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석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월인석보》(月印釋譜, 중세 한국어: ᅌᅯᇙ〮ᅙᅵᆫ〮셕〮봉〯)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1459년(세조 5년)에 간행한 목판본 불교 서적이다.[1] 초간본 10권(권1·2·7·8·9·10·13·14·17·18) 8책과 중간본 4권(권21·22·23·25) 4책이 보물 제745호로 지정되었으며, 초간본 2권(권11·12) 2책이 보물 제935호로 지정되어 있다.[2] 조선 전기 한국어 연구와 불교학 및 문헌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며 조선 왕조때 편찬된 석가 일대기로서는 결정판이라 할 수 있다. 초간본의 1권 맨 앞부분에는 훈민정음의 어제서문(御製序文)과 예의(例義) 부분이 한글로 번역된 '훈민정음 언해'가 실려 있는데,[3] 현재까지 발견된 책중에는 '훈민정음 언해'가 실려있는 최초의 문헌이다.

1447년(세종 29년)에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아들인 수양대군(후의 세조)이 불교 서적을 참고하여 《석보상절》을 편찬했으며, 세종이 이 책을 읽고 한글로 직접 찬불가를 지었는데, 이것을 엮어 《월인천강지곡》을 편찬했다. 세조 5년에 이 두책을 합하여 월인석보를 간행했다. 편찬 동기는 1457년(세조 3년)에 사망한 아들 의경세자와 부왕 세종대왕의 명복을 빌기 위함이라고 되어있지만, 어린 조카 단종을 몰아내 죽이고 왕위에 올라, 사육신 등 많은 신하를 죽인 끝에 당하는 정신적인 괴로움, 회한과 무상(無常)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추진했다고 보는 것이 정설이다.[4]

신미(信眉), 수미(守眉), 설준(雪竣), 효운(曉雲), 지해(智海), 홍준(弘濬), 학열(學悅), 학조(學祖) 등의 고승과 유학자 김수온(金守溫) 등으로 당대의 불학(佛學)을 대표하는 인물들이 편찬작업에 함께 하였다. 《월인천강지곡》의 한 구절씩을 본문으로 하고 그에 해당하는 내용의 《석보상절》은 주석(註釋)같이 하여 구성하였다.[5] 여러차례 복간된것으로 보이며 현존하는 책들은 경상북도 영주(榮州)의 희방사(喜方寺), 경상북도 안동(安東)의 경흥사(慶興寺), 충청남도 논산(論山)의 쌍계사(雙溪寺)에서 인쇄한 것들이다.[5]

구성[편집]

현존하는 책이 전질이 아니기 때문에 명확하지 않지만 월인석보는 전체 25권인 것으로 추정된다.[6]

목판[편집]

1569년(선조 2년) 새긴 월인석보의 목판 중 일부가 갑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그 중 일부가 보물 제582호로 지정되어 있다.

희방사에도 1568년(선조 1년)에 새긴 목판이 있었으나 한국 전쟁 때 불타 사라졌다.[10]

갤러리[편집]

각주[편집]

  1. [네이버 국어사전] 월인석보 (月印釋譜)
  2. [네이버 지식백과] 월인석보 [月印釋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3. [네이버 지식백과] 월인석보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당시의 글자나 말을 그대로 보전하고 있어 국어사(國語史) 연구에도 매우 귀중한 문헌이다.  특히 권1 앞에 훈민정음 언해본이 실려 있어, 한글 창제와 함께 왕조의 통치방침을 살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글의 변천사도 알 수 있다.
  4. [네이버 지식백과] 월인석보 [月印釋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5. [네이버 지식백과] 월인석보 [月印釋譜] (두산백과)
  6. 월인석보 권25,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탈
  7. 김창호; 정명진 (1997년 7월 16일). “월인석보 권4·권15 발견 … 임진왜란전 한글연구 귀중자료”. 《중앙일보》. 
  8. 송의호 (1999년 7월 28일). “한글연구 획기적 자료 '월인석보 제19' 초간본 발견”. 《중앙일보》. 
  9. 이창윤 (2016년 1월 27일). “유일한 초간본 ‘광흥사 월인석보 권21’ 첫 공개”. 《불교저널》. 
  10. "희방사 월인석보 목판, 쌀 7∼8가마 값도 없어 소실". 《연합뉴스》. 2019년 6월 12일. 

외부 링크[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양반관료의 문화〉"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