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퓨처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포스코케미칼에서 넘어옴)

주식회사 포스코퓨처엠
형태주식회사
원어
POSCO FUTURE M CO., LTD.
창립1963년 1월 삼화화성
1971년 5월 포항축로
1987년 3월 포항로공업
1993년 4월 거양로공업
1994년 12월 포철로재
2001년 4월 포스렉
2010년 3월 포스코켐텍
2019년 4월 포스코케미칼
2023년 3월 포스코퓨처엠
시장 정보한국: 003670
산업 분야이차전지소재 제조업, 내화요업제품 제조업
해체1987년 3월 포항축로
1993년 4월 포항로공업
1994년 12월 거양로공업
2001년 4월 포철로재
2010년 3월 포스렉
2019년 4월 포스코켐텍
2023년 3월 포스코케미칼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신항로 110 (청림동)
사업 지역
포항,광양,세종,구미,서울,캐나다,절강,인도네시아
핵심 인물
김준형(대표이사)
매출액2,328,259,514,587원(2023.06 반기)
영업이익
72,403,820,045원(2023.06 반기)
83,335,455,630원(2023.06 반기)
자산총액5,996,260,283,464원(2023.06)
주요 주주포스코홀딩스(주) 59.7%, 포항공과대학교 2.81%, 국민연금공단 5.57%, 외국인 7.04%, 개인 24.88%
종업원 수
2,815명(2023.09)
자본금38,731,610,000원(2023.06)
웹사이트https://www.poscofuturem.com/

포스코퓨처엠(POSCO Future M)주식회사는 포스코그룹 미래 성장을 이끄는 친환경 미래소재 기업이다.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동시 생산하는 국내 유일 기업이며, 제철 산업의 기반이 되는 내화물 등 산업기초소재와 고부가가치 산업에 활용되는 과산화수소 등 첨단화학소재를 생산해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연혁[편집]

  • 1963.01 삼화화성주식회사 설립
  • 1971.05 포항축로 주식회사 설립
  • 1973.05 POSCO로 보수 협력업체 지정
  • 1974.02 마그네시아 클린커 포항공장 준공
  • 1983.09 전자동 부정형공장 준공
  • 1983.12 기술연구소설립
  • 1987.03 포항로공업 주식회사 상호변경
  • 1993.04 거양로공업 주식회사 상호변경
  • 1994.12 포철로재 주식회사 상호변경 (삼화화성, 거양로 공업 합병)
  • 2001.04 주식회사 포스렉으로 상호변경
  • 2001.10 코스닥 상장
  • 2003.07 윤리규범 선포 시행
  • 2004.07 나누미 봉사단 창단
  • 2006.07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18001) 인증
  • 2008.02 포항제철소 석회소성설비 운영
  • 2008.11 광양제철소 석회소성설비 운영
  • 2010.03 주식회사 포스코켐텍으로 상호변경
  • 2010.08 광양제철소 화성공장설비 운영
  • 2010.09 음극재 사업부문 인수
  • 2010.11 화성 부산물 판매사업 실시
  • 2012.12 2010년도 고용 창출 100대 우수기업 선정
  • 2011.02 포항제철소 화성공장설비 운영
  • 2011.11 2차전지 음극재 생산공장 준공
  • 2011.11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인증
  • 2012.01 인니 생석회사업 자회사 설립
  • 2012.10 안전보건경영시스템(OHSAS 18001) 인증
  • 2013.02 인니 화성품사업 자회사 설립
  • 2013.04 광양제철소내 PMC Tech 착공식
  • 2013.07 영구포항무유한공사 설립
  • 2014.11 동반성장 성과공유부문 산업통산자원부 장관 표창
  • 2015.10 침상코크스 최초 상업 생산
  • 2016.07 음극재공장 4호기 준공
  • 2017.01 한국에너지공단 인증 '대한민국 에너지 챔피언' 선정
  • 2017.06 제9회 대한민국 코스닥대상 '최우수테크노기업상' 수상
  • 2018.11 2차전지 음극재 1공장 종합준공 및 2공장 착공
  • 2019.03 포스코케미칼로 사명변경
  • 2019.04 포스코ESM합병으로 그룹 에너지소재사업 통합
  • 2019.05 유가증권 코스피 이전상장
  • 2019.07 양극재 광양공장 1단계 준공
  • 2019.10 음극재 2공장 1단계 준공
  • 2020.04 양극재 광양공장 2단계 준공
  • 2020.04 장애인스포츠선수단 창단
  • 2020.07 피앤오케미칼 설립(자회사)
  • 2021.01 1조 2735억원 유상증자 실시
  • 2021.04 창립 50주년
  • 2021.11 국내 배터리사 최초 책임광물보고서 발간
  • 2021.12 GM과 북미 양극재 합작사 설립계획 공동발표
  • 2021.12 인조흑연 음극재 포항공장 준공
  • 2022.04 양극재 포항공장 착공
  • 2022.05 GM과 합작사 Ultium CAM 출범 및 Ultium Cells에 8조원 규모 양극재 수주
  • 2022.07 배터리소재 2035년 탄소중립 로드맵 발표
  • 2022.07 GM에 13조원 규모 양극재 수주
  • 2022.09 피앤오케미칼 음극재 피치 공장 착공
  • 2022.10 피앤오케미칼 과산화수소 공장 준공
  • 2022.11 양극재 광양공장 종합 준공 (3·4단계)
  • 2023.01 삼성 SDI 40조원 규모 하이니켈 양극재 수주
  • 2023.03 포스코퓨처엠으로 사명변경


비전[편집]

" 친환경 미래소재로 세상에 가치를 더하는 기업 (Motivate Future Movement) "


주요사업[편집]

에너지소재 사업[편집]

2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글로벌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특히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의 아낌없는 지원으로 기존의 내화물 전문회사에서 친환경 미래소재 회사로 탈바꿈하고 있으며,

특히, 2차전지 소재사로 눈부신 성장을 이룩하고 있다.

양극재[편집]

양극재는 리튬이온전지에서 리튬 소스 역할을 하며 배터리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하는 핵심 소재이다. 포스코퓨처엠은 고용량 하이니켈계 NCM을 개발하여 2017년부터 고안전성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 적극 진출할 예정이다.

2023년 국내 배터리 주요 회사(LG에너지 솔루션, 삼성SDI 등)들로부터 총 약 100조 원 가량의 수주를 받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기준 105,000톤의 생산량을 갖고 있다. 2030년까지 양극재 100만 톤, 음극재 37만 톤이라는 목표를 제시하고 공격적으로 공장을 증설하고 있다.

전구체[편집]

양극재를 만들기 전단계의 물질로 여기에 리튬을 더하면 양극재가 완성된다.

2023년 기준 45,000톤의 생산 Capa.를 갖고 있으며 2030년까지 1,000,000톤까지 늘릴 예정이다.

음극재[편집]

음극재는 양극에서 나온 리튬을 저장했다가 방출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소재이다. 포스코퓨처엠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천연 흑연계 음극재를 생산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우수한 성능과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2023년 기준 음극재 생산량은 82,000톤이지만 2030년까지 370,000톤까지 생산량을 늘려 시장확대에 나설 예정이다.

내화물 제조 사업[편집]

내화물이란 각종 기간산업의 공업용 로에 사용하는 재료로써 1600℃ 이상의 고온에서도 용융되지 않는 비금속재료의 총칭으로 철강산업과 시멘트, 비철금속, 유리업계 등의 산업에 있어 중요한 공업용 소재이다. 내화물은 그 화학적 분류에 따라 크게 산성·중성·염기성 내화물로 나뉜다. 철광석을 이용하여 철을 만드는 과정은 크게 ‘제선→제강→압연’의 3단계로 나뉘는데, 이 중 염기성 내화물은 ‘제강’ 공정에 주로 사용되며, 산·중성 내화물이 ‘제선’, ‘압연’ 공정에 사용된다. 이 중 포스코켐텍은 염기성 내화물을 주력 생산하고 있으며, 산·중성 내화물은 조선내화 등이 납품하고 있다. 국내 내화물 시장은 2010년 기준 약 8,000억 규모의 시장으로 4개의 큰 업체와 100여개의 작은 업체가 경쟁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연간 약 97,000톤을 생산하여 국내 내화물 시장의 20% 가량을 점유하고 있다. 국내 내화물 수요는 포스코를 중심으로 한 철강업계가 시장의 약 7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사는 대부분의 매출이 최대 수요처인 포스코를 통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내화물 생산의 주요 원료인 마그네시아 클린커를 해수와 석회석을 이용하여 자체 생산하고 있으며, 기타 부원료들은 중국 등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1][2][3][4]

건설사업[편집]

건설사업부는 포스코의 포항 및 광양제철소의 로재를 주기적으로 정비하는 1) 로재 정비와 2) 내화물 공사 부분으로 다시 나뉘며, 매출의 대부분이 포스코를 통해 이루어진다.

로재정비[편집]

로재정비는 전로, 고로, 코크스로 등 각종 가열로에 대해 주기적, 정기적, 반복적인 업무수행이 요구되는 분야이다. 철강을 생산하는 다양한 ‘로’는 일정기간 용융물을 녹히거나 가열하면 용기 내측의 내화물이 닳거나 침식이 되기 때문에 내화물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꾸준한 정비/보수가 필요하다. 전로를 기준으로 예를 들면, 연간 2번의 로 정비가 요구되는데, 포스코퓨처엠은 포스코가 운영중인 포항 및 광양제철소의 16개 전로에 대해 정기적인 정비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포스코가 지속적으로 국내외에 CAPA를 증설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이면서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5][6]

내화물 공사[편집]

내화물 공사 부분은 제철, 비철금속, 석유화학, 소각로 등 각종 산업로에 설계, 공급, 시공 및 설비집단까지 종합적인 Turnkey Base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포스코퓨처엠은 1974년부터 자체적인 축로기능 양성기관을 운영하여 축로, 조적, 전기, 금속 등의 분야에 500여명의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1,500여건 이상의 국내 최대 시공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동사는 포스코 내 관련 시공을 독점하고 있을 뿐 아니라 차츰 고객사를 확대해 나가고 있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측된다. 특히 내화물 공사 부분은 내화물 제조업과 달리 영업이익률이 약 17%에 달하는 고수익의 사업이라는 점이다. 또한, 로재정비의 경우 경기 변동에 크게 관계 없이 안정적이면서도 꾸준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분야이다.[7]

생석회 사업[편집]

생석회는 일반적으로 산소와 칼슘의 화합물로 산화칼슘이라고 불린다. 이는 석회석에 1100℃ 이상의 고온의 열을 가하여 얻을 수 있으며 제강, 건축, 비료, 해양수질개선 등에 많이 쓰이며, 포스코퓨처엠이 생산하고 있는 제강용 생석회는 제강과정에서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포스코퓨처엠은 2008년부터 포스코로부터 생석회 소성설비(포항 10기, 광양 9기)를 임대하여 제강과정에 쓰이는 생석회를 생산, 전량을 포스코에 판매하고 있다. 따라서 동사의 생석회 매출 역시 포스코의 조강생산량에 전적으로 비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생석회 매출은 08년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10년에는 전체 매출의 36%에 해당하는 중요 사업부로 성장하였다. 또한, 수익성 측면과 관련해서도 포스코 측에서 연결경영을 고려, 영업이익률 9~11%를 보장해주고 있기 때문에 이후에도 든든한 Cash Cow 역할을 해줄 것으로 보인다. [8][9][10][11][12][13][14][15]

케미칼 사업[편집]

포스코퓨처엠은 2010년 8월 포스코로부터 광양제철소 화성공장을 위탁운영 방식으로 인계받아 운영하기 시작했으며, 이어서 2011년 3월부로 포항제철소 화성공장 역시 위탁운영을 시작하였다. 동사는 이를 통해 다양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제철케미칼산업에 뛰어들 예정이다. 그동안 포스코에서는 화성공장에서 철강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인 콜타르와 조경유를 OCI 등 외부업체에 판매해왔다. 하지만 포스코퓨처엠이 본격적으로 케미칼 공장을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향후에는 이를 다양한 화학산업에 필요한 자체적인 원료로 사용할 계획이다. 이미 동사는 2010년 8월 2차전지 음극재 회사인 카보닉스를 LS엠트론으로부터 인수하였고, 2012년 5월 충남 연기군에 공장을 착공하여 공사가 진행 중이다. 2,400톤 규모의 이 공장은 2012년 9월 완공 예정이다.[16][17][18][19][20][21][22]


사회공헌[편집]

포스코퓨처엠은 ‘함께 이루는 푸른 세상’이라는 사회공헌 비전을 수립하여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 공헌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환경 보호’, ‘미래세대 지원’, ‘지역사회 공생가치 창출’을 3대 핵심 방향으로 선정하여 "지속가능한 미래 가치"를 창출을 위해 다양한 사회공헌 사업을 펼치고 있다.

주요성과[23][편집]

  • 글로벌 모범시민 위크(사업장 인근 환경정화)
  • '그린짐'활동
  • 해경환경 보존 활동
  • '푸른꿈 환경학교' 운영
  • '디딤씨앗 통장' 지원
  • 아동센터 '행복상자' 전달
  • '푸드충전소' 운영
  • '생명의 빵' 나눔 활동
  • 중증 장애인 이동권 확보지원
  • 어린이 '안전우산'기부
  • 청년 자립지원 업무협약
  • 지역아동 '행복상자' 전달
  • 주말농장 농작물 나눔 봉사활동
  • 헌혈증 기부

계열사[편집]

국내

  • 포스코MC머티리얼즈
  • 피앤오케미칼

해외

  • 포스코퓨처머티리얼즈캐나다
  • 장가항포항내화재료유한공사
  • PT.KPCC


사업장 현황[편집]

국내

  • 본사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신항로 110 (청림동)
  • 서울사무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40 포스코센터
  • 광양사무소 : 전남 광양시 백운1로 48
  • 양극재 포항공장 :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읍 용한리 산 147
  • 양극재 광양공장 : 전라남도 광양시 율촌산단8로 45
  • 양극재 구미공장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읍 첨단기업1로 87
  • 음극재 세종1공장 : 세종특별자치시 산단길 22-64
  • 음극재 세종2공장 : 세종특별자치시 매실로 294


해외

  • 북미 : 1400-1002 Rue Sherbrooke Ouest Montreal Quebec H3A
  • 얼티엄캠(Ultium CAM) : 1400-1002 Rue Sherbrooke Ouest Montreal Quebec H3A
  • 장가항포항내화재료유한공사(張家港項商耐火材料有限公司) : 중국 강소성 장가항시 연강공로(대신단포항3기원내) Daxin Riverside Road, Pohang Stainless Steel Co., Ltd Zhangjiagang City, Jiangsu Province, PRC
  • ZPR 영구지사 : 중국 요녕성 대석교시 Xiwaihuan Road, Dashiqiao City, Liaoning Province, CHINA
  • 절강포항화유신에너지재료유한공사(浙江浦项华友新能源材料有限公司) : 중국 절강성 가흥시 통샹시 경제개발구 고신서삼로 1060호(中国浙江省嘉兴市桐乡市桐乡经济开发区高新西三路1060号)
  • 절강화유포항신에너지재료유한공사(浙江华友浦项新能源材料有限公司) : 중국 절강성 가흥시 통샹시 경제개발구 고신서삼로 1038호(中国浙江省嘉兴市桐乡市桐乡经济开发区高新西三路1038号)
  • 청도중석신능원과기유한공사(青岛众硕新能源科技有限公司) : 중국 중국 산동성 청도시 평도시 신하생태화공과기산업기지 해만로 9호 (中国山东省青岛市平度市新河生态化工科技产业基地海湾路9号)
  • 내몽고시누오신재료과기유한공사(内蒙古斯诺新材料科技有限公司) : 중국 내몽고자치구 후허하오터시 금산개발구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원 시누오 공장 사무동 1층 (中国内蒙古自治区呼和浩特市金山开发区新能源汽车产业园斯诺工厂办公楼1层)
  • PT.KPCC, KRAKATAU POSCO CHEMICAL CALCINATION : PT.KPCC, Jl.Afrika No.2, Kawasan Industri Krakatau Cilegon, Banten, 42443, Indonesia
  • PT.KPDC, KRAKATAU POS-CHEM DONG-SUH CHEMICAL : PT.KPDC, Jl.Afrika No.2, Kawasan Industri Krakatau Cilegon, Banten, 42443, Indonesia
  • PT.IPCR, INDONESIA POS-CHEMTECH CHOSUN REF : PT.IPCR, Jl.Antartika 1 Kav.E-4 Kawasan Industri Krakatau 1Kel. Kotasari Kec. Grogol


각주[편집]

  1. “포스코켐텍, 포스코와840억 규모 내화물 단가계약”. 한국경제. 2011년 9월 27일. 
  2. “포스렉, 사명 바꾸고 화학전문기업으로 특화”. 헤럴드경제. 2010년 3월 29일. 
  3. “포스코-포스렉, 침적관 내화물 수명 50% 향상”. EBN산업뉴스. 2007년 12월 29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내화물 업계 첫‘1천만 달러 수출탑'…포스렉”. 매일신문. 2007년 12월 7일. 
  5. “포스렉, 광양 생석회 공급으로 수익성 향상 전망”. EBN 산업뉴스. 2009년 2월 3일. 
  6. “포스렉, 요녕영원포철로재 2기 설비 준공”. EBN 산업뉴스. 2005년 10월 27일. 
  7. “포스코켐텍, 55억 규모 내화물공사 계약”. 경북일보. 2012년 1월 18일. 
  8. “포스코켐텍, 1758억 규모 생석회 판매계약”. Newstomato. 2011년 12월 13일. 
  9. “포스코켐텍, 인도네시아 PT-KPC 인수”. MT머니투데이. 2011년 6월 14일. 
  10. “포스렉, 생석회 사업 진출”. 《서울경제》. 2008년 12월 4일.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7일에 확인함. 
  11. “고반응소석회 생산공장 설립 협약”. 《경북일보》. 2010년 5월 26일. 2012년 3월 7일에 확인함. 
  12. “생석회로 녹색성장사업 진출”. 해럴드경제. 2010년 3월 31일. 
  13. “-포스렉, 광양 생석회 공급으로 수익성 향상 전망”. EBN산업뉴스. 2009년 2월 3일. 
  14. ““환경개선제품 적조방제 효과 탁월””. 파이낸셜 뉴스. 2002년 8월 22일. 
  15. “포스렉, 포항시 요청으로 적조방제시범”. 머니투데이. 2002년 3월 20일. 
  16. “포스코 '종합소재 공급기업'성큼”. 경북매일. 2012년 5월 1일. 
  17. “포스코켐텍 "글로벌 탄소소재 기업으로 도약". 머니투데이. 2011년 11월 21일. 
  18. “포스코'글로벌 소재회사로 간다'. 《디지털타임스》. 2012년 2월 26일. 2012년 3월 7일에 확인함. 
  19. “포스코켐텍, '외산 99%' 2차전지 소재시장 열다”. 《지디넷코리아》. 2012년 2월 22일. 2012년 3월 7일에 확인함. 
  20. “포스코켐텍 "탄소소재 산업은 첨단 녹색산업". 《머니투데이》. 2012년 2월 14일. 2012년 3월 7일에 확인함. 
  21. “생생코스닥”. 《헤럴드경제》. 2010년 6월 26일. 2012년 3월 7일에 확인함. 
  22. “포스코켐텍, 제철부산물로 등방(等方)흑연소재 만든다”. 《일요신문》. 2011년 11월 22일. 2012년 3월 7일에 확인함. 
  23. 자세한 내용은 포스코퓨처엠 사회공헌 를 참조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