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플러스


![]() MBC PLUS Co.,Ltd. | |
형태 | 주식회사 |
---|---|
산업 분야 | 서비스 |
창립 | 1993년 9월 22일 |
이전 상호 | 제일방송㈜ (1993 ~ 2001) ㈜엠비씨드라마넷 (2001 ~ 2009) (주)엠비씨플러스미디어 (2009 ~ 2015) (주)엠비씨플러스 (2015 ~ |
시장 정보 | 비상장 |
국가 | ![]() |
본사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호수로 596 (장항동, MBC일산드림센터) |
사업 지역 | ![]() |
대표자 | 조능희 |
사업 내용 | 프로그램 공급업 유선방송업 위성 및 기타 방송업 |
자본금 | 10,021,910,000원 (2015.12) |
매출액 | 211,715,086,738원 (2015) |
영업이익 | 18,730,311,756원 (2015) |
순이익 | 15,708,645,250원 (2015) |
자산총액 | 258,179,581,799 (2019.12) |
주요 주주 | 주식회사 문화방송 64.81% CJ ENM 주식회사 79.37% 주식회사 MBC C&I 5.43% 주식회사 IHQ: 22.53% 기타: 7.23% 그 외 주주: 43:53 % |
모기업 | 문화방송 |
종업원 | 241명 (2015.12) |
슬로건 | 21세기 뉴미디어를 선도하는 글로벌 콘텐츠 기업 |
웹사이트 | http://www.mbcplus.com |
엠비씨플러스(MBC PLUS)는 문화방송의 유료방송 채널을 운영하는 기업으로 현재 7개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역사[편집]
1993년 9월 22일 제일방송(JBS)으로 설립됐고 1995년 드라마 전문 방송으로 본 방송을 시작하였는데 당초 3월로 첫 방영이 되는 듯 했으나 모기업인 제일영상 대표였던 심현우(전 TBC,KBS 프로듀서)가 불미스런 사건으로 구속되자[1] 9월로 첫 방송이 미뤄졌다. 이후 1996년 12월 4일 홈쇼핑텔레비전(39쇼핑)의 모기업인 삼구그룹으로 경영권이 이관되었으며[2] 1997년 5월 19일부터 드라마넷(Drama-net)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그 후, 당시 모체 39쇼핑 박경홍 사장이 98년 여름 자살하면서[3] 경영난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그 삼구쇼핑이 2000년 5월 CJ그룹에 인수되어 CJ그룹 계열이 되었으며 2001년 3월 26일 MBC가 케이블TV 시장에 진출하면서 인수해 MBC 드라마넷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는데 당시 CJ39쇼핑은 46.6%의 지분을 문화방송(MBC)으로 넘겼다[4]. KBS 드라마와 SBS 플러스[5]가 생기기 전까지는 지상파 3사의 모든 드라마 및 예능 프로그램을 방영하였다. 그러나, 두 채널이 개국된 뒤에도 지상파 3사의 모든 드라마 및 예능 프로그램을 방영했지만 2002년 4월 2일 CJ39쇼핑이 지분 19%를 처분한 데 이어 같은 해 5월 25일 CJ39쇼핑이 보유지분 중 14만 9890주를 매각하여 CJ그룹에서 계열 제외된 뒤[6] MBC의 프로그램과 자체 제작 프로그램만을 단독으로 방송하는 형식으로 변경됐다.
2009년 5월 1일에 각각의 법인으로 나뉘어 있던 MBC 플러스, MBC 드라마넷, MBC 게임이 단일 법인으로 합병했다. 합병은 MBC 드라마넷이 나머지 두 법인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통합 법인명은 MBC 플러스 미디어로 확정되었다[7]. 한 달 뒤에는 가족 영화 전문 채널 앨리스 TV를 인수하여 생활 문화 · 다큐멘터리 채널인 MBC 라이프를 개국했다.
2019년 2월 현재 본 기업이 운영하고 있는 채널은 드라마 전문 채널인 MBC 드라마넷을 필두로, 스포츠 전문 채널인 MBC 스포츠+, 오락 · 예능 전문 채널인 MBC Every1, 음악 전문 채널인 MBC 뮤직, 드라마 및 오락 전문 채널인 MBC ON 등 5개 채널을 보유하고 있다[8]. 2012년 2월 1일에 MBC 에브리원과 MBC 뮤직을 끝으로 모든 채널의 고선명 텔레비전 전환이 완료되었다[9]. 2015년 8월 MBC플러스미디어에서 MBC플러스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2016년 4월 키자니아 부산에 '스포츠 방송 센터' 체험시설을 개장한다.
방송 채널[편집]
채널 | 슬로건 | 편성 및 송출 | 비고 |
MBC 드라마넷 | 드라마 전문 채널이다 | 드라마 프로그램을 주로 편성하는 | |
MBC 에브리원 | 예능 전문 채널이다 | 예능 프로그램을 주로 편성하는 | |
MBC M | 컨텐츠 전문 채널이다 |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을 주로 편성하는 | |
MBC 스포츠+ | 스포츠 전문 채널이다 | 스포츠 프로그램을 주로 편성하는 | |
MBC ON | 드라마 및 오락 전문 채널이다 | 드라마 및 오락 프로그램을 주로 편성하는 | |
MBC 에브리원 글로벌 채널 | 미국 전역으로 방송되는 채널 | 하와이 알래스카 포함 | |
all the K-POP | 전세계 전역으로 채널 |
보조 채널[편집]
- MBC NET: 문화방송계열 방송국 프로그램을 주로 편성하는 지역 전문 채널이며, 운영은 지역MBC슈퍼스테이션에서 담당하고 있다.이전 채널
프로그램[편집]
제작 및 외주제작[편집]
- 나의 유감스러운 남자친구
- 태양의 도시
- 스웨덴 세탁소
- 하자전담반 제로
- 식신원정대
- MT왕
- MBOX
- 삼색녀 토크쇼
- 조선 과학수사대 별순검
- 도시무협전
- 해바라기
- 그녀의 로맨스
- 우리 결혼했어요
각주[편집]
- ↑ “제일방송 9월부터 본방송”. 한겨레신문. 1995년 7월 5일. 2017년 1월 30일에 확인함.
- ↑ 연합 (1996년 12월 10일). “하나銀, 제일방송에 30억원 투자”. 연합뉴스. 2017년 1월 30일에 확인함.
- ↑ “39쇼핑사장 자살 결론”. 매일경제. 1998년 10월 16일. 2017년 1월 30일에 확인함.
- ↑ 백진엽 (2001년 3월 26일). “[거래소] 제일제당 "드라마넷 지분 등 매각"”. 머니투데이. 2017년 1월 30일에 확인함.
- ↑ 당초 SBS 축구였으나 기존의 SBS 스포츠와 영역이 중복된 데 이어 세리에 A, 분데스리가 중계권 획득에 실패하면서 경영난에 시달리자 채널이 변경되었다.
- ↑ 최상현 (2002년 5월 25일). “[공시]제일제당, 엠비씨드라마넷 계열 제외”. 머니투데이. 2017년 1월 30일에 확인함.
- ↑ 권경성 기자 (2009년 5월 1일). “MBC 플러스·드라마넷·게임, 한 회사로”. 미디어오늘.
- ↑ 단, MBC Sports+는 MBC 플러스의 자회사인 MBC 스포츠플러스가 운영하는 채널이다.
- ↑ 단, 디지털 표준 텔레비전 및 아날로그 텔레비전으로 전송하는 영상은 아나몰픽 와이드스크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