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미술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총독부 미술관
朝鮮總督府 美術館
기본 정보
상태철거됨
완공1939년 5월 15일
철거1998년
용도미술관
건축 내역
층수1

조선총독부 미술관 (朝鮮總督府 美術館)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조선총독부 산하 미술관으로, 경복궁 북쪽 향원정 뒷쪽에 위치해 있었다.

1939년 5월에 준공되어 조선미술전람회를 비롯한 미술전시가 개최되었으며, 광복 후에도 국립현대미술관이나 한국민속박물관 부속건물 등으로 쓰였다. 1998년 경복궁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철거되었으며, 2007년 해당 부지에 건청궁을 복원하였다.

역사[편집]

일제강점기[편집]

미술관 부지는 본래 건청궁이 있던 자리였으나 1909년 훼철되고 한동안 빈터로 남아 있었다.[1]

1938년 봄부터 미술관이 건설되었으며, 이듬해 1939년 5월 15일에 준공되었다.[2] 건물의 층수는 단층으로, 외관은 "모던"하면서도 "조선 정조를 가미"하였다. 공사비는 13만 에서 18만 원으로 보도되었다.[2][3]

1939년 6월 4일부터 첫 전시로 조선미술전람회가 개최되었다.[3]

광복 이후[편집]

1969년 10월 국립현대미술관이 이곳을 전시공간으로 삼으며 개관하였다. 초대 전시로 제18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국전)이 개최되었다.[4] 당시 행위예술김구림이 흰 광목천으로 미술관 건물을 묶는 퍼포먼스인 〈현상에서 흔적으로〉를 선보였으나, 주최측에서 초상집 같다는 이유로 이틀도 채 되지 않아 철거되는 일이 있었다.[5][6]

1973년 국립현대미술관은 덕수궁 기존 건물을 개축하여 1975년 한국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의 전신)의 일부로 재개관하였다.[7]

1995년 경복궁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철거가 공식화되었으며, 1998년 조선총독부 박물관과 함께 완전히 철거되었다.[8] 이 자리에는 2007년 건청궁이 다시 복원되었다.[1]

더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북궐도에 나타난 조선정치 1번지 표상한 법궁 ‘경복궁’”. 시사매거진. 2021년 4월 27일. 2024년 3월 11일에 확인함. 
  2. “總督府美術舘竣工”. 동아일보. 1939년 5월 15일. 2024년 3월 11일에 확인함. 
  3. “總督府美術舘 新築落成”. 조선일보. 1939년 5월 25일. 2024년 3월 11일에 확인함. 
  4. “総 제18회 国展 評 受賞作品을 中心으로”. 조선일보. 1969년 10월 23일. 2024년 3월 11일에 확인함. 
  5. 노형석 (2023년 8월 31일). “원로 미술가, 초대전 열어준 국립미술관 공개 성토…왜 이 지경까지”. 한겨레. 2024년 3월 11일에 확인함. 
  6. 황희경 (2023년 5월 25일). “60∼70년대 전위적인 한국실험미술 역사…국립현대미술관 전시(종합)”. 연합뉴스. 2024년 3월 11일에 확인함. 
  7. “民俗박물관 來11일 開舘”. 경향신문. 1975년 4월 25일. 2024년 3월 11일에 확인함. 
  8. “<役事> 문체부 27일 경복궁 복원계획 발표”. 연합뉴스. 1995년 2월 27일. 2024년 3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