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경남 진주본부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09′ 50″ 동경 128° 06′ 27″ / 북위 35.1638551° 동경 128.1074668°
2004년 9월 22일에 준공한 MBC경남 진주본부 現 가좌동 사옥 | |
한국명 | MBC경남 진주본부 |
---|---|
한자표기 | MBC慶南 晋州本部 |
영문표기 | MBC Gyeongnam Jinju |
약칭 | MBC경남 진주 |
형태 | 공영 방송 |
방송 영역 | 지상파 방송 |
개국일 | 1968년 5월 31일(라디오) 1986년 5월 31일(음악FM) 1987년 11월 20일(TV) |
본사 | ![]() |
사장 | 정대균 (대표이사 사장) |
모기업 | 문화방송 |
웹사이트 | MBC 경남 |
MBC경남 진주본부(MBC慶南 晋州本部)는 서부경남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상파방송국이다. 1968년 5월 31일에 진주민간방송(약칭 JBC)으로 개국하였으며, 1971년 진주문화방송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2011년 9월 1일에 중부경남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구 창원문화방송과 합병하여 MBC경남 진주본부 및 MBC경남의 본사로 개편되었다. 호출부호는 HLAK이다.
목차
연혁[편집]
1960년대[편집]
- 1967년 11월 10일 : AM방송국 인가 (호출부호 HLAK, 주파수 중파 1320 kHz, 출력 10 kW).
- 1968년 5월 31일 : 진주민간방송(약칭 JBC) 개국.
1970년대[편집]
- 1971년 10월 1일 : 진주문화방송주식회사로 사명변경.
- 1978년 11월 23일 : AM방송 주파수 변경 (중파 1320 kHz → 1215 kHz).
1980년대[편집]
- 1981년 1월 31일 : 평안동 사옥 준공.
- 1983년 12월 26일 : 망진산 TV중계소 개소 (CH 8, 영상출력 1 kW).
- 1984년 3월 1일 : 감악산 중계소 개소(출력 5㎾, UHF CH48)
- 1984년 12월 29일 : 하동 금오산TVR 개소 (CH 53, 영상출력 500W).
- 1986년 5월 31일 : 음악FM방송 개국 (주파수 초단파 97.7 MHz, 출력 1 kW).
- 1986년 8월 12일 : 삼천포TVR 개소 (CH 34, 영상출력 100W).
- 1987년 11월 20일 : 진주MBC TV방송국 개국, CH-8, 출력 1 KW.
- 1988년 8월 2일 : 산청TVR 개소 (CH 53, 영상출력 100W).
- 1988년 10월 31일 : 감악산 FM방송중계소 개소 (주파수 초단파 96.1 MHz, 출력 3 kW).
- 1989년 5월 3일 : 지곡TVR 개소 (CH 29, 영상출력 100W) / 마천TVR 개소.
- 1989년 8월 10일 : 단성TVR 개소 (CH 49, 영상출력 100W).
- 1989년 9월 28일 : 안의TVR 개소 (CH 53, 영상출력 100W).
1990년대[편집]
- 1991년 6월 28일 : 가좌동의 AM송신소를 명석송신소로 이전.
- 1992년 12월 22일 : 생초TVR 이설 (CH 21, 영상출력 100W).
- 1992년 12월 23일 : 남해TVR 개소 (CH 41, 영상출력 100W).
- 1992년 12월 23일 : TV중계차 도입.
- 1993년 9월 8일 : 진성TVR 개소 (CH 29, 출력 100W).
- 1994년 9월 1일 : 사천TVR 개소 (CH43, 영상출력 100W).
- 1995년 11월 29일 : 삼천포 표준FM방송중계소 개소 (주파수 초단파 91.1 MHz, 출력 100W).
- 1998년 3월 31일 : 상주TVR 개소 (CH 53, 영상출력 100W).
- 1998년 4월 14일 : 악양TVR 개소 (CH 37, 영상출력 100W).
2000년대[편집]
- 2000년 1월 14일 : 표준FM방송 개국 (주파수 초단파 91.1 MHz, 출력 3 kW). 전라남도 광양 일부
- 2000년 5월 31일 : 감악산 표준FM중계소 개소 (주파수 초단파 93.5 MHz, 출력 1 kW).
- 2004년 9월 22일 : 현사옥 및 영화관 준공.
- 2005년 12월 31일 : 감악산중계소 디지털TV 개시(물리채널 50, 출력 1㎾)
- 2006년 5월 31일 : 디지털 TV 방송 개국 (CH 56, 출력 1 kW)
2010년대[편집]
- 2010년 2월 1일 : 지상파 DMB 채널 개국.
- 2010년 12월 : 남해 DTV 중계소 개소
- 2011년 8월 8일 : 방송통신위원회가 창원문화방송과 함께 합병 승인 (MBC경남으로 출범)
- 2011년 9월 1일 : 창원문화방송과 합병하여 MBC경남 진주본부로 사명 변경
- 2012년 10월 4일 :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2013년 7월 17일 : 경상남도 서부지역 디지털 주파수 재배치 완료
TV방송[편집]
1983년 진주본부 TV 망진산중계소가 개소되었다가 1987년 11월 20일 진주본부의 TV연주소 방송이 본격적으로 개국함에따라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2006년 5월 31일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였으며, 2012년 10월 4일 아날로그TV방송을 종료한다.
프로그램[편집]
- 보도
프로그램명 | 방송시간 | 편성시간 | 진행 |
---|---|---|---|
5 MBC 뉴스 (진주) | 월~금 5분 | 월~금 17:05 ~ 17:10 | 김용석 |
MBC 뉴스데스크 경남 (진주) | 월~금 15분 | 월~금 20:30 ~ 20:45 | 김진철 |
- 예능·교양
방송 송출 시설망[편집]
- 호출부호 : HLAK-DTV
- 가상채널 : 11-1
송신소 | 물리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
망진산 송신소 | CH 21 | 1 kW | 경남 진주시 망경동 631 |
장군대산 중계소 | CH 40 | 100W | 경남 진주시 진성면 동산리 산114 |
감악산 중계소 | CH 50 | 1 kW | 경남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산13 |
금오산 중계소 | CH 29 | 100W | 경남 하동군 진교면 고룡리 산88-3 |
악양 중계소 | CH 45 | 20W | 경남 하동군 악양면 등촌리 산115 시루봉 |
삼천포 중계소 | CH 18 | 90W | 경남 사천시 실안동 산170-1 각산 |
옥종 소출력 | CH 21 | 0.05W | 경남 하동군 옥종면 청룡리 |
남해 중계소 | CH 39 | 20W | 경남 남해군 남해읍 입현리 산57 월구산 |
남상주 중계소 | CH 43 | 20W | 경남 남해군 상주면 양아리 산4-1 금산 |
산청 중계소 | CH 29 | 20W | 경남 산청군 산청읍 지리 산40 꽃봉산 |
생초 중계소 | CH 39 | 90W | 경남 산청군 금서면 특리 산24-3 봉화재 |
단성 중계소 | CH 44 | 20W | 경남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 산104 망해봉 |
시천 중계소 | CH 45 | 20W | 경남 산청군 시천면 원리 산46 구곡산 |
마천 중계소 | CH 16 | 20W | 경남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 산54-3 금대암 |
지곡 중계소 | CH 16 | 20W | 경남 함양군 지곡면 공배리 산58-4 285 무명고지 |
안의 중계소 | CH 16 | 20W | 경남 함양군 안의면 당본리 산377 무명고지 |
- 아날로그TV
2012년 10월 4일 오후 2시 방송 종료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 호출부호 : HLAK-TV
송신소 | 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
망진산 송신소 | CH 8 | 1 kW | 경남 진주시 망경동 631 |
진성 중계소 | CH 29 | 500W | 경남 진주시 진성면 동산리 산114 |
감악산 중계소 | CH 48 | 5 kW | 경남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산13 |
금오산 중계소 | CH 53 | 100W | 경남 하동군 진교면 고룡리 산88-3 |
삼천포 중계소 | CH 34 | 100W | 경남 사천시 실안동 산170-1 각산 |
남해 중계소 | CH 41 | 100W | 경남 남해군 남해읍 입현리 산57 월구산 |
남상주 중계소 | CH 40 | 100W | 경남 남해군 상주면 양아리 산4-1 금산 |
산청 중계소 | CH 53 | 100W | 경남 산청군 산청읍 지리 산40 꽃봉산 |
생초 중계소 | CH 21 | 100W | 경남 산청군 금서면 특리 산24-3 봉화재 |
단성 중계소 | CH 49 | 100W | 경남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 산104 망해봉 |
시천 중계소 | CH 43 | 100W | 경남 산청군 시천면 원리 산46 구곡산 |
악양 중계소 | CH 37 | 100W | 경남 하동군 악양면 등촌리 산115 시루봉 |
마천 중계소 | CH 53 | 100W | 경남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 산54-3 금대암 |
안의 중계소 | CH 53 | 100W | 경남 함양군 안의면 당본리 산 377 무명고지 |
지곡 중계소 | CH 29 | 100W | 경남 함양군 지곡면 공배리 산58-4 무명고지 |
라디오 방송[편집]
1968년 5월 31일 진주민간방송(약칭 JBC)으로 출범하면서 개국하였다. 현재 AM라디오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중이며 서부경남지역을 가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
프로그램[편집]
MBC경남 진주라디오[편집]
프로그램명 | 요일 | 시간 | 진행자 |
---|---|---|---|
좋은 아침 (창원),(진주) | 월~금, 토 | 30분 (월~금), 50분 (토) | 백근곤 (월~금), 남선희 (토) |
MBC 정오뉴스 | 월~일 | 5분 | 김진철 |
즐거운 오후2시 (창원),(진주) | 월~금 | 105분 | 윤동현, 김여민 |
MBC 15시 뉴스 | 월~일 | 5분 | 이다슬 |
MBC 17시 뉴스 | 월~일 | 5분 | 남두용 |
MBC 뉴스네트워크 | 월~금 | 10분 | 부산문화방송 보도국 |
오늘의 경남 (창원),(진주) | 평일 | 50분 | 김진철 |
오늘도 건강하세요 (창원),(진주) | 월~금 | 40분 | 김혜민 |
MBC경남 진주 FM4U[편집]
프로그램명 | 요일 | 시간 | 진행자 |
---|---|---|---|
MBC경남 골든디스크 | 월~일 | 60분 | 노명주 |
정오의 희망곡 (창원),(진주) | 월~일 | 120분 | 조복현 |
방송 송출 시설망[편집]
MBC경남 진주 라디오 |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
명석 송신소 | AM 1215 kHz | 10 kW | HLAK | 경남 진주시 명석면 우수리 130-1 | |
금오산 송신소 | FM 91.1 MHz | 3 kW | HLAK-SFM | 경남 하동군 진교면 교룡리 산88-3 | |
감악산 중계소 | FM 93.5 MHz | 1 kW | 경남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13 | ||
MBC경남 진주 FM4U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
망진산 송신소 | FM 97.7 MHz | 1 kW | HLAK-FM | 경남 진주시 망경동 631 | |
감악산 중계소 | FM 96.1 MHz | 3 kW | 경남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13 |
지상파 DMB 채널[편집]
부산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과 함께 투자하여 범경남권 전지역을 방송권역으로 운영 중이다.
보도국[편집]
- 취재2부(진주)
- 강윤석 취재2부장
- 김태석 국장
- 이준석 국장
- 서윤식 부장
- 신동식 부장
아나운서[편집]
- 김진철
- 윤동현
- 백율희
전직 아나운서[편집]
기상캐스터[편집]
- 박보경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그 당시 본명은 윤창기였으며, 2017년 9월 3일에 현재의 윤태윤으로 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