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 國立中央博物館 | |
---|---|
![]() | |
옛 명칭 | 국립박물관 |
유형 | 역사박물관 |
국가 |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
개관일 | 1972년 7월 19일 |
소장 작품 수 | 403,290점[1] |
운영자 | 문화체육관광부 |
관장 | 배기동 |
방문객 수 | 3,396,259명[1] |
좌표 | 북위 37° 31′ 26″ 동경 126° 58′ 50″ / 북위 37.523930° 동경 126.980493° 좌표: 북위 37° 31′ 26″ 동경 126° 58′ 50″ / 북위 37.523930° 동경 126.980493° |
웹사이트 | http://www.museum.go.kr/ |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National Museum of Korea)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번지에 위치한 국립박물관이다. 1972년 7월 19일 발족하였으며, 지금의 박물관은 2005년 10월 28일 신축 개관한 것이다.
본관은 동관과 서관으로 되어 있으며, 지하 1층·지상 6층으로, 3개 층으로 나누어 전시된다. 길이 404미터, 최고 높이 43.08미터의 건물로 세계에서 6번째로 큰 박물관이다. 어린이 박물관과 야외 전시장이 별도로 갖추어져 있다. 1월 1일은 휴관이며, 2008년 5월 1일부터 상설전시관, 어린이박물관의 관람료는 무료가 되었다. 부설극장 '용'에서는 여러가지 공연을 하며 전통염료식물원과 한글박물관 등의 부설 시설도 있다.
행정[편집]
설치근거와 소관[편집]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10조 제1항, "국가를 대표하는 박물관과 미술관으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소속으로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을 둔다."라는 조항에 설치 근거를 두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하도록 되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으로서, 고고학·미술사학·역사학 및 인류학 분야에 속하는 문화재와 자료를 수집·보존 및 전시하여 일반 공중의 관람에 제공하며, 이에 관한 연구·조사와 전통문화의 계몽·홍보·보급 및 교류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의 구체적인 소관 업무는 다음과 같다.
- 국내외 문화재의 보존·관리
- 국내외 박물관자료의 체계적인 보존·관리
- 국내 다른 박물관에 대한 지도·지원 및 업무 협조
- 국내 박물관 협력망의 구성 및 운영
- 그 밖에 국가를 대표하는 박물관으로서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업무
조직[편집]
역사[편집]
- 1909년 11월: 대한제국에서 창경궁에 제실박물관을 개관.
- 1915년 12월: 조선총독부 박물관 개관.
- 1945년 12월: 조선총독부 박물관을 인수하여 국립박물관 개관.
- 1949년 12월: 문교부 소속으로 변경.
- 1950년 12월: 한국 전쟁으로 인해 부산광역시 광복동으로 임시 이전.
- 1953년 08월: 서울 경복궁으로 청사 복귀.
- 1954년 01월: 남산 분관으로 이전.
- 1955년 06월: 덕수궁 석조전으로 이전.
- 1968년 07월: 문화공보부 소속으로 변경.
- 1969년 05월: 덕수궁미술관을 흡수.
- 1972년 07월: 국립중앙박물관으로 명칭 변경.
- 1972년 08월: 경복궁으로 신축 이전.(현재는 국립민속박물관으로 이용 중)
- 1986년 08월: 조선총독부 건물을 보수하여 이전.
- 1992년 10월: 국립민속박물관을 분리.
- 1996년 12월: 국립고궁박물관 자리로 이전.
- 2005년 10월: 현재 위치인 용산구로 신축 이전 개관.
전시[편집]

총 6개의 관과 50개의 실로 구성되어 있다. 12,044점의 유물을 전시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전시물은 외부전시일정 및 유물의 보존 상태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있다. 상설전시장 및 어린이박물관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전시장은 국립중앙박물관 앱 또는 PMP로 전시안내서비스를 이용하여 관람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영어,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등 외국인을 위한 전시해설도 갖춰져 있다.
개관시간은 항상 오전 10시이며 월, 화, 목, 금요일에는 18시까지 관람할 수 있고 수, 토요일은 21시 까지이다. 일요일 및 공휴일에는 19시 까지이다. 매년 1월 1일과 설날 당일, 추석 당일에는 휴관한다.
- 선사 · 고대관 -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고조선, 부여/삼한, 고구려, 백제, 가야, 신라, 통일신라, 발해
- 중 · 근세관 -고려, 조선
- 서화관 - 서예, 회화, 불교회화, 사랑방
- 기증관 - 이홍근, 기증문화재, 김종학, 유강열, 박영숙, 최영도, 박병래, 가네코 가즈시게, 유창종, 하치우마 다다스, 이우치 이사오
- 조각 · 공예관 - 백자, 분청사기, 청자, 금속공예, 불교조각
- 아시아관 - 인도/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중국, 신안해저 문화재, 일본
소장품[편집]

2016년 12월 31일 기준 소장품 현황은 다음과 같다.
금속 | 토제 | 도자기 | 석 | 유리 보석 |
초제 | 나무 | 골각 패갑 |
지 | 피모 | 사직 | 종자 | 기타 | 계 |
---|---|---|---|---|---|---|---|---|---|---|---|---|---|
19,387건 | 43,234건 | 56,232건 | 11,292건 | 39,483건 | 82건 | 4,520건 | 2,898건 | 17,304건 | 145건 | 3,026건 | 87건 | 1,104건 | 198,524건 |
61,914점 | 107,885점 | 95,341점 | 30,376점 | 52,164점 | 102점 | 7,355점 | 4,961점 | 35,635점 | 227점 | 5,922점 | 151점 | 1,257점 | 403,290점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국립중앙박물관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