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국립현대미술관 | |
---|---|
![]() 국립현대미술관 | |
유형 | 미술관 |
국가 | ![]() |
소재지 | 과천관 경기도 과천시 광명로 313 서울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0 덕수궁관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청주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상당로 314 |
개관일 | 1969년 8월 23일 |
운영자 |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
관장 | 윤범모 |
건축가 | 과천관 김태수 서울관 민현준 덕수궁관 G. R. 하딩 청주관 허서구·이재삼·홍찬기 |
웹사이트 | http://www.mmca.go.kr/ |
국립현대미술관(國立現代美術館,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약칭: MMCA)은 미술작품 및 자료의 수집·보존·전시·조사 및 연구와 이에 관한 국제교류 및 미술활동의 보급을 통한 국민의 미술문화의식 향상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이다. 1969년 8월 23일 발족하였으며, 관장은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한다. 산하에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덕수궁관, 서울관, 청주관을 관할하고 있다. 특이사항으로 서울관은 옛 소격동의 국군기무사령부 건물을 재활용하였으며, 청주관은 KT&G의 연초 제조장을 재활용하였다. 청주관은 국내 유일의 수장고형 전시관으로 운영되고 있어, 미술은행 등의 소장품을 개방수장고를 통해 관람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설치 근거[편집]
-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10조제1항[1]
직무[편집]
- 미술작품과 미술자료의 수집·보존·전시·조사연구와 이에 관한 국내외 교류
- 미술활동의 보급·교육을 통한 미술문화의식 향상에 관한 사무
연혁[편집]
- 1969년 8월 23일: 국립현대미술관 설치
- 1973년 7월 25일: 덕수궁 석조전으로 청사 이전 개관
- 1986년 8월 25일: 과천관 개관
- 1998년 12월 1일: 덕수궁미술관 개관
- 2006년 1월 1일: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
- 2013년 11월 13일: 서울관 개관[2]
- 2018년 12월 27일: 청주관(국립미술품수장보존센터) 개관
조직[편집]
관장[편집]
- 기획운영단[6]
4관[편집]
명칭 | 주소 | 좌표 |
---|---|---|
과천관 | 경기도 과천시 광명로 313 |
북위 37° 25′ 51.4″ 동경 127° 01′ 11.5″ / 북위 37.430944° 동경 127.019861° |
서울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0 |
북위 37° 34′ 46.0″ 동경 126° 58′ 49.3″ / 북위 37.579444° 동경 126.980361° |
덕수궁관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
북위 37° 33′ 57.2″ 동경 126° 58′ 25.3″ / 북위 37.565889° 동경 126.973694° |
청주관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덕동 201-1 |
북위 37° 37′ 58.6″ 동경 127° 02′ 18.2″ / 북위 37.632944° 동경 127.038389° |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국립현대미술관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