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 | |
이전 상호 | ㈜씨제이오쇼핑 (2009 ~ 2018) |
---|---|
형태 | 주식회사 |
산업 분야 | 서비스, 도소매, 부동산, 제조[1] |
창립 | 1994년 12월 16일[1]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2724 1층 (과천대로 870-13) |
사업 지역 | ![]() |
대표자 | 강호성, 윤상현 (2023.1.5 기준)[2] |
핵심 인물 | 이재현 (회장) 이미경 (부회장) 구창근 (대표) (2023.1.5 기준)[2] |
서비스 | 종합유선방송사업 교과서 및 학습서적 출판 기타 인쇄물 출판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매매 체인화 편의점 식료잡화, 주류 셔츠 및 기타 의복 소매업 금지금거래 전자상거래업 보험대리점 분양대행 프로그램공급업 인터넷 광고대행업 전시및행사대행업 매니저업 광고영화제작, 일반영화배급및제작, 투자 음반기획, 제작및판매 [1] |
매출액 | 3,391,184,002,869원 (2020) |
영업이익 | 272,067,865,192원 (2020) |
65,629,506,717원 (2020) | |
자산총액 | 6,279,917,456,928원 (2020.12) |
주요 주주 | 씨제이(주): 40.08% 외 (2018.9.30 기준)[3] |
종업원 수 | 3,403명 (2020.12) |
모기업 | 씨제이(주)[3] |
자회사 | 종속회사 목록[3]
|
자본금 | 110,577,370,000원 (2020.12) |
시장 정보 | 한국: 035760 |
상장일 | 1999년 11월 23일 |
웹사이트 | http://www.cjenm.com/ |
(주)씨제이이엔엠(영어: CJ ENM CO., Ltd., 약식: CJ ENM)[3]은 대한민국의 서비스 기업이다.
1994년 12월 16일 종합유선방송사업과 홈쇼핑 프로그램의 제작공급 및 도소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3]
1995년 8월 1일 '홈쇼핑 텔레비전(HSTV)'(현 CJ온스타일)을 개국하였다. 1999년 7월 1일 '39 쇼핑'으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2000년 3월 현재의 계열사인 CJ에 인수되었다. 2002년 10월 1일 CJ 홈쇼핑, 2009년 5월 1일 CJ오쇼핑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출처 필요]
2014년 12월 씨제이에듀케이션즈㈜를 합병했다.[2]
2018년 7월 1일 씨제이이앤엠㈜를 흡수합병 하고 ㈜씨제이오쇼핑에서 (주)씨제이이엔엠으로 사명을 변경 하였다.[3]
영문명은 CJ Entertainment N Merchandising의 약칭이다.[출처 필요]
CJ그룹 차원에서 콘텐츠 사업은 CJ엔터테인먼트의 출범으로 시작되었으며, CJ그룹이 온미디어, 엠넷미디어 등을 인수하면서 그룹의 미디어 콘텐츠 사업도 확대되어갔으며, CJ오쇼핑 또한 미디어 사업에 진출하였다.
2019년 12월 ㈜씨제이헬로를 ㈜엘지유플러스에 양도하였고, 2020년 10월 사업부문을 분할해 ㈜티빙을 설립하였다.[2]
역사[편집]
삼구(39)쇼핑[편집]
1994년 10월 홈쇼핑 사업자로 선정되어 1995년 8월 1일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홈쇼핑 채널을 개국하였다. 39쇼핑을 만든 삼구그룹은 지난 1971년 설립된 삼구통상이 모태로, 주로 실크 제품을 제조하여 수출해 온 회사였다. 39쇼핑은 당시 케이블 TV 채널 39번에서 방송했는데 이런 이유로 '삼구' 쇼핑이라는 회사명을 사용하였다. 박경홍 사장이 미국 유학 중에 홈쇼핑의 개념을 보고 들여왔다.
1998년 박경홍 사장은 홈쇼핑업계 경쟁강화와 97년 4월 당시 대통령 아들이었던 김현철씨와의 관련으로 받은 경찰 조사로 인해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았고 자살하게 된다.[4] 박경홍 사장의 사후 삼구그룹의 박종구 회장이 직접 경영을 하게 되었으나 보수적인 경영진의 경영 방식이 첨단 산업인 홈쇼핑 사업과 제대로 접목되지 못해 사업을 포기하기로 결정하고 2000년 3월 CJ그룹에 매각했다. 인수된 이후로도 2002년 9월 30일까지 CJ와 39의 사명(CJ39쇼핑)을 같이 사용했다. 당시 적자를 면치 못했던 케이블 TV 채널에서 유일하게 3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CJ그룹의 인수[편집]
2000년 3월 제일제당(현 CJ제일제당)은 주당 11만 3,969원으로 총 지분의 34.1%에 해당하는 299만 412주를 약 3,400억 원에 매입했다.[5]
사업 내용[편집]
주요 사업은 방송채널 및 콘텐츠 제작, 광고 등을 영위하는 미디어사업, TV 및 온라인 몰을 통한 상품 판매의 커머스사업, 영화의 제작, 투자, 배급 등의 영화사업, 음반ㆍ음원 제작 및 유통, 콘서트 등의 음악사업을 하고 있다.[2]
영화 사업[편집]
홈쇼핑[편집]
대한민국 최초 TV홈쇼핑 채널 사업자로, 방송법에 의거 "상품소개와 판매에 관한 전문편성을 행하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 로 방송통신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매 5년 재승인을 받고 있다.[2]
2021년 5월 10일 CJ오쇼핑과 CJmall은 CJ온스타일이라는 하나의 브랜드로 통합되었다.
주요 방송 채널[편집]
- tvN DRAMA: 믿고보는 즐거움엔 tvN의 두 번째 채널 (드라마 채널)
- tvN SHOW: 빠져드는 즐거움엔 tvN의 세 번째 채널 (밀레니엄 세대 대상 엔터테인먼트 채널)
- tvN STORY: 나의 이야기는 계속된다 tvN의 네 번째 채널 (중장년 세대 대상 엔터테인먼트 채널)
- tvN SPORTS: 짜릿한 즐거움엔 tvN의 다섯 번째 채널 (스포츠 채널)
- tvN Thai: tvN Thai (태국 중심의 한국어 엔터테인먼트 채널)
- tvN Taiwan: tvN Taiwan (대만 중심의 한국어 엔터테인먼트 채널)
- tvN Africa: tvN Africa (아프리카 중심의 한국어 엔터테인먼트 채널)
- OCN Movies 2: 뜨겁게 신나게 즐겁게, "심장을 깨우다" (영화 채널, (구)SUPER ACTION)
과거[편집]
- 온게임넷: 역대슬로건 (게임 전문 채널), 폐국되어 OGN이 승계
- 수퍼액션: Life is Action! Only One Action channel (영화 채널), 폐국되어 OCN Thrills가 승계
- 채널CGV: 영화는 CH CGV (영화 채널), 폐국되어 OCN Movies가 승계
- DIA TV: ASIA'S NO.1 CREATOR GROUP (크리에이터 전문 채널), 폐국되어 CH.DIA가 승계
- 잉글리시 젬: 프리미엄 키즈 영어 콘텐츠 채널 (어린이 키즈영어 전문 채널), 미디어캔의 PP자회사이자 하비라이프의 모태인 필콘미디어에 매각
- (구)Olive: 맛있는 순간마다, (요리 전문 채널), 폐국되어 tvN STORY가 승계
- 온스타일: No.1 Style channel Style It's Onstyle (여성 중심의 라이프스타일 및 패션 전문 채널), 폐국되어 새로운 Olive가 승계
- O tvN: Life X Entertainment TV, tvN의 두 번째 채널 (라이프 엔터테인먼트 채널), 폐국되어 tvN DRAMA가 승계
- XtvN: 놀러오락! tvN의 세 번째 채널 (밀레니엄 세대 대상 엔터테인먼트 채널), 폐국되어 tvN SHOW가 승계
- CH.DIA: 다~보라! CH.DIA (크리에이터 전문 채널), 제이슨커뮤니케이션에 매각
- OGN: game changer (게임 전문 채널, (구) 온게임넷), OP.GG에 매각
- Olive: 맛있는 순간마다, (요리 전문 채널), 폐국되어 tvN SPORTS가 승계
- OCN Thrills: 뜨겁게 신나게 즐겁게, "심장을 깨우다", 폐국되어 OCN Movies 2가 승계
주요 사업장 현황[편집]
- 엔터테인먼트부문: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66 (상암동, CJ ENM센터)
- 엔터테인먼트부문: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로 369 (대화동, CJ ENM 일산 스튜디오)
- 커머스부문 본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과천대로 870-13 (방배동)
- 커머스부문 강남지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320, 4층 (역삼동, 황화빌딩)
- 커머스부문 부산지점: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91, 6층 (연산동, 제세빌딩)
커머스 부문의 주 소재지는 본점이며, 미디어 및 콘텐츠 부문의 주 소재지는 상암 센터에 위치하고 있다.[2]
소유하고 있는 시설로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과천대로 870-13에 소재하고 있는 본사,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66에 위치한 미디어 관련 사업장, 경기도 군포시 농심로47번길 20에 위치한 물류센터 등이 있다.[2]
연혁[편집]
- 1994년 10월: 홈쇼핑 사업자 선정
- 1994년 12월 16일: 홈쇼핑텔레비전 법인 설립
- 1994년 12월 16일 ~ 1998년 10월 28일: 박경홍 대표이사 취임
- 1995년 3월: 프로그램 공급업 허가
- 1995년 8월 1일: HSTV 개국
- 1996년 11월 1일: HSTV, 채널명을 39쇼핑으로 변경[6]
- 1996년 12월 3일: 제일방송(주) 인수
- 1998년 10월 28일 ~ 2000년 5월 31일: 박종구, 송덕호 공동 대표이사 취임
- 1999년 7월 1일: 홈쇼핑텔레비전에서 39쇼핑으로 사명 변경
- 1999년 11월 23일: 코스닥 상장
- 2000년 3월 30일: 39쇼핑, 제일제당(현 CJ제일제당)에 인수
- 2000년 3월 31일: 송덕호 대표이사 퇴임, 박종구 단독 대표이사 체제로 전환
- 2000년 5월 31일 ~ 2004년 2월: 조영철 대표이사 취임
- 2000년 6월 1일: 39쇼핑에서 CJ39쇼핑으로 사명 및 채널명 변경
- 2000년 9월: 군포 물류센터 오픈
- 2001년 7월: 본사 사옥 및 콜센터 이전
- 2001년 8월: 인터넷 쇼핑몰 오픈
- 2002년 10월 1일: CJ39쇼핑에서 CJ홈쇼핑으로 사명 및 채널명 변경
- 2004년 2월 ~ 2005년 6월: 김진수 대표이사 취임
- 2004년 4월: 동방CJ 개국(중국 상하이에서 상하이 미디어 그룹과 합자 계약 체결)
- 2005년 6월 ~ 2009년 2월: 임영학 대표이사 취임
- 2008년 8월: 본사 신사옥 증축
- 2008년 10월: 천천CJ 개국(중국 톈젠에서 천천CJ 합자 계약 체결)
- 2009년 2월 ~ 2014년 10월: 이해선 대표이사 취임
- 2009년 9월: 스타CJ(現SHOP CJ) 개국(인도네시아에서 스타CJ 법인 설립)
- 2009년 5월 1일: CJ홈쇼핑에서 CJ오쇼핑으로 사명 및 채널명 변경[7]
- 2009년 12월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온미디어 지분 55.17%(경영권 포함)을 4344억 7930만원에 인수[8]
- 2011년 1월 27일: CJ프라임쇼핑 개국(일본에서 '프라임쇼핑' 인수 계약 체결)
- 2011년 7월: SCJ 개국(베트남에서 SCTV와 합자 계약 체결)
- 2011년 10월: 남방CJ 개국(중국 광저우에서 남방CJ 합자 계약 체결)
- 2012년 6월: G"CJ 개국(태국에서 GMM Grammy(지엠엠 그래미)와 합작 계약 체결)
- 2012년 12월: MCJ 개국(터기에서 MediaSa(미디어사)와 합자 계약 체결)
- 2013년 4월 30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론칭
- 2013년 10월: ACJ 개국(필리핀에서 ABS-CBN와 합자 계약 체결)
- 2013년 11월 1일 ~ 2015년 6월: 변동식 대표이사 취임
- 2015년 6월: CJ Grand Shopping 개국(멕시코에서 Televisa와 합자 계약 체결)
- 2015년 6월 ~ 2016년 4월: 김일천 대표이사 취임
- 2016년 4월: MPCJ 개국(말레이시아에서 미디어프리마 텔레비전 네트워크와 합자 계약 체결)
- 2016년 4월 ~ 2018년 7월: 허민회 대표이사 취임
- 2018년 7월: CJ E&M과 합병되어 통합법인 CJ ENM 출범
- 2018년 7월 ~ 2022년 3월: 허민호 대표이사 취임
- 2021년 5월 10일: 온라인 종합몰 CJmall과 하나의 브랜드로 통합된 CJ온스타일 출범[9] (ENM 엔터테인먼트 채널 'OnStyle'은 4월 30일 채널 종료)
- 2022년 3월 ~ : 윤상현 대표이사 취임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CJ ENM - 공식 웹사이트
- CJ ENM - 공식 웹사이트
- CJ온스타일의 채널 - 유튜브
- CJ ENM 커머스부문 - 공식 웹사이트
- CJ온스타일
- CJ온스타일의 채널 - 유튜브
- 블로그
각주[편집]
- ↑ 가 나 다 반포세무서장 (2019년 11월 15일). 사업자등록증 (PDF).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보고서) (국세청).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주식회사 씨제이이엔엠 (2023년 1월 18일). 투자설명서. 《전자공시시스템》 (보고서) (금융감독원).
- ↑ 가 나 다 라 마 바 백재민 (2018년 11월 15일). [기재정정]분기보고서 (2018.09) (보고서). 금융감독원.
- ↑ 자살한 재벌들 Archived 2015년 1월 19일 - 웨이백 머신 《중앙일보》, 2006년 1월 11일
- ↑ 제일제당, 3천4백억에 39쇼핑 인수 《머니투데이》, 2000년 3월 30일
- ↑ HSTV, 11월1일부터 `39쇼핑'으로 변경
- ↑ CJ홈쇼핑, `CJ오쇼핑`으로 사명 변경
- ↑ “CJ오쇼핑, 4344억원에 온미디어 인수”. 2014년 1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9일에 확인함.
- ↑ “모바일 품은 TV홈쇼핑 `CJ온스타일` 출범”. 2021년 4월 28일. 2021년 5월 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