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국제공항

59.12.200.73 (토론)님의 2014년 4월 14일 (월) 18:27 판 (→‎국제선)
김해국제공항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김해국제공항 국내선 터미널

IATA: PUS - ICAO: RKPK
개요
공항종별 군-민 공용
시간기준 한국 표준시
운영시간 06:00~23:00
소유기관 대한민국 대한민국 공군
운영기관 대한민국 대한민국 공군
미국 미국 공군
한국공항공사
지역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위치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2350
건립시기 1940년
점유기관 5 전술공수비행단
해발고도 2 m / 6 ft
좌표 북위 35° 10′ 46″ 동경 128° 56′ 17″ / 북위 35.17944° 동경 128.93806°  / 35.17944; 128.93806
웹사이트 www.airport.co.kr
지도
PUS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PUS
PUS
PUS(대한민국)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18R/36L 3200 60 YES 콘크리트
18L/36R 2743 60[1] YES 아스팔트

김해국제공항(金海國際空港,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IATA: PUSICAO: RKPK)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2350에 있는 국제공항이다.[2] 5 전술공수비행단이 주둔하고 있다.

개요

2008년 한 해 동안 승객 7,202,117명과 화물 113,710,220톤의 수송 실적을 보였다. 이러한 규모는 대한민국의 공항 중 승객 및 화물 모두 4위에 해당된다.[3] 아시아나항공 계열 저가항공사인 에어부산이 김해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이용하고 있다.

1940년 일본 육군 비행장으로 건설된 김해국제공항은, 2011년 현재 대한민국 공군제5전술공수비행단이 사용하고 있다. 김해국제공항의 공군5전비는 성남 서울공항의 공군15혼비와 함께 대한민국 공군의 최대 크기 수송기인 C-130을 운영하는 부대이며, 2012년부터 E-737 조기경보기도 운영할 예정이다. 5전비에는 실미도 부대의 부대마크를 그대로 사용하는 특수부대가 있다.

역사

김해국제공항은 부산의 수영비행장 이전을 위해 만들어졌다. 수영비행장은 본래 일제1940년, 지금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벡스코 부지에 육군 비행장으로 수영비행장을 개설하면서 시작되었다. 광복 이후인 1946년에는 미군정대한민국의 민간인 수송을 위해 C-47항공기 여덟 대를 투입해 김포비행장을 기점으로 서울 - 대구 - 부산 간 노선을 주 2회 운항하게 되면서 비로소 민간인들의 수영비행장 이용이 시작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인 1948년 10월 30일에는 대한국민항공사(KNA)에서 서울 - 부산 간 국내선 노선을 운항하기 시작하였고, 한국전쟁 중이던 1950년 8월에는 수영비행장을 임시국제공항으로 지정해 운영하면서 최초로 국제공항으로서의 기능을 하기 시작하였다. 정전 이후에는 여의도비행장을 임시국제공항으로 지정해 운영하게 되면서 수영비행장은 국제공항의 기능을 하지 않게 되었지만, 1953년 12월부터는 수영비행장을 기점으로 해 광주, 군산, 대구, 제주를 잇는 노선을 부정기로 운항하게 되었다. 1957년 12월 17일에는 항공통신소를 설치하게 된다.

1958년 1월 30일에는 수영비행장의 명칭이 부산비행장으로 변경되고, 1963년 9월 30일에는 교통부에 의해 정식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다.[4]

1976년 8월에는 부산비행장을 지금의 위치인 김해군 대저읍으로 이전하고, 명칭을 김해국제공항으로 변경하게 된다. 공항 부지는 당시에는 김해군에 속했으나 현재는 행정구역 개편으로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부산비행장 부지는 공군비행장으로만 사용되다가 1987년에 폐쇄되고 현재 센텀시티벡스코가 들어섰다.

이후 1983년 5월에는 한국공항공단이 김해국제공항을 인수해 운영하게 되었고, 1993년 5월에는 현재의 국내선 청사를, 2007년 11월에는 현재의 국제선 청사를 각각 새로이 완공하여 운영하게 되었다.[5]

2014년 이전까지는 대한민국에서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하고 미주 노선과 유럽 노선을 운항하는 유일한 지역 국제공항이었으나, 1994년에는 대한항공호놀룰루로 가는 직항편이 폐지되었으며, 수익이 줄어든 델타 항공의 도쿄 경유 미주 노선을 없앤 뒤 대한항공의 김해 - 괌 노선을 인천 - 괌 노선으로 대체함에 따라 모든 미주 노선이 사라진데 이어[6] 2014년 3월루프트한자의 인천 경유 뮌헨 노선을 없애면서 이 공항에서 유럽 노선과 미주 노선이 사라젔다. 따라서 미주와 유럽으로 여행가기 위해서는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 경유 가능)이나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필리핀, 중화민국 등으로 이동해야 한다.

운항 노선

국제선

항공사목적지
대한민국 대한항공 , 나고야(주부), 도쿄(나리타), 난징, 마닐라, 방콕(수완나품), 베이징(캐피탈), 삿포로(치토세), 상하이(푸둥), 서울(인천)[A], 세부, 씨엠립, 오사카(간사이), 칭다오, 홍콩, 후쿠오카
대한민국 아시아나항공 광저우, 마닐라, 베이징(캐피탈), 사이판, 상하이(푸둥), 서울(인천)[A], 선양, 웨이하이, 창사, 항저우
대한민국 에어부산 도쿄(나리타), 마카오, 세부, 시안, 오사카(간사이), 칭다오, 타이페이(도원), 가오슝, 홍콩, 후쿠오카
대한민국 제주항공 방콕(수완나품)
계절편 : 홍콩
대만 중화항공 타이페이(도원)
러시아 오로라 항공 블라디보스토크
말레이시아 에어아시아 X 쿠알라룸푸르
베트남 베트남 항공 하노이, 호치민
일본 일본항공 도쿄(나리타)
일본 피치 항공 오사카(간사이)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항공 상하이(푸둥)
중화인민공화국 중국국제항공 베이징(캐피탈)
중화인민공화국 중국남방항공 선양, 광저우(2014년 7월 11일 신규취항-주 3 회 운항)
중화인민공화국 중국동방항공 상하이(푸둥), 옌타이
태국 타이 항공 방콕(수완나품)
필리핀 세부퍼시픽 마닐라, 세부
필리핀 에어아시아 제스트 마닐라(2014.5.1 신규취항-주 4 회 운항)
필리핀 필리핀 항공 마닐라, 칼리보
홍콩 홍콩 드래곤 항공 홍콩

A 국제선 환승전용 내항기로 서울(인천)에서 국제선을 환승하려는 승객과, 국제선으로 인천에 도착한 승객만 탑승할 수 있으며 김해공항에서 CIQ를 시행함

국내선

항공사목적지
대한민국 대한항공 서울(김포), 제주
대한민국 아시아나항공 제주
대한민국 에어부산 서울(김포), 제주
대한민국 제주항공 제주
대한민국 코리아 익스프레스 에어 양양

운항제한시간

  • 항공기 운항으로 인한 인근 주민의 소음피해 때문에 밤 11시부터 아침 6시까지 7시간 동안은 모든 종류의 비행기 운항이 금지되어 있다. 원래는 밤 10시 부터 아침 7시까지 9시간 동안 운항이 제한되었으나, 운항 가능 편수 부족으로 부산광역시가 주민대표가 협의하여 2008년 10월 27일 부터는 운항제한시간을 2시간 단축하었다.

이용객 추이

비고[7]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운항(편수) 57,414 52,869 52,923 63,052 61,242 60,090 58,600 52,212
여객 (명) 9,958,559 7,600,329 8,388,401 9,358,152 9,168,089 9,173,288 8,782,835 7,674,153
추이 (여객/전년대비) 감소 2,358,230 증가 788,072 증가 969,751 감소 190,063 증가 5,199 감소 390,453 감소 1,108,682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운항(편수) 50,735 52,935 58,119 59,575 61,171 62,225 66,525 71,713
여객 (명) 7,045,806 7,071,037 7,403,262 7,202,117 6,870,157 8,160,546 8,749,153 9,196,090
추이 (여객/전년대비) 감소 628,347 증가 25,231 증가 332,225 감소 201,145 감소 331,960 증가 1,290,389 증가 588,607 증가 446,937

가장 많이 이용되는 노선

국내선

국내선 노선 순위 (2012년)
순위 공항 여객(명) 운항(편수) 항공사
1 제주국제공항 2,701,266 17,802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2 김포국제공항 2,190,719 18,734 대한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3 인천국제공항 270,534 2,768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국제선

국제선 노선 순위 (2012년)
순위 공항 여객(명) 운항(편수) 항공사
1 일본 도쿄(나리타) 478,580 3,271 대한항공, 델타 항공, 에어부산, 에어아시아 재팬, 일본항공
2 일본 오사카(간사이) 371,845 3,019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3 일본 후쿠오카 347,199 2,906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4 태국 방콕(수완나품) 336,167 1,755 대한항공, 제주항공, 타이항공
5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푸둥) 319,235 2,744 대한항공, 상하이 항공, 아시아나항공, 중국동방항공
6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308,441 2,756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중국국제항공, 하이난 항공
7 홍콩 홍콩 278,285 2,140 대한항공, 드래곤 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8 필리핀 마닐라 193,305 1,876 대한항공, 세부퍼시픽, 아시아나항공, 필리핀항공
9 베트남 하노이 177,437 1,350 대한항공, 베트남 항공, 아시아나항공
10 베트남 호치민 168,222 1,334 베트남 항공, 아시아나항공
11 필리핀 세부 160,726 1,163 대한항공, 세부퍼시픽, 에어부산, 제주항공
12 중화민국 타이페이(도원) 152,198 1,184 부흥항공, 에어부산
13 중화인민공화국 칭다오 136,798 1,248 대한항공, 에어부산
14 일본 나고야(주부) 91,743 718 대한항공
15 일본 기타큐슈 55,993 684 스타플라이어
16 중화인민공화국 선양 45,681 494 아시아나항공, 중국남방항공
17 캄보디아 시엠립 43,296 398 대한항공, 스카이윙스 아시아 항공
18 독일 뮌헨 38,983 550 루프트한자
19 중화인민공화국 창사 34,191 214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20 필리핀 칼리보 33,920 226 제스트항공
21 북마리아나 제도 사이판 29,788 238 델타 항공, 아시아나항공
22 중화인민공화국 웨이하이 27,761 416 아시아나항공
23 일본 삿포로(치토세) 25,825 256 대한항공
24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23,623 206 아시아나항공
25 중화인민공화국 항저우 18,477 206 아시아나항공
26 중화인민공화국 장자제 16,296 114 대한항공, 상하이 항공, 아시아나항공
27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14,367 164 블라디보스토크 항공
28 중화인민공화국 구이린 14,291 102 대한항공
29 중화인민공화국 시안 12,522 78 에어부산
30 마카오 마카오 11,535 96 에어부산

연계 교통편

시내 교통편

  • 7100번 : 김해국제공항 ↔ 서면 ↔ 현대백화점 ↔ 부산진역부산역 ↔ 중앙동 ↔ 연안여객부두 ↔ 남포동 ↔ 충무동.서구청
  • 7101번 : 김해국제공항 ↔ 대남교차로 ↔ 금련산역(남천동) ↔ 수영교차로 ↔ BEXCO ↔ 요트경기장 ↔ 해운대(특급호텔) ↔ 장산역 ↔ 백병원 ↔ 동부아파트 ↔ 대림아파트
  • 7102번 : 김해국제공항 ↔ 남천동 ↔ 광안대교 ↔ BEXCO ↔ 양운고등학교 ↔ 동부아파트 ↔ 백병원 ↔ 장산역 ↔ 해운대(특급호텔)
  • 307번 : 김해국제공항 ↔ 강서구청역구포역덕천역남산정역 ↔ 동래시장 ↔ 안락동 ↔ 센텀초등학교 ↔ 해운대
  • 1009번 : 금곡동 ↔ 율리역덕천역구포역강서구청역 ↔ 김해국제공항 ↔ 명지 ↔ 녹산공단 ↔ 부산신항만 ↔ 가덕도선창
  • 강서11번 : 울만 ↔ 입소 ↔ 설만 ↔ 정관도 ↔ 덕두 ↔ 김해국제공항 ↔ 신덕 ↔ 강서체육공원 ↔ 강서구청역 ↔ 북구청 ↔ 구포역 ↔ 구포시장
  • 강서13번 : 하단역을숙도 ↔ 명지 ↔ 송백 ↔ 금호 ↔ 덕두 ↔ 김해국제공항 ↔ 신덕 ↔ 강서체육공원 ↔ 강서구청역 ↔ 북구청 ↔ 구포역 ↔ 구포시장 ↔ 덕천초등학교

시외 교통편

공항순환버스

  • 공항순환버스는 김해국제공항 내를 순환하는 노선으로 국제선 청사와 국내선 청사를 순환하여 운행하고 있다. 현재 공항순환버스에 천연가스 저상버스를 도입하여 운행하고 있다.

도시철도

부산-김해경전철 '공항역' 에서 사상 방면으로 탑승할 경우 도시철도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대저 방면으로 탑승할 경우 도시철도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고속도로

사건 및 사고

  • 2001년 1월 31일, 김해국제공항을 출발하여 나리타 국제공항으로 가던 일본항공 958편도쿄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오키나와 현 나하 공항으로 가던 일본항공 907편과 시즈오카 현 야이즈시 부근의 공중에서 10m의 간발의 차로 공중충돌을 모면하는 니어미스 사건이 발생한다. 958편에는 승무원을 포함하여 250명, 907편에는 승무원을 포함하여 427명이 탑승하고 있었다. 다급한 관제관이 항공편명을 잘못불러 긴박한 상황이 연출되었으나 907편의 기장이 기체를 급강하 시키면서 대형참사를 피했다. 958편에는 인명피해가 없었지만 907편은 42명의 중경상자가 발생하였다.[8]
  • 2002년 4월 15일, 김해국제공항에 착륙하려던 중국국제항공 129편은 18R 활주로에 착륙하기 위해 선회 착륙을 시도한다. 하지만 시정이 좋지 않았던 당시 기상 상황에 의해 선회 지점을 지나쳐 인근에 있는 돗대산에 추락하여 탑승객 167명 중 128명이 사망한 사고로 기록 되었다.[9]
  • 2007년 8월 12일, 김해국제공항에 착륙하려던 제주항공 502편 (기종:봄바디어 Q400)이 착륙 후 강풍으로 인해 택싱 중 구활주로 G6∼G7 지점에서 갑자기 기체가 왼쪽으로 쏠리면서 활주로를 이탈했다. 이 사고로 10여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10]

논란

대한민국의 동남권 신공항 논란

명칭 변경 문제

  • 부산광역시2011년 10월 공항 명칭을 도시와 공항의 이름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부산국제공항으로 바꾸기로 결의했지만 경상남도 김해시가 이에 반발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에서 김해국제공항은 특별한 이유 없이 도시명과 공항명이 서로 달라 국내외 이용객들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과 과거 김해군에 속해 있던 시기는 불과 1년 6개월인 반면 부산광역시로 편입된 지는 30년이 넘었고 이용객의 59%가 부산광역시민이 이용하고 있다는 이유로 제기되었다.[11] 하지만 김해시의 반발과 여러가지 문제로 명칭 변경은 현재 일단락이 되었다.[12]

주석

  1. 김해공항 대형민항기 두 곳서 뜨고 내린다
  2. 공항 이전 당시에는 이 곳이 경상남도 김해군 (현 김해시)에 속해 있어 김해공항이라 하였으나 1978년 부산직할시 (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었다.
  3. “항공통계”. 2007년 10월 31일에 확인함. 
  4. “민간항공 초기시대”. 2007년 10월 31일에 확인함. 
  5. “김해국제공항 ‘하늘길 두 배로’”. 2007년 11월 6일에 확인함. 
  6. 다만 김해 - 괌 노선의 경우 여름 휴가 철 기간에만 한시적으로 운항을 한다.
  7. 1997~2010 한국공항공사 항공이용통계 참조 (http://airport.co.kr/doc/www/flight/U030501.jsp)
  8. 두 JAL기 10m 차이로 충돌모면 , 《매일경제》, 2001년 2월 1일
  9. 중국항공기 김해추락사고의 원인은 조종미숙, 《연합뉴스》, 2005년 5월 6일
  10. 제주항공 502편 활주로 이탈, 10여명 부상, 《파이낸셜뉴스》, 2007년 8월 12일
  11. 부산 對 김해, 국제공항 명칭 놓고 갈등
  12. 김해국제공항 명칭변경 본회의 상정보류로 일단락

같이 보기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