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2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yush00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5월 2일 (금) 23:13 판 (서울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추돌 사고 추가)
서울 지하철 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에 진입 중인 208편성
구로디지털단지역에 진입 중인 214편성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도시 철도
체계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
상태영업 중
기점본선: 시청역
(서울특별시 중구)
성수지선: 성수역
(서울특별시 성동구)
신정지선: 신도림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종점본선: 시청역
(서울특별시 중구)
성수지선: 신설동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신정지선: 까치산역
(서울특별시 강서구)
역 수51
개통일1980년 10월 31일(신설동~종합운동장)
1982년 12월 23일(종합운동장~교대)
1983년 9월 16일(을지로입구~성수)
1983년 12월 17일(교대~서울대입구)
1984년 5월 22일(서울대입구~을지로입구)
1992년 5월 22일(신도림~양천구청)
1996년 2월 29일(양천구청~신정네거리)
1996년 3월 20일(신정네거리~까치산)
소유자서울특별시
운영자서울교통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시청~시청 본선: 49.1 km
성수~신설동 성수지선: 5.4 km
신도림~까치산 신정지선: 6.0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시청 - 시청, 성수 - 신설동, 도림천 - 신정네거리)
전철화가공전차선·가공강체가선
직류 1,500 V
신호 방식Nippon Signal ATS,ATS-P
(2022년 종료)[1]
LZB/ATP/ATO [수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LZB/ATP/ATO 구간 80km/h
서울 지하철 2호선
km
0.0
201 시청
0.7
202 을지로입구
1.5
203 을지로3가
2.1
204 을지로4가
3.1
205 동대문역사문화공원
4.0
206 신당
4.9
207 상왕십리
5.7
208 왕십리
6.7
209 한양대
7.8
210 뚝섬
8.6
0.0
211 성수
2.3
211-1 용답/군자차량사업소
3.3
211-2 신답
4.2
211-3 용두
5.4
211-4 신설동
연결선
9.8
212 건대입구
11.4
213 구의
12.3
214 강변
(한강, 잠실철교)
14.1
215 잠실나루
15.1
216 잠실
16.3
217 잠실새내
17.5
218 종합운동장
18.5
219 삼성
19.8
220 선릉
21.0
221 역삼
21.8
222 강남
23.0
223 교대
23.7
224 서초
25.4
225 방배
27.0
226 사당
28.7
227 낙성대
29.7
228 서울대입구
30.7
229 봉천
31.8
230 신림
33.6
231 신대방
34.7
232 구로디지털단지
35.8
233 대림
37.6
0.0
234 신도림
1.0
234-1 도림천
2.7
234-2 양천구청
4.6
234-3 신정네거리
연결선
6.0
234-4 까치산
38.8
235 문래
39.7
236 영등포구청
40.8
237 당산
(한강, 당산철교)
42.8
238 합정
43.9
239 홍대입구
45.2
240 신촌
46.0
241 이대
46.9
242 아현
47.7
243 충정로
48.8
201 시청

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 地下鐵 二號線)은 서울메트로도시 철도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운행 계통이다. 서울특별시 중구시청역을 기점으로 하는 을지로 순환선[2]성수역 - 신설동역 사이를 잇는 성수지선, 신도림역까치산역을 잇는 신정지선으로 구성된다. 운행 계통으로서는 주 운행 계통인 을지로 순환선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는 내선 순환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환하는 외선 순환과, 성수지선과 신정지선을 운행하는 보조 운행 계통이 있다. 노선 안내 등에 사용되는 노선 색은 초록이 사용되고 있다.

2012년 기준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붐비는 노선으로 서울 지하철 전체 이용 승객의 31%인 일평균 204만 8000명이 이 노선을 이용하고 있다.[3]

개요

플랩식 행선 안내기. LED 행선 안내기 도입 전까지 1기 지하철 구간에서 사용한 것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에 가장 최근까지 남아 있었다. 2005년에 몇개 역사에 새로운 행선 안내기가 설치되었다가 사업자간 문제로 얼마 뒤에 철거되었고, 2010년에 새 사업자가 선정되어 행선 안내기가 LCD 방식의 신형으로 교체되면서 현재 모두 철거되었다.

구자춘 전 서울시장의 3핵도시 구상[4]에 따라 1972년의 계획 [5]을 파기하고 계획한 노선으로,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88 서울 올림픽을 대비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는 특징도 있다.

서울 도심과 부도심을 이으며 도심에서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서울 지하철수도권 전철 각 노선을 잇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혼잡도가 높은 편이며, 특히 오전 8시 ~ 오전 9시, 교대 - 강남 구간은 아침 출근시간 대한민국 철도 노선 중 최고의 혼잡률인 225%의 혼잡률을 보였다. 2호선의 전동차 정원은 1576명[6]인 것을 생각하면 이는 가장 혼잡한 시간대에는 한 편의 전동차가 평균 3514.5명의 인원을 수송하였음을 나타낸다.

운영

운행

외선·내선 순환

서류상의 기준점은 시청역이나, 운영 및 열차 운행에 있어서는 성수역이 기준점이 된다. 내선 순환은 순환선을 시계 방향으로 도는 운행 계통이며, 외선 순환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돈다. 이전에는 노선의 별칭을 따라 이 운행 계통을 을지로 순환선으로 불렀으나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다.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하며, 대부분의 열차는 차량기지 인근에 위치한 성수역 혹은 신도림역을 출발하여 본선을 몇 바퀴를 돈 뒤 다시 성수역 또는 신도림역에서 운행을 마치는 형태로 운행된다. 이외에도 막차 시간대에는 을지로입구역, 서울대입구역, 삼성역, 홍대입구역 종착 열차가 있으며 이들은 해당 역의 주박선에서 주박을 하고, 다음 날 새벽에 첫차로 운행 후 차량기지로 입고한다. 순환선 전 구간을 한 바퀴 운행하는 데 걸리는 표준 시간은 1시간 27분 (87분) ~ 1시간 30분 (90분)이나 출·퇴근 시간 등에는 지연으로 인하여 늦어질 수 있다. 10량 편성이며 운행 시에는 앞쪽 운전실에 기관사, 뒤쪽 운전실에 차장이 근무하는 2인 승무제를 시행하며 이는 1,3,4호선(코레일 포함)과 같다.

1996년 12월 31일부터 1999년 11월 22일까지 당산철교가 재시공으로 사용이 중지되었을 때 내선 순환은 당산역까지, 외선 순환은 홍대입구역합정역까지만 운행된 적이 있다.[7]

성수지선

성수 - 신설동 구간을 운행하는 지선 운행 계통이다. 2호선 최초 개통 당시에는 본선으로 취급되었으나, 1980년 10월 31일 1단계 개통으로 신설동 - 성수 - 종합운동장 구간이 처음 개통되었을 때는 신설동역에서 종합운동장역까지 동일 계통으로서 운영되었다. 1982년 12월 23일 2단계 개통으로 종합운동장 - 교대 구간이 연장 개통된 이후에도 운행 구간이 종합운동장역에서 교대역으로 연장되었을 뿐,큰 변화없이 운행하였다. 이후 1983년 9월 16일 성수 - 을지로입구 3단계 구간이 연장 개통하면서 신설동 - 성수 구간이 성수지선으로 분리되어 현재와 같은 운행 계통을 갖게 되었다. 성수역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들은 성수지선을 통하여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하거나 기지에서 출고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운행하는 서울메트로 1000호대 VVVF 전동차서울메트로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역시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에서 종착 후 1호선 및 2호선의 연결선을 이용하여 2호선 신설동역 구 승강장 (지하 3층)을 통과한 후, 기지로 입고한다. 이 때문에 종종 성수지선 전동차가 용답역 또는 신답역에 1분 이상 정차하는 경우도 있다.[8] 성수지선은 4량 편성으로 편성량이 짧아 현대식 도시철도처럼 1인 승무제를 시행하여 전동차 뒤쪽 운전실에 차장이 별도로 근무하지 않는다.

신정지선

신도림 - 까치산 구간을 운행하는 지선 운행 계통이다. 신도림역신정차량사업소 사이의 입출고선을 연장하는 형태로 건설되었으며, 까치산역에서 5호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 또한, 까치산역 인근에 5호선과의 연결선이 있어서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 당시 차량을 방화차량사업소로 운송하는데 사용되기도 하였다. 신정네거리역에서 까치산역, 신도림역에서 도림천구간이 단선이기 때문에 선행열차가 신정네거리역에서 까치산역으로 들어가거나, 도림천역에서 신도림역으로 간 경우, 후속열차는 선행열차가 되돌아 나올 때까지 대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략 10분)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또한 도림천역양천구청역 사이에 있는 신정차량사업소와의 연결선을 통하여 열차가 입출고하기 때문에 지선 열차가 양천구청역이나 도림천역에서 대기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신정지선은 6량 편성이며 성수지선처럼 1인 승무제를 시행하여 전동차 뒤쪽 운전실에 차장이 별도로 근무하지 않는다.

차량

차량은 군자차량사업소신정차량사업소에 각각 분산 배치되어 있으며, 입·출고 시에는 각 차량기지와 연결된 지선을 사용한다.

역사

역 목록

본선 (을지로순환선)

역 번호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201 시청 수도권 전철 1호선 0.0 0.0 서울특별시 중구
202 을지로입구 0.7 0.7
203 을지로3가 수도권 전철 3호선 0.8 1.5
204 을지로4가 수도권 전철 5호선 0.6 2.1
205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1.0 3.1
206 신당 서울 지하철 6호선 0.9 4.0
207 상왕십리 0.9 4.9 성동구
208 왕십리 수도권 전철 5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0.8 5.7
209 한양대 1.0 6.7
210 뚝섬 1.1 7.8
211 성수 성수지선 0.8 8.6
212 건대입구 서울 지하철 7호선 1.2 9.8 광진구
213 구의(광진구청) 1.6 11.4
214 강변(동서울터미널) 0.9 12.3
215 잠실나루 1.8 14.1 송파구
216 잠실(송파구청) 서울 지하철 8호선 1.0 15.1
217 신천 1.2 16.3
218 종합운동장 1.2 17.5
219 삼성(무역센터) 1.0 18.5 강남구
220 선릉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1.3 19.8
221 역삼 1.2 21.0
222 강남 신분당선 0.8 21.8
223 교대(법원·검찰청) 수도권 전철 3호선 1.2 23.0 서초구
224 서초 0.7 23.7
225 방배 1.7 25.4
226 사당 수도권 전철 4호선 1.6 27.0 동작구
227 낙성대 1.7 28.7 관악구
228 서울대입구(관악구청) 1.0 29.7
229 봉천 1.0 30.7
230 신림 1.1 31.8
231 신대방 1.8 33.6 동작구
232 구로디지털단지 1.1 34.7 구로구
233 대림(구로구청) 서울 지하철 7호선 1.1 35.8
234 신도림 수도권 전철 1호선
신정지선
1.8 37.6
235 문래 1.2 38.8 영등포구
236 영등포구청 수도권 전철 5호선 0.9 39.7
237 당산 서울 지하철 9호선 1.1 40.8
238 합정 서울 지하철 6호선 2.0 42.8 마포구
239 홍대입구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인천국제공항철도
1.1 43.9
240 신촌
(지하)
1.3 45.2
241 이대 0.8 46.0
242 아현 0.9 46.9
243 충정로(경기대입구) 수도권 전철 5호선 0.8 47.7 서대문구
201 시청 수도권 전철 1호선 1.1 48.8 중구

성수지선

역 번호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211 성수 을지로순환선 0.0 0.0 서울특별시 성동구
211-1 용답 2.3 2.3
211-2 신답 1.0 3.3
211-3 용두(동대문구청) 0.9 4.2 동대문구
211-4 신설동 수도권 전철 1호선 1.2 5.4

신정지선

역 번호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234 신도림 수도권 전철 1호선
을지로순환선
0.0 0.0 서울특별시 구로구
234-1 도림천 1.0 1.0
234-2 양천구청 1.7 2.7 양천구
234-3 신정네거리 1.9 4.6
234-4 까치산 수도권 전철 5호선 1.4 6.0 강서구

승차량 변동

신대방역에 도착하는 201편성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역당 승차량 평균값은 이탤릭으로 처리하였다. 테헤란로는 강남에 포함되는 지역이지만 특히 밀도가 높은 지역이기 때문에 드러내기 위해 별도로 이탤릭으로 표기하였다.

구간 승차 인원[9]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범주구별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호선 전체 1403567 28644 1413009 28837 1437622 29339 1424944 29080
순환선 1369491 31849 1377220 32028 1401890 32602 1390199 32330
도심(충정로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135854 22642 137643 22941 140319 23387 137656 22943
성동(신당 - 강변) 223129 24792 222052 24672 225775 25086 221599 24622
강남(성내 - 사당) 496082 41340 498815 41568 503244 41937 501343 41779
테헤란로(삼성 - 강남) 249059 62265 253591 63398 259627 64907 263204 65801
서남(낙성대 - 당산) 342966 31179 353042 32095 365317 33211 365022 33184
서북(합정 - 아현) 171460 34151 165668 33723 167235 34289 164579 33587
성수지선 10840 3613 10779 3593 10548 3516 10282 3427
신정지선 23236 7745 25010 8337 25184 8395 24463 8154
구간 승차 인원[9]
2004년 2005년 2006년
범주구별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호선 전체 1441774 29424 1442947 28859 1451283 29026
순환선 1406805 32716 1409259 32773 1417598 32967
도심(충정로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140754 23459 138299 23050 135439 22573
성동(신당 - 강변) 223495 24833 221316 24591 218823 24314
강남(잠실나루 - 사당) 501466 41789 503223 41935 508577 42381
테헤란로(삼성 - 강남) 268513 67128 267857 66964 270452 67613
서남(낙성대 - 당산) 373605 33964 380370 34579 390698 35518
서북(합정 - 아현) 167485 34209 166051 34166 164061 33814
성수지선 10584 3528 11560 2890 11033 2758
신정지선 24383 8128 23487 7829 22649 7550

서울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추돌 사고

주석 및 참고 자료

  1. 성수지선만 2024년 종료예정
  2. 서울 지하철 2호선의 본선 역할을 한다.
  3. 오진희. “지난해 서울지하철 24억명 이용..2호선 강남역 가장 붐벼”. 아시아경제. 2013년 7월 9일에 확인함. 
  4. 기존의 도심권, 강남권, 영등포권을 가리킨다.
  5. 제1호선 서울역청량리역 9.54 ㎞ (1971년1974년 건설)
    제2호선 영등포왕십리 35.5 ㎞ (1974년1985년 건설)
    제3호선 미아동 ∼ 퇴계로 경유 ∼ 불광동 21.5 ㎞ (1977년1979년 건설)
    제4호선 강남 포이동 ∼ 율곡로 경유 ∼ 대림동 34.5 ㎞ (1979년1985년 건설)
    제5호선 연희동종로 ∼ 천호동 ( ~ 광주대단지) 32 ㎞ (1978년1985년 건설)
  6. 순환선 기준.
  7. 당시 당산역 - 합정역 구간은 셔틀버스를 투입하여 불편을 최소화 하였다. 1999년 11월 22일 당산철교 다시 재개통되어 순환선 전 구간으로 재변경되고 한 바퀴 연장운행되어 돌아갔다.
  8. 김범석. “신설동 지하 유령역, 스크린서 깨어날까”. 동아일보. 2011년 4월 28일에 확인함. 
  9.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이용 규모 주석 1번 참조

함께 보기

같이 보기

틀:서울 2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