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外交統一委員會, 영어: Foreign Affairs and Unification Committee)는 외교·통일에 관한 국회의 의사결정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국회 상임위원회이다.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편집]
설치 근거[편집]
- 국회법 [법률 제11717호, 2013.03.23 일부개정] 제37조[1]
소관 업무[편집]
- 외교부와 통일부의 소관에 속하는 의안과 청원 등의 심사, 기타 법률에서 정하는 직무를 수행한다.
연혁[편집]
- 1948년 10월 2일: 외무국방위원회를 설치
- 1951년 3월 9일: 외무국방위원회를 외무위원회와 국방위원회로 분리
- 1988년 6월 20일: 외무위원회를 외무통일위원회로 개편
- 1997년 11월 18일: 외무통일위원회를 통일외교통상위원회로 개편
- 2008년 8월 26일: 통일외교통상위원회를 외교통상통일위원회로 개편
- 2013년 3월 23일: 외교통상통일위원회를 외교통일위원회로 개편
직무[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소관 부처[편집]
위원 명단[편집]
위원정수 | 현원[2] |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 | 바른미래당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 무소속 |
---|---|---|---|---|---|---|
22 | 22 | 10 | 8 | 2 | 1 | 1 |
위원장 | 강석호 - 경북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 |||||
간사 | 이수혁 - 비례대표 | 정양석 - 서울 강북구 갑 | 정병국 - 경기 여주시·양평군 | 천정배 - 광주 서구 을 | ||
위원 |
|
이정현 - 전남 순천시 |
소위원회[편집]
소위원회 | 의원[3] | ||||
---|---|---|---|---|---|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 | 바른미래당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 ||
법안심사소위원회 (7인) |
소위원장 | ||||
소위원 | |||||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 (6인) |
소위원장 | ||||
소위원 | |||||
청원심사소위원회 (6인) |
소위원장 | ||||
소위원 | |||||
공공외교강화소위원회 (5인) |
소위원장 | ||||
소위원 |
소관 법률[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외교부[편집]
- 대한민국재외공관설치법
- 재외공관용재산의 취득·관리등에 관한 특례법
- 재외공관공증법
- 재외공관수입금등 직접 사용에 관한 법률
- 정부대표및특별사절의임명과 권한에 관한 법률
- 외무공무원법
- 여권법
- 해외이주법
- 재외국민등록법
- 재외동포재단법
- 한국국제협력단법
- 국제협력요원에 관한 법률
- 한국국제교류재단법
- 세계무역기구협정이행에 관한 특별법
- 영해및접속수역법
- 배타적경제수역법
- 남극활동및환경보호에 관한 법률
- 해외긴급구호에 관한 법률
- 외국인의 서명날인에 관한 법률
- 고려인동포 합법적 체류자격 취득 및 정착지원을위한특별법
- 국제개발협력기본법
- 국제연합평화유지활동참여에관한법률
통일부[편집]
-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 남북협력기금법
-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 통일교육지원법
-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
-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법
-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 체결 이후 납북피해자의 보상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개성공업지구 지원에 관한 법률
- 남북이산가족 및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안
-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규명 및 납북피해자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편집]
각주[편집]
- ↑ ① 상임위원회와 그 소관은 다음과 같다.
- 7. 외교통일위원회
- 가. 외교부 소관에 속하는 사항
- 나. 통일부 소관에 속하는 사항
- 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에 관한 사항
- 7. 외교통일위원회
- ↑ “국회활동 > 위원회 > 위원회 현황”. 《대한민국 국회》. 2016-12-13 기준 명단
- ↑ “위원회 소개 > 위원회 구성 > 소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6-12-13 기준 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