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질병관리청장(疾病管理廳長)은 질병관리청을 대표하는 직위이다. 차관급 정무직 공무원으로 보한다.
|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 (정부조직법 제38조 제2항) 방역ㆍ검역 등 감염병에 관한 사무 및 각종 질병에 관한 조사ㆍ시험ㆍ연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장관 소속으로 질병관리청을 둔다.
국립보건원장[편집]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박정희 정부
|
초대
|
윤유선
|
1963년 12월 27일 ~ 1964년 2월 29일
|
|
2대
|
김수명
|
1964년 3월 9일 ~ 1965년 5월 3일
|
|
3대
|
윤유선
|
1965년 5월 3일 ~ 1966년 12월 28일
|
|
4대
|
홍문화
|
1966년 12월 28일 ~ 1969년 5월 1일
|
|
5대
|
허용
|
1969년 5월 1일 ~ 1974년 3월 4일
|
|
6대
|
한관섭
|
1974년 3월 4일 ~ 1978년 3월 29일
|
|
7대
|
신양식
|
1978년 3월 29일 ~ 1982년 6월 27일
|
|
전두환 정부
|
8대
|
지달현
|
1982년 6월 28일 ~ 1987년 10월 6일
|
|
9대
|
백승복
|
1987년 10월 26일 ~ 1989년 3월 8일
|
|
노태우 정부
|
10대
|
이성우
|
1989년 3월 8일 ~ 1993년 4월 1일
|
|
김영삼 정부
|
11대
|
유원하
|
1993년 4월 6일 ~ 1993년 10월 26일
|
|
12대
|
이강추
|
1993년 10월 26일 ~ 1995년 12월 11일
|
|
13대
|
조병륜
|
1996년 1월 31일 ~ 1999년 5월 14일
|
|
김대중 정부
|
14대
|
이준상
|
1999년 6월 14일 ~ 2001년 12월 3일
|
|
노무현 정부
|
15대
|
김문식
|
2002년 3월 13일 ~ 2004년 1월 18일
|
|
질병관리본부장[편집]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노무현 정부
|
초대
|
김문식[1]
|
2004년 1월 19일 ~ 2004년 3월 12일
|
|
2대
|
오대규
|
2004년 3월 17일 ~ 2007년 4월 9일
|
|
3대
|
이종구
|
2007년 4월 10일 ~ 2011년 5월 31일
|
|
이명박 정부
|
4대
|
전병율
|
2011년 6월 1일 ~ 2013년 6월 3일
|
|
박근혜 정부
|
5대
|
양병국
|
2013년 9월 30일 ~ 2016년 1월 15일
|
|
6대
|
정기석[2]
|
2016년 2월 2일 ~ 2017년 7월 25일
|
|
문재인 정부
|
7대
|
정은경
|
2017년 7월 26일 ~ 2020년 9월 11일
|
|
질병관리청장[편집]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문재인 정부
|
초대
|
정은경
|
|
현직
|
|
---|
|
본청 |
- 청장
- 종합상황실
- 감염병정책국
- 감염병위기대응국
- 감염병진단분석국
- 의료안전예방국
- 만성질환관리국
| |
---|
질병대응센터 | 수도권질병대응센터 | |
---|
경북권질병대응센터 | |
---|
경남권질병대응센터 | |
---|
호남권질병대응센터 | |
---|
|
---|
국립결핵병원 | |
---|
소속 기관 | |
---|
|
---|
|
입법부 | |
---|
행정부 | 중앙부처 차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직속기구 | |
---|
행정안전부 직속기구 | |
---|
산업통상자원부 직속기구 | |
---|
|
---|
대통령 직속기구 | |
---|
국무총리 직속기구 | |
---|
산하 외청장 | |
---|
공공기관 | |
---|
대검찰청 | |
---|
대학교 |
|
---|
외교부 | |
---|
국군 중장 | |
---|
|
---|
사법부 | |
---|
독립 기구 | |
---|
지방직 | |
---|
한시적으로 임용되는 특별검사는 고등검찰청 검사장급 예우를 받고 특별검사보는 지방검찰청 검사장급의 예우를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