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융위원회 위원장(金融委員會 委員長)은 대한민국 금융위원회를 대표하는 직위로, 장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 (정부조직법 제7조제1항)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 (금융위원회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제1항) 위원장은 금융위원회를 대표하며, 금융위원회의 회의를 주재하고 사무를 총괄한다.
역대 위원장[편집]
금융감독위원회 위원장[편집]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김대중 정부
|
초대
|
이헌재(李憲宰)
|
1998년 3월 1일 ~ 2000년 1월 12일
|
초대 위원장부터 금융감독원장 겸임
|
-
|
이용근(李容根)
|
2000년 1월 13일 ~ 2000년 1월 18일
|
직무대리
|
2대
|
2000년 1월 19일 ~ 2000년 8월 8일
|
|
3대
|
이근영(李瑾榮)
|
2000년 8월 9일 ~ 2003년 3월 16일
|
|
노무현 정부
|
4대
|
이정재(李晶載)
|
2003년 3월 17일 ~ 2004년 8월 3일
|
|
5대
|
윤증현(尹增鉉)
|
2004년 8월 4일 ~ 2007년 8월 3일
|
|
6대
|
김용덕(金容德)
|
2007년 8월 4일 ~ 2008년 3월 5일
|
|
금융위원회 위원장[편집]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이명박 정부
|
초대
|
전광우(全光宇)
|
2008년 3월 1일 ~ 2009년 1월 20일
|
|
2대
|
진동수(陳棟洙)
|
2009년 1월 20일 ~ 2011년 1월 3일
|
|
3대
|
김석동(金錫東)
|
2011년 1월 3일 ~ 2013년 2월 25일
|
|
박근혜 정부
|
-
|
추경호(秋慶鎬)
|
2013년 2월 26일 ~ 2013년 3월 21일
|
직무대리
|
4대
|
신제윤(申齊潤)
|
2013년 3월 22일 ~ 2015년 3월 13일
|
|
-
|
정찬우(鄭燦宇)
|
2015년 3월 13일 ~ 2013년 3월 17일
|
직무대리
|
5대
|
임종룡(任鍾龍)
|
2015년 3월 17일 ~ 2017년 7월 18일
|
|
문재인 정부
|
6대
|
최종구(崔鍾球)
|
2017년 7월 19일 ~ 2019년 9월 8일
|
|
7대
|
은성수(殷成洙)
|
2019년 9월 9일 ~
|
|
같이 보기[편집]
|
---|
|
위원회 소속 | |
---|
산하 공공기관 | |
---|
소관기관 | |
---|
- 위원장, 부위원장, 상임위원(2인), 비상임위원(1인) 등 5인에 당연직위원 4인(한국은행 부총재, 기획재정부 차관, 예금보험공사 사장, 금융감독원장)을 포함하여 총 9인의 위원으로 구성된 합의제 행정기관이다.
- 위원장은 장관급이고 부위원장(증권선물위원회 위원장 겸임)은 차관급이며 상임위원(2인) 및 사무처장은 고위공무원 가급(1급 상당)이다.
|
|
---|
원장 | | |
---|
장관 | |
---|
실장 | |
---|
위원장 | |
---|
처장 | |
---|
외청장 | |
---|
- 감사원장, 기획재정부 장관 및 교육부 장관은 부총리급 대우를 받는다.
- 국무총리비서실장,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처장 및 외청장은 차관급 대우를 받는다. 단, 국가보훈처장과 검찰총장은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 그 외의 직책은 모두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
|
---|
입법부 | |
---|
행정부 | 중앙부처 장관 | |
---|
위원장 | |
---|
국립대학교 총장 | |
---|
해외 주재 대사 | |
---|
국군 대장 | |
---|
|
---|
사법부 | |
---|
독립 기구 | |
---|
지방직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