.3 56 0.9 12.2 12.0 99 5.0 14.2 8.5 69 7.7 18.0 10.8 63 13.5 14.7 8.8 68 1.6 14.5 11.0 80 11.6 15.4 11.1 76 >20 15.0 9.5 70
10시 0.2 9.7 9.6 100 >20 17.4 14.2 83 0.1 9.8 9.6 99 1.8 10.0 9.9 100 4.5 15.8 11.9 78 5.6 10.1 10.0 100 0.7 12.8 11.0 89 7.6 10.2 10.1 100 >20 10.6 10.4 99
9시 <0.1 8,2 8.1 100 14.4 11.3 11.1 99 0.1 8.2 8.0 99 0.1 7.5 7.4 100 3.6 13.1 12.6 97 0.3 7.8 7.7 100 0.1 12.2 11.5 96 1.1 7.5 7.4 100 4.7 7.6 7.5 100
8시 <0.1 7.7 7.6 100 0.3 8.4 8.0 98 <0.1 7.2 7.0 99 <0.1 5.9 5.8 100 3.2 9.9 9.8 100 0.2 7.2 7.1 100 0.6 12.2 11.7 97 0.2 7.0 6.9 100 0.2 6.3 6.2 100
7시 <0.1 7.6 7.5 100 10.4 6.0 5.4 96 <0.1 7.0 6.8 99 0.1 5.1 5.0 100 1.1 8.4 8.3 100 0.1 7.1 7.0 100 0.9 12.2 11.7 97 0.1 5.9 5.8 100 0.1 6.0 5.9 100
6시 <0.1 7.5 7.4 100 >20 6.8 6.2 96 <0.1 6.3 6.1 99 0.4 5.1 5.0 100 3.3 7.6 7.5 100 0.1 7.2 7.1 100 0.4 12.5 12.0 97 0.4 6.6 6.5 100 0.1 6.5 6.4 100
5시 <0.1 7.5 7.4 100 >20 6.8 6.2 96 <0.1 5.8 5.6 99 1.3 5.3 5.2 100 2.1 7.6 7.5 100 1.5 7.3 7.2 100 0.3 12.9 12.4 97 1.4 6.6 6.5 100 0.1 6.5 6.4 100
4시 <0.1 7.5 7.4 100 9.5 7.6 6.9 96 0.7 6.5 6.3 99 1.4 6.7 6.6 100 0.9 7.9 7.8 100 5.5 7.3 7.1 99 0.8 13.6 12.4 93 3.7 7.4 7.2 99 0.2 7.2 7.1 100
3시 <0.1 7.6 7.5 100 8.1 7.2 6.4 95 0.7 6.9 6.7 99 0.6 6.7 6.6 100 0.3 9.4 9.3 100 4.8 7.8 7.7 100 1.2 13.3 11.6 90 4.7 8.1 7.9 99 0.2 7.7 7.6
2시 0.9 7.8 7.7 100 5.9 8.5 8.0 97 0.9 8.0 7.6 98 1.3 7.7 7.6 100 2.0 11.0 10.9 100 3.7 8.3 8.1 99 1.9 13.9 11.5 86 3.5 8.8 8.6 99 0.2 7.3 7.2 100
1시 1.1 8.3 8.2 100 3.8 9.0 8.3 96 1.4 8.0 7.6 98 1.3 8.9 8.8 100 2.0 11.1 11.0 100 4.7 8.8 8.6 99 2.4 14.6 12.4 87 3.9 9.3 8.9 98 0.1 7.0 6.9 100
0시 1.3 8.4 8.3 100 4.1 9.2 8.4 95 1.8 8.3 7.6 96 2.0 8.7 8.3 98 1.7 11.3 11.2 100 4.2 9.5 9.3 99 3.1 15.1 13.1 88 5.8 10.1 9.7 98 2.1 7.9 7.8 100

2015년 12월 3일 오후 6시 10분경 서해대교 주탑에 연결된 와이어에서 화재가 발생해 이를 진압하던 소방관 1명이 끊어진 와이어에 맞아 순직하고 2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 사고로 인하여 안전 점검을 위해 12월 19일까지 대교를 양방향 전면 통제했었다.[83]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이창룡 기자 (2001년 12월 21일). “물류비용 절감 연간 5천 6백억”. 《KBS》. 
  2. 건설부고시 제421호, 1991년 8월 3일.
  3. 건설부고시 제423호, 1991년 8월 3일.
  4. 건설부고시 제424호, 1991년 8월 3일.
  5.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1992년 4월 29일 일부개정.
  6. 건설부고시 제1992-217호, 1992년 5월 8일.
  7. 건설부고시 제1992-633호, 1992년 12월 1일.
  8. 건설부고시 제1992-634호, 1992년 12월 1일.
  9. 건설부고시 제1992-790호, 1992년 12월 31일.
  10. 건설부고시 제1993-25호, 1993년 2월 5일.
  11. 건설부공고 제1994-168호, 1994년 7월 6일.
  12. 건설부고시 제1994-309호, 1994년 8월 30일.
  13.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106호, 1995년 4월 1일.
  14.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298호, 1995년 9월 1일.
  15. 1997년 6월 2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72호로 정정.
  16.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400호, 1995년 12월 11일.
  17. 건설교통부공고 제1995-400호, 1995년 12월 28일.
  18.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7호, 1996년 1월 12일.
  19.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8호, 1996년 1월 12일.
  20.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28호, 1996년 1월 26일.
  21.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69호, 1996년 3월 7일.
  22.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73호, 1996년 3월 9일.
  23.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1996년 7월 1일 일부개정.
  24.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221호, 1996년 7월 9일.
  25.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241호, 1996년 7월 26일.
  26.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355호, 1996년 11월 8일.
  27. 1997년 1월 14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4호로 정정
  28. 건설교통부공고 제1996-327호, 1996년 12월 16일.
  29.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397호, 1996년 12월 19일.
  30. 건설교통부공고 제1996-355호, 1997년 1월 4일.
  31.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60호, 1997년 5월 26일.
  32.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63호, 1997년 5월 27일.
  33.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36호, 1997년 10월 25일.
  34.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02호, 1998년 4월 3일.
  35.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33호, 1998년 5월 4일.
  36.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55호, 1998년 8월 6일.
  37. 건설교통부공고 제1998-354호, 1998년 8월 22일.
  38. 건설교통부공고 제1998-455호, 1998년 10월 26일.
  39.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367호, 1998년 11월 12일.
  40. 건설교통부공고 제1998-552호, 1998년 11월 24일.
  41. 서울 일직 5.2km(km) 개통 한겨레, 1998년 11월 26일 작성.
  42.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128호, 1999년 5월 7일.
  43.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202호, 1999년 7월 6일.
  44.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272호, 1999년 9월 10일.
  45.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273호, 1999년 9월 10일.
  46.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322호, 1999년 10월 19일.
  47.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54호, 2000년 3월 7일.
  48. 건설교통부공고 제2000-138호, 2000년 5월 26일.
  49. 남경현 기자 (2000년 5월 29일). “[수도권]서해안고속도 포승영업소 내달 1일 패쇄”. 《매일경제》. 
  50.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148호, 2000년 6월 5일.
  51. 건설교통부공고 제2000-283호, 2000년 11월 11일.
  52. 권재민 기자 (2000년 11월 10일). “서해대교 개통”. 《KBS》. 
  53.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306호, 2000년 12월 9일.
  54.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93호, 2001년 4월 20일.
  55.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218호, 2001년 8월 24일.
  56.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2001년 5월 24일 전부개정.
  57.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71호, 2001년 9월 24일.
  58. 김완묵 기자 (2001년 9월 27일). “서해안고속도 당진~서천 개통”. 《매일경제》. 
  59. 경찰청고시 제2001-3호, 2001년 12월 15일.
  60.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349호, 2001년 12월 20일.
  61.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348호, 2001년 12월 20일.
  62. 건설교통부고시 제2003-19호, 2003년 2월 8일.
  63. 무창포 나들목 개통식, 보령신문, 2003년 9월 8일
  64.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221호, 2004년 9월 9일.
  65. 경찰청고시 제2004-3호, 2004년 11월 10일.
  66.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167호, 2005년 6월 23일.
  67. 경찰청고시 제2007-4호, 2007년 11월 8일.
  68.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200호, 2008년 6월 3일.
  69. 경찰청고시 제2009-2호, 2009년 5월 27일.
  70.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878호, 2009년 9월 11일.
  71. 2009년 10월 9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961호로 변경
  72.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23호, 2010년 3월 2일.
  73.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60호, 2010년 3월 31일.
  74. 한국도로공사 서해안고속도로 안산 ~ 일직간 확장공사 안내
  75. 경찰청고시 제2010-2호, 2010년 8월 31일.
  76.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2010년 12월 28일.
  77. 서해안고속도로-국도2호선 연결도로 23일 개통
  78. 목포나들목∼죽림나들목 관리권 이양, 교통신문, 2011년 12월 22일.
  79.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606호, 2013년 10월 17일.
  80. 건설교통부고시 제2013-728호, 2013년 11월 26일.
  81. 한국도로공사 서해안고속도로 서평택 ~ 평택 구간 신설 확장공사 안내
  82.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2015년 3월 27일.
  83. 한국도로공사 서해대교 양방향 통행제한 안내
  84. 단, 송악 나들목 ~ 행담도휴게소 구간은 화재 사고 이후에 행담도 휴게소에 있는 아울렛 이용객들의 편의를 위하여 부분적으로 통행 재개를 하였다.
  85. 서해대교 19일 전면 개통…예상보다 작업 빨라져, 《연합뉴스》 2015년 12월 14일
  86. 서해안고속도로 안산∼일직 구간, 23일 10차로 확장·개통, 《뉴스1》 2015년 12월 21일
  87. 경찰청고시 제2016-7호, 2016년 8월 3일.
  88. 국토교통부공고 제2017-264호, 2017년 2월 22일.
  89. 서해안고속도로 행담도, 무정차 요금소 운영 Archived 2017년 2월 24일 - 웨이백 머신, 경북일보, 2017년 2월 21일 작성.
  90. 대보건설, 서해안고속도로 매송휴게소 착공, 건설경제신문, 2017년 4월 26일 작성.
  91.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538호, 2017년 8월 21일.
  92. 국토교통부공고 제2018-1634호, 2018년 12월 7일.
  93. 서해안고속도로 서평택IC~서평택JCT 구간 27일 오후 2시 조기 개통,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8년 11월 26일.
  94.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04호, 2019년 9월 25일.
  95. 국토교통부공고 제2019-1585호, 2019년 11월 21일.
  96.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28호, 2020년 1월 22일.
  97.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193호, 2020년 2월 7일.
  98.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255호, 2020년 3월 19일.
  99.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157호, 2021년 10월 26일.
  100. 국토교통부공고 제2021-1792호, 2021년 12월 27일.
  101. 서산 나들목 ~ 당진 분기점의 갓길 가변차로를 합하면 왕복 6차로이다
  102. "서해안고속도 ‘구간단속’15일부터" Archived 2014년 2월 22일 - 웨이백 머신, 《한겨레》 2008년 1월 14일
  103. 김후진 기자 (2001년 9월 28일). “[즐거운 한가위] 서해안고속道를 타자 .. 당진~서천 27일 개통”. 《한국경제》. 
  104. 죽림 분기점 이후의 거리는 목포기점에서 죽림 분기점까지의 거리인 4.16km를 가산한 것이므로, 실제 거리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105. 옛 이름은 부안휴게소이다.
  106. 2010년 통계 연보 PDF, 108-110 페이지, 교통량 정보제공 시스템 Archived 2014년 1월 6일 - 웨이백 머신, 2011년 7월 16일 읽어봄.
  107. 김병철 이천열 (2006년 10월 4일). “‘안개’ 서해대교 참변”. 서울신문. 
  108. “안갯속 서해안 고속도로 연쇄 추돌…1명 사망·14명 부상”. 《KBS》. 2016년 1월 3일. 
  109. 도시별관측 - 보령시 2016.01.03.12:00 대한민국 기상청 기상실황표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