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립중앙박물관장(國立中央博物館長)은 국립중앙박물관을 대표하는 직위이다. 차관급 정무직 공무원으로 보한다.
-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30조제2항) 관장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명을 받아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역대 관장[편집]
국립박물관장[편집]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이승만 정부 박정희 정부
|
초대
|
김재원(金載元)
|
1949년 12월 12일 ~ 1970년 5월 1일
|
|
박정희 정부
|
2대
|
김원용(金元龍)
|
1970년 5월 1일 ~ 1971년 9월 1일
|
|
3대
|
황수영(黃壽永)
|
1971년 9월 1일 ~ 1972년 7월 1일
|
|
국립중앙박물관장[편집]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박정희 정부
|
3대
|
황수영(黃壽永)
|
1972년 7월 1일 ~ 1974년 6월 1일
|
|
4대
|
최순우(崔 淳)
|
1974년 6월 1일 ~ 1984년 12월 1일
|
|
전두환 정부
|
5대
|
한병삼(韓炳三)
|
1985년 1월 1일 ~ 1993년 3월 5일
|
|
노태우 정부
|
김영삼 정부
|
6대
|
정양모(鄭良謨)
|
1993년 3월 6일 ~ 1999년 12월 1일
|
|
김대중 정부
|
7대
|
지건길(池建吉)
|
2000년 3월 1일 ~ 2003년 3월 19일
|
|
노무현 정부
|
8대
|
이건무(李健茂)
|
2003년 3월 31일 ~ 2006년 8월 1일
|
|
9대
|
김홍남(金紅男)
|
2006년 8월 1일 ~ 2008년 3월 9일
|
|
이명박 정부
|
10대
|
최광식(崔光植)
|
2008년 3월 10일 ~ 2011년 2월 7일
|
|
11대
|
김영나(金英那)
|
2011년 2월 8일 ~ 2016년 3월 8일
|
|
박근혜 정부
|
12대
|
이영훈(李永勳)
|
2016년 3월 9일 ~ 2017년 7월 16일
|
국립경주박물관장 역임
|
문재인 정부
|
13대
|
배기동(裵基同)
|
2017년 7월 17일 ~ 2020년 11월 1일
|
|
14대
|
민병찬(閔丙贊)
|
2020년 11월 2일 ~
|
국립경주박물관장 역임
|
같이 보기[편집]
|
---|
|
본부 소속 |
| |
---|
산하 외청 | |
---|
산하 공공기관 | |
---|
소관기관 | |
---|
-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은 장관급 예우를 받으며,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차관급으로 임명된다.
- 국립국악고등학교 및 국악학교,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및 국립전통예술중학교의 설립·운영권한을 문화체육관광부가 교육부로부터 위탁받았다.[1]
- 재외 한국문화원[2]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외교부 재외공관 부설기관으로 설치되며 해당 재외공관장의 지휘·감독을 받는다.
|
|
---|
|
입법부 | |
---|
행정부 | 중앙부처 차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직속기구 | |
---|
행정안전부 직속기구 | |
---|
산업통상자원부 직속기구 | |
---|
|
---|
대통령 직속기구 | |
---|
국무총리 직속기구 | |
---|
산하 외청장 | |
---|
공공기관 | |
---|
대검찰청 | |
---|
대학교 |
|
---|
외교부 | |
---|
국군 중장 | |
---|
|
---|
사법부 | |
---|
독립 기구 | |
---|
지방직 | |
---|
한시적으로 임용되는 특별검사는 고등검찰청 검사장급 예우를 받고 특별검사보는 지방검찰청 검사장급의 예우를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