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그랜드코리아레저 주식회사 Grand Korea Leisure Co., Ltd.
산업 분야
레저, 호텔, 레스토랑
창립
2005년
시장 정보
한국 : 114090
국가
대한민국
본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610 (삼성동, 해공빌딩)
핵심 인물
이기우 (대표이사)
사업 내용
카지노
자본금
30,927,835,000원 (2016.12)
매출액
548,230,023,132원 (2016)
영업이익
151,182,942,675원 (2016)
순이익
114,342,570,484원 (2016)
자산총액
730,177,649,356원 (2016.12)
주요 주주
한국관광공사: 51.0% 국민연금공단: 9.0%
종업원
1,838명 (2016.12)
웹사이트
http://www.grandkorea.com
주식회사 그랜드코리아레저 (Grand Korea Leisure )는 한국관광공사 자회사인 외국인전용 카지노로서 외래관광객 유치 및 외화획득 증대, 이익금의 관광인프라 확충을 위한 재투자, 관광객을 위한 야간관광상품제공 등 관광진흥을 도모하는 한편, 고용창출을 통한 청년실업 완화에 기여하고, 사회정서상 부정적인 이미지를 안고 있는 카지노운영에 대한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고자 2005년 9월 설립된 상법상 주식회사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타공공기관 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610 (삼성동)에 위치하고 있다. 영업장은 코엑스센터 컨벤션 별관의 서울강남점세븐럭, 밀레니엄 서울힐튼점, 세븐럭 부산롯데점이 있다. 매출구성은 카지노 98.7%, 환전수입 1.3% 가량이다. 시가총액은 2014년 기준으로 2조 7천억원 가량이다.
GKL은 강원랜드 , 파라다이스 에 이어 세번째로 큰 규모의 카지노 업체이다. 대한민국 내에 유커(중국인 관광객)의 방문이 증가하며 2012년부터 2014년 사이에 지속적인 주가 상승을 보였다.[1]
2014년부로 코스피200 지수에 편입되었다.[2]
주요기능 및 역할 [ 편집 ]
서울 2곳(코엑스점, 힐튼점), 부산 1곳(롯데점)에 외국인전용 카지노 영업
2005년 1월 28일 외국인 전용 카지노 조건부 영업허가
2005년 9월 6일 그랜드코리아레저(주) 설립
2006년 1월 27일 코엑스센터점(現 서울강남점) 개장
2006년 5월 26일 밀레니엄서울힐튼점 개장
2006년 6월 23일 부산롯데점 개장
2007년 10월 1억불 관광진흥탑 수상
2008년 10월 업계 최초 3억불 관광진흥탑 수상
2009년 10월 서울강남점 확장 오픈
2009년 11월 품질경영시스템(ISO9001)인증
2009년 11월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KOSPI) 상장
2010년 9월 밀레니엄서울힐튼점 리뉴얼 오픈
2012년 1월 부산롯데점 리뉴얼 확장 오픈
2012년 4월 GKL 스키단 창단
2012년 9월 업계 최초 4억불 관광진흥탑 수상
2013년 12월 가족친화인증 기업 선정
경영본부 [ 편집 ]
기획조정실
경영지원실
인사실
노무팀
총무구매팀
윤리업무팀
GKL아카데미
재무관리실
자금실
회계팀
코엑스경리팀
힐튼경리팀
롯데경리팀
마케팅본부 [ 편집 ]
마케팅기획팀
광고이베트팀
마케팅1팀
매스마케팅팀
일본마케팅팀
도쿄파트
도쿄사무소
오사카파트
나과야삿뽀로파트
삿뽀로사무소
후쿠오카히로시마파트
후쿠오카사무소
히로시마사무소
국제마케팅팀
마케팅2실
강남본부 [ 편집 ]
강남 코엑스팀
운영기획팀
오퍼레이션1팀
오퍼레이션2팀
오퍼레이션3팀
머신영업팀
CS팀
강북본부 [ 편집 ]
강북 힐튼점
운영기획팀
칩스파트
F&B파트
오퍼레이션1팀
오퍼레이션2팀
오퍼레이션3팀
머신영업팀
CS팀
부산본부 [ 편집 ]
부산마케팅1팀
매스파트
공항으전파트
부산마케팅2팀
국제파트
부산 롯데점
운영기획팀
칩스파트
F&B파트
오퍼레이션1팀
오퍼레이션2팀
오퍼레이션3팀
머신영업팀
CS팀
외부 링크 [ 편집 ]
참고문헌 [ 편집 ]
↑ 증시지도 바꾸는 中자본…외국인 순매수의 절반 넘는 1조9천억 사들여, 한국경제 2014.09.10
↑ "거래소, 코스피200 특별변경 방식 변경 아쉽다", 연합뉴스 2014/08/29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본부 소속 산하 외청 산하 공공기관 소관기관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은 장관급 예우를 받으며,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차관급으로 임명된다.
국립국악고등학교 및 국악학교,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및 전통예술학교의 설립·운영권한을 문화체육관광부가 교육부 로부터 위탁받았다.[1]
재외 한국문화원[2] 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외교부 재외공관 부설기관으로 설치되며 해당 재외공관장의 지휘·감독을 받는다.
코스피200 지수 구성 종목 (가나다 순)건설/기계 금융 에너지/화학 자유소비재 정보통신 조선/운송 철강/소재 필수소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