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상청 航空氣象廳
설립일
2008년 2월 29일
전신
항공기상관리본부
소재지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 272
직원 수
115명[1] [2]
상급기관
대한민국 기상청
산하기관
소속기관 7
웹사이트
항공기상청 - 공식 웹사이트
항공기상청 (航空氣象廳, Aviation Meteorological Office , AMO )은 항공기의 안전과 경제적 운항을 위한 기상 정보의 수집·생산·제공 및 인천비행정보구역의 기상 감시의 사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기상청 의 소속기관이다. 2008년 2월 29일 발족하였으며,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 272에 위치하고 있다. 청장은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한다.[3]
항공기상관측업무는 자동화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각 공항에 설치된 항공기상관측장비(航空氣象廳觀測裝備, AMOS)를 이용해 풍향, 풍속, 기온, 기압, 강수량, MOR, RVR 등을 관측·예보한다. 이외에도 운고계, 현천계, LLWAS(저층난류경보장치), WindProfiler 등의 장비를 이용해 저고도위험기상정보, 중고도위험기상정보, WAFS(세계공역예보시스템)에서 수신받은 자료 등 비행기의 안전운항에 필요한 기상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항공기의 안전과 경제적 운항을 위한 기상정보의 수집·생산·제공에 관한 사항
인천비행정보구역에 대한 기상감시에 관한 사항
1959년 1월 1일: 국립중앙관상대 소속으로 서울국제공항측후소 설치.[4]
1963년 2월 12일: 중앙관상대 소속 김포국제공항측후소로 개편. 중앙관상대 소속으로 김포기상송신소 설치.[5]
1964년 5월 27일: 김포국제공항측후소 소속으로 부산출장소 설치.[6]
1970년 7월 18일: 김포국제공항측후소를 김포공항측후소로, 김포기상송신소를 김포기상통신소로, 부산출장소를 부산분실로 개편. 김포공항측후소 소속으로 제주·삼척·전주분실 설치. 제주측후소 소속으로 제주분실 설치.[7]
1972년 9월 23일: 김포공항측후소 소속으로 속초·울산·목포분실 설치.[8]
1974년 1월 28일: 전주·목포분실을 폐지하고 소속기관으로 수색·여수분실 설치.[9]
1974년 9월 13일: 삼척·울산분실 폐지.[10]
1976년 9월 18일: 김포공항측후소를 김포국제공항측후소로, 부산분실을 김해분실로 개편. 여수분실 폐지.[11]
1978년 4월 15일: 김포국제공항측후소 소속으로 여수분실 설치.[12]
1982년 1월 1일: 중앙기상대 소속으로 변경.[13]
1985년 7월 2일: 김해·속초·수색·여수분실 폐지. 김포국제공항측후소 제주분실과 제주측후소 제주분실을 제주측후소 소속 제주공항기상관측소로 통합. 김포국제공항측후소를 김포공항측후소로, 부산지방기상대 및 울산·여수·속초측후소 소속으로 각각 김해공항·울산공항·여수공항·속초공항기상관측소 설치.[14]
1990년 8월 13일: 목포측후소 소속으로 목포공항기상관측소 설치.[15]
1990년 12월 27일: 기상청 소속으로 변경.[16]
1992년 3월 13일: 김포공항측후소를 김포공항기상대로 개편.[17]
1994년 9월 9일: 김포기상통신소를 기상통신소로 개편.[18]
1996년 12월 31일: 청주기상대 소속으로 청주공항기상관측소 설치.[19]
2000년 7월 27일: 제주공항기상관측소를 제주공항기상대로 개편. 기상청 소속으로 항공기상대를 설치하고 김포공항·제주공항기상대 및 김해공항·울산공항·목포공항·여수공항·청주공항·속초공항기상관측소를 소속기관으로 편입.[20]
2001년 1월 1일: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21]
2001년 12월 6일: 소속기관으로 대구공항기상관측소 설치.[22]
2002년 6월 1일: 소속기관으로 양양공항기상대를 설치하고 속초공항기상관측소를 폐지.[23]
2005년 4월 16일: 울산공항기상관측소를 울산공항기상대로, 양양공항기상대를 양양공항기상관측소로 개편.[24]
2007년 3월 16일: 항공기상관리본부로 개편하고 기상통신소를 소속기관으로 편입.[25]
2007년 4월 20일: 소속기관으로 광주공항·포항공항·사천공항기상관측소 설치.[26]
2007년 9월 14일: 목포공항기상관측소를 폐지하고 무안공항기상대 설치. 김해공항·청주공항·대구공항·여수공항·양양공항·광주공항·포항공항·사천공항기상관측소를 김해공항·청주공항·대구공항·여수공항·양양공항·광주공항·포항공항·사천공항기상실로 개편.[27]
2008년 2월 29일: 항공기상청으로 개편.[28]
2010년 4월 13일: 기상통신소 폐지.[29]
2015년 1월 6일: 청주공항·대구공항·광주공항·사천공항·포항공항기상실 폐지.[30]
2015년 6월 9일: 김해공항기상실을 김해공항기상대로 개편.[31]
역대 기관장 [ 편집 ]
항공기상대장 [ 편집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초대
서정갑
2000년 7월 31일 ~ 2000년 12월 31일
2대
김상조
2001년 1월 1일 ~ 2006년 12월 31일
3대
이성재
2007년 1월 1일 ~ 2007년 3월 15일
항공기상관리본부장 [ 편집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초대
이성재
2007년 3월 16일 ~ 2008년 2월 28일
항공기상청장 [ 편집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초대
이성재
2008년 2월 29일 ~ 2008년 12월 31일
2대
허은
2009년 4월 10일 ~ 2011년 4월 9일
3대
최치영
2011년 6월 1일 ~ 2014년 5월 31일
4대
박정규
2014년 7월 14일
-
이재원
2017년 9월 28일
7대
손승희
2020년 1월 20일 ~ 2022년 12월 16일
소속기관 [ 편집 ]
공항기상대[36]
김포공항기상대
제주공항기상대
무안공항기상대
울산공항기상대
김해공항기상대
공항기상실[37]
↑ 소속기관 포함.
↑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별표9
↑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14조제1항
↑ 대통령령 제1425호
↑ 각령 제1208호
↑ 대통령령 제1826호
↑ 대통령령 제5202호
↑ 대통령령 제6351호
↑ 대통령령 제7058호
↑ 대통령령 제7249호
↑ 대통령령 제8247호
↑ 대통령령 제8944호
↑ 대통령령 제10681호
↑ 대통령령 제11719호
↑ 대통령령 제13074호
↑ 대통령령 제13188호
↑ 대통령령 제13614호
↑ 대통령령 제14379호
↑ 대통령령 제15250호
↑ 대통령령 제16916호 및 과학기술부령 제20호
↑ 대통령령 제16957호
↑ 과학기술부령 제35호
↑ 과학기술부령 제36호
↑ 과학기술부령 제64호
↑ 대통령령 제19931호
↑ 과학기술부령 제101호
↑ 과학기술부령 제107호
↑ 대통령령 제20698호
↑ 환경부령 제368호
↑ 환경부령 제591호
↑ 환경부령 제605호
↑ 행정사무관 또는 기상사무관으로 보한다.
↑ 기술서기관 또는 기상사무관으로 보한다.
↑ 서기관·기술서기관·행정사무관·기상사무관·전산사무관 또는 방송통신사무관으로 보한다.
↑ 기상사무관 또는 기상연구관으로 보한다.
↑ 기상사무관 또는 방송통신사무관으로 보한다. 다만, 김포공항기상대장은 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 기상주사 또는 방송통신주사로 보한다.
외부 링크 [ 편집 ]
본청 소속 지방기상청
항공기상청
김포공항기상대
제주공항기상대
무안공항기상대
울산공항기상대
김해공항기상대
여수공항기상실
양양공항기상실
산하 공공기관 소관기관
소속책임운영기관
조사연구형 기관
교육훈련형 기관 문화형 기관 의료형 기관 시설관리형 기관 기타 유형의 기관
중앙책임운영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