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에어
![]() 진에어의 보잉 777-200ER | |||||||
| |||||||
창립일 | 2008년 1월 23일 | ||||||
---|---|---|---|---|---|---|---|
운항개시일 | 2008년 4월 5일 | ||||||
허브 공항 | |||||||
거점 도시 | |||||||
상용고객 우대제도 |
나비 포인트 | ||||||
보유 항공기 | 25대 | ||||||
취항지 수 | 30 | ||||||
슬로건 | Fly, better fly | ||||||
본사 | ![]() | ||||||
핵심 인물 | |||||||
자본금 | 27,000,000,000원 (2016년) | ||||||
매출액 | 720,056,193,825원 (2016년) | ||||||
영업 이익 | 52,392,346,785원 (2016년) | ||||||
순이익 | 39,380,331,486원 (2016년) | ||||||
모기업 | 대한항공 | ||||||
웹사이트 | http://www.jinair.com/ |
![]() (株)真航空 주식회사 진에어 (株式会社)真航空 JIN AIR CO., LTD. | |
형태 | 주식회사, 주권상장법인, 유가증권시장상장법인, 외부감사법인, 항공회사 |
---|---|
창립 | 2008년 1월 23일 |
시장 정보 | 한국: 272450 |
상장일 | 2017년 12월 8일 |
모기업 | 대한항공 |
진에어(영어: Jin Air)는 대한항공이 출자한 대한민국의 저비용 항공사이다.
목차
회사[편집]
진에어는 코스피 상장 기업(한국: 272450)이며 2018년 현재 회사 규모는 시가총액 약 8,670억 정도이다.
2008년 7월 17일 김포 - 제주간 노선에 취항했다. 일본, 중국, 그리고 동남아시아 지역을 운항 중이며, 국내 저비용 항공사 중 최초로 미국령 괌에 취항하였다. 2008년 7월부터 12월 말까지 99%의 정시율과 99.6%의 운항율을 보여주었으며, 기체결함이나 정비 소홀로 인한 결항은 0%로 기록되었다.[1] 진에어는 애초 에어코리아라는 이름으로 취항을 준비하였으나, CI선포시기에 맞추어 진에어로 사명이 바뀌었다. 승무원들은 청바지를 입는다.[2]
2018년 4월 취항 10주년을 맞이하여 항공기 대수 30대,취항지 수 55곳으로 확장 할 계획이다.
2017년 12월 8일 한국거래소(KRX) 유가증권시장에 기업공개를 완료하고 상장되었다.
진에어는 대한민국의 운송 전문 기업집단인 한진그룹에 소속 되어 있다.
역사[편집]
2008년[편집]
- 1월 23일: (주)진에어 법인설립
- 1월 25일: 사업자 등록
- 4월 5일: 정기항공 운송사업면허 & 노선면허 취득
- 7월 17일: 서울(김포) - 제주 신규취항 (1일 8편)
- 12월 1일: 서울(김포) - 제주 증편 (1일 24편)
2009년[편집]
- 1월 10일: 서울(김포) - 부산 신규취항 (1일 8편운항)
- 3월 21일: 국제항공안전인증(IOSA) 국내 항공사 3번째, 국내 저비용 항공사 첫 번째 획득
- 3월 28일: 서울(김포) - 부산 단항
- 4월 3일: 부산 - 제주 신규취항 (1일 8편운항)
- 12월 21일: 서울(인천) - 방콕 신규취항 (매 1회 운항)
- 12월 8일: 부산 - 제주 단항[3]
- 12월 24일: 서울(인천) - 도쿄(하네다) 부정기 국제선 신규취항
2010년[편집]
- 1월 14일: 서울(인천) - 클라크 부정기 국제선 신규취항
- 4월 2일 ~ 4월 18일: 서울(인천) - 제주 한시적 취항 / 인천 ~ 방콕 한시적 증편(매 1회)
- 4월 20일: 서울(인천) - 괌 신규취항
2011년[편집]
- 6월 28일: 제주 - 상하이 신규취항
- 7월 15일: 서울(인천) - 삿포로 신규취항
- 9월 15일: 서울(인천) - 세부 신규취항
- 10월 30일: 서울(인천) - 홍콩 신규취항 및 서울(인천) - 삿포로 증편
2012년[편집]
- 3월 28일: 서울(인천) - 비엔티안 신규취항
- 6월 6일: 제주 - 타이베이 신규취항
- 7월 5일: 서울(인천) - 옌타이 신규취항
- 12월 24일: 서울(인천) - 오키나와 신규취항
2013년[편집]
- 7월 24일: 서울(인천) - 나가사키 신규취항
- 10월 30일: 서울(인천) - 치앙마이 신규취항
- 11월 1일: 국내.외 화물운송 사업 시작
- 12월 4일: 서울(김포) - 양양 신규취항 및 양양 - 장사, 복주, 닝보 부정기 국제선 신규취항
2014년[편집]
- 4월 6일: 양양 - 제주 신규취항 (부정기 취항)
- 11월 30일: 국내 LCC중 최초로 (보잉 777-200ER) 기종 도입
2015년[편집]
- 2월 27일: 김해국제공항에 다시 복항, 부산 - 제주 노선에 재취항
- 9월 1일: 청주 - 제주 노선에 신규취항
- 9월 25일: 부산 - 오사카, 부산 - 세부 노선에 신규취항
- 10월 27일: 인천 - 다낭 노선에 신규취항
- 11월 26일: 부산 - 다낭, 부산 - 오키나와 노선에 신규취항
- 12월 1일: 인천 - 하노이, 인천 - 칼리보 노선에 신규취항
- 12월 2일: 인천 - 푸껫 노선에 신규취항
- 12월 19일: 인천 - 호놀룰루 노선에 신규취항
2016년[편집]
- 3월 26일: 인천 - 칼리보 노선 단항
- 4월 8일: 키자니아 부산에 '승무원 교육센터' 체험시설 개장
- 4월 24일: 인천 - 타이페이 노선에 재취항
- 7월 1일: 인천 - 도쿄(나리타) 노선에 신규취항
- 12월 13일: 인천 - 기타큐슈 노선에 신규취항
- 12월 14일: 인천 - 케언스 노선에 신규취항
2017년[편집]
- 3월 6일: 인천 - 호놀롤루 노선 단항
- 3월 20일: 제트스타 항공과 상호 인터라인 서비스 실행
- 5월 29일: 인천 - 호놀롤루 노선에 복항
- 6월 30일: 제주 - 광주 노선에 신규취항
- 12월 8일: 한국거래소(KRX) 유가증권시에 기업공개,상장
- 12월 22일: 인천 - 케언스 노선에 복항
- 12월 25일: 인천 - 칼리보 노선에 신규취항
2018년[편집]
코드쉐어 협정[편집]
진에어는 아시아나항공과 에어부산에 이어서 국내 항공사 중 두번째로 모회사-자회사간 코드쉐어 협정을 체결하였다.[4]
인터라인 협정[편집]
취항지[5][편집]
허브 | |
취항 예정지 | |
전세편 노선 | |
단항지 |
도시 | 공항 IATA |
공항 ICAO |
공항 이름 | 비고 | 운항 횟수 |
---|---|---|---|---|---|
![]() |
GMP | RKSS | 김포 | 허브 | 일 14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ICN | RKSI | 인천 | 메인 허브 | |
![]() |
CJU | RKPC | 제주 | ||
![]() |
PUS | RKPK | 김해 | 일 5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
CJJ | RKTU | 청주 | [6] | 일 5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KWJ | RKJJ | 광주 | [7] | 일 2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
![]() |
NRT | RJAA | 나리타 | [8] | 주 14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KKJ | RJFR | 기타큐슈 | [9]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7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CTS | RJCC | 신치토세 | [10]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7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KIX | RJBB | 간사이 | [11] | 주 14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14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OKA | ROAH | 나하 | [12] | 주 6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FUK | RJFF | 후쿠오카 | [13] | 주 21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PVG | ZSPD | 푸둥 | 주 7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발 | |
![]() |
MFM | VMMC | 마카오 | [14]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HKG | VHHH | 홍콩 | [15]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TPE | RCTP | 타오위안 | [16]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CEB | RPVM | 막탄 세부 | [17][18] | 주 21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7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KLO | RPVK | 칼리보 | 2018년 4월 26일 일시적 단항[19]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CRK | RPLC |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 [20]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7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BKK | VTBS | 수완나품 | [21] | 일 2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6회 운항,김해국제공항 발 |
![]() |
HKT | VTSP | 푸껫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
VTE | VLVT | 왓따이 | [22] | 주 9회 운항,인천국제공항 발 |
![]() |
HAN | VVNB | 노이바이 | [23]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DAD | VVDN | 다낭 | [24][25] | 주 14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14일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JHB | WMKJ | 세나이 | [26] | 주 2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BKI | WBKK | 코타키나발루 | [27] |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GUM | PGUM | 앤토니오 B. 원 팻 | [28][29] | 주 1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7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SPN | PGSN | 사이판 | [30] | 주 4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CNS | YBCS | 케언스 | [31] | 주 2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HNL | PHNL | 다니엘 K. 이노우에 | [32] | 주 5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과거 취항지[편집]
도시 | 공항 IATA |
공항 ICAO |
공항 이름 | 주석 및 비고 |
---|---|---|---|---|
![]() |
YNY | RKNY | 양양 | |
![]() |
NKG | ZSNJ | 루커우 | |
![]() |
NGB | ZSNB | 리스 | 부정기 노선 |
![]() |
SJW | ZBSJ | 스자좡 | |
![]() |
YNT | ZSYT | 라이산 | [33] 2013년 8월 운항중단 |
![]() |
JMU | ZYJM | 자무쓰 | |
![]() |
CSX | ZGHA | 황화 | 부정기 노선 |
![]() |
WUX | ZSWX | 우시 | 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
![]() |
XIY | ZLXY | 셴양 | 주 2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발 |
![]() |
CTU | ZUUU | 솽류 | |
![]() |
JJN | ZSQZ | 취안저우 | |
![]() |
CKG | ZUCK | 장베이 | |
![]() |
FOC | ZSFZ | 창러 | 부정기 노선 |
![]() |
HND | RJTT | 하네다 | 부정기 노선 |
![]() |
NGS | RJFU | 나가사키 | |
![]() |
CNX | VTCC | 치앙마이 | 주 4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
![]() |
KNO | WIMM | 쿠알라나무 | 전세편 운항 |
보유 기종[편집]
현재 사용하는 기종[편집]

취항 10주년이 되는 2019년 까지 항공기 대수 38대,취항지수 79곳[34] 을 목표로 하고있다.
기종 | 대수 | 주문 | 승객 | 합계 | 기타 | |
---|---|---|---|---|---|---|
E+ | E | |||||
보잉 737-800 | 21 | 4 | 0 | 183 | 183 | 2대는 구. 만다린항공 소속 항공기를 도입 12대는 대한항공 소속 항공기를 도입 7대는 신규구매로 도입 |
189 | 189 | |||||
보잉 777-200ER | 4 | 2 | 48 | 345 | 393 | 과거 대한항공 항공기를 인수 |
도입 취소 기종[편집]
기종 | 주문 | 탑승 승객 수 | 비고 |
---|---|---|---|
에어버스 A300-600R | 2 | 292 | 기종 노후화로 보잉 777-200ER로 주문 변경 |
같이 보기[편집]
- 한진그룹
- 대한항공 - 모기업
- 한국공항 - 그룹 계열 조업사
- 에어부산 - 경쟁사
- 제주항공 - 경쟁사
- 이스타항공 - 경쟁사
- 티웨이항공 - 경쟁사
- 진에어 스타리그 2011 - 스타리그 후원
- 진에어 배 2011 슬러거 통합챔피언십 - 슬러거 통합챔피언십 후원
- 진에어 그린윙스 - 제8프로게임단 스폰서 계약, 스타크래프트 2,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 평창동계올림픽 테스트 이벤트 공식 스폰서
사건 및 사고[편집]
진에어 불법 등기 임원 논란[편집]
조현민 진에어 마케팅본부 본부장 (부사장)이 2010년부터 2016년 까지 6년간 불법으로 진에어 등기임원에 올랐던 것으로 확인되어 논란이 일었다. 2018년 '물벼락 갑질 논란'으로 사퇴 압력이 거세지는 가운데 조현민 부사장이 오랫동안 불법적인 경영지위를 누린 사실이 추가로 드러나면서 또 다른 논란이 되고 있다. 연합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등을 통해 확인한 진에어 관련 공시를 종합하면 '조 에밀리 리(CHO EMILY LEE)'라는 인물이 2010년 3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진에어 사내이사로 등재됐다. '조 에밀리 리(CHO EMILY LEE)'는 조현민의 영어식 이름이다. 외국인이 국적항공사 등기임원으로 오른 것은 명백한 불법이다. 항공사업법 제9조는 '국내·국제항공운송사업 면허의 결격사유' 중 하나로 임원 중에 '대한민국 국민이 아닌 사람'이 있는 경우를 꼽고 있다. 진에어 관계자에 따르면 조현민 부사장은 당시 논란의 소지가 있어 2016년에 등기 임원을 사임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35]
각주[편집]
- ↑ “진에어, 업계 최고 수준의 정시율 및 운항율 기록”. 항공정보포털시스템 항공뉴스. 2009년 1월 28일.
- ↑ 이광표 (2008년 6월 23일). “청바지 입은 승무원…‘진에어’ 저가항공 진출”. 브레이크뉴스.
- ↑ 진에어, 12월 9일부터 제주-부산 노선 중단, 《제주일보》, 2009년 11월 12일
-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5032701034203019001
- ↑ “진에어 취항 노선도”. 2017년 7월 13일.
- ↑ “진에어 9월 청주~제주 노선 신규 취항”. 뉴스1. 2015년 6월 17일.
- ↑ “진에어, 광주∼제주 노선 신규 취항”. 광남일보. 2017년 5월 29일.
- ↑ 김현진 (2016년 4월 29일). “진에어, 7월 인천-나리타(도쿄) 노선 신규 취항”. 서울경제.
- ↑ “진에어, 12월 13일 인천~기타큐슈 신규 취항…주 4회 운항”. 국제뉴스. 2016년 9월 27일.
- ↑ “진에어 인천-삿포로 노선 운항 시작”. 파이낸셜뉴스. 2011년 7월 22일.
- ↑ “진에어, 일본 5번째 노선 인천~오사카 취항식”. 아시아경제. 2015년 3월 2일.
- ↑ “진에어, 부산~오키나와 정기 노선 취항식”. 파이낸셜뉴스. 2015년 11월 26일.
- ↑ “진에어, 인천~후쿠오카 노선 취항…주 7회 운항”. 뉴시스. 2014년 12월 1일.
- ↑ “진에어, ‘인천-마카오’ 노선 취항”. 이투데이. 2010년 11월 30일.
- ↑ “진에어, 인천-홍콩 취항식 갖고 주 5회 운항 개시”. 뉴스핌. 2011년 10월 30일.
- ↑ “진에어, LCC 첫 인천-타이페이 노선 취항…주 7회 운항”. 헤럴드경제. 2016년 3월 24일.
- ↑ “진에어, 인천~세부 신규 취항”. 건설타임즈. 2011년 9월 24일.
- ↑ “진에어, 부산~오사카와 부산~필리핀 세부 노선 신규 취항”. 국제신문. 2015년 9월 25일.
- ↑ “보라카이 섬 폐쇄에 진에어·에어서울 해당 노선 운휴 결정”. 뉴시스. 2018년 4월 5일.
- ↑ “진에어, '인천-필리핀 클락' 신규 취항”. 머니투데이. 2010년 3월 27일.
- ↑ “진에어,12월21일 인천∼방콕 취항.. 국제선 첫 진출”. 파이낸셜뉴스. 2009년 10월 27일.
- ↑ “진에어, 라오스 비엔티안 정기 노선 첫 취항”. 파이낸셜뉴스. 2012년 3월 28일.
- ↑ “진에어, 보라카이·하노이·푸켓 취항”. 파이낸셜뉴스. 2015년 9월 30일.
- ↑ “진에어, 인천발 베트남 다낭 노선 신규 취항”. 연합뉴스. 2015년 10월 26일.
- ↑ “진에어, 부산~다낭 취항…주 7회 운항”. 뉴시스. 2015년 11월 27일.
- ↑ “진에어,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 신규취항”. 아시아경제. 2017년 10월 20일.
- ↑ “진에어, 인천-코타키나발루 노선 신규 취항”. 한국경제. 2014년 12월 23일.
- ↑ “진에어, 인천~괌 노선 취항 "亞 저비용항공사 최초"”. 아시아경제. 2010년 4월 20일.
- ↑ “진에어, 부산~괌 노선 신규 취항…주 4회 운항”. 이데일리. 2016년 4월 30일.
- ↑ “진에어, 인천~사이판 취항식…주7회 운항”. 아시아경제. 2016년 6월 9일.
- ↑ “진에어, 오는 12월 인천-케언스 장거리 노선 신규 취항”. 스포츠경향. 2016년 9월 18일.
- ↑ “진에어, 인천-호놀룰루 정기노선 취항…LCC 중 최초”. 한국경제. 2015년 12월 20일.
- ↑ “인천-옌타이 신규 노선 취항!”. 진에어. 2012년 5월 23일.
- ↑ “'시총 1兆 대어' 진에어 "국내 최고 LCC로 자리매김"”. 한국경제. 2017년 11월 24일.
- ↑ “'미국 국적 조현민' 불법으로 6년간 진에어 등기임원 올라”. 연합뉴스. 2018년 4월 16일.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 홈페이지
- 진에어 공식 트위터 - 트위터
- (영어) 진에어의 보유 기종
한진그룹 | ||
---|---|---|
항공 | ![]() | |
육운 | ||
관광·호텔·부동산 | ||
정보서비스 | ||
비영리 | ||
스포츠 | ||
이전 계열사 | ||
방계기업 | ||
특수관계인 | ||
관련사건 | ||
웹사이트: hanjin.net |
![]() | |
---|---|
대형 항공사 | |
저비용 항공사 | |
소형항공운송사업자 | |
화물 항공사 | |
항공기사용사업자 | |
설립 추진 항공사 | |
폐업 및 무산된 항공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