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방첩사령부
국군방첩사령부 | |
---|---|
國軍防諜司令部 | |
활동 기간 | 1950년 10월 21일 ~ |
국가 | ![]() |
소속 | ![]() |
종류 | 사령부 |
역할 | 보안, 방첩, 정보 업무 |
명령 체계 | 대한민국 국방부 |
본부 | 경기도 과천시 |
표어 | 대한민국 자유 수호 위한 끝없는 헌신 |
군가 | 방첩부대가 |
마스코트 | 호랑이 |
웹사이트 | https://www.dcc.mil.kr |
지휘관 | |
지휘관 | 중장 황유성 (육사 46기) |
국군방첩사령부(國軍防諜司令部, Defense Counterintelligence Command, 약칭: 방첩사, DCC)는 1950년 설립된 특무부대를 시초로 2022년 11월 1일 설립 취지인 방첩기능 강화 일환 부대명칭을 국군방첩사령부로 변경하였으며, 약칭은 '방첩사'이다. 군의 방첩(防諜) 및 보안, 군에 관한 정보 수집·작성·처리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1]
역사[편집]
2018년 8월 국군기무사령부 계엄령 준비 사건 및 세월호 사건 민간인 사찰과 관련하여, 국군기무사령부의 폐지가 결정되었고, 이를 대체하기 위한 새 조직의 설립이 2018년 8월 6일 관보를 통해 공고되었다.[2] 8월 4일 제44대 기무사령관에 취임한 남영신 중장을 단장으로 하는 창설준비단이 같은 날 출범하였다.[3]
2018년 8월 14일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무회의에서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제정령이 심의·의결되었다. 기존의 국군기무사령부령과 달리 '정치 개입 및 민간인 사찰의 금지' 조항이 신설되었으며, '법령과 정치적 중립 준수'가 명시되었다.[4] 군사안보지원사령부의 출범 결정에 따라, 기무사는 국군보안사령부 민간인 사찰 사건과 관련하여 91년 보안사령부가 기무사로 개편된지 27년만에 해체되게 되었다.[3]
2018년 9월 1일 창설식이 진행되었으며, 남영신 중장을 초대사령관으로 하여 공식 출범하였다. 창설식에는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참석해 부대기를 전달하였다.[5]
2022년 11월 1일 국군방첩사령부로 명칭을 변경하였다.[6]
업무[편집]
역대 사령관[편집]

- 2022년 국군방첩사령관은 대한민국 국군의 3성 장군 중에서 해병대사령관 다음의 의전 서열을 가지며, 현역 군인 중 10위이다. 임기는 2년
- 초대 사령관에는 남영신 중장[A]이 임명되었다.[5][7]
대수 | 성명 | 계급 | 기간 | 비고 |
---|---|---|---|---|
군사안보지원사령관 | ||||
초대 | 남영신(南泳臣) | 육군 중장 | 2018년 9월 1일 ~ 2019년 4월 15일 | 학군 23기 |
2대 | 전제용(全濟龍) | 공군 중장 | 2019년 9월 19일 ~ 2021년 9월 16일 | 공사 36기 |
직무대리 | 박재갑 | 해군 소장 | 2021년 9월 19일 ~ 2021년 10월 13일 | 해학군 35기 |
3대 | 이상철 | 육군 중장 | 2021년 10월 14일 ~ 2022년 5월 25일 | 학군 28기 |
직무대리 | 황유성 | 육군 소장 | 2022년 5월 26일 ~ 2022년 6월 3일 | 육사 46기 |
4대 | 육군 중장 | 2022년 6월 3일 ~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내용
- 출처
- ↑ “국군방첩사령부령”. 《국가법령정보센터》.
- ↑ 국방부장관 (2018년 8월 6일). “국방부공고제2018-157호(군사안보지원사령부령 제정(안) 입법예고)” (PDF). 《대한민국 전자관보》. 관보 제19312호(그2). 2-3쪽. 2018년 8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이정진; 김호준 (2018년 8월 6일). “기무사 아닌 '군사안보지원사령부'…창설준비단 출범(종합)”. 《연합뉴스》 (서울). 2018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4일에 확인함.
- ↑ 성혜미; 임형섭 (2018년 8월 14일). “문대통령, 국무회의 주재…기무사 폐지령안 의결(종합2보)”. 《연합뉴스》 (서울). 2018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김귀근 (2018년 9월 1일).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오늘 창설…기무사 시대 마감”. 《연합뉴스》 (서울). 2018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2일에 확인함.
- ↑ “'국군방첩사령부'로 개명 완료…국방장관 주관 명칭 개정식도”. 연합뉴스. 2022년 11월 2일.
- ↑ 김호준 (2018년 8월 31일). “기무사 대체 안보지원사 내일 창설된다…초대 사령관에 남영신”. 《연합뉴스》 (서울). 2018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