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KBS대전방송총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BS 대전방송총국
1998년 7월 15일에 준공한 KBS 대전방송총국 만년동 사옥
1998년 7월 15일에 준공한 KBS 대전방송총국 만년동 사옥
한자표기 KBS大田放送總局
영문표기 KBS Daejeon Broadcasting Branch Office
약칭 KBS대전, 대전한국방송
형태 공영 방송
방송 영역 지상파 방송
창립일 1940년 8월 5일
개국일 1943년 7월 7일
본사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대로117번길 128
사장 남종혁 (총국장)
모기업 한국방송공사
웹사이트 KBS대전방송총국
대전 KBS1
개국 1978년 7월 1일
IPTV 채널 9번

KT지니TV
SK브로드밴드
LGU+

위성 채널 9번 KT 스카이라이프

KBS대전방송총국(KBS大田放送總局)은 대전세종충남 지역을 방송구역으로 하는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총국이다. 지역총국 중 하나로, 하부에 속해있는 지역국은 없다.

개요

[편집]
  • 1943년 사단법인 조선방송협회 대전방송국으로 창설되어 1986년 12월 KBS 공사 직제개편으로 KBS 대전방송총국으로 승격되었다.
  • 1995년 천안과 서산에 설치했던 사업소를 폐지했으며, 1998년 2월에는 목동에 있는 사옥을 폐쇄하고 새로 준공을 한 만년동 신사옥을 준공하였다.
  • 보도, 지역현안, 지역민 문제에 대한 시사교양적 프로그램을 자체제작하여 편성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방송은 KBS본사의 프로그램을 릴레이 하여 편성하고 있다.
  • 산업기술, 첨단과학의 도시인 대전 지역 특성에 걸맞게 과학프로젝트팀을 운영하여 제작하는 과학프로그램이 전국방송으로 송출되고 있다.
  • 대전방송총국
    • 총국장 부속실
    • 심의실
    • 뉴미디어팀
    • 노동조합
      • KBS노조 대전지부
      • 언론노조 KBS본부 대전지부
  • 편성제작국
    • TV제작팀
    • 편성팀
    • 아나운서팀
    • 영상제작팀
    • 보도국
    • 취재팀
    • 편집팀
    • 영상취재팀
    • 천안아산방송센터
    • 홍성방송센터
  • 기술국
    • 기술관리팀
    • 제작기술팀
    • 송출정비팀
    • 홍성송출센터
  • 시청자서비스국
    • 총무팀
      • 기획
      • 인사
    • 재원관리팀
    • 천안아산사업지사
    • 홍성사업지사



지국

[편집]

천안아산방송센터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고속철대로 151(장재리)

홍성방송센터

  •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상하천로 24-1(신경리)



역사

[편집]

개국 초기

[편집]

조선방송협회 대전방송국을 설치할 당시 여건은 매우 나쁜 상태였다. 방송망 구상 초기에는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가 중일 전쟁이 일어나고 진주만 폭격으로 제 2차 세계대전이 벌어지는 바람에 자재 구입이나 인력이 부족하고 방송 청취 통제의 강화와 방송의 전쟁 도구화 등 여러 악재들이 겹친 시기였다. 개국하기 전에 앞서서 1940년 8월 5일 대전부 북정 15번지(現 대전광역시 중구 목동)에 13평짜리 건물의 출장소로서 출범하였다. 그 후 1942년 출장소에서 방송국으로 승격하였고 1943년 7월 15일 정식으로 조선방송협회 대전방송국이 개국하였다. (AM 880㎑, 출력 50W, 호출부호 JBIK) 원래는 한국어로 방송하는 제2방송과 함께 세울 계획이었지만 1942년 4월 27일 전파관제가 이루어지면서 제2방송의 전파발사가 일단 중지 되었기 때문에 제1방송만 공사가 진행되어 먼저 방송을 실시하게 되었고 한국어방송은 1943년 11월 10일부터 실시하게 되었다. 당시 사옥은 6,600평의 넓은 부지에 기와를 올린 벽돌조 단층 130평의 건물로 연주실, 송신기실, 사무실 등을 마련하고 따로 송신소는 두지 않은 채 방송을 하였다. 그 후 1944년 10월 1일 45M 목주안테나를 설치하여 송신소를 따로 건설하였다.


광복 후 ~ 6.25 전쟁 직전

[편집]

광복이 되면서 방송국에 있던 일본인 직원들은 모두 물러나고 한국인 직원들로 채워졌다. 이어 1947년 10월 1일에는 호출부호를 일본식 JBIK에서 한국식의 HLKI로 변경하였고, 1948년 8월 6일에는 사명을 대한방송협회 대전방송국으로 변경하였다. 또한 1949년 7월 26일 기존 50W이던 방송 출력을 500W로 높이는 등 새로운 도약을 시작하였다.


6.25 전쟁

[편집]

6.25전쟁이 일어나면서 대전은 임시수도가 되었고 대전방송국은 6월 28일부터 임시중앙방송국 역할을 하게 되었다. 방송을 듣고 정보 보고서를 만들어 국무회의에 보고하고, 비밀 방송 수신실을 마련하여 VOA를 비롯해 북한측이 방송하는 서울방송,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에서 들려오는 방송을 모니터하여 작성한 분석보고서를 국무회의에 제출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전략을 세워 나가는 등, 대전임시수도 시절동안 대전방송국은 매우 중요한 업무를 담당하였다.

전쟁중에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대전방송국은 전략적으로 가장 중요시되는 방송국이 되었다. 이로 인해 전쟁중임에도 불구하고 10㎾ 출력 증강 공사를 하여 서울의 송신소가 가동이 되고 있어도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 키스테이션이 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기 위해 1951년 11월 8일 공사를 착공하여 1952년 11월 5일 준공하였다. 이로 인해 대전방송국은 지역국 중 당시로서는 최초로 10㎾의 대출력 송신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기반구축기

[편집]

1961년 1월 22일 대전방송국은 사옥을 대흥동으로 이전하고 목동의 사옥자리는 송신소로 사용하였다. 1965년 8월 5일에는 홍성중계소(AM 510㎑)를 설치하여 방송망 확장을 시작하였다.

1966년 5월 16일에는 충청지역에서 최초로, 대전에 식장산TV중계소가 준공되어 KBS-TV 방송을 중계하였다. KBS-TV 방송망이 확장될 때 식장산 중계소는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당시에는 마이크로웨이브 기술이 없어서 서울의 전파를 그대로 수신하고 그걸 또 중계하는 방식으로 방송망을 구성하였는데, 식장산은 남한의 중앙에 위치해 있었으므로 이곳을 통해서 전국 TV방송 링크가 구성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다른 곳의 출력이 500W미만이었던 것과는 달리 식장산TV중계소는 유일하게 1㎾로 설치되었다. 채널과 출력을 그대로 유지하여 2012년 10월 2일 오후 2시까지 청주방송총국에서 사용하였다.

1973년 3월 1일, KBS가 공사로 출범하게 됨에 따라 한국방송공사 대전방송국으로 사명이 변경되었고, 1976년에는 목동의 송신소를 회덕으로 이전하여 20㎾급의 대덕송신소(AM 882㎑)를 준공하였다. 그리고 목동에 청사를 다시 새로 지어 1978년 11월 17일 준공하였다.

70년대에 들어서 한국방송공사의 각 방송국들은 자체TV방송을 시작하였다. 대전방송국도 이를 추진하면서 충청남도 전역까지 가시청권으로 포함해야 된다는 계획을 추진 하면서 계룡산TV,표준FM송신소를 세우고 1978년 11월 20일부터 전파를 발사하였다. 또한 1981년 3월 20일부터 식장산중계소에 2TV방송을 시작하고, 1981년 5월 25일 음악FM방송을 개국하는 등 대전방송국에도 여러 방송이 추가되었고, 1982년 3월 4일 KBS대전 제1라디오 FM으로 수신가능, 잡음이 전혀 없는 표준FM(스테레오가 아닌 모노)으로도 동시에 방송을 하고, 1983년 2월 12일부터 계룡산송신소에 2TV방송을 시작했다.


성장발전기

[편집]

1986년 12월 8일 대전방송국은 대전방송총국으로 승격하게 된다. 이후 1987년 7월 20일, 공주방송국이 신설되면서 공주중계소, 부여중계소, 부여출장소의 담당을 공주방송국으로 이관하게 된다.

1998년 2월 28일에는 만년동의 신사옥으로 이전과 7월 15일에는 신사옥 준공식을 가지면서 새로운 변화를 맞게 된다.

디지털방송시대 초기

[편집]

디지털TV방송의 개시에 따라 2001년 12월 5일 제2라디오 FM방송 개국(100.9㎒), 대전방송총국도 2004년 7월 12일 계룡산송신소와 식장산중계소에서 1TV, 2TV 디지털방송을 개국하여 송출하기 시작했다. 2005년 2월 18일에는 계룡산·식장산 EBS-DTV, 2005년 12월 26일에는 흑성산중계소, 2006년 6월 1일에는 원효봉중계소 등 기간급 중계소에도 디지털TV방송 중계시설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이후 2007년 1월 11일부터는 식장산송신소에서 지상파DMB방송을 실시했고 같은해 8월 1일 정식으로 개국하였다. 2007년 12월 13일에는 HD뉴스부조와 TOC를 준공하여 HDTV방송의 기반시설을 구축하여 고화질의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08년 1월 4일에는 계룡산송신소의 1라디오 표준FM 출력을 증강하여 수신가능지역을 확대하였고, 2008년 9월 2일에는 홍성방송센터에서 개소를 해서 뉴스 참여를 재개했다, 2009년부터는 디지털TV와 지상파DMB 중계소를 더욱 확충하는 등 디지털방송의 방송망을 꾸준히 구축해나가고 있다. 2012년 10월 16일에는 지상파아날로그TV방송을 종료하고 완전한 디지털TV방송 시대를 맞이하였으며, 2013년 10월 16일 오후 2시에는 지상파디지털TV방송의 채널 재배치를 실시하였다.


UHD시대

[편집]
  • 2017년 12월 29일: KBS대전 1TV와 KBS대전 2TV UHD 방송 개국.



방송 송출 시설망

[편집]

TV

[편집]
  • 1TV
    • 호출부호 : HLKI-DTV
    • 가상채널 : 9-1
  • 2TV
    • 호출부호 : HLQT-DTV
    • 가상채널 : 7-1
송신소 UHD HD 송신소 위치
물리채널 출력 물리채널 출력
1TV 2TV 1TV 2TV
계룡산 송신소 CH 52 CH 56 2㎾ CH 26 CH 32 1kW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
식장산 중계소 5㎾ CH 14 CH 16 2.5kW 대전 동구 낭월동 300
적오산 소출력 구축 예정 CH 14 CH 16 0.05W 대전 유성구 화암동 산11
추부 중계소 CH 19 CH 20 5W 충남 금산군 추부면 추정리 산54-3
성당리 소출력 CH 14 CH 16 0.05W 충남 금산군 추부면 성당리
진산 중계소 CH ?? CH 28 5W 충남 금산군 진산면 읍내리 156-2
군북 중계소 CH ?? CH 28 5W 충남 금산군 군북면 동편리 산61
금산 중계소 CH 41 CH 42 20W 충남 금산군 금산읍 신대리 662-4
제원 중계소 CH 19 CH 20 10W 충남 금산군 제원면 저곡리 산603-4
남이 중계소 CH 19 CH 20 5W 충남 금산군 남이면 하금리 산11
초현 중계소 CH 19 CH 20 5W 충남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 산45-8
부리 중계소 CH ?? CH 28 5W 충남 금산군 부리면 양곡리 산83
양촌 중계소 CH 39 CH 40 5W 충남 논산시 양촌면 인천리 산6
내판 소출력 CH 14 CH 16 0.05W 세종 연동면 송용리
공주 중계소 CH 44 CH 45 20W 충남 공주시 반죽동 산2-1 봉황산
유구 중계소 CH 29 CH ?? 10W 충남 공주시 유구읍 만천리 산24
청양 중계소 CH 44 CH 51 20W 충남 청양군 청양읍 장승리 산62-4
외산 중계소 CH 21 CH 20 5W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산29
청라 중계소 CH ?? CH ?? 5W 충남 보령시 청라면 나원리 산94
옥마산 중계소 CH 28 CH 36 90W 충남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비인 중계소 CH 20 CH 21 5W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산39-1
판교 중계소 CH 20 CH 21 5W 충남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 산18-1
서천 중계소 CH 28 CH 36 20W 충남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34 남산
흑성산 중계소 CH 30 CH 56 2㎾[1] CH 44 CH 50 1kW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지산리 산11-3
원효봉 중계소 CH 37 CH 56 2㎾[2] CH 23 CH 21 1kW 충남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
당진 중계소 구축 예정 CH 44 CH 45 10W 충남 당진시 읍내동 234-29
정미 중계소 CH 44 CH 45 10W 충남 당진시 정미면 승산리 산1
갈산 중계소 CH 14 CH 15 5W 충남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산14
안면 소출력 CH 23 CH 21 0.05W 충남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아날로그TV
2012년 10월 16일 오후 2시 방송 종료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 1TV
    • 호출부호 : HLKI-TV
  • 2TV
    • 호출부호 : HLQT-TV
송신소 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1TV 2TV
계룡산 송신소 CH 6 CH 42 10kW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
식장산 중계소 CH 56 CH 48 5㎾ 대전 동구 낭월동 300
추부 중계소 CH 12 CH 44 1W/10W 충남 금산군 추부면 추정리 산54-3
진산 중계소 CH 37 CH 25 10W 충남 금산군 진산면 읍내리 156-2
군북 중계소 CH 10 CH 25 1W/10W 충남 금산군 군북면 동편리 산61
금산 중계소 CH 29 CH 35 50W 충남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176
제원 중계소 CH 23 CH 47 10W 충남 금산군 제원면 저곡리 산603-4
남이 중계소 CH 30 CH 44 10W 충남 금산군 남이면 하금리 산11
초현 중계소 CH 30 CH 44 10W 충남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 산45-8
부리 중계소 CH 37 CH 25 10W 충남 금산군 부리면 양곡리 산83
양촌 중계소 CH 37 CH 25 10W 충남 논산시 양촌면 인천리 산6
공주 중계소 CH 50 CH 55 100W 충남 공주시 반죽동 산2-1 봉황산
청양 중계소 CH 50 CH 55 100W 충남 청양군 청양읍 장승리 산62-4
외산 중계소 CH 29 CH 37 10W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산29
청라 중계소 CH 44 CH 47 10W 충남 보령시 청라면 나원리 산94
옥마산 중계소 CH 20 CH 24 500W 충남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옥마산
비인 중계소 CH 35 CH 47 10W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산39-1
판교 중계소 CH 29 CH 35 10W 충남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 산18-1
서천 중계소 CH 53 CH 36 100W 충남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34 남산
흑성산 중계소 CH 47 CH 51 10kW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지산리 산11-3
원효봉 중계소 CH 31 CH 35 5kW 충남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
당진 중계소 CH 19 CH 54 50W 충남 당진시 읍내동 234-29
정미 중계소 CH 54 CH 44 10W 충남 당진시 정미면 승산리 산1
갈산 중계소 CH 21 CH 25 10W 충남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산14

라디오

[편집]
KBS대전 제1라디오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비고&방송구역
대덕 송신소 AM 882kHz 20kW HLKI 대전 대덕구 와동 291-2 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계룡산 송신소 FM 94.7MHz 3kW HLKI-SFM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 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흑성산 송신소 FM 89.9MHz 1kW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촌리 산32-4 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원효봉 중계소 FM 88.1MHz 250W 충남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 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옥마산 중계소 FM 107.3MHz 100W 충남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서천 중계소 FM 88.9MHz 90W 충남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34 남산 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KBS대전 제2라디오 (해피FM)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비고&방송구역
식장산 송신소 FM 100.9MHz 3kW HLQT-SFM 대전 동구 낭월동 300 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옥마산 중계소 FM 89.5MHz 100W 충남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3]
KBS대전FM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비고&방송구역
계룡산 송신소 FM 98.5MHz 5kW HLKI-FM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 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식장산 중계소 FM 102.1MHz 3kW HLKQ-FM 대전 동구 낭월동 300 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청주 송출

지상파DMB

[편집]

프로그램

[편집]

KBS 1TV

[편집]

뉴스 프로그램

[편집]
프로그램명 방송시간 편성시간 앵커
KBS 뉴스광장 대전·세종·충남 평일 15분 평일 아침 7시 35분 ~ 7시 50분 김연선
KBS 뉴스 930 대전·세종·충남 평일 10분 평일 오전 9시 50분 ~ 10시 박명원
KBS 뉴스 7 대전·세종·충남 월~목 40분 월~목 저녁 7시 ~ 7시 40분 송민석, 김숙경
KBS 뉴스 7 대전·세종·충남 금요일 5분 금 저녁 7시 20분 ~ 7시 25분 김숙경
KBS 뉴스 9 대전·세종·충남 평일 15분
주말 10분
평일 밤 9시 35분 ~ 9시 45분
주말 밤 9시 20분 ~ 9시 30분
박연선, 손지화(평일)
무작위

TV 프로그램

[편집]
  • 모든방송은 HD기준인 동시에 지역총국은 DMB방송을 하지 않으며 6시 내고향은 월~목요일사이에 네트워크 제작을 한다.
방송 시간 방송 프로그램 비고
17:30 (월~화) 전국을 달린다 스페셜은 금요일 11시 방송
17:40 (수~금) TV이웃 다정다감
19:40 (화) 우리 동네 (대전)
19:40 (수) 과학으로 보는 세상 SEE
08:25 (금) 아침마당 (대전)
17:30 (금) 이야기가 있는 풍경
17:40 (금) KBS대전 생생토론 생생토크

라디오

[편집]

제1라디오

[편집]

제2라디오

[편집]

대전FM

[편집]

아나운서

[편집]
KBS대전 아나운서
입사연도 기수 남성 여성
1995년 (22기) 김연선
2001년 (27기) 김숙경
2004년 (30기) 최연수
2005년 (31기) 전유미
2007년 (33기) 박명원
2008년 (34기) 손지화
2014년 (41기) 김형철

전 아나운서

[편집]

남성

[편집]
  • 김윤한(1968~1985, 전 KBS 서울본국)
  • 이종태(1981~2008, 현 퇴사)
  • 백운기(1984~1985, KBS 광주방송총국 이전 현 퇴사)
  • 박윤도(1985~2010, 현 퇴사)
  • 윤성원(1993~1994, 전 KBS 서울본국)
  • 양민오(2004~2007, 전 KBS 전주총국 기자/현 KBS 대전총국 보도국 편집부장)
  • 박장훈(2004~2005, 전 KBS 원주국 기자/현 KBS 대전총국 보도국 기자)
  • 송민석(2005~2008, 전 KBS 원주국 기자/현 KBS 대전총국 보도국 기자)
  • 최시중(1996~2003, 현 KBS 서울본국)
  • 박성준(1996~2012, 전 JTBC 아나운서 팀장,) 현 정치인
  • 이윤영(1991~1996, 현 CJB 청주방송 아나운서, 기자)
  • 김빅토리아노(2021.2~2021.8, 전 UBC 울산방송/현 연합뉴스TV 아나운서)

여성

[편집]
  • 김이숙(1990~2003, 퇴사)
  • 지승현(2000~2001, 전 KBS 서울본국, 현 프리랜서 MC)
  • 배유선(1978~2012, 퇴사)
  • 변우영(1994~1997, 현 KBS 서울본국)
  • 윤지영(1997~1998, 현 KBS 서울본국)
  • 김여진(1998~2004, 전 YTN 아나운서)
  • 박주아(2000~2001, 현 KBS 서울본국)
  • 주혜연(2001~2008, 현 퇴사/2009~2010, 전 KFN 국군방송 아나운서)
  • 위서현(2003~2004, 전 KBS 서울본국)
  • 이승연(2004~2005, 현 KBS 서울본국)
  • 김지연(2010~2016, 현 KBS 서울본국 홍보부)
  • 한보선 (2020.11~2021.8)
  • 맹수지 (2020.8~2022.2)

기자

[편집]

남성

[편집]

여성

[편집]

전직 기자

[편집]

남성

[편집]

여성

[편집]

사진첩

[편집]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서현희. “UHDTV 송신기 2종 16점 구매관련 지명경쟁입찰 공고문”. 《KBS 전자조달 외자입찰 목록》. 한국방송공사. 2022년 5월 6일에 확인함. 
  2. 엄영식. “UHDTV 송신기 2종 16식 구매”. 《KBS 전자조달 외자입찰 목록》. 한국방송공사. 2023년 3월 4일에 확인함. 
  3. “KBS옥마산제2표준FM방송보조국 개설허가 알림”. 2019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